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04626A1 -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4626A1
WO2019004626A1 PCT/KR2018/006437 KR2018006437W WO2019004626A1 WO 2019004626 A1 WO2019004626 A1 WO 2019004626A1 KR 2018006437 W KR2018006437 W KR 2018006437W WO 2019004626 A1 WO2019004626 A1 WO 20190046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up
extract
pres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4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일
전송희
한승희
이광석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한국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한국파마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627,1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90888B2/en
Publication of WO20190046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46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4Ev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use of a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n extract of a herbal medicine as an active ingredient.
  • menopause is an inevitable phenomenon for all women, the resulting deficiency of female hormone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uses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 Typical examples of acute symptoms due to menopause include symptoms of vasomotor system such as hot flashes and sweating, and mental and emotion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nervousness and insomnia.
  • chronic symptoms are symptoms that appear several years after menopause has been issued, including genitourinary symptoms such as anorexia nervosa, atrophic vaginitis and urethritis, diseases of the arteriosclerotic circulatory system, and osteoporosis.
  • HRT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cuscutae semen is known as a seed which is used to protect the liver and kidneys, brighten the eyes, help the Yangs, and strengthen the kidney function.
  • Evodia fructus is a fruit such as a lagoon or consumed sour milk, contains volatile essential oil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abdominal pain caused by weak digestion, control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promote digestive power. It is known that Dipsaci radix is root of root, protecting liver and kidneys and strengthening muscles.
  • VCD-induced menopaus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 the VCD-induced menopausal model does not affect other tissues of the uterus, but instead selectively affects primordial follicles and primary follicles (menopause) and postmenopausal processes (unlike the OVX model,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menopause process and promotes the postnatal menopause proces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develop a new drug having a high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on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and a low side effect, and as a result, the mixed extract of soil, oil, and herbaceous plant showed improvement in postmenopausal cardiac function and depress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which comprises a mixed extract of soil, oil, and genu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mixed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mixed powder of soil, fresh water and genus with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soil, the oil and the oil are respectively contained in a ratio of 15 to 60 wt%: 5 to 50 wt%: 15 to 60 wt%, and preferably 20 to 30 wt% % By weight: 10 to 15% by weight: 20 to 30% by weight.
  • the menopausal syndrome may be caused by a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 the menopausal syndrom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tachycardia, facial flushing, chest palsy, sweating, osteoporosis, depression, urinary incontinence, dysuria, urinary incontinence, recurrent urinary tract inflammation and alopecia It can be chosen from the group.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which comprises the herbal medicin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pression of heart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due to menopause and having biostability . ≪ / RTI >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menopausal processes between a VCD menopausal animal model, a human menopause, and an OVX menopausal animal model.
  • FIG. 2 is a graph showing weight gain of each group fed a diet containing a general diet and a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dietary intake of each group fed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diet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dietary efficiency of each group fed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diet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ardiac index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uterine index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ovarian index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graph showing distances moved within a test box for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graph showing cortisol levels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diet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graph showing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each group fed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in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diet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graph showing glucose concentrations in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diet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graph showing GOT values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graph showing the GPT values of each group fed with a diet containing the general formula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which comprises a mixed extract of soil, oil, and genus as an active ingredient.
  • Menopausal syndrome refers to diseases that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estrogen secretion in postmenopausal women, and includes neurovascular system disorde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occurring after menopause, tachycardia, facial flushing, chest palsy, sweating, , Urinary incontinence, dysuria, urinary incontinence, recurrent urinary tract inflammation, alteration of skin texture, alopecia and the like.
  •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occurring after menopause, tachycardia, facial flushing, chest palsy, sweating, , Urinary incontinence, dysuria, urinary incontinence, recurrent urinary tract inflammation, alteration of skin texture, alopecia and the lik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occurring after menopause since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depression of heart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e and having biostability.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s follows. Remove the foreign matter by washing the soil, fresh water, and the deck with water, then dry and crush it in the shade. It is possible to use the soil, oil, and herbaceous plant without restrictions such as grown or sold. A suitable amount of solvent is added to the pulverized soil, fats and oils at the initial stage so as to be completely immersed.
  • A an anhydrous o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butanol, Propanol, iso-propanol and n-butanol), (b) a mixed solvent of the lower alcohol and water, (c) acetone, (d) ethyl acetate, (e) chloroform, (G) hexane, (h) diethyl ether, (i) butyl acetate or (j) water, and most preferably water or ethanol.
  • the extract may be impregnated or warmed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can be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give the final extract.
  • the mixed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mixed powder of soil, fresh water and genus with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soil, the oil and the oil are respectively contained in a ratio of 15 to 60 wt%: 5 to 50 wt%: 15 to 60 wt%, and preferably 20 to 30 wt% % By weight: 10 to 15% by weight: 20 to 30% by weight.
  • the menopausal syndrome may be caused by a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 the menopausal syndrom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tachycardia, facial flushing, chest palsy, sweating, osteoporosis, depression, urinary incontinence, dysuria, urinary incontinence, recurrent urinary tract inflammation and alopecia It can be chosen from the group.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o b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which is usual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etc.,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a lubricant e.g.,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etc.
  •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in Remington ' 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s preferably administered orally.
  • the appropriat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ge, body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
  • a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range of 0.001-100 mg / kg on an adult bas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unit dosage form by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r by intrus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s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syrups or emulsions in oils or aqueous media, or in the form of excipients, powder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dispersing or stabilizing agents.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ed as a food composition, it may contain, as an active ingredient, a mixed extract of soil, oil, and genus, as well as components that are ordinarily added during the manufacture of a food.
  • a mixed extract of soil, oil, and genus examples thereof include proteins, carbohydrates, , Nutrients, flavoring agents, and flavoring agents.
  • Carbohydrat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etc.) and / or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may be used.
  •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etc.
  •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may be used.
  • the flavoring agent may be a natural flavoring agent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 or synthetic flavorings (saccharin, aspartame, etc.).
  • a natural flavoring agent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 synthetic flavorings sacharin, aspartam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avoring agent such a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gents and thicken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 salt thereof, an organic acid, a protective colloid thickener,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and the like.
  • a flavoring agent such a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gents and thicken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 salt thereof, an organic acid, a protective colloid thickener,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and the like.
  • These ingredients may
  • the mixed extract of Sorghum, Sorghum oil, and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to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various menopausal syndromes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mulation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extracts may be prepared in conven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formulations such as beverages, salads, powders, and the like.
  • citric acid, liquid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juice, mulberry extract, jujube extract, licorice extract, etc. are added in addition to the mixed extract of soil, As shown in FIG.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the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mix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enopausal syndrome patients.
  • the selected soil materials, fresh water, and oil-in-water were put into an extracting bag with the weights shown in Table 1 and mixed together with 16 L of water at 80 ⁇ for 4 hours for primary extraction, followed by heating at 80 ⁇ for 4 hours Followed by secondary extraction.
  • the extract filtered through a 120 mesh filter was secondly filtered with a 5 ⁇ filter, and then transferred to a buffer tank and concentrated to 15 Bx.
  • the concentrated extract is prepared as a final extract according to the lyophilization method or the spray drying method.
  • the extract concentrated at 15 Bx was sterilized at 85 ° C for 1 hour, frozen and freeze-dried for 5 days. Finally, 198.8g of the extract was obtained from a total of 2kg of the raw material (yield: 19.8% ).
  • the extract concentrated at 15 Bx was diluted to 12.98 Bx and sterilized at 85 ° C for 1 hour.
  • the inlet temperature was 190 ° C.
  • the outlet temperature was 90 ° C.
  • the piercing was 10 sec / 1.0 L / hr.
  • 170.2 g of the extract was obtained from a total of 2 kg of the raw material (yield: 17%).
  • Herbal medicine name English name Amount (g) Tosa cuscutae 800g Sour milk Evodia fructus 400g Expedition Dipsaci radix 800g Total amount 2000g
  • the selected extracts were mixed with 16 L of 30% ethanol for 4 hours at 80 ⁇ for primary extraction, and then the mixture was heated at 80 ⁇ for 4 hours Lt; / RTI > for 2 hours.
  • the extract filtered through a 120 mesh filter was secondly filtered with a 5 ⁇ filter, and then transferred to a buffer tank and concentrated to 15 Bx.
  • the concentrated extract is prepared as a final extract according to the lyophilization method or the spray drying method.
  • Example 1-1 The freeze-drying or spray-drying method described below wa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1, and 185.2 g of the extract was obtained (yield: 18.5%) in a total of 2 kg of raw materials by the freeze-drying method. , 168.2 g of the extract was obtained from a total of 2 kg of the raw material (yield: 16.8%).
  • mice Four week old C57BL / 6 female rats were used, and they were adapted to the breeding environment for 1 week and used in the experiment.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s follows, and each group was treated as follows.
  • VCD group VCD menopause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esame oil (2.5 mg / kg) and VCD (160 mg / kg) for 17 days in rats,
  • Group 3 VCD menopause was in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Group 2, and the feed containing the extract of Example 1-1 (100 mg / kg) was fed for 15 weeks,
  • Group 4 VCD menopausal control was in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Group 2, and the feed containing the extract of Example 1-1 (300 mg / kg) was fed for 15 weeks,
  • estradiol group Feeding the estradiol (2 mg / kg) feed for 15 weeks after induction of VCD menopause in the same way as group 2.
  • Body weight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every week, and diet efficiency was analyz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fter the experiment. Dietary efficiency was calculated by (weight gain / total feed intake) ⁇ 100.
  • the heart, ovaries, and uterus weights of each mouse were measured, and the index of each organ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the weight of each organ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animal.
  • mice were allowed to move freely in a white box of 40 cm x 40 cm x 40 cm for 10 minutes.
  • the bottom of the box was drawn in 10cm intervals, and a box of 10cm in width and 10cm in length was drawn in the middle.
  • the movement of the mice was measured with a camcorder and the time in the center and the total travel distance were analyzed using the ANY-maze behavior analysis program.
  • Example 2 Determination of body weight, dietary intake and diet efficiency
  • the diets containing the extract of Example 1-1 and the diets containing no diets were examined for differences in body weight, dietary intake and dietary efficiency.
  • Example 1-5 the analysis according to Example 1-5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uterine atrophy and post-menopausal uterine atrophy and heart hypertrophy were induced.
  • the cardiac index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VCD group, and the disease such as post-menopausal cardiac hypertrophy was induced.
  • the low concentration group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and the estradiol group, .
  • the uterus index was the lowest in the VCD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w and high concentration groups (p ⁇ 0.01) (p ⁇ 0.01), and the ovarian index was also lowest in the VCD group (p ⁇ 0.01),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w-concentration group and the estradiol group (p ⁇ 0.01) (Fig. 7).
  • Example 1-7 the analysis according to Examples 1-7 was carried out to confirm post-menopausal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TG),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1) compared to the Sham group, but decreased to the level of the Sham group in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p ⁇ 0.01) (P ⁇ 0.05), but recovered in the medicated group (Fig. 12).
  •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CD group (p ⁇ 0.001),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w, high, and estradioil groups (p ⁇ 0.05, p ⁇ 0.01 and p ⁇ 0.001, respectively) (Fig. 13).
  • Glucos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but the medication intake group was lower than the VCD group (Fig. 14).
  • the levels of GOT / GPT in the blood were measured according to Example 1-7 to analyze whether hepatotoxicity due to ingestion of the mix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r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안정성을 가지므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폐경은 모든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필연적 현상이기는 하나, 그로 인한 여성호르몬의 결핍은 장기간에 걸쳐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폐경에 따른 급성 증상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열성홍조, 발한 등의 혈관운동계 증상과 우울, 불안, 신경예민 및 불면 등의 정신적, 정서적 증상 등이 있다. 또한, 만성 증상은 폐경이 발행한 후 수년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써, 이상성감증, 위축성질염 및 요도염 등의 비뇨생식기계 증상, 동맥경화성 순환기 계통의 질환, 골다공증 등이 있다.
갱년기 및 폐경 후 증상의 치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2002년 미국의 WHI(Women's Health Initiative)는 이 요법에 의해 유방암, 관상동맥질환 및 뇌졸중 등의 발병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성호르몬 치료에 의해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호르몬 요법은 각 개개인의 위험성과 유익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와 저용량의 단기 사용을 권고하며, 치료 목적과 위험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므로 주기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침과 한약 등의 치료방법을 통해 갱년기와 폐경 후의 여러 가지 증상들을 치료해왔으며, 최근에는 호르몬 대체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해 더 많은 여성들이 한의학적인 치료방법으로 폐경 이후의 임상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한편, 토사자(cuscutae semen)는 갯실새삼의 씨로써, 주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 밝게 해주고, 양기를 도우며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오수유(Evodia fructus)는 석호 또는 소모오수유 등의 열매로써,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가 허약하고 차서 발병한 복통에 효과가 있고, 위장기능을 조절하며 소화력을 증진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속단(Dipsaci radix)은 천속단의 뿌리로써,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폐경을 연구하기 위한 동물 모델은 수술적인 방법으로 난소를 적출하는 ovariectomized(OVX) rats 또는 mouse가 이용되었으나, 폐경기 여성의 거의 90%는 난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VX 모델은 한계가 있다. 최근에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모델로 VCD에 의해 유도된 폐경 동물 모델이 개발되었는데, VCD 유도 폐경 모델은 자궁의 다른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선택적으로 원시 여포(primordial follicles)와 일차 난포(primary follicles)의 자연적인 소멸을 촉진 시키기 때문에 사람의 폐경 과정과 매우 유사하며, 또한 폐경 후기(post-menopause) 과정만을 보이는 OVX 모델과는 다르게 폐경기 전후(peri-menopause) 및 폐경 후기 과정을 모두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이 VCD 폐경 동물모델에서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각각 15 내지 60중량% : 5 내지 50중량% : 15 내지 6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 : 10 내지 15중량% : 20 내지 30중량%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따르면,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안정성을 가지므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VCD 폐경 동물 모델, 사람의 폐경 및 OVX 폐경 동물 모델의 폐경 과정을 비교한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식이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심장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자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난소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에 대하여 시험상자의 중심부에서 보낸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에 대하여 시험상자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cortisol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GOT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GPT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폐경기 증후군은 폐경기 여성들의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와 관련되어 겪게 되는 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등의 심혈관 질환,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등과 같은 신경혈관계 이상, 골다공증 등과 같은 운동 기관계 이상, 우울증 등과 같은 정신 신경 계통 이상,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피부 조직의 변화 및 탈모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안정성을 가지므로, 폐경기 이후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분말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분말은 통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b)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1,3-부틸렌글리콜, (g) 헥산, (h) 디에틸에테르, (i)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j)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각각 15 내지 60중량% : 5 내지 50중량% : 15 내지 6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 : 10 내지 15중량% : 20 내지 30중량%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또는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또는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제형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추출물은 음료나 환, 분말 등과 같은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폐경기 증후군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개선 효과 분석 방법
1-1: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른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정선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중량으로 추출포에 넣어 혼합한 것을 물 16L와 함께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하였다. 120mesh 필터로 1차 여과한 추출물을 5㎛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버퍼탱크로 옮겨 15Bx까지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한 추출물은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라 최종 추출물로 제조된다.
동결건조법에 의할 경우, 15Bx로 농축한 상기 추출물을 8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한 후 냉동하여 5일 동안 동결건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2kg의 원료에서 198.8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9.8%).
분무건조법에 의할 경우, 15Bx로 농축한 상기 추출물을 12.98Bx로 희석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한 후, 주입구 온도는 190℃, 배출구 온도는 90℃, 타공은 10sec/1회 및 유속은 1.0L/hr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2kg의 원료에서 170.2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7%).
한약재 이름 영문명 양(g)
토사자 cuscutae semen 800g
오수유 Evodia fructus 400g
속단 Dipsaci radix 800g
총량 2000g
1-2: 에탄올 추출법에 따른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정선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상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중량으로 추출포에 넣어 혼합한 것을 30% 에탄올 16L와 함께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하였다. 120mesh 필터로 1차 여과한 추출물을 5㎛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버퍼탱크로 옮겨 15Bx까지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한 추출물은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라 최종 추출물로 제조된다.
이후의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은 상기 실시예 1-1의 과정과 동일하며, 동결건조법에 의할 경우, 총 2kg의 원료에서 185.2g의 추출물을 얻었으며(수율: 18.5%), 분무건조법에 의할 경우, 총 2kg의 원료에서 168.2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6.8%).
1-3: VCD 폐경 동물모델의 설계
4주령 C57BL/6 암컷 쥐를 사용하였으며, 1주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5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하기와 같이 처리하였다.
- 그룹 1(Sham group) : sesame oil을 17일간 복강 투여한 후 일반 식이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2(VCD group) : 쥐의 복강에 sesame oil(2.5mg/kg) 및 VCD(160mg/kg)를 17일간 투여하여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일반 식이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3(저농도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100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4(고농도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300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5(Estradiol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estradiol(2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1-4: 몸무게, 사료 섭취량 측정 및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 ) 분석
몸무게 및 사료 섭취량은 1주일마다 측정하며, 실험 종료 후 실험기간 동안의 식이 효율을 분석하였다. 식이 효율은 (체중증가량/총사료섭취랑)×100으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1-5: 심장, 난소 및 자궁의 무게 및 지수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쥐의 심장, 난소, 및 자궁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각 장기의 지수는 실험동물의 몸무게에 대한 각 장기 무게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1-6: 행동 실험(Open field test)
실험쥐를 40cm×40cm×40cm의 하얀색 상자에서 10분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였다. 상자의 바닥은 10cm 간격으로 선을 그었으며, 정중앙에 가로, 세로 10cm 박스를 그렸다. 실험쥐의 움직임은 캠코더로 측정하고, 행동 분석 프로그램인 ANY-maze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의 시간(time in the center) 및 총 이동 거리(travelled distance)를 분석하였다.
1-7: 혈액 분석
실험쥐를 avertin tribromoethanol로 마취 후,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4℃에서 2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분리한 후 -80℃에 보관하였다. 이후, 시판되는 kit를 사용하여 -80℃에 보관 중인 혈청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고밀도지단백질(HDL), 중성지방(TG),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및 글루코오스(glucose) 농도를 측정하였다.
1-8: 통계 처리
모든 분석 자료는 결과는 SPSS 23(SPSS Inc., Chicago, IL,USA)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p<0.05 수준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평균±표준오차(mean±SE)로 나타내었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후, 각 시료간의 통계적 유의성에 대하여 Tukey'smultiplecomparison test 또는 Dunnett`s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하였다.
실시예 2: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4의 방법을 통하여 5개의 실험군에서 각각 체중 변화여부,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Sham군이 가장 높고, 그 외 군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도 2 및 도 3), 식이효율은 고농도 군에서 가장 낮게 나왔으나, 유의성은 없었다(도 4).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후 체중증가를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심장, 난소, 및 자궁 무게 및 지수의 정상화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장기의 무게 및 지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에 나타나는 자궁의 위축 및 심장 비대증 증상(heart hypertrophy)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5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심장 지수는 VCD 군이 가장 높게 나와서, 폐경 후 심장 비대증과 같은 질병이 유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저농도 군, 고농도 군 및 Estradiol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확인하였다(도 5).
자궁 지수는 VCD 군이 가장 낮았으나,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으며(p<0.01)(도 6), 난소 지수 역시 VCD 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p<0.01), 저농도 군 및 Estradiol 군에서 유의성 있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도 7).
실시예 4: 갱년기 우울 증상의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갱년기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 우울증 유발에 따른 불안감과 활동성 저하에 대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6 및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CD 군의 경우 시험상자의 중심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Sham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p<0.05),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다(p<0.05)(도 8). 전체적인 이동 거리도 VCD 군이 Sham 군에 비해 확연히 감소하였으나(p<0.001),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각각 p<0.05, p<0.01)(도 9).
또한, 혈중 코티솔(cortisol) 수치를 측정한 결과 VCD 군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p<0.001),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섭취한 군 모두에서 혈중 코티솔 수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저농도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도 10).
실시예 5: 심혈관계 인자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심혈관계 인자가 개선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의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G), 및 혈중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CD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Sham 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p<0.001), 고농도 군에서 Sham 군 수준으로 낮아졌으며(p<0.01)(도 11), 반대로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VCD 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나(p<0.05), 약재 섭취군에서는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도 12).
또한, 중성지방은 VCD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p<0.001), 저농도 군, 고농도 군, 및 Estradioil 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각각 p<0.05, p<0.01 및 p<0.001)(도 13). 글루코오스는 각군이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약재 섭취군이 VCD 군에 비해서는 낮게 측정되었다(도 14).
실시예 6: 간독성 검사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7에 따라 혈중 GOT/GPT의 수치를 측정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섭취에 의한 간독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군의 GOT/GPT 수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는 점에서(도 15 및 도 16),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실험동물에 대해 간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각각 15 내지 60중량% : 5 내지 50중량% : 15 내지 6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06437 2017-06-30 2018-06-07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046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27,165 US11690888B2 (en) 2017-06-30 2018-06-07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61A KR102119022B1 (ko) 2017-06-30 2017-06-30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083761 2017-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626A1 true WO2019004626A1 (ko) 2019-01-03

Family

ID=6474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437 WO2019004626A1 (ko) 2017-06-30 2018-06-07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90888B2 (ko)
KR (1) KR102119022B1 (ko)
WO (1) WO2019004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43B1 (ko) * 2020-03-16 2022-04-05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JP2005298450A (ja) * 2004-04-15 2005-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剤組成物
KR20130059532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20130113810A (ko) * 2012-04-06 2013-10-16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614A (ko) * 2015-11-11 2017-05-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4986A (ko) * 2015-12-02 2017-06-1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568B1 (ko) 2015-11-13 2017-03-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095011A1 (ko) * 2015-12-02 2017-06-0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JP2005298450A (ja) * 2004-04-15 2005-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剤組成物
KR20130059532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20130113810A (ko) * 2012-04-06 2013-10-16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614A (ko) * 2015-11-11 2017-05-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4986A (ko) * 2015-12-02 2017-06-1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JONG HYUN ET AL.: "Effects of Cuscutae Semen Extract on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vol. 25, no. 4, 2012, pages 1 - 11, XP053027909 *
LIU, Z.-G. ET AL.: "The Osteoprotective Effect of Radix Dipsaci Extract in Ovariectomized Rats", JOURNAL OF ETHNOPHARTNACOLOGY, vol. 123, no. 1, 2009, pages 74 - 81, XP02605035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8889A1 (en) 2020-05-07
US11690888B2 (en) 2023-07-04
KR20190003190A (ko) 2019-01-09
KR102119022B1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1532A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15598A1 (ko)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72668A1 (ko) 옥촉서예 추출물의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JP2013209354A (ja) 認知機能低下改善用組成物
WO2011105839A2 (ko) 피부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200234A1 (ko)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1767A1 (ko)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004626A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76001A1 (ko)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14621A9 (ko) 오미자, 두충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34010A2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69476A1 (ko) 목단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647553B2 (ja) 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WO2019112348A1 (ko) 전립선비대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WO2020122385A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7082501A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66730A1 (ko)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34250A2 (ko) 감송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4133276A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39477A1 (ko)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WO2016068547A1 (ko) 인삼씨유를 함유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
WO2022225297A1 (ko)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82547A1 (ko)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41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241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