WO2022139477A1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9477A1
WO2022139477A1 PCT/KR2021/019643 KR2021019643W WO2022139477A1 WO 2022139477 A1 WO2022139477 A1 WO 2022139477A1 KR 2021019643 W KR2021019643 W KR 2021019643W WO 2022139477 A1 WO2022139477 A1 WO 20221394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ease
extract
obesity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6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정혜
김보성
김현수
최준명
장대식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1394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4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use of wormwood extract, and more particularly,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of the wormwood extract. Or it relates to the use of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r symptom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such as obesity.
  • Artemisia annua is an annual plant and herb belonging to the genus Asteraceae, and it is traditionally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nd research results have shown that it has anticancer effects. Numerous pharmac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cluding the development and award of Nobel Prizes, but studies on specific associations with hormones have not been conducted.
  • estrogen is a hormone produced in the ovaries, it is known to have various actions in various orga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enstrual cycle control. For example, it regulates cholesterol production in the liver, maintains bone density in bones, and acts on the maturation of the uterine wall. In addition,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rvival of nerve cells and the process of adipogenesis.
  • estrogen in blood is decreased and normal menopausal disorders including hot flashes, sweating, insomnia, depression, and headache appear, and bone loss due to decreased bone density disease may occur.
  • the risk of plaque formation in the vascular system increases, which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such as Parkinson's and Alzheimer's due to nerve cell damage increase and lack of regulation of the adipogenesis process (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 J Clin Invest. Mar;116(3):561-70. PMID: 16511588).
  • Hormone therapy which administers animal-derived estrogen, was used to improve menopausal disorders due to estrogen reduction, but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it has potential side effects such as breast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seizures, and blood clotting. reported in a randomized-placebo-controlled study (Rossouw JE, Anderson GL, Prentice RL,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3): 32133. PMID 12117397, Anderson GL, Liraum M, Assaf AR, et al. (2004). "Effect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sterectomy: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1 (14): 170112. PMID 15082697).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compris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as an active ingredient. Obesit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one or more preventive or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elected from.
  •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among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containing the extract of wormwood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one or more improvement or pre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e disease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prevention of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Obesity) Or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the use of the extract of wormwood (Artemisia annua) for the manufacture of a therapeutic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compris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disease) and obesity (Obesity).
  • At least one selected from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is estrogen deficiency may be due to
  • the bone diseas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osteoporosis, osteopenia or periodontal disease.
  • the cardiovascular disease may be atherosclerosis.
  • the degenerative brain dise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arkinson's disease or Alzheimer's disease.
  • the treatment or prevention may be due to the estrogenic activity of the wormwood extract.
  • the estrogenic activity may be selective estrogenic activity.
  • the selective estrogenic activity may be one that exhibits estrogenic activity, but does not selectively exhibit a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
  • the cancer cells may be breast cancer cells or endometrial cancer cells.
  • the wormwood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ixed solvents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among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containing the extract of wormwood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one or more improvement or pre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Obes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e disease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prevention of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Obesity) Or it provides the use of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reatment.
  •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ease induced by estrogen deficiency: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Since the selected one or more can be effectively treated, improved, or prevented, and there is no side effect such as carcinogenesis,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agents for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 Figure 2 is a result of the luciferase test whether the MCF7 cells are treated with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show estrogen activity.
  • 3 is a result of luciferase test whether estrogen activity is confirmed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G63 cells.
  • Figure 4 shows the side effects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eating Ishkawa cells with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shows the cell viability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estradiol
  • Figure 4c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extract of the mugwort mugwort extracted with hot water.
  • Figure 5 shows the side effects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eating MCF7 cells with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shows the cell viability of the untreated control and the positive control treated with estradiol
  • Figure 5b is ethanol
  • Figure 5c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extract of the mugwort mugwort extracted with hot water.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iseases caused by a lack of estrogen and has no side effects Thu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compris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as an active ingredient.
  • Obesity provides one or mor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elected from.
  • the estrogen deficiency may be due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ovariectomy or menopause
  • the bone dise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osteoporosis, osteopenia or periodontal disease
  • the cardiovascular disease may be atherosclerosis
  • the degenerative brain dise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arkinson's disease or Alzheimer's dise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eatment or prevention may be due to the estrogenic activity of the wormwood extract, and since the estrogenic activity of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ective estrogenic activity, it means an estrogenic activity that does not have a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 which is a side effect,
  • the cancer cells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breast cancer cells (MCF7) or endometrial cancer cells (Ishikawa).
  • estrogen activity means that it exhibits the same or similar activity to the physiological activity exhibited by estrogen produced in the body of mammals including humans.
  •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strogenic activity, it can treat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but does not have the side effect of proliferating cancer cells, so it will be useful to treat diseases related to estrogen deficiency .
  • the extract can be extracted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tracting an extract from a natural product, that is, under conditions of conventional temperature and pressure.
  • the extract may use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wat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ixed solvents thereof.
  •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etc., and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pared extract may then be filtered or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may be performed.
  • filt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filter paper or a reduced pressure filter
  • concent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reduced pressure concentrator
  • drying may be performed using a freeze-drying metho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re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administ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alth ex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o an individual who is expected to develop a disease induced by estrogen deficiency to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the disease. means all actions.
  •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clinically intervenes to alter the natural process of an individual or cell to be treated, and may be performed during the course of a clinical pathology or to prevent it.
  •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includes preventing the occurrence or recurrence of a disease, alleviating symptoms, reducing any direct or indirect pat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disease, preventing metastasis, reducing the rate of disease progression, and alleviating the disease state. or temporary relief, remission and improvement of prognosis.
  • the treatment includes all actions of alleviating the disease induced by the estrogen deficiency by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ragweed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induced by estrogen deficiency. may be interpret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e fact that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through specific examples.
  •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strogenic activity, thereby treating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see Example 2).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strogenic activity, but does not induce cell proliferation such as cancer cells (see Example 3).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In the case of formulation, it can be prepared using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extender, binder, wetting agent, disintegrant, surfactant, etc. common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one or more compounds and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lactose), gelatin, etc.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are included.
  • can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may hav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wormwoo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that are likely to develop a disease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or have developed it.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it is possible to alleviate or treat disease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 the term “alleviation”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a disease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is improved or beneficial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administration" refers to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may be administered through various oral or parenteral routes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administered to a subjec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dministration route, and dosage used in the art according to purpose or necessity.
  • administration routes include oral, parenter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pulmonary, and intranasal administration
  • parenteral injection includes intramuscular,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 an appropriate dosage and number of administratio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the amount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tually administered depends on the type of symptom to be treated, administration route, sex, and health condition. , diet, the age and we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inhibit or alleviate a disease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use,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depends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Age, sex, drug activity, sensitivity to drug,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treatment period,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may be determin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I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obesity (Obesity).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a parameter related to the condition being treated, for example, the degree of pain symptoms.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dded to foo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s use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rang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ther ingredients other tha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a conventional beverage.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tauma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ants and thicken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may also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Obesity)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obesity. It provides the use of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ne or more diseases.
  • the "gadang artemisia extract”, “bone disease”, “menopausal disorder”, “cardiovascular disea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obesity”, “prevention”, “treatment”, etc. may be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 the wormw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xtract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corresponding to 10 times the amount of the pulverized sample after grinding wormwood, and reflux extraction using distilled water was used for the wormwood extract.
  • (EtOH) extract was prepared by utilizing ultrasonic extraction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using 70% ethanol. Extraction under reflux cooling was carried out in a container containing the sample and distilled water under the condition of heating at 100 °C for 1 hour, followed by fil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with filter paper (Whatman No. 2, Maidstone, England) and freeze-dried to powder. got angry
  • the sample and 70% ethanol were put in a glass flask, mixed, and then placed in an ultrasonic water bath and extracted twice for 1 hour. After that, the obtained sample was filtered with a filter paper and then at a temperature of 45 ° C with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It was concentrated in vacuo and then pulverized.
  • estrogen A luciferase assay was performed using an ERE-luc vector that exhibits luminescence when an estrogen-active substance binds to a receptor.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control group (CON), the group treated with 10 -7 M of estradiol (Estradiol, E2), the group treated with ethanol-extracted mugwort extract (0.01, 0.1 ⁇ g/ml), and the group treated with hot water-extracted wormwood extract (0.01). , 0.1 ⁇ g/ml) was divided into groups treated with the experimen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se side effects.
  • MTT assay was performed.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an untreated control group, a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estradiol, and a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ethanol or hot water extract with concentrations of 0.00064, 0.00032, 0.016, 0.08, 0.4, and 2 ⁇ g/ml. Cell proliferation level of each group was performed in such a way as to confirm
  • MCF-7 cells as shown in Fig. 5a,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more cells were proliferated than the control group as a side effect of estrogen activity.
  • the cell proliferation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0.00064 ⁇ g/ml, but whe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the same as in the case of Ishikawa cells, breast canc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proliferation of the cell, MCF-7 cells, was reduc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ble to confirm that, whil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strogenic activity, there is no side effect such as induction of cancer through the above resu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암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똥쑥 추출물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질환 또는 증세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개똥쑥(Artemisia annua)는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자 약초로서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으며, 개똥쑥 추출물을 활용해서 제조한 아르테미시닌 성분을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발하여 노벨상을 수상하는 등 수많은 약리학적 연구가 되고 있으나, 호르몬과의 구체적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었다.
한편, 에스트로겐(estrogen)은 난소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으로, 생리주기조절의 기능 외에도 여러 장기에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산을 조절하고, 뼈에서는 골밀도를 유지하고, 자궁벽의 성숙에 작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신경세포의 생존과 지방생성과정에도 중요하게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이 폐경기에 난소 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체내 농도의 저하가 일어나면, 혈중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열성홍조, 발한, 불면증, 우울증, 및 두통 등을 포함하는 통상 갱년기 장애가 나타나게 되고,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내 에스트로겐 감소로 혈관계에서 플라크(plaque)가 형성될 위험이 증가하여 죽상경화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일어나며 신경세포의 손상에 따른 파킨슨과 알츠하이머같은 퇴행성뇌질환이 증가하고 지방생성과정의 조절부재에 따른 비만이 일어날 수 있다(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J Clin Invest. Mar;116(3):561-70. PMID: 16511588).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갱년기 장애 등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유래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요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유방암, 심혈관질환, 발작, 혈액응고 등의 잠재적 부작용이 있음이 WHI(Women's health initiative)의 광범위 무작위-위약-조절 연구발표를 통해 보고되었다(Rossouw JE, Anderson GL, Prentice RL,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3): 32133. PMID 12117397, Anderson GL, Limacher M, Assaf AR, et al. (2004). "Effect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sterectomy: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1 (14): 170112. PMID 15082697).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에스트로겐효과를 나타내어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 등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가지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인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면서 발암 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없어,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Ishkawa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MG63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Ishkawa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4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4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5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5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부족은 난소절제 또는 폐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일 수 있으며,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이기에, 부작용인 암세포 증식효과를 가지지 않는 에스트로겐 활성을 의미하며, 상기 암세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방암세포(MCF7) 또는 자궁내막암세포(Ishikaw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활성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나타내는 생리활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기에,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들을 치료할 수 있으면서도, 암세포를 증식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도된 질환의 발병이 예상되는 개체에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치료하고자 하는 개개인 또는 세포의 천연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해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에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며, 전이를 예방하고,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며,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차도시키며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치료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발병된 환자에게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도된 질환을 호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루시퍼라제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져,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면서도, 암세포 등의 세포 증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완화"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말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 또는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투여 경로, 투여량에 따라 적절하게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의 예로는 경구, 비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주입에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투여가 포함된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절한 투여량 및 투여 횟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실제로 투여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양 및 투여 횟수는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의 종류, 투여 경로, 성별, 건강 상태, 식이, 개체의 연령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와 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용도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을 억제 또는 완화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통증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 "개체", "투여", "골질환", "갱년기 장애", "심혈관계질환", "퇴행성뇌질환", "비만", "예방", "치료"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 "골질환", "갱년기 장애", "심혈관계질환", "퇴행성뇌질환", "비만", "예방", "치료"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개똥쑥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을 분쇄한 다음, 분쇄 시료의 10배에 해당하는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였으며, 개똥쑥 열수추출물은 증류수를 이용한 환류냉각추출법(Reflux extraction) 이용하였고, 개똥쑥 에탄올(EtOH)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이용한 초음파 추출(Ultrasonification extraction)을 활용하여 제조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은 시료와 증류수를 넣은 용기에 100 ℃heating mentle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추출 진행하였고, 이후 여과지(Whatman No. 2, Maidstone, England)로 감압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초음파 추출은 유리 플라스크에 시료와 70% 에탄올을 넣고 혼합한 다음, 초음파 수조에 넣고 1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고, 이후 수득한 샘플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로 45 ℃의 온도에서 진공 농축한 다음, 분말화 하였다.
실시예 2.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에스트로겐에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3가지의 세포 Ishikawa(자궁내막암세포), MCF7(유방암세포) 및 MG673(조골세포)을 준비한 다음,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에스트로겐 활성물질이 결합하는 경우 발광을 나타내는 ERE-luc vector를 활용한 루시퍼라제 실험(Luciferase assay)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대조군(CON)과 10-7M로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 처리한 그룹,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0.01, 0.1μg/ml)을 처리한 그룹 및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0.01, 0.1μg/ml)을 처리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Ishikawa 세포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MCF7 세포에서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MG63 세포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이 더 높은 에스트로겐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개똥쑥 추출물의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부작용 억제 효과 확인
에스트로겐 활성 성분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암발생의 위험인자(risk factor)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한 이러한 부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Ishikawa(자궁내막암세포) 및 MCF7(유방암세포)에 대한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0.00064, 0.00032, 0.016, 0.08, 0.4, 2μ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세포 증식 수준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Ishikawa 세포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대로 양성 대조군은 에스트로겐 활성의 부작용으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세포가 증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탄올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4b) 및 열수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4c)에는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오히려 세포 증식이 감소하여 낮은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MCF-7 세포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대로 양성 대조군은 에스트로겐 활성의 부작용으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세포가 증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5b) 및 열수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5c)에는 0.00064μ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은 세포 증식율을 보여줬으나, 농도를 점차 높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Ishikawa 세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방암세포인 MCF-7 세포의 세포 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암 발생 유도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인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3.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의 용도.
PCT/KR2021/019643 2020-12-23 2021-12-22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WO20221394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61A KR102463297B1 (ko) 2020-12-23 2020-12-23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10-2020-0182561 2020-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477A1 true WO2022139477A1 (ko) 2022-06-30

Family

ID=8215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643 WO2022139477A1 (ko) 2020-12-23 2021-12-22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3297B1 (ko)
WO (1) WO202213947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61B1 (ko) * 2013-11-05 2015-01-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87719A (ko) * 2014-01-22 2015-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5108A (ko) * 2014-04-02 2015-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60193220A1 (en) * 2014-12-30 2016-07-07 Peter Shepherd Parsons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KR20190090362A (ko) * 2018-01-24 2019-08-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975A (ko) * 2012-11-07 2014-05-15 박흥순 항유방암 및 항자궁경부암 활성을 갖는 개똥쑥의 추출방법
CN103230392A (zh) * 2013-04-10 2013-08-07 上海交通大学 青蒿素类化合物在制备抗动脉粥样硬化药物中的用途
KR101539289B1 (ko) * 2013-08-16 2015-07-24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061B1 (ko) * 2014-01-22 2017-05-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4140A (ko) * 2016-04-05 2017-10-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개똥쑥으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109976A (zh) * 2016-08-17 2016-11-16 李胜利 一种治疗妇女更年期出虚汗的药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61B1 (ko) * 2013-11-05 2015-01-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87719A (ko) * 2014-01-22 2015-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5108A (ko) * 2014-04-02 2015-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60193220A1 (en) * 2014-12-30 2016-07-07 Peter Shepherd Parsons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KR20190090362A (ko) * 2018-01-24 2019-08-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297B1 (ko) 2022-11-07
KR20220091245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01532A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58142A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6534119A (ja) 新規サルビアノール酸化合物t、その調製方法及び用途
WO2017014502A1 (ko) 해당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34169A2 (ko) 조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0854442B1 (ko) 하엽 추출물 또는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200234A1 (ko)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39477A1 (ko)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2048841B (zh) 一种具有催乳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工艺
WO2020080673A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85A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14621A9 (ko) 오미자, 두충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49902A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045242A2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40080289A (ko) 산화적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04626A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76A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222674B1 (ko) 생약을 함유하는 칼슘 보충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2098192A1 (ko) 한약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15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15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