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6001A1 -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6001A1
WO2017176001A1 PCT/KR2017/003269 KR2017003269W WO2017176001A1 WO 2017176001 A1 WO2017176001 A1 WO 2017176001A1 KR 2017003269 W KR2017003269 W KR 2017003269W WO 2017176001 A1 WO2017176001 A1 WO 20171760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menopausal
female
w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2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수현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780022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883146B/zh
Priority to JP2018544206A priority patent/JP7034927B2/ja
Publication of WO20171760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60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including Jeju jejud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Sasa borealis Makino is the smallest of the bamboos and grows in the mountains of south central Korea. Sori is the weakest among bamboo, so only one of the soda is effective in intractable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gastritis, gastric ulcer, chronic hepatitis and cancer. In addition, stalk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lowering heat, detoxifying, removing sputum and urinating well, treating inflammation and inhibiting cancer cells. Among them, Sasa Jeju quelpaertensis Nakai ) is an indigenous species that is distributed only in the Hallasan region and grows in a large colony within the distribution area.
  • the study on the jeju jeoldae extrac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men's menopausal symptom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women's menopausal disease and body heat balance improvement of menopausal women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hieved.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including the jeju jeold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body heat balance of menopausal women including jeju jeold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comprising jeju jeold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soft core extract.
  • the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sa extract, fenugreek extract, Angelica extract, cornus extract, cinnamon extract, beetroot extract, small fennel extract and licorice extract .
  • the extract is a water extract, C 1 -C 5 alcohol extract or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extract, a composition.
  • the jejudae extract is 0.001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female menopausal symptoms characterized in that to improve the body heat balance of menopausal women.
  • the female menopausal symptoms are skin flushing, hot flashes, hot flashes, sweating, numbness, joint pain, muscle pain, reduced skin elasticity, dry skin, fatigue, palpitations, insomnia, depression, anxiety, Composition, which is any one or more of headache, nervousness, vaginal discharge reduction, vaginal dryness, vaginal contractions, dyspareunia and dyslexia.
  • the female menopausal disease is a composition, which is a muscular disease, bone disease or heart disease caused by menopause.
  • the bone disease is rheumatoid 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osteoporosis, rickets, osteomalacia or paget's diseas of bone due to menopause;
  • the heart disease may be angina or arteriosclerosis caused by menopause.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female climacteric symptoms may be a dietary supplement.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vaginal dryness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pid temperature change alleviation effect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pid temperature increase relief or rapid temperature decrease alleviation effect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t flashes or skin flushing effect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comfort symptoms due to the heat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treating or preventing muscle diseases, bone diseases, heart diseases, skin diseases, neuropsychiatric diseases or sexual function diseases of menopausal women.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redness, hot flashes, hot flashes, sweating, numbness, joint pain, muscle pain, reduced skin elasticity, dry skin, fatigue, palpitations, insomnia, depression, anxiety,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any one or more of headache, nervousness, vaginal discharge, vaginal dryness, vaginal contraction, dyspareunia and dyslexia.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ody heat balance of menopausal women.
  • Figure 3a-b is a photograph of the thermal relaxation effect on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b is a photograph measuring the heat-relaxation effect on the fac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b is a photograph measuring the effect of lowering the body temperature in the hand reg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6 is a vaginal symptom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comprising jeju jeold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the jejusae extract do.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Jeju jerk extract in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eju jang extract for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to prevent or treat female menopausal diseases.
  • Jeju jeoridae scientific name is Sasa quelpaertensis It's Nakai .
  • Sasa quelpaertensis Nakai is an indigenous species that is distributed only in the Hallasan region and grows in a large colony within the distribution area.
  • Jeju bovine barley contains a lot of stored starch in fruit botanicals, and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plant for food famine in the Jeju region since ancient times.
  • extract includes any material obtained by extracting a component therefrom from a natural product, regardless of the method of extraction or the kind of the component.
  • it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the thing which extracted the component melt
  • the organic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C1 ⁇ C5 lower alcohol, glycerol, ethylene,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n-propyl alcohol, n-butanol and isobutanol
  •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ol,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enzene, n-hexan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chloroform, petroleum ether, methyl acetate
  • Non-polar organic solvents such as benzene, hexan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dim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the like.
  • 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water.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C 1 -C 5 alcohol.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dry powder.
  • the extract provides an extract extracted using water, C 1 -C 5 alcohol or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 the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soft core extract.
  • Nelumbinis Plumula is the seed of the lotus, the scientific name is called Nelumbinis Plumula .
  •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sa extract, fenugreek extract, Angelica extract, cornus extract, cinnamon extract, beetroot extract, small fennel extract and licorice extract, female menopaus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symptom.
  • Tosa-za is known as the Japanese wild ginseng seed, Cuscuta chinensis Lam. to be.
  • Fenugreek is known as the Big Yellow Camellia.
  • “Danggui” is known as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 to be.
  • “Hansuyu” is known as mountain ash, siljou, stone, zucchini, cornus fruit or royal jelly.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 . to be. Cornu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cornus fruit. Cinnamon is also called broiler. Cinnamomum aromaticum Nees to be. Root roots are called Puerariae Radix, Pueraria lobata ( Willd .) Ohwi or Pueraria thunbergii ( Siebold & Zucc.) Benth . Can be used. Foeniculi Fructus Foeniculum vulgare Mill. This can be used. Licorice is Glycyrrhiza glabra Linne This can be used.
  • the extract is a water extract, C 1 -C 5 alcohol extract or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extract, a composition.
  • the concentration of the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may be 40% to 90% (v / v). In one embodiment, the concentration of the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is at least 40%, at least 45%, at least 50%, at least 55%, at least 60%, at least 65%, at least 66%, at least 67%, 68% Or at least 69%, at least 70%, at least 71%, at least 72%, at least 73%, at least 74%, at least 75%, or at least 80%.
  • the concentration of the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is 90% or less, 85% or less, 80% or less, 75% or less, 74% or less, 73% or less, 72% or less, 71% or less, 70% or less, 69 Up to 68%, up to 67%, up to 65%, or up to 60%.
  • concentration of the C 1 -C 5 alcohol aqueous solu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treat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is excellent.
  • the C 1 -C 5 alcohol using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n-propyl alcohol, n-butanol and isobutanol, composition To provide.
  • the jejudae extract is 0.001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 the Jeju choridae extract may be included 0.1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Jeju stalk extract may be included 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Jeju stalk extra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Jeju sack extract is 0.001% by weight, 0.01% by weight, 0.1% by weight, 1% by weight, 2% by weight, 2.5% by weight, 3% by weight,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r more, 7 or more, 8 or more, 8.5 or more, 10 or more, 13 or more, 15 or more, 17 or more, 17.5 or more, 20 or more, or 25 It may include more than%.
  • the extract of Jeju stalks is 90 wt% or less, 60 wt% or less, 50 wt% or less, 40 wt% or less, 30 wt% or less, 20 wt% or less, 19 wt% or less, 17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jeju jeoldae extrac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excellent in the improvement of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female menopausal diseases.
  • the soft core extract may be included in 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oft core extract is 0.1 wt% or more, 1 wt% or more, 2 wt% or more, 2.5 wt% or more, 3 wt% or more, 5 wt% or more, 7 wt% or more, 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comprise at least% or at least 8.5% by weight.
  • the soft core extract may include 15 wt% or less, 10 wt% or less, 9.5 wt% or less, 8 wt% or less or 5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earth and sand extract, fenugreek extract, Angelica extract or cornus extract may be included in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innamon extract or the root extract may be included in 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mall fennel extract or licorice extract may be included in 0.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50 to 150 parts by weight of the jeju jeoldae extract and 50 to 150 parts by weight of the soft cor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female menopausal symptoms may be a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improve the body heat balance of menopausal women.
  • the female menopausal symptoms are skin flushing, hot flashes, hot flashes, sweating, numbness, joint pain, muscle pain, reduced skin elasticity, dry skin, fatigue, palpitations, insomnia, depression, anxiety, Headache, nervousness, vaginal discharge reduction, vaginal dryness, vaginal contraction, dyspareunia and dyslexia.
  • the female climacteric disease may be a muscular disease, bone disease or heart disease caused by menopause.
  • the bone disease is rheumatoid 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osteoporosis, rickets, osteomalacia or paget's diseas of bone due to menopause;
  • the heart disease may be angina or arteriosclerosis caused by menopause.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in one aspect,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Such solid preparations may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yrate talc may also be includ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laurin, cacao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dosage of the extracts disclosed herei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ranges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daily dose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0.0001 to 0.5 g / kg on a dry weight basis, and in one aspect, 0.001 to 0.1 g / kg.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female menopausal symptoms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dietary supplements,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or beverages.
  •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may be suitab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may be synergistic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other raw materials.
  •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food or beverage may include 0.001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in the case of a general food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ily dose of the active ingredient when ingested as a food composition may be 0.0001 ⁇ 0.1g / kg on a dry weight bas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contain other ingredients and the like that can give a synergistic effect to the main effec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mai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perfum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moisturizers, thickeners, inorganic salts, emulsifiers and synthetic polymer material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dditives such as perfum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moisturizers, thickeners, inorganic salts, emulsifiers and synthetic polymer material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supplementary ingredients such as water soluble vitamins, oil 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and seaweed extrac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mponent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and the amount of the additives may be selec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the components added may range from 0.01-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01-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Formulations of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take the form of solutions, emulsions, viscous mixtures, tablets, powders, tablets, carces, liquids, granules, pills, flakys, pastes, syrups, gels, jellies, bars or edible flakes. It may be administe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imple drinking, injection, spray or squeeze.
  • Jeju chopsticks purchased from Samyoung Food Industry Co., Ltd.
  • the leaves of the Jeju chopsticks were separated.
  • the weight ratio of the washed jeju jeoldae leaves and purified water is added to the extractor in the ratio of 1: 8, and then extracted by extracting at 95 °C ⁇ 2 °C for 4 hours.
  • the extract is cooled to 75 ° C. ⁇ 2 ° C. and filtered using a microfilter (5 ⁇ m).
  • the filtered extract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35 ⁇ 40 Brix.
  • the concentrated solution is dried on a spray dryer to prepare Jeju sack extract in powder form.
  • the prepared extracts were prepared in Examples 1 to 3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Table 1 below.
  • Excipients in Table 1 included tapioca starch, glycerin, honey, crystalline cellulose and sweeteners.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Jeju sack extract 700 mg 350 mg 105mg Soft core extract - 350 mg 105mg Tosa Extract - - 84mg Fenugreek extract - - 84mg Angelica Extract - - 84mg Cornus Extract - - 84mg Cinnamon Extract - - 56mg Beetroot Extract - - 56mg Small Fennel Extract - - 28mg Licorice extract - - 14mg Excipient 3050 mg 3050 mg 3050 mg Total (mg) 3750 mg 3750 mg 3750 mg
  •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3 prepared in the form of 3.75g pill to test subjects of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to take 1 pill, 4 weeks per day, the resul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gestion.
  • the Kupperman Index and the Menopause Rating Scale are one of the leading indicators used in the menopausal syndrome questionnaire. Recently, clinical trials using MRS have been on the rise. The index is being used more. In other words, both the Cooperman index and the MRS are used as clinical indicators for KFDA menopausal women's health functional authorization. Thus, the Cooperman index or MRS assessment of the experimenter may prove that the substance is effective in improv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s.
  • Menopausal wome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menopausal symptom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is recorded and scored. It consists of 12 questions and uses a 4-point scale (0-None, 1-Slightly, 2-Medium, 3-Severe), and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severe the menopausal symptoms.
  • the Cooperman index metric is shown in FIG. 1.
  • Examples 1 to 3 of the menopausal women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KI score change and item score change.
  • Example 3 containing the Jeju chopsticks extract and the Jeju chopsticks components as shown in Table 2 below.
  • ingestion of Examples 1 to 3 was lower than the Cooperman index score compared to before ingestion, and especially in Example 3, the effect was the best.
  • MRS Menopause Rating Scale
  • Examples 1 to 3 were evaluated for the change of MRS score and item-specific score before and after ingestion in the menopausal women.
  • Week 4 16.98 ⁇ 3.03 14.98 ⁇ 3.05 10.32 ⁇ 2.12
  • Example 3 the menopausal symptoms improvement effect appeared in the composite (Examples 1 to 3) comprising the jeju jeoldae extract and jeju jeoldae components as shown in Table 3.
  • the intake of Examples 1 to 3 was lower than that before intake, the MRS score was measured, especially in Example 3, the effect was the best.
  • menopausal women the body undergoes rapid temperature changes frequently during daily life, resulting in hot flashes and sleep disturbances.
  • the menopausal female test subjects 60 Continuous temperature changes were measured.
  • thermoregulation was evaluated by the change of average body temperature and standard deviation. Analyze body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body temperatu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ubject.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Week 0 2.12 ⁇ 0.08 2.08 ⁇ 0.12 2.29 ⁇ 0.21
  • Week 4 1.84 ⁇ 0.31 1.01 ⁇ 0.61 0.81 ⁇ 0.55
  • the upper body, face, and hands are photographed and analyze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R300S (NEC, Japan). The skin temperature of each site was evaluated. Infrared cameras always maintain a constant angle and distance when photographing test sites.
  • FIGS. 3A-3B and 4A-4B illustrate a test subject who consumed Example 1
  • FIGS. 3B and 4B illustrate a test subject who consumed Example 3.
  • the original was a color drawing, and grayscale was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lor drawing into a black and white drawing.
  • the color display by temperature located at the bottom of FIG. 3 the color scale for each skin temperature is displayed, and the skin temperature is higher when positioned to the right (red series in the original), and the skin temperature is lower when used to the left (blue series in the original). Is displayed.
  • the color scale for each skin temperature is displayed, and the skin temperature is higher as it goes to the top (red in the original) and the skin temperature as it goes down in the lower (blue in the original). Is displayed.
  • FIG. 5A is a test subject ingesting Example 1
  • FIG. 5B is a test subject ingesting Example 3.
  • the original was a color drawing, and grayscale was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lor drawing into a black and white drawing.
  • the color display by temperatu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5 the color scale for each skin temperature is displayed. The skin temperature is higher as it goes to the top (the red system in the original) and the skin temperature is lower as it goes to the bottom (the blue system in the original). Is displayed.
  • Example 1 and Example 3 As described above, when menopausal women ingest Example 1 and Example 3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body with a high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rea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heat balance throughout the body. The effect could be confirmed.
  • the skin color change of the facial areas of 60 menopausal female test subjects who consumed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Measurements are taken without hot flashes or sweating.
  • Skin moisturization of the cheek area is measured using a 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Germany). It is a principle to measure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ic current conducted through the electrode gap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The average value of three times of moisturization is measured and evaluated. The high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the higher the figure.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Week 0 63.90 ⁇ 12.99 61.34 ⁇ 15.10 61.87 ⁇ 15.38 Week 4 68.30 ⁇ 13.17 69.92 ⁇ 14.70 73.16 ⁇ 13.28
  • a questionnaire was presented for changes in the genitourinary system of menopausal women and scored by recording the degree of symptoms.
  • the 60 menopausal female test subjects who consumed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were surveyed for symptoms appear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genitourinary system of menopausal women.
  •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questions, using a 4-point scale (0-None, 1-Slightly, 2-Normal, 3-Severe), and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severe the discomfort symptoms of the female organ were judged. Evaluation items of are shown in FI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유효성분으로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5 알코올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학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 개선시키는 효과, 여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혹은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본 명세서는 유효성분으로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릿대(Sasa borealis Makino)는 대나무 중에서 가장 작은 대나무로서 한국 중부이남 지방의 산에 자생한다. 조릿대는 대나무 중에서 약성이 제일 강하여 조릿대 한 가지만 써서 당뇨병, 고혈압, 위염, 위궤양, 만성 간염, 암 등의 난치병에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릿대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염증을 치료하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는 한라산 일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지역 고유종으로 분포지 내에서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어 생육하고 있으며, 내륙 지방의 조릿대와는 형태상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조릿대, 특히 제주조릿대와 관련하여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여성 갱년기 질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는 검증된 바가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 10-0720971호
한국등록특허 제 10-067284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제주조릿대 추출물에 관한 연구를 하여 상기 제주조릿대 추출물에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균형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효성분으로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효성분으로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연자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토사자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당귀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계피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소회향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피부 홍조, 안면 홍조, 열감, 발한, 손발 저림, 관절 통증, 근육 통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건조증, 피로, 가슴 두근 거림, 불면증, 우울증, 불안감, 두통, 신경질, 질 분비물 감소, 질 건조증, 질 수축증, 성교통증 및 성불감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근육질환, 골 질환 또는 심장 질환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골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 구루병, 골 연화질환 또는 파제트 골 질환(Paget's diseas e of bone)이거나; 또는 상기 심장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협심증 또는 동맥경화증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질 건조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급격한 체온변화 완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급격한 체온상승 완화 또는 급격한 체온저하 완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혹은 피부홍조 완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열감으로 인한 불편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근육질환, 골 질환, 심장 질환, 피부 질환, 신경정신 질환 또는 성기능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피부 홍조, 안면 홍조, 열감, 발한, 손발 저림, 관절 통증, 근육 통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건조증, 피로, 가슴 두근 거림, 불면증, 우울증, 불안감, 두통, 신경질, 질 분비물 감소, 질 건조증, 질 수축증, 성교통증 및 성불감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발명 실험예 1에 따른 Kuppperman Index평가 항목이다.
도 2는 본원발명 실험예 1에 따른 Menopause Rating Scale 평가 항목이다.
도 3a-b은 본원발명 실험예 3에 따른 상체에서의 열감 완화 효과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4a-b은 본원발명 실험예 3에 따른 얼굴에서의 열감 완화 효과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5a-b은 본원발명 실험예 3에 따른 손 부위에서의 체온저하 완화 효과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본원발명 실험예 6에 따른 질 증상 평가항목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주조릿대"는 학명이 Sasa quelpaertensis Nakai 이다.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는 한라산 일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지역 고유종으로 분포지 내에서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어 생육하고 있으며, 내륙 지방의 조릿대와는 형태상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제주조릿대는 자원 식물학적으로는 열매에 저장 전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제주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식량 기근시의 중 요한 구황식물로 활용되어 왔으며, 자원식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 등의 C1~C5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 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그리고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유기용매 등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C1-C5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된 분말의 형태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5 알코올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연자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연자심(蓮子心)"은 연꽃의 씨앗이며, 학명으로 Nelumbinis Plumula 로 불린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토사자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당귀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계피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소회향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토사자(絲子)"는 갯실새삼 종자로 알려져 있으며, 학명으로 Cuscuta chinensis Lam. 이다. "호로파(胡蘆巴)"는 큰노랑꽃자리풀로 알려져 있으며, 학명으로 Trigonella foenum - graecum L. 이다. "당귀(當歸)"는 Korean angelica 로 알려져 있으며, 학명으로 Angelica gigas N. 이다. "산수유(山茱萸)"는 산재황, 실조아수, 석조, 촉산조, cornus fruit 또는 royal jelly 로 알려져 있으며, 학명으로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 . 이다. 본 발명에서 산수유는 산수유 열매를 사용할 수 있다. 계피는 육계(肉桂)라고도 불리며, 학명으로 Cinnamomum aromaticum Nees 이다. 칡뿌리는 갈근(葛根, Puerariae Radix)이라고 불리며, Pueraria lobata ( Willd .) Ohwi 또는 Pueraria thunbergii ( Siebold & Zucc.) Benth . 가 사용될 수 있다. 소회향(小茴香,Foeniculi Fructus)은 Foeniculum vulgare Mill.이 사용될 수 있다. 감초(甘草)는 Glycyrrhiza glabra Linne 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C1-C5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는 40% 내지 90% (v/v)일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C1-C5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는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66% 이상, 67% 이상, 68% 이상, 69% 이상, 70% 이상, 71% 이상, 72% 이상, 73% 이상, 74% 이상, 75% 이상 또는 8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1-C5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는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4% 이하, 73% 이하, 72% 이하, 71% 이하, 70% 이하, 69% 이하, 68% 이하, 67% 이하, 65% 이하 또는 60% 이하일 수 있다. C1-C5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 혹은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C1-C5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인, 조성물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주 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주 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주 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주 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8중량% 이상, 8.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13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17중량% 이상, 17.5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또는 25중량%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주 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중량% 이하, 60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 혹은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연자심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자심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8중량% 이상 또는 8.5중량% 이상을 포함할 수 이따. 또한, 연자심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자심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 혹은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토사자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당귀 추출물 또는 산수유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계피 추출물 또는 칡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소회향 추출물 또는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사자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당귀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계피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소회향 추출물 또는 감초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 혹은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주조릿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연자심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주조릿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연자심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토사자 추출물 60 내지 120 중량부, 호로파 추출물 60 내지 120 중량부, 당귀 추출물 60 내지 120 중량부, 산수유 추출물 60 내지 120 중량부, 계피 추출물 30 내지 70 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0 내지 70 중량부, 소회향 추출물 10 내지 40 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5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 혹은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피부 홍조, 안면 홍조, 열감, 발한, 손발 저림, 관절 통증, 근육 통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건조증, 피로, 가슴 두근 거림, 불면증, 우울증, 불안감, 두통, 신경질, 질 분비물 감소, 질 건조증, 질 수축증, 성교통증 및 성불감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근육질환, 골 질환 또는 심장 질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 구루병, 골 연화질환 또는 파제트 골 질환(Paget's diseas e of bone)이거나; 또는 상기 심장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협심증 또는 동맥경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형화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을 통상 사용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상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라우린지, 카카오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유효성분의 1일 투여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0.5g/kg일 수 있고, 일측면에서는 0.001~0.1g/kg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일반적인 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전체 식품 중량의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식품조성물로 섭취 시 유효성분의 1일 투여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0.1g/k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정제, 칼셉, 액상, 과립,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또는 가식성 필듬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삼영식품공업주식회사에서 구입한 제주조릿대를 세척 한 후, 상기 제주조릿대의 잎을 분리하였다. 세척된 제주조릿대 잎과 정제수의 중량비를 1:8의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한 후, 95℃±2℃에서 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취한다. 상기 추출물을 75℃±2℃로 냉각하고 마이크로필터(5㎛)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상기 여과를 거친 추출액을 35~40Brix로 감압 농축한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 상에서 건조하여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제조한다.
상기 제주조릿대 추출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자심, 토사자, 호로파, 당귀, 산수유, 계피, 칡뿌리, 소회향 및 감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들을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성분으로 실시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부형제는 타피오카전분, 글리세린, 벌꿀, 결정셀룰로오스 및 감미제를 포함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제주조릿대 추출물 700mg 350mg 105mg
연자심 추출물 - 350mg 105mg
토사자 추출물 - - 84mg
호로파 추출물 - - 84mg
당귀 추출물 - - 84mg
산수유 추출물 - - 84mg
계피 추출물 - - 56mg
칡뿌리 추출물 - - 56mg
소회향 추출물 - - 28mg
감초 추출물 - - 14mg
부형제 3050mg 3050mg 3050mg
Total (mg) 3750mg 3750mg 3750mg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3.75g 환 형태로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의 피실험자들에게, 하루 1환, 4주 섭취하도록 하여, 섭취 전, 후 결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 Kuppperman Index 및 MRS(Menopause Rating Scale) 설문평가
[갱년기 증후군 설문 지표]
쿠퍼만 지수(Kupperman Index)와 MRS(Menopause Rating Scale)는 갱년기 증후군 설문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들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MRS를 이용한 임상시험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내 갱년기 여성건강 기능성 지표로서는 쿠퍼만 지수가 더 많이 쓰이고 있다. 즉, 쿠퍼만 지수 및 MRS 모두는 KFDA 갱년기 여성건강 기능성 허가 시 임상 지표로 이용된다. 따라서, 실험자들을 상대로 쿠퍼만 지수 또는 MRS 평가는 해당 물질이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다.
갱년기 여성은 하기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 47세~56세 여성 중 최근 6개월 동안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2개월이상 무월경 상태가 지속 되는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열나는 질병(감기, 독감)에 걸리지 않는 자
상기 기준을 충족하는 여성으로, 최근 3개월 이내에 여성호르몬 치료를 받은 자 또는 수술적으로 폐경한 자,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약을 복용하고 있는자 또는 질환으로 치료 중이거나 약을 복용하는 자는 제외하고, 총 60명을 갱년기 여성 피실험자로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여성들의 연령대는 평균 50.76±2.52세였으며, 4주 동안의 실험기간을 거쳤다.
Kuppperman Index
갱년기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설문이며, 갱년기 증상 정도를 기록하여 점수화 함. 12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점 척도(0-없음, 1-약간, 2-보통, 3-심함)를 사용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갱년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쿠퍼만 지수 평가항목은 도 1에 도시되었다.
실시예 1 내지 3을 상기 갱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섭취 전, 후 KI score 변화 및 항목별 점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갱년기증상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갱년기 여성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을 섭취한 경우가 섭취 전에 비해 쿠퍼만 지수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KI score 실시예1(n=20) 실시예2(n=20) 실시예3(n=20)
Week 0 18.12±0.26 18.31±0.56 18.27±0.20
Week 4 14.31±0.45 11.91±0.14 9.03±0.97
MRS(Menopause Rating Scale)
- 갱년기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설문이며, 갱년기 증상 정도를 기록하여 점수화 함. 11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0-없음, 1-약간, 2-보통, 3-심함, 4-매우심함) 사용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갱년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한다. MRS 평가 항목은 도 2에 도시되었다.
- 실시예 1 내지 3을 상기 갱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섭취 전, 후 MRS score 변화 및 항목별 점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MRS score 실시예1(n=20) 실시예2(n=20) 실시예3(n=20)
Week 0 24.91±3.24 25.25±2.16 25.80±2.83
Week 4 16.98±3.03 14.98±3.05 10.32±2.12
실험 결과, 상기 표 3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갱년기증상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갱년기 여성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을 섭취한 경우가 섭취 전에 비해 MRS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24h 체온변화 측정
갱년기 여성의 경우, 일상 생활 중 빈번히 급격한 체온변화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한 안면홍조 현상 및 수면 방해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의 이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갱년기 여성 피실험자 60명의 연속적인 체온변화를 측정 하였다.
체온 측정을 위해 피험자는 본 조성물 섭취 전과 섭취 후, 각 3일간(72H) 가슴 중앙에 체온 트래커 패치(TemptraqTM )를 부착하며, 신체 평균온도, 표준편차의 변화로 체온 조절 효과를 평가하였다. 체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연구 대상자의 체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다.
실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체온 편차 감소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이 가장 우수하였다.
체온편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Week 0 2.12±0.08 2.08±0.12 2.29±0.21
Week 4 1.84±0.31 1.01±0.61 0.81±0.55
실험예 3 : 신체 온도 측정_ 신체 열 균형 및 열감 완화 효과 확인
갱년기 시 상체(가슴, 얼굴 등)에 발생하는 열감의 완화 효과 및 신체 열 균형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열화상 카메라 R300S(NEC, Japan)을 이용하여 상체, 얼굴, 손 부위를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각 부위별 피부온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시험 부위 촬영 시 항상 일정한 각도와 거리를 유지한다.
상체, 얼굴: 위로 올라오는 열감(갱년기 대표 불편증상) 완화 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섭취 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체 및 얼굴에서의 열감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3a-3b 및 도 4a-4b에 도시하였다. 도 3a 및 도 4a는 실시예 1을 섭취 한 피실험자이며, 도 3b 및 도 4b는 실시예 3을 섭취 한 피실험자이다.
도 3 내지 4와 관련하여, 원본은 컬러 도면이었으며 이를 흑백도면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그레이스케일을 적용하였다. 도 3의 하단에 위치한 온도별 색상표시에서 피부 온도별 색상스케일이 표시되며, 오른쪽으로 위치할수록 피부 온도가 높으며(원본에서는 붉은색 계열) 왼쪽으로 위치할수록 피부 온도가 낮게(원본에서는 파란 색 계열) 표시된다.
도 4의 오른쪽에 위치한 온도별 색상표시에서 피부 온도별 색상스케일이 표시되며,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피부온도가 높으며(원본에서는 붉은 색 계열)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피부온도가 낮게(원본에서는 파란 색 계열) 표시된다.
도 3 내지 도 4를 보면, 피부온도 약 35도 전후는 원본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되며, 흑백도면에서 밝은색으로 표시되고, 이 부분은 피부 온도가 높은 부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보면, 섭취 전 대비 섭취 후에는 흑백도면에서 밝은색으로 표시되는 부분, 즉 피부 온도가 높은 부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결과, 도 3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섭취 전 대비 섭취 후 피부 온도가 높은 부분의 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상체 및 얼굴에서의 열감 완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 열 전달이 잘 되지 않아 온도가 낮게 측정되는 손 부위의 체온 상승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섭취 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손 부위에서의 온도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5a-5b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실시예 1을 섭취한 피실험자이며, 도 5b는 실시예 3을 섭취한 피실험자이다.
도 5와 관련하여, 원본은 컬러 도면이었으며 이를 흑백도면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그레이스케일을 적용하였다. 도 5의 오른쪽에 위치한 온도별 색상표시에서 피부 온도별 색상스케일이 표시되며,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피부온도가 높으며(원본에서는 붉은 색 계열)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피부온도가 낮게(원본에서는 파란 색 계열) 표시된다.
실험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열 전달이 잘 되지 않아 온도가 낮게 측정된 손 부위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3 섭취 시 신체 부위의 끝부분까지 열 전달이 잘 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원발명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갱년기 여성이 섭취하는 경우, 온도가 높은 상체의 온도는 낮아지고, 차가운 부위의 온도는 상승하여, 신체 전반의 열 균형이 개선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Visia - CR을 이용한 안면 사진촬영 및 볼 부위의 피부 붉은기 평가
상체의 열 상승(열감)으로 인해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을 섭취한 상기 갱년기 여성 피실험자 60명의 안면부위의 피부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안면홍조, 발한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촬영한다.
안면 피부색 변화 분석을 위하여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 [Visa-CR(Canfield Imaging System, USA)]를 이용하여 얼굴의 측면을 촬영한다. 턱 받침대와 이마 고정대를 이용하여 촬영 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연구 대상자와 카메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피부붉은기 분석을 위해 cross-polarized모드로 촬영된 안면 사진을 RBX Red로 변환한 후, 볼 부위를 시험 부위로 지정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Image-Pro Plus, USA)을 이용하여 S (Saturation)의 평균 값을 도출한다. S값이 감소할수록 피부 붉은기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피부붉은기(S)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Week 0 45.23±13.09 46.04±21.25 45.88±18.31
Week 4 38.11±9.97 37.07±10.20 30.09±8.79
실험 결과, 상기 표 5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피부 붉은 기(홍조) 감소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Corneometer를 이용한 볼 부위의 피부보습 측정
갱년기 증상으로 발생하는 열, 특히 안면부위의 열로 인한 피부 건조증상(수분감소) 증상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을 섭취한 상기 갱년기 여성 피실험자 60명의 볼 부위의 보습을 측정하였다.
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볼 부위의 피부 보습을 측정한다. 피부 표면에 접착하는 전극간격을 통해 전도되는 전류의 정전부하용량(capacitance)을 계측하는 원리이며 보습량을 3회 측정한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한다. 피부의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피부보습(A.U.)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Week 0 63.90±12.99 61.34±15.10 61.87±15.38
Week 4 68.30±13.17 69.92±14.70 73.16±13.28
실험 결과, 상기 표 6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안면부위의 보습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질 증상 설문조사 ]
갱년기 여성의 비뇨생식기관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 증상들에 대한 설문을 하였으며, 증상에 정도를 기록하여 점수화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을 섭취한 상기 갱년기 여성 피실험자 60명을 대상으로 갱년기 여성의 비뇨생식기관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의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총 5가지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4점 척도(0-없음, 1-약간, 2-보통, 3-심함)를 사용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여성기관인 질의 불편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설문의 평가항목은 도 6에 도시하였다.
질 증상 실시예1(n=20) 실시예2(n=20) 실시예3(n=20)
Week 0 6.51±3.90 6.73±3.11 6.03±2.97
Week 4 4.08±3.01 3.81±2.66 2.64±2.03
실험 결과, 상기 표 7와 같이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제주조릿대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실시예 1 내지 3)에서 질 증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자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토사자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당귀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계피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소회향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신체 열 균형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근육질환, 골 질환 또는 심장 질환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 구루병, 골 연화질환 또는 파제트 골 질환(Paget's diseas e of bone)이거나; 또는
    상기 심장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협심증 또는 동맥경화증인,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PCT/KR2017/003269 2016-04-05 2017-03-27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71760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22479.0A CN108883146B (zh) 2016-04-05 2017-03-27 包含奎尔帕特赤竹提取物的用于改善妇女更年期症状的组合物
JP2018544206A JP7034927B2 (ja) 2016-04-05 2017-03-27 耽羅笹抽出物を含む女性更年期症状の改善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22A KR101845245B1 (ko) 2016-04-05 2016-04-05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016-0041622 2016-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6001A1 true WO2017176001A1 (ko) 2017-10-12

Family

ID=6000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269 WO2017176001A1 (ko) 2016-04-05 2017-03-27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34927B2 (ko)
KR (1) KR101845245B1 (ko)
CN (1) CN108883146B (ko)
TW (1) TWI717487B (ko)
WO (1) WO2017176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303B1 (ko) * 2019-05-14 2021-10-26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손발저림, 또는 가슴 두근거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7304B1 (ko) * 2019-05-14 2021-10-26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신경과민, 개미환각, 불면증, 현기증, 또는 피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4090A (ko)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골드레벤 트랜스여성을 위한 필요성분을 제공하는 신규한 복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515A (ko) * 2014-02-28 2015-09-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 조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0748B (it) * 1991-08-02 1995-04-21 Poli Ind Chimica Spa Formulazioni utili per il trattamento della secchezza vaginale
KR20130064178A (ko) * 2011-12-08 2013-06-1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2526385B (zh) * 2012-01-17 2013-07-24 丁敏 一种治疗更年期综合征的药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515A (ko) * 2014-02-28 2015-09-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 조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ADY, D.: "MF101, a selective estrogen receptor beta modulator for the treatment of menopausal hot flushes: a phase II clinical trial", MENOPAUSE, vol. 16, no. 3, 2009, pages 458 - 465 *
KIM ET AL: "Effects of Herbal Mixture Extract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and Cuscuta chinensis Lam. on Menopausal Symptoms in Ovariectomized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ICION, vol. 45, no. 8, August 2016 (2016-08-01), pages 1083 - 1089, XP055602236 *
LEE, B.: "Kaempferol isolated from Nelumbo nucifera inhibits lipid accumulation and increases fatty acid oxidation signaling in adipocytes",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 18, no. 123, 2015, pages 1363 - 1370 *
RYOU, S. H.: "Effects of green tea or Sasa quelpaertensis bamboo leaves on plasma and liver lipids, erythrocyte Na efflux, and platelet aggregation in ovariectomized ra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 6, no. 2, 2012, pages 106 - 112, XP0556022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83146A (zh) 2018-11-23
CN108883146B (zh) 2023-12-12
JP7034927B2 (ja) 2022-03-14
KR101845245B1 (ko) 2018-04-04
KR20170114534A (ko) 2017-10-16
JP2019513693A (ja) 2019-05-30
TWI717487B (zh) 2021-02-01
TW201735939A (zh)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8926A2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87157B1 (ko)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0104309A9 (ko)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7176001A1 (ko)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8174448A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8026103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WO2018190501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2045418A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또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WO2011139118A2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a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
WO2019124854A1 (ko)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08150A2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31780A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82501A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35637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육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WO2017069506A1 (ko) 울금 및 감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9212202A1 (ko)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WO2016175559A2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1070999A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76A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22244A1 (ko) 간 보호용 또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004626A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4420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0022479.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793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793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