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5297A1 -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5297A1
WO2022225297A1 PCT/KR2022/005585 KR2022005585W WO2022225297A1 WO 2022225297 A1 WO2022225297 A1 WO 2022225297A1 KR 2022005585 W KR2022005585 W KR 2022005585W WO 2022225297 A1 WO2022225297 A1 WO 20222252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chexia
extract
composition
geumjeoncho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5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애영
김노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191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3695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191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4517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19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5767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22252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52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6Loganiaceae (Logania family), e.g. trumpetflower or pink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cachexia comprising an extract of Geumjeoncho ( Lysimachiae Herba ), Naebokja ( Raphani Semen ) or wheatgrass ( Buddlejae Flos ) extract.
  • Cachexia is a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weight loss, muscle atrophy, fatigue, weakness, and decreased appetite and is accompanied by an irreversible loss of body fat, such as cancer,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ultiple scleros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t is known to occur in patients with
  • cancer cachexia which appears in cancer patients, is accompanied by 50-80% of all cancer patients, and in the case of gastrointestinal cancer, it is more obvious and is accompanied by more than 80%.
  • Cancer cachexia causes continuous weight loss, anorexia, adipose tissue loss and muscle decline, and nutritional imbalance due to direct or indirect factors of cancer. show symptoms.
  • the responsiveness to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s reduced, and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treatment increase, thereby redu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and reducing the survival period.
  • cancer patients who die due to cachexia account for about 10-20% of all cancer patients.
  • Geumjeoncho Lysimachiae Herba
  • the taste is spicy and slightly bitter, and the nature is slightly cold, and it turns off heat, removes wet sand (purple heat and humidification), removes moist heat from lower plants, and removes stones ( ⁇ ). ), removes pain when urinating, or a condition that does not come out cool when urinating (tongrim) It is known that there is
  • Raphani Semen refers to medicinal herbs made using the seeds of the cruciferous radish ( Raphanus sativus L.) or plants. In oriental medicine, it has no odor, and the taste is spicy and sweet, and its nature is not biased toward either side. It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phlegm ( ⁇ ).
  • Honeysuckle ( Buddlejae Flos ) refers to the bud or inflorescence of Buddleja officinalis Maximowicz. In oriental medicine, it has a slightly fragrant, slightly bitter and spicy taste, cools the heat with cold or cool medicines, and adds yin ( ⁇ ) to the liver (Cheongyeolyanggan ( ⁇ )), brightens the eyes, and ⁇ )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treating (myeongmoktoeye ( ⁇ )).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extract of Geumjeoncho, Naebokja or milmonghwa relieves cachexia.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ain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 Lysimachiae Herba ), Naebokja ( Raphani Semen ) and Buddlejae Flos as an active ingredient, Prevention of cachexia or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an individual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itakeja and milmonghwa.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chexia,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ebokja and milmonghwa.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chexia preventive or therapeutic use of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itakeja and milmonghwa.
  •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undamentally alleviating the symptoms of cancer cachexia by suppressing the loss of weight, muscle, and fat caused by tumors, not due to an increase in feed intake through appetite enhancement, Since it is safe and has no side effects, it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cachexia.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myoblasts (myoblasts) into myotube cells (myotube).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when myotube cells are treated with colorectal cancer cell culture medium or TNF (tumor necrosis factor)- ⁇ , the shape of myotube cells is lost and decomposed.
  • TNF tumor necrosis factor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the colorectal cancer cell culture solution treated with the extract (ELH) in myotube cell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the colorectal cancer cell culture medium treated with the extract (ERS) in myotube cells.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a colon cancer cell culture medium treated with wheatgrass extract (EBF) in myotube cells.
  • FIG 6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TNF- ⁇ after pre-treatment of myotube cells with an extract of Geumjeoncho extract (ELH).
  •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TNF- ⁇ after pre-treatment of the extract (ERS) in myotube cells.
  • FIG 8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TNF- ⁇ after pre-treatment with wheatgrass extract (EBF) in myotube cells.
  •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method using a tumor cachexia model.
  • Figure 1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adaver, leg muscles, epididymal peripheral fat, and heart after autopsy after administration of saline or internal locust extract (ERS) to mice having reduced body weight after tumor inoculation.
  • ERS internal locust extract
  • Figure 1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foo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aline and Nagapoja extract (ERS) to mice that have lost weight after tumor inoculation.
  • ERS Nagapoja extract
  • Figure 1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foo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aline and wheatgrass extract (EBF) to mice that have lost weight after tumor inoculation.
  • FIG. 16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eight of major organs after autopsy after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of GEUM GEON CHO extract (ELH) to normal mice without tumo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 FIG. 17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eight of major organs after autopsy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of esophageal lice (ERS) to normal mice without tumo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 ERS esophageal lic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 Lysimachiae Herba ), naebokja (Rapani Semen ) and wheatgrass ( Buddlejae Flos ) as an active ingredient, prevention of cachexia or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 geumjeoncho Lysimachiae Herba
  • naebokja Rospani Semen
  • wheatgrass Buddlejae Flos
  • the term "Geumjeoncho ( Lysimachiae Herba )” refers to a medicinal product made using the outpost of Lysimachia christinae Hance. In Korea, it is also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outpost of the Lamiaceae ( Glechoma hederacea L.).
  • the taste is spicy and slightly bitter, and the nature is slightly cold, and it turns off heat, removes wet sand (purple heat and humidification), removes moist heat from lower plants, and removes stones ( ⁇ ). ), removes pain when urinating or a disease that does not come out coolly when urinating (tongrim) It is known that there is
  • naebokja Raphani Semen
  • cruciferous radish Raphanus sativus L.
  • oriental medicine it has no odor, and the taste is spicy and sweet, and its nature is not biased toward either side. It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phlegm ( ⁇ ).
  • Buddlejae Flos refers to the bud or inflorescence of Buddleja officinalis Maximowicz. In oriental medicine, it has a slightly fragrant, slightly bitter and spicy taste, cools the heat with cold or cool medicines, and adds yin ( ⁇ ) to the liver (Cheongyeolyanggan ( ⁇ )), brightens the eyes, and ⁇ )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treating (myeongmoktoeye ( ⁇ )).
  • the gold daffodi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jasmine or chrysanthemum flowers may be harvested from nature or purchased commerci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 refers to a liquid component obtained by immersing a target substance in various solvents and then extract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room temperature, low temperature, or a heated state, and a product such as a solid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liquid component. mean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sult, it can be comprehensively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of the dilutions of the results, their concentrates, their preparations, and their purified products.
  • 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of Geumjeoncho, Naebokja, or Milmonghwa.
  • the extract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organs of natural, hybrid, and variegated plants of the target plant, and can be extracted from, for example, roots, above-ground parts, stems, leaves, flowers, body of fruits, skins of fruits as well as plant tissues,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pl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water or various organic solvents.
  • the organic solve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ut specifically water, a polar solvent or a non-polar solvent, and more specifically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 As a C1 to C4 alcohol, i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methanol or ethanol, etc.) and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ut specifically, the roots, stems, leaves, fruits, flowers, dried products thereof, processed products, etc. of the target plant are described above.
  • Methods such as cold extraction extraction method immersed in a solvent and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heating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pplying ultrasonic waves, and reflux extraction method using a reflux condenser can be used.
  • cachexia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weight loss, muscle atrophy, fatigue, weakness, and decreased appetite and accompanied by irreversible loss of body fat, including cancer,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t is known to occur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 the cachexia may include, for example, cancerous cachexia, AIDS-related cachexi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chexia, multiple sclerosis cachexia, or congestive heart failure cachexia,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specifically cancerous cachexia. It can be cachexia.
  • the extracts of Geumjeoncho, Naebokja or Wheatgrass extract relieve cachexia and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cachexia.
  • myotube cells when myotube cells are treated with a colorectal cancer cell culture medium, myotube cells are decompos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decomposed and was well maintained ( FIGS. 3 to 5 ).
  • the cancer cachexia mouse model administered with the Geumjeoncho extract, Naitakeja extract or Wheatgrass extract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the fat around the cadaver, leg muscle, and epididymi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saline ( 10 to 12), the cachexia symptoms caused by the tumor were alleviated by the extract of Geumjeoncho extract, Naitakeja extract, or milmonghwa extrac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chexia symptom was not alleviated in the control model.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cachexia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the symptoms of cachexia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means ac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0.0001 wt% to 10 wt%, specifically 0.001 wt% to 1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may have one dosage form, and may be oral or parenteral various dosage forms. In the case of formulation, it is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that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one or more compounds and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lactose), gelatin, etc.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lactose), gelatin,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for example,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may be included.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or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pendent on the subject's type and severity, age, sex, and disease.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drug activity, drug sensitivity,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treatment period,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period of administration, but for the desired effec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500 mg/kg per day, specifically It is recommended to administer 0.001 to 250 mg/kg (human equivalent dose, 0.001 to 20.25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o various mammals such as mice, livestock, and humans by various routes, and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include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for example, oral, rectal or intravenous, muscle, It may be administered by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Specifically, it may be or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veterinary drugs as well as pharmaceuticals applied to humans.
  • an animal is a concept including livestock and companion animal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an individual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itakeja and milmonghwa.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ny animal that has or can develop cachexia, an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spected cachexia individual, the individual can be effectively treated.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suspected of cachexia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is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through various routes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can b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s described abov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and is applicable to any individual.
  • non-human animals such as monkeys, dogs, cats, rabbits, guinea pigs, rats, mice, cattle, sheep, pigs, goats, etc., birds and fish can be used,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arenter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t may be administered intranasally, intrapulmonary and intranasally, and for local treatment, if necessary, it may be administered by any suitable method including intralesional administration.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subject, the degree of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it may be administered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cachexia,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ebokja and milmonghwa.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suspected and affected individuals of cachexia by using the composition.
  •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by a food-acceptable free acid or a metal salt formed by a base is useful.
  • an inorganic acid and an organic acid may be used as the free acid.
  •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can be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m of pills, powders, granules, needles, tablets, capsules or liquids, and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foods, for example, beverages; There are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other components other than containing an active ingredi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may contain.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0.0001 wt% to 10 wt%, specifically 0.001 wt% to 1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food supplement additives may include food supplement additives conventional in the art, for example, flavor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fillers, stabilizer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harin, aspartam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it may contain the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supplement may include health functional food and health food.
  • the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in addition to supplying nutrients, it is processed to efficiently exhibit bioregulatory functions and has high medical and medical effects.
  • function (sex) refers to obtaining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ac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food containing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during the preparation,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foo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 drug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can be excellent in portabilit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chexia preventive or therapeutic use of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jeoncho, naebokja and milmonghwa.
  • Example 2 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degradation of differentiated myotube cells in mouse myoblasts ( in vitro )
  • the mouse muscle cell line C2C12 (myoblasts: myoblast) was cultured in DMEM medium (GM: growth medium, growth medium) containing 10% FBS.
  • DMEM medium differentiation medium
  • HS human serum
  • CT-26 CM conditioned medium
  • TNF tumor necrosis factor
  • the colorectal cancer cell culture solution treated with each Geumjeoncho extract (ELH), Naebokja extract (ERS) or Wheatgrass extract (EBF) of Example 1 was treated, or pre-treated with Geumjeoncho extract, Naitakeja extract or Wheatgrass extract,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TNF- ⁇ ,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degradation of myotube cells was inhibited.
  • Example 3 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alleviating weight, muscle and fat loss in a cancerous cachexia mouse model ( in vivo )
  • cancerous cachexia was induced by comparing normal mice that were not inoculated with tumors (normal group) and mice inoculated with tumors. It was confirmed that At this time, it was judged that cancerous cachexia was induced when the weight did not change or started to decrease despite the gradually increasing size of the tumor.
  • mice induced with cancer cachexia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5 mice per group) (FIG. 9).
  •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the extract of Geumjeoncho extract (ELH), Naepojae extract (ERS), or wheatgrass extract (EBF) of Example 1, and saline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normal group, after which the body weight , feed intake, and tumor size were measured twice a week.
  • EH Geumjeoncho extract
  • ERS Naepojae extract
  • EVF wheatgrass extract
  • the tumor weight after removing the tumor from the mice in each group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tumor weight, the final weight (weight at the end - the tumor weight), the carcass weight after removing all organs and blood, the limb muscle weight, Epididymal fat weight and heart weight were measured.
  • Geumgeoncho extract EH
  • Naitakeja extract ERS
  • Wheatgrass extract 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또는 밀몽화(Buddlejae Flo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cachexia)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은 식욕 증진을 통한 사료 섭취량 증가로 인한 것이 아닌, 종양에 의한 체중, 근육 및 지방의 손실을 억제하여 암성 악액질 증상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또는 밀몽화(Buddlejae Flo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cachexia)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악액질(cachexia)은 체중 감소, 근육 위축, 피로감, 약화, 식욕의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며 비가역적 체지방의 손실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암, 에이즈, 만성폐쇄성 폐질환, 다발성 경화증, 울혈성 심부전 등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암성 악액질(cancer cachexia)은 전체 암환자의 50-80%에서 동반되며, 소화기암의 경우 더욱 명백하여 80% 이상에서 동반된다. 암성 악액질은 암의 직접적인 혹은 간접적인 요인으로 인해 지속적인 체중감소와 식욕부진, 지방조직 소실 및 근육 쇠퇴, 영양학적 불균형 등을 초래하고, 음식 섭취량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체중감소가 나타나고 골격근이 주로 감소하는 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로 인해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하고,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 증가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존 기간이 감소된다. 실제로, 악액질로 인해 사망하는 암환자는 전체 암환자의 10-20% 가량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악액질을 완화시킬 경우,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고 심각한 독성부작용 완화 및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까지 별다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한편, 금전초(Lysimachiae Herba)는 앵초과의 과로황(Lysimachia christinae Hance)의 전초를 말린 약재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꿀풀과의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L.)의 전초를 대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맛은 맵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열을 꺼주고 습사(濕邪)를 제거하고(청열이습(淸熱利濕)),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고(통림(通淋)),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소종(消腫))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복자(Raphani Semen)는 십자화과의 무(Raphanus sativus L.) 또는 동속식물의 씨를 사용해 만든 약재를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배가 불러오르는 창(脹)을 제거하고(소식제창(消食除脹)), 기(氣)를 내려 담(痰)을 삭이는(강기화담(降氣化痰))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밀몽화(Buddlejae Flos)는 마전과의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Maximowicz)의 꽃봉오리 또는 화서를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향기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맵고,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고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고(청열양간(淸熱養肝)), 눈을 밝게 하고 예막(膜)을 치료하는(명목퇴예(明目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의 악액질 개선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이 악액질을 완화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및 밀몽화(Buddlejae Flo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Cachexi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은 식욕 증진을 통한 사료 섭취량 증가로 인한 것이 아닌, 종양에 의한 체중, 근육 및 지방의 손실을 억제하여 암성 악액질 증상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근아세포(myoblast)를 근관세포(myotube)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근관세포에 대장암 세포 배양액 혹은 TNF(tumor necrosis factor)-α 를 처리하면, 근관세포의 형태가 없어지며 분해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근관세포에 금전초 추출물(ELH)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근관세포에 내복자 추출물(ERS)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근관세포에 밀몽화 추출물(EBF)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근관세포에 금전초 추출물(ELH)을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근관세포에 내복자 추출물(ERS)을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근관세포에 밀몽화 추출물(EBF)을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종양 악액질 모델을 이용한 실험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또는 금전초 추출물(ELH)을 투여한 뒤 부검 후 사체(Carcass), 다리 근육(Limb muscle), 부고환 주변 지방(Epididymal fat), 심장(heart)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또는 내복자 추출물(ERS)을 투여한 뒤 부검 후 사체, 다리 근육, 부고환 주변 지방, 심장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또는 밀몽화 추출물(EBF)을 투여한 뒤 부검 후 사체, 다리 근육, 부고환 주변 지방, 심장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및 금전초 추출물(ELH)을 투여한 뒤, 식사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및 내복자 추출물(ERS)을 투여한 뒤, 식사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종양 접종 후, 체중이 감소한 마우스에 식염수 및 밀몽화 추출물(EBF)을 투여한 뒤, 식사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종양이 없는 정상 마우스에 금전초 추출물(ELH)을 실험기간 동안 투여한 뒤, 부검 후 주요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종양이 없는 정상 마우스에 내복자 추출물(ERS)을 실험기간 동안 투여한 뒤, 부검 후 주요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종양이 없는 정상 마우스에 밀몽화 추출물(EBF)을 실험기간 동안 투여한 뒤, 부검 후 주요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및 밀몽화(Buddlejae Flo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Cachexi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금전초(Lysimachiae Herba)"는 앵초과의 과로황(Lysimachia christinae Hance)의 전초를 사용해 만든 약재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꿀풀과의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L.)의 전초를 대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맛은 맵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열을 꺼주고 습사(濕邪)를 제거하고(청열이습(淸熱利濕)),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고(통림(通淋)),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소종(消腫))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내복자(Raphani Semen)"는 십자화과의 무(Raphanus sativus L.) 또는 동속식물의 씨를 사용해 만든 약재를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배가 불러오르는 창(脹)을 제거하고(소식제창(消食除脹)), 기(氣)를 내려 담(痰)을 삭이는(강기화담(降氣化痰))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밀몽화(Buddlejae Flos)"는 마전과의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Maximowicz)의 꽃봉오리 또는 화서를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향기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맵고,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고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고(청열양간(淸熱養肝)), 눈을 밝게 하고 예막(膜)을 치료하는(명목퇴예(明目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는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대상 식물의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대상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C1 내지 C4의 알코올로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상 식물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 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악액질(cachexia)"은 체중 감소, 근육 위축, 피로감, 약화, 식욕의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며 비가역적 체지방의 손실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암, 에이즈, 만성폐쇄성 폐질환, 다발성 경화증, 울혈성 심부전 등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액질은 예를 들면, 암성 악액질, 에이즈성 악액질, 만성폐쇄성 폐질환성 악액질, 다발성 경화증성 악액질 또는 울혈성 심부전성 악액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암성 악액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이 악액질을 완화시킴을 확인하여,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근관세포에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하면 근관세포가 분해되나,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근관세포에 처리시, 근관세포가 분해되지 않고 잘 유지됨을 확인하였다(도 3 내지 도 5).
또한, 근관세포에 TNF(tumor necrosis factor)-α를 처리하면 근관세포가 분해되나,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24시간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관세포 분해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도 8).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투여한 암성 악액질 마우스 모델은 사체, 다리 근육, 및 부고환 주변 지방 무게가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여(도 10 내지 도 12),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에 의해 종양에 의한 악액질 증상이 완화되었으나, 대조군 모델은 악액질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식사량의 경우, 대조군과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 투여군 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3 내지 도 15).
또한, 종양이 없는 정상마우스에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여(도 16 내지 도 18),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및 밀몽화 추출물 모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이 식욕 증진을 통한 사료 섭취량 증가로 인한 것이 아닌, 종양에 의한 체중, 근육 및 지방의 손실을 억제하여 암성 악액질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바,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악액질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악액질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구체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500mg/kg으로,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250mg/kg(인간동등용량(human equivalent dose, HED)으로는 0.001 내지 20.25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에 적용되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물이란 가축 및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악액질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악액질의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악액질의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악액질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에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악액질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유용하다. 하나의 예로,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푸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필수 성분으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구체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 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의 제조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또는 밀몽화(Buddlejae Flos)를 각각 무게의 약 10배의 70% 에탄올에 3시간 환류 추출한 후 거름망으로 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금전초 에탄올 추출물(ELH), 내복자 에탄올 추출물(ERS) 또는 밀몽화 에탄올 추출물(EBF)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를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10% DMSO에 50 mg/ml 농도로 녹인 후 0.22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후 -20도 냉동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마우스 근아세포에서 분화된 근관세포 분해 완화 효과 확인 ( in vitro )
마우스 근육세포주인 C2C12(근아세포: myoblast)는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GM: growth medium, 증식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근아세포를 근관세포(myotube)로 분화시키기 위해 배지를 5% HS(hors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DM: differentiation medium, 분화배지)로 교체한 후 3-5일간 배양하였다(도 1).
근아세포에서 3일간 분화시킨 근관세포에 대장암 세포 배양액(CT-26 CM (conditioned medium), CT-26 CM:DM=1:3으로 희석) 또는 TNF(tumor necrosis factor)-α(20 ng/ml) 처리시, 근관세포의 형태가 없어지면서 분해되었다(도 2).
이에, 실시예 1의 금전초 추출물(ELH), 내복자 추출물(ERS) 또는 밀몽화 추출물(EBF)을 각각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하거나,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각각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하였을 때, 근관세포의 분해가 억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근관세포에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처리하면 근관세포가 분해되나,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 배양액을 근관세포에 처리시, 모든 추출물에서 근관세포가 분해되지 않고 잘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Mitotracker로 염색하여 확인한 결과에서도 근관세포가 잘 유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 내지 도 5).
또한, 근관세포에 TNF-α를 처리하면 근관세포가 분해되나,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24시간 전처리한 후 TNF-α를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관세포 분해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도 8).
실시예 3: 암성 악액질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 근육 및 지방 감소 완화 효과 확인 ( in vivo )
Male Balb/c 마우스에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CT-26) 5Х106 cells/mouse를 피하 주사한 후, 종양을 접종하지 않은 정상 마우스(정상군)와 종양을 접종한 마우스를 비교하여 암성 악액질이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때, 종양의 크기가 점점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몸무게 변화가 없거나 감소되기 시작되면 암성 악액질이 유도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대장암 세포 접종 후 9일차에 암성 악액질이 유도된 마우스를 무작위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다(군당 5마리) (도 9).
이후, 4주 동안 매일 실험군에는 실시예 1의 금전초 추출물(ELH), 내복자 추출물(ERS) 또는 밀몽화 추출물(EBF)을 각각 경구투여하고, 대조군과 정상군에는 식염수를 경구투여한 뒤, 몸무게, 사료섭취량, 종양크기를 일주일에 두 번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후 각 군의 마우스에서 종양을 제거한 뒤, 종양 무게, 최종 몸무게(종료 시 몸무게-종양 무게), 모든 장기와 혈액을 제거한 후의 사체(Carcass) 무게, 다리 근육(Limb muscle) 무게, 부고환 주변 지방(Epididymal fat) 무게 및 심장(heart)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모두 사체, 다리 근육, 및 부고환 주변 지방 무게가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여(도 10 내지 도 12),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에 의해 종양에 의한 악액질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사량은 대조군과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3 내지 도 15).
실시예 4: 추출물의 안전성 확인 ( in vivo )
실시예 1의 금전초 추출물(ELH), 내복자 추출물(ERS) 또는 밀몽화 추출물(EBF)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종양이 없는 정상 마우스에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4주 동안 투여 후 주요장기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대조군은 종양이 없는 정상 마우스로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그 결과,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주요장기 무게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여(도 16 내지 도 18), 금전초 추출물, 내복자 추출물 및 밀몽화 추출물 모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들은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이 식욕 증진을 통한 사료 섭취량 증가로 인한 것이 아닌, 종양에 의한 체중, 근육 및 지방의 손실을 억제하여 암성 악액질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바, 금전초, 내복자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금전초(Lysimachiae Herba), 내복자(Raphani Semen) 및 밀몽화(Buddlejae Flo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Cachexia)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액질은 암성 악액질, 에이즈성 악액질, 만성폐쇄성 폐질환성 악액질, 다발성 경화증성 악액질 및 울혈성 심부전성 악액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악액질은 암성 악액질인 것인, 조성물.
  5.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금전초, 내복자 및 밀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22/005585 2021-04-21 2022-04-19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252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4 2021-04-21
KR1020210051913A KR102536959B1 (ko) 2021-04-21 2021-04-21 내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051912A KR20220145173A (ko) 2021-04-21 2021-04-21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051913 2021-04-21
KR1020210051914A KR102595767B1 (ko) 2021-04-21 2021-04-21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051912 2021-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297A1 true WO2022225297A1 (ko) 2022-10-27

Family

ID=8372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585 WO2022225297A1 (ko) 2021-04-21 2022-04-19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2529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391A (ja) * 2005-07-06 2009-03-05 Takehito Kono 悪液質改善治療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製剤
KR20090099945A (ko) * 2008-03-19 2009-09-2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0678A (ko) * 2011-01-08 2012-07-1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3985A (ko) * 2018-02-28 2019-09-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876A (ko) * 2018-06-19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391A (ja) * 2005-07-06 2009-03-05 Takehito Kono 悪液質改善治療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製剤
KR20090099945A (ko) * 2008-03-19 2009-09-2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0678A (ko) * 2011-01-08 2012-07-1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3985A (ko) * 2018-02-28 2019-09-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876A (ko) * 2018-06-19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AE-YOUNG: "Development of anti-cachectic herbal medicine ameliorating cancer-induced weight loss", FINAL REPORT, SCIENCE AND ENGINEERING INDIVIDUAL BASIC RESEARCH SUPPORT PROJECT, 1 June 2020 (2020-06-01), Korea, pages 1 - 20, XP009540623 *
KIM HYUN A., LEE DONG‐SUNG, LEE HWAN, LEE JOOMIN: "Lysimachia christinae Hance as an anticancer agent against breast cancer cells", FOOD SCIENCE & NUTRITION, vol. 8, no. 10, 1 October 2020 (2020-10-01), pages 5717 - 5728, XP055979863, ISSN: 2048-7177, DOI: 10.1002/fsn3.1875 *
LEE JINJOO, JEONG MYUNG IN, KIM HYO-RIM, PARK HYEJIN, MOON WON-KYOUNG, KIM BONGLEE: "Plant Extracts as Possible Agents for Sequela of Cancer Therapies and Cachexia", ANTIOXIDANTS, vol. 9, no. 9, 1 January 2020 (2020-01-01), pages 1 - 38, XP055979864, DOI: 10.3390/antiox9090836 *
SON CHANG-GYU: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y of Botanical Drug for Cancer Cachexia", FINAL REPORT, BIO/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1 October 2019 (2019-10-01), Korea, pages 1 - 33, XP00954047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416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WO2016060426A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3100340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2225297A1 (ko)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1446B1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82479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30650A1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2134252A2 (ko)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536959B1 (ko) 내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6935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20145173A (ko)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5767B1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99420A2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WO2012108744A2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20070097867A (ko) 귀전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2108745A2 (ko) 조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070110150A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19004626A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5741A1 (ko) 번행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16107A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22075765A1 (ko) 파바톤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에 의한 인지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1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91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