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650A1 -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650A1
WO2018030650A1 PCT/KR2017/007449 KR2017007449W WO2018030650A1 WO 2018030650 A1 WO2018030650 A1 WO 2018030650A1 KR 2017007449 W KR2017007449 W KR 2017007449W WO 2018030650 A1 WO2018030650 A1 WO 20180306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besity
leaf extract
chrysanthemum leaf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4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명숙
류리
김예진
권은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89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18295A/ko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306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6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Obesity generally means that the body has an excessive amount of fat tissue, and the energy consumed by food is not balanced with the energy consumed by physical activity, so that surplus energy is accumulated as body fat.
  • Abnormally increasing body fat due to energy imbala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uses various metabolic diseases and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lipidemia, heart disease, stroke, arteriosclerosis, fatty liver, etc., which is a serious social problem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Korea. have.
  • the anti-obesity drugs are mainly used to suppress fat absorption, promote lipolysis and heat generation, regulate appetite and satiety, inhibit protein metabolism and intake of food. It can be divided into related emotional regulation mechanisms.
  • commercially available obesity drugs have serious problems causing side effects such as fatty stool, abdominal pain, vomiting, itching, liver damage.
  • Obesity can be treated with diet, regular exercise, lifestyle improvements such as behavioral therapy, and medications such as appetite suppressants and fat absorption inhibitors.
  • Obesity is a chronic disease that requires long-term use when attempting medication.
  • products approved for long-term use in Korea for more than three months include sibutramine, an appetite suppressant, and orlistat, an lipase inhibitor. There is).
  • most of these anti-obesity drugs are psychotropic drugs tha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control appetite, so they have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and vomiting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buse. Therefore,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materials having high stability and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that can solve side effect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nti-obesity agents.
  • chrysanthemum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chrysanthemum family, which is native to China, and when it was introduced to Korea is unknown. Recently, chrysanthemum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blood pressure lower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diuretic and antifungal action, and in the private sector, when the chrysanthemum flower is dizziness or tinnitus caused by headaches or when the eyes are dim, Eating decoction clears eyes, benefits veins and stabilizes the intestines and stomach.
  • chrysanthemum has been studied as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but it is not well known about the significant anti-obesity effect of chrysanthemum leaves, more specifically, chrysanthemum leaves, and research on this is ongoing (Korea Patent 10-A). 1537847), which is still inadequ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voted to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material having an anti-obesity effect, confirming that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can reduce the weight and body fat mass Based on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can reduce the weight and fat mass.
  • the composition may increase the energy metabolic rate.
  • the composition may reduce the fat cell size.
  • the composition is Ucp3 (Uncoupling protein 3) transcript, Fgf2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transcript, Adrb2 (Beta-2 adrenergic receptor) transcript and Adrb3 (Beta-3 adrenergic receptor) It can increase the expression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cripts.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the increase in adipokine content in the blood.
  •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s water, C 1 to C 4 lower alcohol, n-hexane, ethyl acetate, acetone, butyl acetate, 1,3-butylene glycol, methylene chloride, and these It can be extracted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xed solvent of.
  •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may comprise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use of the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es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s reduced in body weight, body fat, fat cell size,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crease of plasma adipokine content, the increase of heat generation and the increase of energy metabolic rate was specifically confirmed. Also, the low dose of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creased the body weight, body fat, and energy metabolic rate similar to the high dose. Confirmed.
  •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that may be caused by an increase in body fat mass as well as obesit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 dietary obesity-induced mouse model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chrysanthemum leaf extract.
  • Figure 2 shows the comparison of body weight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every week for 16 weeks. .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CLL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 CLH high-dose feeding group
  • Figure 3 is a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after 16 weeks of breeding, liver (liver), kidney (kidney). And the total muscle (total muscle) is extracted and weighed and expressed as weight per 100 g body weight.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CLL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 CLH high-dose feeding group mice
  • Figure 4 shows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for 16 weeks, after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peripheral white fat Tissue, mesenteric white adipose tissue and 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 scapula white adipose tissue, and body fat weight were measured and expressed as weight per 100 g of body weight.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 fat diet group
  • CLL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 CLH high-dose feeding group mice
  • FIG. 5A shows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 group (CLL) and high dose feed group (CLH) mice using an animal metabolic measuring device (Oxylet; Panlab, Cornella, Spain). It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energy consumption for 24 hours.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 fat diet group
  • CLL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 group
  • CLH high dose feed group mice
  • FIG. 5B is a quantitative value of 24 hours energy metabolic rate of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 dose feeding group (CLH) mice. The comparison is shown.
  • Figure 6a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cell siz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 Figure 6b shows the results of the scapula brown adipose tissue cell siz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 Figure 6c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Ucp1 in scapula brown adipose tissue according to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ges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expression of Ucp3, Fgf21, Adrb2 and Adrb3 transcripts in the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 group (CLL) and high dose feed group (CLH) mice. It shows the result confirmed.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 fat diet group
  • CLL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 group
  • CLH high dose feed group
  • Figure 8 shows the expression of adipose granulation gene Adrp (plin2) in the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 group (CLL) and high dose feed group (CLH) mice. It shows the result confirmed.
  • Adrp adipose granulation gene Adrp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plasma adipokine (adipokine) content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mi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re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obesity or delays the onset by administ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treatment means any action that improves or advantageously changes the symptoms of obesity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besity” a disease to be improved, prevented or tre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fat cells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 the body due to metabolic disorders, and thus fat is excessively accumulated, and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dyslipidemia. Related complications can be caused,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with hypertension. When energy absorption increases relative to consumption, the mass and volume of fat cells increas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ss of fat tissue.
  •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rac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tracting the extract from natural products, that is,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nventional temperature, pressure.
  •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n-hexane, ethyl acetate, acetone, butyl acetate, 1,3-butylene glycol, methylene chlorid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It can be extracted using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preferably using ethanol, more preferably 70% ethanol.
  •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extract from the chrysanthemum leaves can be extra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cold needle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pared extract can then be filtered or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it can be carried out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 the filt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 the concentration may be a vacuum concentrator
  • the drying may be performed by a spray drying method, a freeze dry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extracted with the solvent may be further fractionated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nol, n-hexane, methylene chloride, acetone,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water, and mixtures thereof.
  • the fractionation temperature may be 4 °C to 12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dietary obesity-induced mouse model.
  • the C57BL / 6J mice are classified into a normal diet group, a high fat diet group, a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ing group and a high dose feeding group, and are bred for 16 weeks to check the weight change to reduce the weight loss effect of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 Example 2-1 after ingest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with a high-fat diet, the weight of liver, kidney and muscle tissue was measured, and the weight loss and height of kidney and muscle tissue were confirmed. (See Example 2-2).
  • the energy metabolism rate was measured for 24 hours for each mouse group, and the energy metabolism rate was low in the high fat diet group, whereas the energy metabolism pattern similar to the normal diet group was observed in the intake group of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See example 3.
  • composition contain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weight, body fat reduction, fat cell size reduction, suppression of plasma adipokine content increase, heat generation and energy metabolic rate increase, prevention of obesit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treatment.
  • Chrysanthemum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preferably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5% by weight, but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body fat refers to adipose tissue constituting the body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subcutaneous tissue, mammary gland, and kidneys, and functions as a storage fat, in addition to being used for energy, to protect internal organs and regulate temperature. Excessive accumulation of stored fat is called obesity. In obesity, the amount of body fat is more important than weight in terms of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in the abdominal cavity is more associated with glucose, lipid metabolism, hyperten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than subcutaneous fat. In the present invention, body fat includes both subcutaneous fat and visceral fat.
  • adipokine generally refers to substances secreted from adipocytes, which are derived from cytokines which refer to substances secreted from cells and affect the function of oneself or other cells. In other words, it means a cytokine secreted from fat cells, also called adipocytokine.
  • Representative adipocaines include leptin, tumor necrosis factor (TNF) - ⁇ , interleukin-6, 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adiponectin and resistin. Recently, new adipocaines such as visfatin and retinol binding protein 4 (RBP4) It is known all the time.
  • a common feature of these adipocaines is that their secretion responds to changes in long-term homeostasis—weight changes, insulin sensitivity, rather than abrupt environmental changes. If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adipocaine, it is possible to improve, prevent or treat various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such as obesity,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hyperinsulinemia, diabetes, or liver disease. Can be prevented or trea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commonly used in the formulation,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it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wetting agent, sweetener, flavoring agent, emulsifier, suspending agent, preservative and the lik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applied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ccording to the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determined by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Depending on the extent, drug form,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ime,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refers to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the activity of the drug,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release, th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the drug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dividual therapeutic agents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condition, weight of the patient, the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inactivation rate and excretion rate, the type of disease, the drug used in general 0.001 to 150 mg, preferably 0.01 to 100 mg per kg of body weight may be administered daily or every other day, or divided into 1 to 3 times a day.
  • the dosag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severity of obesity, sex, weight, age, etc., and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controll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 “individual” means a subject in need of a method for preventing, controlling or treating a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a primate, mouse, rat, dog, or cat, which is human or non-human. Means mammals, such as horses and catt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when using a compound having a prevention or improvement effect of obes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od additive, the compound is added as it is I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used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compounds of the invention are added in an amount of up to 15% by weight, preferably up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raw materials.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Examples of the food to which the substance may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dairy products including other noodles, gum,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s,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of the dietary supplement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etc. as additional components, as in the general beverage.
  • Natural carbohydrates described above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ing agent natural sweetening agents such as tau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oportion of said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0.01 to 0.20 g, preferably about 0.04 to 0.10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nd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flesh for prepar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eaf was pulverized for easy extraction, and 70% ethanol was added to 10 kg of chrysanthemum leaves for 2 hours at 65-75 °C, and the number of extraction was 3 times.
  •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and spray dried at 120 ° C. and the yield of chrysanthemum leaf extract was calculated as 10%.
  • Example 2-1 In addition to the weight change analysis of Example 2-1, the effect of ingestion of chrysanthemum leaf extract on organ weight in dietary obesity-induced mouse model was further examined. More specifically, mice in each group bred for 16 weeks were sacrificed and organs were extracted. The weights of the extracted liver, kidney and muscle tissues were measured and expressed as weight per 100 body weight for comparison.
  • liver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group (CLL) and high dose group (CLH) was significantly lower in weight, while height and weight was observed to increase.
  • the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periphery white adipose tissue and mesenteric white adipose tissue corresponding to visceral fat from each mouse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2.
  • 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 scapula white adipose tissue, and total body fat were measured and expressed as weight per 100 g of body weigh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rysanthemum leaf extract on energy expenditure (EE) as well as weight and body fat reduction.
  • EE energy expenditure
  •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mouse was measured using the animal metabolic measuring device (Oxylet; Panlab, Cornella, Spain) during the breeding period of 12 weeks by the method of Example 2-1. More specifically, after calibrating the measuring device with oxygen and carbon, the flow rate in the cage was adjusted to 3 L / min. Thereafter, each mouse was placed in a separate metabolic cage, and energy consumption (oxygen intake) was measured for 24 hours, and an energy metabolic rate was derived using Equation 1 below.
  • the high-fat die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nergy metabolism rate than the normal diet group (ND), while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 Showed similar energy metabolic rate patterns as the normal diet group.
  • the energy metabolic rate of day and night was quantitatively compared,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the energy metabolic rate of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 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 dose feeding group (CL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fat diet group (HFD). It was found that both day and night time were higher.
  • Example 4-1 5 ⁇ m-thick scapula brown adipose tissue sections prepared in Example 4-1 were treated with xylene and alcohol to remove paraffin and subjected to an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against Ucp1 by hydration with distilled water.
  •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take is related to heat generation and energy consumption in adipose tissue.
  • Expression of the transcripts Ucp3, Fgf21, Adrb2 and Adrb3 transcripts was analyzed.
  • Adrp (plin2)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dipose granules was analyzed by the method disclosed in Example 5.
  • transcript Adr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low-dose feeding group (CLL) and high-dose feeding group (CLH) compared to the high-fat diet group (HFD),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t cell size is reduced.
  • the content of leptin, mip-1 ⁇ and resistin and leptin of plasma adipocaine was compared, and the plasma adipocaine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Miliplex MAP Kit (Merck Millipore, USA).
  •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take was found to increase the body weight, body fat mass, fat cell size decrease, plasma adipokine content increase and increase the energy metabolic rate and heat generation, and also the low-dose group (CLL) and high-dose group (CLH) body weight, body fat mass reduction, and energy metabolic rate increase efficacy was found to be similar, low dose intake alone was foun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 CLL low-dose group
  • CLH high-dose group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es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s reduced in body weight, body fat, fat cell size,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crease of plasma adipokine content, the increase of heat generation and the increase of energy metabolic rate was specifically confirmed. Also, the low dose of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ncreased the body weight, body fat, and energy metabolic rate similar to the high dose. Confirmed.
  • the chrysanthemum leaf extrac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that can be caused by increasing body fat as well as obesity at low doses, obesity including chrysanthemum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국화잎 추출물을 통해서,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서 체중, 체지방 감소, 지방세포 크기 감소, 혈장 adipokine 함량 증가 억제, 에너지 대사율 증가 및 열 발생 증가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또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의 저용량 투여시에도 고용량 투여와 유사한 비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저용량으로도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과다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되며, 이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비만 치료용 약물은 크게 지방흡수 억제,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촉진, 식욕 및 포만감의 조절, 단백질 대사 저해 그리고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정서 조절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시중의 비만 치료제들은 지방변, 복부통증, 구토, 가려움증, 간 손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비만은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행동요법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욕억제제와 지방 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비만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시도하는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제품으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향정신성의약품들이므로 두통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남용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판중인 항비만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국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중국이 원산이며,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최근에는 국화가 혈압강하, 항균, 소염, 이뇨 및 항진균작용 등의 여러 가지 약리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국화꽃을 두통으로 인한 어지러움증이나 귀울림 증세 또는 눈이 침침하여 잘 안 보일 때, 달여 먹으면 눈을 맑게 하고, 혈맥을 이롭게 하며 장과 위를 안정시키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종래 국화를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써 연구되었으나, 국화의 부위별, 보다 구체적으로 국화잎의 현저한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한국등록특허 10-1537847),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항비만 효능을 갖는 소재에 대한 개발에 대한 연구에 몰두하던 중, 국화잎 추출물이 체중 및 체지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Ucp3 (Uncoupling protein 3) 전사체, Fgf2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전사체, Adrb2 (Beta-2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 및 Adrb3 (Beta-3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서 체중, 체지방 감소, 지방세포 크기 감소, 혈장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 억제, 열 발생 증가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또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의 저용량 투여시에도 고용량 투여와 유사한 체중, 체지방 감소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저용량으로도 비만뿐만 아니라 체지방량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국화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 디자인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 마우스들의 체중을 16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체중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 마우스들을 16주 동안 사육한 후, 간(liver), 신장(kidney). 및 총 근육(total muscle)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 g 당 중량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들을 16주 동안 사육한 후,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신주위 백색지방조직, 장간막 백색지방조직과 피하 백색지방조직, 견갑골간 백색지방조직 및 체지방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당 중량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동물 대사 측정 장치 (Oxylet; Panlab, Cornella, Spain)를 이용하여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들의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들의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대사율을 낮과 밤으로 구분하여 정량적인 값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세포 크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의 견갑골 갈색지방조직 세포 크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에서 Ucp1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에서 Ucp3, Fgf21, Adrb2 및 Adrb3 전사체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에서 지방과립 형성 유전자 Adrp(plin2)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CLL) 및 고용량 급여군 (CLH) 마우스의 혈장 아디포카인 (adipokine)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비만(obesity)"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을 포함하여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국화잎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국화잎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국화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분무 건조법,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분획 시 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국화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및 고용량 급여군으로 분류하여 16주 동안 사육하며 체중변화를 확인하여 국화잎 추출물의 체중감량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1 참조), 고지방식이와 함께 국화잎 추출물 섭취시킨 후, 간, 신장 및 근육 조직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간의 무게의 감소 및 신장 및 근육 조직 무게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참조).
또한, 각 부위의 내장비방과 피하지방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국화잎 추출물 섭취군에서 중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참조).
더욱이, 각 마우스 군에 대해서,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에서는 에너지 대사율이 낮은 반면에, 국화잎 추출물의 섭취군에서 정상식이군과 유사한 에너지 대사율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참조).
아울러,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및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에서 국화잎 추출물의 섭취군에서 지방세포 크기가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열 발생 및 에너지 소비 관련 전사체인 Ucp3, Fgf21, Adrb2 및 Adrb3 전사체 발현을 분석한 결과, 상기 전사체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방과립 형성에 관여하는 Adrp(plin2)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내지 6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화잎 추출물이 혈장 adipokine인 leptin, mip-1β 및 resistin의 함량 및 leptin:adiponectin 비율을 비교한 결과, 혈장 leptin, mip-1β 및 resistin의 함량 및 leptin:adiponectin의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참조).
따라서,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체중, 체지방량 감소, 지방세포 크기 감소, 혈장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 억제, 열 발생 증가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는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국화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충량에 대해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체지방"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조직을 의미하며 피하조직, 유선, 및 신장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저장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이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기능을 한다. 저장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하며 비만에서는 합병증 예방 관점에서 체중보다 체지방의 양이 중요시된다.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당, 지질대사이상,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과의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체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디포카인(adipokine)"은 일반적으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들을 지칭하는데, 이는 세포에서 분비되어 자기 자신이나 다른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지칭하는 사이토카인에서 유래된 단어로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이라는 뜻이며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아디포카인으로는 렙틴,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6, 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등이 있고, 최근 visfatin, retinol binding protein 4 (RBP4) 등 새로운 아디포카인들이 계속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아디포카인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이들의 분비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보다는 보다 장기적인 항상성의 변화-체중변화, 인슐린 감수성의 변화 등에 반응하여 대처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아디포카인의 농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대사 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아디포카인의 지방조직 및 간 조직에서의 다양한 조절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또는 간질환과 같은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 당 0.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조절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예방, 조절 또는 치료방법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 내지 0.10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국화잎 추출물의 수득
국화잎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eaf)은 추출이 용이하도록 분쇄한 후 국화잎 10kg에 70% 에탄올(ethanol)을 가하여 65-75℃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추출횟수는 3회로 하였다. 추출액은 농축한 후 120℃에서 분무 건조시켜 사용하였으며, 국화잎 추출물의 수율은 10%로 산출되었다.
실시예 2. 국화잎 추출물의 동물 모델에서의 비만 억제 활성 확인
2-1.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체중 변화 확인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국화잎 추출물의 섭취가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을 디자인하여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 (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 (HFD+1.5% Chrysanthemum leaf; CLL) 및 국화잎 추출물 고용량 급여군 (HFD+2.5% Chrysanthemum leaf; CLH)으로 분류하여 16주 동안 사육하며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 모두에서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섭취 1주 후부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체중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장기 중량 확인
상기 실시예 2-1의 체중 변화 분석에 더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국화잎 추출물의 섭취가 장기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6주간 사육한 각 군의 마우스들을 희생시키고 장기들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 신장 및 근육 조직의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당 무게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의 경우에는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중량이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반면 신장 및 중량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3.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지방조직의 중량 확인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의한 지방조직의 중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각 마우스로부터 내장지방에 해당하는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신주위 백색지방조직 및 장간막 백색지방조직과 피하 백색지방조직, 견갑골간 백색지방조직, 체지방 총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 (HFD)에 비하여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신주위 백색지방조직 및 장간막 백색지방조직 모두 중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하 백색지방조직, 견갑골간 백색지방조직 및 체지방 총량 중량의 경우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 (HFD)에 비하여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조직 중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국화잎 추출물이 에너지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화잎 추출물 섭취가 체중과 체지방량 감소 효과와 더불어 에너지 대사율(energy expenditure, EE)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12주의 사육기간 동안 동물대사 측정장치(Oxylet; Panlab, Cornella, Spain)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소와 탄소로 측정기기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한 후 케이지 내 유량 속도를 3L/min로 조절하였다. 이후, 각 마우스를 분리된 대사 케이지에 넣고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산소섭취량)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에너지 대사율을 도출하였다.
Figure PCTKR2017007449-appb-M000001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에너지 대사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의 경우 정상식이군과 유사한 에너지 대사율 패턴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과 밤의 에너지 대사율을 각각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의 에너지 대사율이 낮과 밤시간 모두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국화잎 추출물이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 견갑골 갈색지방조직 형태 및 Uc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1. 부고환 지방조직 및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의 형태 확인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및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을 10 % 포르말린 완충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부고환 백색지방조직과 갈색지방조직을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5 μm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한 다음,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으로 염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200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및 견갑골 갈색지방조직 모두에서 고지방식이군 (HFD)에서 정상식이군(ND)에 비해 지방세포 크기가 뚜렷하게 증가한 것이 관찰된 반면,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보다 지방세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4-2. 견갑골 갈색지방 조직에서 Ucp1 발현 확인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5 μm 두께의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절편을 크실렌과 알코올에 처리하여 파라핀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함수과정을 거쳐 Ucp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반응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화잎 추출물 섭취에 의해 견갑골 갈색지방조직에서 Ucp1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열 발생 및 에너지 소비 관련 전사체 발현 분석
본 발명에 따른 국화잎 추출물 처리에 따라 지방 조직에서 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소비를 통한 대사 속도 및 항비만 효과를 높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국화잎 추출물 섭취가 지방조직에서 열 발생 및 에너지 소비 관련 전사체인 Ucp3, Fgf21, Adrb2 및 Adrb3 전사체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m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때, Illumina사의 Truseq RNA sample Prep Kit를 이용하여 cDNA를 얻었다. 최종 산물은 2100 Bioananlyz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Hiseq 2500을 이용하여 서열해독을 실시하였다. 상기로부터 생산된 서열은 quality check를 위해 FastQC v0.11.2을 이용하였고, Tophat V.2.0.12를 이용하여 유전체 서열에 정렬되었다. 유전자별 발현량의 측정은 Cufflinks V.2.2.1을 이용하여 계산되었으며, 추출된 유전자는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 (HFD)에 비하여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열발생 및 에너지 소비 관련 전사체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지방과립 형성 전사체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5에서 개시하고 있는 방법으로 지방과립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Adrp(plin2)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 (HFD)에 비하여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전사체 Adrp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감소와 연결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국화잎 추출물이 혈장 adipok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에 따른 국화잎 추출물이 혈장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혈장 아디포카인인 렙틴 (leptin), mip-1β 및 레지스틴 (resistin)의 함량 및 렙틴 (leptin) : 아디포넥틴 (adiponectin) 비율을 비교하였으며, 이때, 혈장 아디포카인의 함량은 Miliplex MAP Kit (Merck 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과 비교하여 혈장 leptin, mip-1β 및 resistin의 함량 및 leptin : adiponectin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국화잎 추출물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에서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leptin, mip-1β 및 resistin의 함량 및 leptin : adiponectin의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국화잎 추출물 섭취는 체중, 체지방량, 지방세포 크기 감소, 혈장 adipokine 함량 증가 억제 및 에너지 대사율과 열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저용량 급여군(CLL) 및 고용량 급여군(CLH)의 체중, 체지방량 감소,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능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는바, 저용량 섭취만으로도 항비만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서 체중, 체지방 감소, 지방세포 크기 감소, 혈장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 억제, 열 발생 증가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또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의 저용량 투여시에도 고용량 투여와 유사한 체중, 체지방 감소 및 에너지 대사율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저용량으로도 비만뿐만 아니라 체지방량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으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6)

  1.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cp3 (Uncoupling protein 3) 전사체, Fgf2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전사체, Adrb2 (Beta-2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 및 Adrb3 (Beta-3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0.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용도.
  11.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cp3 (Uncoupling protein 3) 전사체, Fgf2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전사체, Adrb2 (Beta-2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 및 Adrb3 (Beta-3 adrenergic receptor) 전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아디포카인 (adipokine) 함량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PCT/KR2017/007449 2016-08-12 2017-07-12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80306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07 2016-08-12
KR20160103007 2016-08-12
KR1020170068971A KR20180018295A (ko) 2016-08-12 2017-06-02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17-0068971 2017-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650A1 true WO2018030650A1 (ko) 2018-02-15

Family

ID=6116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449 WO2018030650A1 (ko) 2016-08-12 2017-07-12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306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859A (zh) * 2019-06-26 2019-08-16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肝损伤的菊叶提取物及其应用
US20220280583A1 (en) * 2019-09-03 2022-09-08 Genencell Inc.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WAL, 0. A.: "The essential oil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from Nigeria", AMERICAN JOURNAL OF ESSENTIAL OILS AND NATURAL PRODUCTS, vol. 2, no. 1, 2014, pages 63 - 66, XP055603525 *
LEE, J. H.: "Evaluation of Compositae sp. plants for antioxidant activity,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antiadipogenic activity in vitro", FOOD AND AGRICULTURAL IMMUNOLOGY, vol. 25, no. 1, 2 January 2014 (2014-01-02), pages 104 - 118, XP055603521, ISSN: 0954-0105, DOI: 10.1080/09540105.2012.749394 *
NIGRO, E.: "New insight into adiponectin role in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ease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 2014, 2014, pages 1 - 14, XP055486972 *
SCHNEIDER, K.: "Increased energy expenditure, Ucp1 expression, and resistance to diet-induced obesity in mice lacking nuclear factor-erythroid-2-related transcription factor-2(Nrf2",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91, no. 14, 1 April 2016 (2016-04-01), pages 7754 - 7766, XP055603530, ISSN: 0021-9258, DOI: 10.1074/jbc.M115.673756 *
YAMAMOTO, J.: "Hot water extracts of edibl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exert antidiabetic effects in obese diabetic KK-AY mice",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 79, no. 7, 2015, pages 1147 - 1154, XP055559342, DOI: doi:10.1080/09168451.2015.1008975 *
YE, Q.: "Effect of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on quality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infusion",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 16, no. Suppl 1, 2007, pages 183 - 187, XP055603528, ISSN: 0964-705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859A (zh) * 2019-06-26 2019-08-16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肝损伤的菊叶提取物及其应用
CN110123859B (zh) * 2019-06-26 2022-03-11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肝损伤的菊叶提取物及其应用
US20220280583A1 (en) * 2019-09-03 2022-09-08 Genencell Inc.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058142A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014502A1 (ko) 해당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51767A1 (ko)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030650A1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40432A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202421179A (zh) 用於抑制睪固酮及/或二氫睪固酮降低之組成物
KR101621446B1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67444A1 (ko)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16724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50272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98192A1 (ko) 한약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42371A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33994A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52653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3191249A1 (ko)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WO2023229263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1187679A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77234A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14A1 (ko) 알코올성 간 손상 또는 알코올성 뇌 손상 보호를 위한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96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96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