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91249A1 -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91249A1
WO2023191249A1 PCT/KR2022/020842 KR2022020842W WO2023191249A1 WO 2023191249 A1 WO2023191249 A1 WO 2023191249A1 KR 2022020842 W KR2022020842 W KR 2022020842W WO 2023191249 A1 WO2023191249 A1 WO 20231912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up
pawpaw
composition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8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상윤
이창준
허진영
유귀재
이현희
김윤숙
최인욱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717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2324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1912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912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n extract of Asimina triloba .
  • Obesity generally refers to the state of excessive fatty tissue in the body, and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energy consumed through food is not balanced with the energy consumed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the excess energy is accumulated as body fat.
  • Obesity has a wide variety of causes, including genetic factors, environmental influences due to irregular eating habits, lack of exercise or westernized eating habits, depression, boredom, psychological effects due to excessive stress, and pathological factors due to changes in thyroid or adrenal cortex hormones. It is known to be caused by Recently, with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lifestyl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busy modern people are increasingly overweight and obese due to high-calorie diets such as fast food and little exercise.
  • Obesity is recognized as more serious because of the various complications that can be caused by obesity than the risk itself. If body fat increases abnormally due to energy imbala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lead to diabetes, hyperlipidemia, heart disease, stroke, and arteriosclerosis. , various metabolic diseases such as fatty liver disease and adult diseases are caused. In addition, obesity can cause not only physical diseases but also mental diseases such as social isolation, alienation, lack of confidence, and depression, which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Korea, and the ne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is very important. It is recognized as such.
  • Obesity can be treated through diet, regular exercise, lifestyle changes such as behavioral therapy, and medications such as appetite suppressants and fat absorption inhibitors. Since obesity is a chronic disease, attempting drug treatment requires long-term use. Currently, products approved for long-term use in Korea for more than 3 months include the appetite suppressant sibutramine and the lipolytic enzyme inhibitor orlistat. ). However, most of these obesity treatment drugs are psychotropic drugs tha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control appetite, so they are accompanied by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s and vomiting and have problems such as concerns about abus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to develop a material with high stability and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that can solve the side effect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nti-obesity drugs.
  • pawpaw extract has an effect of inhibiting lipid production and can be applied as an anti-obesity material,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ssociated therewith.
  • An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Asimina trilob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which includes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osition containing a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a pawpaw extract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s.
  • Another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a pawpaw extract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the production of a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s.
  • Another exemplary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dministering an extract of the pawpaw tre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simina trilob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awpaw tree is a deciduous shrub of the Popporaceae family, which mainly grow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is easy to cultivate due to its strong pest and cold resistance.
  • the pawpaw tree is known to have anti-cancer properties, but its use in relation to obesity is not yet known.
  • the pawpaw tree can be used as is without damaging its original form, or it can be used after performing a pretreatment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speed and process (manufacturing) efficiency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treatment process includes,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go through the usual steps of sorting, washing, cutting, powdering, and drying.
  • “obesity”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fat cells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 the body, resulting in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and 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metabolic diseases accompanied by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can cause When energy absorption increases relative to consumption, the number and volume of fat cells increas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ss of fat tissue.
  •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may include inhibiting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mproving blood lipids, reducing body weight, reducing body fat, or improving blood cholesterol.
  • metabolic disease may be a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 for example, diabetes, diabetic complications, stroke, hyperlipidemia, fatty liver, arteriosclerosi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or metabolic syndrome in which the above diseases occur simultaneously.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diabetic complication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iabetic neuropathy, diabetic nephropathy, diabetic myocardial infarction, diabetic retinopathy, diabetic cataracts, or diabetic foot ulcers.
  • extract refers to the extract itself, such as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treatment of the pawpaw tree, a diluted or concentrated liquid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crude product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etc. and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 the ext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extracted according to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hot water extraction, cold immersion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steam distillation, elution, compression,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and reflux extraction, which are performed alone or u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It can be performed by doing this.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extracting the pawpaw tree using an appropriate solv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rude extract, a polar solvent-soluble extract, or a non-polar solvent-soluble extract.
  •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to prepare the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include wat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propyl alcohol, and butyl alcoh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Alternatively,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For example, it may be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with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pawpaw extract may be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eds, fruits, roots, stems, and leaves of the pawpaw tree.
  • it may be a fruit extract of the pawpaw tree.
  • the pawpaw extract can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transcription factors include FAS, PPAR ⁇ , and C/EBP ⁇ . and adiponecti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types of formulation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ade from food as a raw material and having no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the drug for a long period of tim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ny form, and specifically, health functional food preparations such as tablets, capsules, pills, granules, liquids, powders, flakes, pastes, syrups, gels, jellies, bars, etc. It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verages, gums, and candi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ood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 Food additives can generally be understood as substances that are added to, mixed with, or infiltrated into food when manufacturing, processing, or preserving food. Since they are consumed daily an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food, their safety must be guaranteed.
  • the food additives are classified into sweeteners, flavorants, preservatives, emulsifiers, acidulants, thickeners, etc. in terms of function,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meet the purpose to be achieved by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food additives, bioactive substances or minerals known in the art for the purpose of functionality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nd whose safety is guaranteed as food additives.
  •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r mineral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meet the purpose to be achieved by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he above-mentioned food additives in an effective amount to achieve the purpose of addition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and with respect to other food additiv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untry's food code You can also refer to the Food Additives Cod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a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awpaw tree In the present invention, “pawpaw tree”, “extract”,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are as described above.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 of suppressing or delay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through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disease cause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alleviates, or beneficially changes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 is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refers to a product prepar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and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it can be formulated into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etc., and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external preparation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the administration route may be any suitable route, including topical route, oral route, intravenous route, intramuscular route, and direct absorption through mucosal tissue, and two or more rout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routes is a case where two or more dosage forms of drug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oute are combined, for example, when one drug is administered firstly through an intravenous route and the other drug is administered secondarily through a local rout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route or dosage form, and for specifics, each country's pharmacopoeia, including the 'Korean Pharmacopoeia', can be referred to.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dditionally,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atural carrie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it can be prepared using commonly us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are made by adding at least one excipient to the compound,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etc.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oral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they contain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You can.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weth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in, glycerogelatin, etc. can be used.
  • references can be made to, for example,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The above documents are considered part of this specific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that is sufficient to treat the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 the effective dose level refers to the patient's health status, typ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factors including the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the drug, method of administration,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drugs combined or used simultaneous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various routes to mammals such as rats, dogs, cats, cows, horses, pigs, and humans, and humans may be preferable. All modes of administration are contemplated and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injection.
  • the meaning of “includ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tha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capable of showing a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for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a pawpaw extract.
  • pawpaw tree, extract,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are as described above.
  •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with functional properties useful to the human body.
  • functionality refers to obtaining effects useful for health purposes, such as controll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effect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manufactu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during production.
  •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an be manufactu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ormulation include tablets, capsules, pills, granules, liquid, powder, flakes, paste, syrup, It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alth functional food preparations such as gels, jellies, bars, beverages, gums, and candi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n extract of Pawpaw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quasi-drug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pawpaw extract, such as abrasives, wetting agents, binders, foaming agents, sweeteners, preservatives, medicinal ingredients, flavoring agents, colorants, solvents, and whitening agents. ,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olubilizers or pH adjusters.
  • the type of the quasi-dru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quasi-drug commonly us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quasi-drugs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othpaste, mouthwash, gum, candy, oral spray, oral ointment, oral varnish, oral film, and gum massage cream. .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awpaw tree, extract,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are as described above.
  • the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feed additives.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supplement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 the term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meal, especially for or suitable for eating, ingestion, and digestion by animals.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plant feeds such as grains, roots and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cucurbits or grain by-products;
  • Examples include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and oils, minerals, oils and fats, single-cell proteins, zooplanktons or foods.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mprove, prevent, or treat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by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an extract of Pawpaw tree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to improve, prevent, or treat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achieve the efficacy of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 subject 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 human, monkey, cow, horse, sheep, pig, chicken, turkey, quail, cat, dog, mouse, rat, rabbit, or Including guinea pigs, preferably mammals, more preferably humans.
  •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given substance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through all common routes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using any device capable of delivering the active ingredient to target cells, tissues, or organ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osition containing a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d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the use of a pawpaw extract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the use of a pawpaw extract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lipid metabolism, or metabolic diseas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rovides a method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dministering an extract of the pawpaw tree. .
  • the pawpaw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and is used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od compositions, health functional foods, quasi-drug compositions and feeds containing the pawpaw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ytotoxicity of the pawpaw extract.
  • Figure 2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f pawpaw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preadipocytes (3T3-L1).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FAS, PPAR ⁇ , C/EBP ⁇ , and adiponectin) in preadipocytes after treatment with pawpaw extract.
  • FAS ad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PK protein expression level in preadipocytes after treatment with pawpaw extract.
  • Figure 5 shows body weight changes for 12 weeks in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It represents.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body fat composition analysis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am.
  • Figure 7 shows the fat tissue weight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confirmed result.
  • Figure 8 shows fat relative to total body weight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ratio.
  • Figure 9 shows the liver weight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It is a result.
  • Figure 10 shows the epididymal fat weight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confirmed result.
  • Figure 11 shows adipose tissue around the kidneys in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weight.
  • Figure 12 shows the liver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with the naked eye. This is the result of observation.
  • Figure 13 shows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L) using Oil Red O stain. This is the result of observing the stained liver fat globules in H).
  • Figure 14 shows liver tissue H&E staining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 Figure 15 shows blood sugar measurements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It is a result.
  • Figure 16 shows the blood sugar elevation area ( This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 Figure 17 shows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Figure 18 shows the low-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Figure 19 shows the high-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Figure 20 shows the amino group of aspartate in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ransfer enzyme concentration.
  • Figure 21 shows alanine aminotransferase in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 Figure 22 shows the lactate dehydrogenase concentration of the normal group (N), high-fat diet group (C), positive control group (P), pawpaw fruit extract low concentration group (AT-L), and pawpaw fruit extract high concentration group (AT-H). This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Popo tree fruit was purchased and used from Geochang, Gyeongsangnam-do, Korea. After drying the pawpaw fruit, extraction was repeated twice for 3 hours at 40°C using 70% alcohol (EtOH, remaining 30% water). After extraction, i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n freeze-dried. The prepared extract was stored at -80°C and used in experiments.
  • 3T3-L1 preadipocytes cells were cultured and differentiation was induced.
  • 3T3-L1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 and were supplemented with 10% bovine serum (BS, Gibco, USA)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PS, Gibco, USA). The cells were cultured at 5% CO 2 and 37°C using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80% confluent cells were dispensed into 6 wells at 1 ⁇ 10 5 cells/well using trypsin-EDTA. After 24 hours, when the cells were post-confluent,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3) was added to DMEM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 FBS fetal bovine serum
  • 3T3-L1 cells Natural, N
  • 3T3-L1 cells that were not induced to differentiate were distributed in a 96 well plate at 2 Processed. After 48 hours, treat with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 USA)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remove the medium 1 hour later, and dimethyl sulfoxide ( After dissolving the formazan produced by treatment with dimethylsulfoxide (DMSO),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to evaluate cell viability. As a control, 3T3-L1 cells (Natural, N) that were not differentiated were used.
  • the cell survival rate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pawpaw extract was similar or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regardless of concentration, confirming that the pawpaw extract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 3T3-L1 cells were distributed at 2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pawpaw extract, the cell survival rate was similar to that of the differentiation-induced 3T3-L1 cells in the control group, regardless of concentration ( Figure 1), confirming that the pawpaw extract was not cytotoxic.
  • 3T3-L1 cells induced to differentiate in Experimental Example 1-1 were treated with pawpaw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 g/mL, respectively, and then on the 8th day, the medium was removed and incubat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After washing with (PBS, Gibco, USA), it was fixed with 3.6% formaldehyde for 15 minutes. After washing three times with distilled water, the treated area was treated with filtered Oil Red O solution and stained for 15 minutes. The stained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distilled water and photographed. The stained fat within the cells was eluted with 100% isopropanol,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the degree of fat accumul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absorbance at 490 nm.
  • the adipogenesis inhibitory effect of the pawpaw extract was analyzed through the expression levels of representative adipogenic markers, FAS, PPAR ⁇ , C/EBP ⁇ , and adiponectin.
  • FAS is known to be involved in fatty acid production
  • PPAR ⁇ is known to promote fat absorption by regulating fatty acid storage and glucose metabolism
  • C/EBP ⁇ interacts with PPAR ⁇ to promote the late differentiation process of preadipocytes.
  • Adiponectin regulates fatty acid and glucose metabolism and suppresses insulin resistance.
  • 3T3-L1 cells Natural, N
  • 3T3-L1 Control induced to differentiate in Experimental Example 1-1
  • C Cells and the differentiation-induced cells treated with 50, 100, and 200 ⁇ g/mL of pawpaw tree extract, respectively, were incubated with 1% protease & phosphatase (Thrmo) in PRO-PREP for Cell/Tissue (iNtRON Biotechnology, Korea). Fisher Scientific, USA) was added to elute the protein from the cells. Protein extracts were quantified, and the protein amounts in all groups were equalized by diluting them with distilled water.
  • 4X raemmli sample buffer (Bio-rad, USA) was added to the same volume of protein extract, reacted at 100°C for 5 minutes, and then cooled to prepare Western blot protein samples.
  • the prepared protein sample wa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using SDS-PAGE (Bio-rad, USA) and then transferred to a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 (Bio-rad, USA).
  • the transferred membrane was blocked in a buffer containing 5% skim milk for 1 hour and then incubated in primary antibody diluted 1:1000 at 4°C.
  • the secondary antibody HRP-labeled goat anti-rabbit IgG or goat anti-mouse IgG
  • the membrane was reacted with WesernSure PREMIUM Chemiluminescent Substrate (LI-COR, USA) for 1 minute an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was confirmed using ChemiDoc (Bio-rad, USA).
  •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 Normal group Normal, N, 10% fat
  • high-fat diet group Control, C, 60% high fat (TD.06414, ENVIGO, Indianapolis, IN, USA)
  • positive control group Positive, P, 60% high fat + Garcinia cambogia extract 165 mg/kg body weight
  • pawpaw fruit low concentration group (60% high fat + pawpaw fruit extract 100 mg/kg body weight, AT-L)
  • pawpaw fruit high concentration group (60% high fat + pawpaw Tree fruit extract (300 mg/kg body weight, AT-H) was divided into 300 mg/kg body weight, AT-H) and the extract dissolved in saline solution was administered orally using a zonde at a certain time every day and reared for 12 weeks.
  • Body weight and dietary intake were measured once a week. Before autopsy,
  • mouse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Alyzer, Medikors Inc., Seongnam, Korea). Anesthetized mice were placed in the InAlyzer scanning area, whole body scanning was performed, and scan images and body fat mass were measured using InAlyzer software.
  • liver tissue extracted from each experimental group for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as cut to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lesion tissue area could be observed, placed in a cassette, and fixed with 4% formalin solution.
  • the fixed tissue was embedded in paraffin, cut into 4 ⁇ m sections, and stained with H&E.
  • Oil red O staining the liver extracted from each experimental group was cut into appropriate sizes so that the lesion tissue area could be observed and embedded in Tissue-Tek OCT compound (4583, Sakura Finetek, CA, USA).
  • the embedded tissue was cut into 10 ⁇ m sections using a cryostat (Leica CM1850, Wetzlar, Germany) and stained using Oil Red O stain. Stained sections were scanned using a Pannoramic 250 Flash III slide scanner (3DHistech, ltd., Budapest, Hungary) and captured using CaseViewer software.
  • mice in the high-fat diet group (C) 48.86 ⁇ 1.23 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ce in the normal group (N) (32.51 ⁇ 2.24 g), and the weight of mice in the group that consumed pawpaw fruit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48.86 ⁇ 1.23 g) than that of mice in the normal group (N) (32.51 ⁇ 2.24 g).
  • AT-L, AT-H groups and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intake group (P), which is known to have anti-obesity activity,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was observed compared to group C ( Figure 5).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were analyzed.
  • mice in each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1 g/kg body weight of glucose, and blood sugar was measured with a glucometer (Accu-Chek; Roche Diagnostics, Indianapolis, IN, USA) at 0, 30, 60, 90, and 120 minutes. did.

Abstract

본 발명은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치료,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추출물은 비만, 지질 대사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치료,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비만은 유전적인 요인,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또는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 우울감, 지루감, 과다한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인 영향, 갑상선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변화에 의한 병적인 요인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과체중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비만은 지방세포의 비대에 의해 유발되므로,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는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종래에 지방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의 억제와 관련된 항비만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비만은 그 자체의 위험성보다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는데,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더불어 비만은 신체적인 질환뿐만 아니라 사회적 고립감이나 소외, 자신감 결여,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이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행동요법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욕 억제제와 지방 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비만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시도하는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제품으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향정신성의약품들이므로 두통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남용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판중인 항비만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천연 유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포포나무 추출물이 지질생성억제 효능이 있어 항비만 소재로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포포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포포나무"는 포포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주로 미국 동부와 캐나다에 자생하며, 병충해 및 내한성이 강하여 재배가 용이한 식물이다. 포포나무는 항암 성분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만과 관련된 용도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포나무는 그 원형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거나, 당업자가 의도하는 공정 속도 및 공정(제조) 효율을 고려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처리 과정으로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선별, 수세, 절단, 분말화, 건조 등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만(obesity)"은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는 대사성 질환을 포함하는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지질 대사 개선"은 세포 내 지질 축적 억제, 혈중 지질 개선,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또는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당뇨, 당뇨합병증, 뇌졸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장병증, 당뇨병성 심근경색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백내장 또는 당뇨발궤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포포나무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용출법, 압착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포포나무를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포나무 추출물은 포포나무의 씨앗, 열매,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포나무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사인자의 일 예로 FAS, PPARγ, C/EBPα 및 아디포넥틴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화를 유도한 지방전구세포 3T3-L1에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 생성이 억제되며 지방생성 또는 지방전구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FAS, PPARγ, C/EBPα 및 아디포넥틴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음료류, 껌류 및 캔디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 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식품 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 보충의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 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 물질 또는 미네랄류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 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 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 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포포나무", "추출물",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를 통해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발병한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이 호전 또는 완화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이 호전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투여 경로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비자연적 담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투여량 및 횟수는 어떠한 면에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인간인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의 의미는, 약학적 조성물로써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포포나무, 추출물,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기능성" 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제조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음료류, 껌류 및 캔디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포포나무 추출물 외에 의약외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미제, 색소, 용제, 증백제, 가용화제 또는 pH 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약외품일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약, 구강청결제, 껌, 캔디류, 구강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바니쉬(varnish), 구강필름 및 잇몸 마사지 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포포나무, 추출물,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특히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의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subject)"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 (subject)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 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 조직 또는 기관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포포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추출물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바,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포포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방전구세포(3T3-L1)에서의 포포나무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포포나무 추출물 처리후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생성 관련 전사인자(FAS, PPARγ, C/EBPα 및 아디포넥틴)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포포나무 추출물 처리후 지방전구세포에서의 AMPK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12주간 몸무게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체지방 성분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지방조직 무게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총 몸무게 대비 지방 비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간 중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부고환 지방 중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신장 주변 지방조직 중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간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13은 Oil Red O stain을 이용하여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염색된 간의 지방구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14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간 조직 H&E 염색실험 결과이다.
도 15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혈당 상승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저밀도 지질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9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고밀도 지질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0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1은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2는 정상군(N), 고지방식이군(C), 양성대조군(P),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저농도군(AT-L),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군(AT-H)의 젖산탈수소효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포나무 추출물의 제조
포포나무 열매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창에서 재배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포포나무 열매를 건조한 뒤 70% 주정(EtOH, 나머지 물 30%)을 사용하여 40℃에서 3시간동안 2번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시킨 뒤 동결건조하였으며 제조된 추출물은 -80℃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상 포포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분석
1-1. 세포 배양 및 분화 유도
포포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s cell)를 배양하고 분화를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에서 분양받았으며, 10% 소 혈청(Bovine Serum, BS, Gibco,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S, Gibco, USA))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Gibco, USA)을 사용하여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분화 유도를 위해 80% 융합(confluent)된 세포를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6 well에 1 X 105 cell/well로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세포가 후-융합(post-confluent)하게 되면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이 첨가된 DMEM 배양액에 0.5 mM 3-이소부틸-1-메틸잔틴 (3-isobutyl-l-methylxanthine, IBMX, Sigma, USA), 10 μg/mL 인슐린 (Sigma, USA), 10 μM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Sigma, USA) 및 2 μM 로시글리타존 (rosiglitazone, Sigma, USA) (IBMX, 인슐린, 덱사메타손 및 로시글리타존 혼합물: MDI로 표기)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유도 2일 후, 10 μg/mL 인슐린이 포함된 10% FBS DMEM으로 배지 교체를 하였고, 분화 유도 4일과 6일째에도 동일한 배지로 교체하여 총 8일간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실험에 대한 평균값과 평균의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그룹간의 유의성 검증은 Graphpad PRISM 7 (Graph pad software, USA)를 이용하여 one-way ANOVA, Turkey 방법으로 검증하여 p값이 0.05 (p<0.05)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1-2. 세포 독성 분석
포포나무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실험을 이용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분화 유도되지 않은 3T3-L1 세포(Natural, N)를 2 X 104 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뒤 MDI 및 포포나무 추출물을 각각 50, 100, 200 μg/mL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5 mg/mL 농도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 USA)를 처리하고 1시간 뒤에 배지를 제거 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를 처리하여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e)을 녹인 후 57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분화 유도되지 않은 3T3-L1 세포(Natural, 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와 무관하게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율이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나, 포포나무 추출물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3T3-L1 세포를 2 X 104 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뒤 MDI로 분화 유도된 3T3-L1 세포 (Control, C)에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뒤 8일 후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을 때,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와 무관하게 대조군인 분화 유도된 3T3-L1 세포 대비 세포 생존율이 비슷하게 나타나(도 1), 포포나무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1-3. 지방생성 억제 분석
포포나무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1에서 분화를 유도한 3T3-L1 세포에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뒤 지방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1-1에서 분화를 유도한 3T3-L1 세포에 포포나무 추출물을 각각 50, 100 및 2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8일째 되는 날에 배지를 제거 후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Gibco, USA)로 씻어낸 후 3.6% 포름알데히드로 15분간 고정하였다. 증류수로 3회 세척 후 필터한 Oil Red O 용액을 처리하여 15분간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증류수로 3회 세척 후 사진으로 기록하였고, 100% 아이소프로파놀로 세포 내에 염색된 지방을 용출하여 96well plate에 옮긴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 축적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분화 유도 3T3-L1 세포(C)에서 미분화세포(N) 대비 지방 분화구의 지방 함량이 1.8배 이상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와 무관하게 분화 유도 3T3-L1 세포 대비 지방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포포나무 추출물이 지방생성 억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2).
1-4. 지방생성 단백질 발현 분석
대표적인 지방생성 마커인 FAS, PPARγ, C/EBPα 및 아디포넥틴(adiponectin)의 발현 정도를 통해 포포나무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FAS는 지방산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PPARγ는 지방산 저장과 글루코오스 대사를 조절하여 지방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EBPα는 PPARγ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후기 과정을 촉진하고 아디포넥틴은 지방산과 글루코오스 대사를 조절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유도될 때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세포(Natural, N), 실험예 1-1에서 분화 유도된 3T3-L1(Control, C) 세포 및 상기 분화 유도된 세포에 포포나무 추출물을 각각 50, 100, 200 μg/mL로 처리한 세포를 PRO-PREP for Cell/Tissue (iNtRON Biotechnology, Korea)에 1% protease & phosphatase (Th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첨가하여 세포의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단백질 추출물을 정량하고 모든 그룹의 단백질 양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동일하게 맞춰주었다. 동일한 용량의 단백질 추출물에 4X raemmli sample buffer (Bio-rad, USA)를 넣고 100°C에 5 분간 반응시킨 뒤 식혀 웨스턴 블랏 단백질 샘플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단백질 샘플은 SDS-PAGE (Bio-rad, USA)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한 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 Bio-rad, USA)에 옮겼다. 옮겨진 막은 5% skim milk를 함유한 완충액에서 1시간동안 블로킹한 후 1 : 1000으로 희석된 1차 항체에 4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날 2차항체인 HRP-labeled goat anti-rabbit IgG 또는 goat anti-mouse IgG을 1:5000으로 희석하여 1시간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지막으로 WesernSure PREMIUM Chemiluminescent Substrate (LI-COR, USA)에 막을 1분간 반응시킨 후 ChemiDoc (Bio-rad,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분화 유도된 3T3-L1 세포에 비해 FAS, PPARγ, C/EBPα 및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혹인하였다(도 3).
아울러, 지방산의 합성과 분해를 매개함으로써 체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포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분화 유도된 3T3-L1 세포에 비해 AMPK가 활성화되어 지방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험예 2. In vivo 동물모델에서 포포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분석
2-1. 동물모델 준비
5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 (Orient Bio Inc., Seongnam, Republic of Korea)를 구입하여 온도는 23±2℃, 습도는 50±10%, 명암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유지하며 10% fat (TD.06416, ENVIGO, Indianapolis, USA)과 물을 급여하였다. 본 동물실험은 한국식품연구원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
1주간의 적응 기간이 지난 뒤 마우스의 평균 무게는 19.96±0.70 g이었으며 난괴법으로 5군 (각 군당 n=9, 케이지 당 4-5마리)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정상군 (Normal, N, 10% fat), 고지방식이군 (Control, C, 60% high fat (TD.06414, ENVIGO, Indianapolis, IN, USA), 양성대조군 (Positive, P, 60% high fat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165 mg/kg body weight), 포포나무열매 저농도군 (60% high fat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100 mg/kg body weight, AT-L), 포포나무열매 고농도군 (60% high fat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300 mg/kg body weight, AT-H)으로 나누어 매일 일정한 시각에 식염수에 녹인 추출물을 존대(zonde)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하였으며 12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및 식이량은 1주 1회 측정하였으며, 부검 전에는 공복 12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고 조직을 적출하였다.
2-2. 체성분 및 조직 분석
각 실험군 마우스의 체중, 체성분 및 조직 관찰을 통해 포포나무 추출물이 지방 생성 억제에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체성분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측정법 (InAlyzer, Medikors Inc., Seongnam, Kore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마취된 마우스를 InAlyzer 스캐닝 영역에 배치하고 전신 스캐닝을 수행하고, InAlyze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스캔 이미지와 체지방량을 측정하였다.
조직 관찰의 경우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H&E staining)을 위해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간 조직을 병변 조직 부위가 관찰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카세트에 넣고 4%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하고 4μm 섹션으로 절단한 뒤 H&E로 염색하였다. Oil red O staining을 위해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간은 병변 조직부위에 관찰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Tissue-Tek OCT compound (4583, Sakura Finetek, CA, USA)로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은 cryostat (Leica CM1850,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10μm로 절단한 뒤 Oil Red O stain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Pannoramic 250 Flash III slide scanner (3DHistech, ltd., Budapest, Hungary)를 사용하여 염색된 섹션을 스캔하고 CaseViewer software를 사용하여 캡처하였다.
그 결과, 12주차 경과 후 고지방식이군(C)의 마우스 체중 (48.86±1.23g)은 정상군(N)의 마우스 (32.51±2.24g)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군(AT-L, AT-H군)과 비만활성이 알려져 있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섭취군(P)군에서는 C군 대비 유의하게 체중이 감소가 나타났다(도 5). 특히,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섭취한 P군 (44.17±1.59g)보다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AT-L군 (39.45±3.30g) 및 AT-H군 (35.73±3.19g)에서 체중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포포나물 열매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인 체중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InAlyzer(Medikors Inc., 성남, 한국)를 사용한 체성분 분석에서 이중에너지 X선 흡수측정법으로 체지방량을 측정하여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포포나무 추출물을 섭취한 군(AT-L, AT-H군)에서 고지방식이군(C) 대비 체지방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고(도 6), N군 (21.83±0.45%)에 비해 C군 (43.62±1.54%)에서 지방 비율이 증가되며, 포포나무 추출물을 고농도 섭취한 AT-H군에서 고지방식이군(C)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섭취군(P) 대비 지방조직의 무게(12.74±1.90g) 및 체중 대비 지방 비율(35.24±3.71%)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및 8).
또한, 간, 부고환 지방, 신장 주변 지방 조직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N군 (간 1.06±0.07g, 부고환 지방 0.53±0.09g, 신장 주변 지방 0.19±0.07g) 대비 C군 (간 2.45±0.26g, 부고환 지방 2.66±0.24g, 신장 주변 지방 1.37±0.16g)의 무게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AT-L 및 AT-H군에서 간, 부고환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 조직의 중량이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9 내지 11). 또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고농도 섭취한 AT-H군이 저농도 섭취군(AT-L) 대비 더 큰 중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각 실험군의 간을 적출하여 관찰한 결과, C군이 N군 대비 간 크기가 증가와 지방 침착을 확인하였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고농도 섭취한 AT-H군에서 정상간 (N군)과 유사하게 간의 크기 및 지방 침착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각 실험군의 간 조직을 ORO 염색한 결과 C군에서 ORO 염색된 지방구를 확인하였고,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농도의존적으로 염색된 지방구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간 조직 ORO 염색과 동일하게 간 조직 H&E 실험 결과에서도 C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지방 침착을 확인하였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군(AT-L 및 AT-H)에서 지방 침착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하였다(도 14).
2-3. 혈액 분석
각 실험군 마우스의 혈액 분석을 통해 포포나무 추출물이 지방 생성 억제에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2주간 동물실험 후 12시간 공복 후 isoflurane으로 마취된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복대정맥에서 채취되었으며, 원심분리 (2000 x g, 15분)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실험에 사용되기 전까지 -80℃에서 보관하면서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고밀도 지질단백질(high-density lipoprotein (HDL)), 저밀도 지질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LDL)),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ALT)),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LDH))를 분석하였다.
혈당 측정을 위한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s)는 실험 12주차때 12시간 공복 후 진행되었다. 각 군당 9마리의 마우스는 1 g/kg body weight의 글루코스를 경구 투여한 뒤 0, 30, 60, 90, 120분에 glucometer (Accu-Chek; Roche Diagnostics, Indianapolis, IN, USA)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 경과와 관계없이 C군에서 혈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AT-L (119.83±19.42 mg/dL), AT-H (121.67±21.79 mg/dL)군에서 유의하게 혈당이 낮아졌다(도 15). 또한, 혈당이 상승한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에서 대조군인 C군이 가장 수치가 높고,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AT-L 및 AT-H군에서 수치가 유의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도 16).
혈청분석 결과 지질관련 마커인 총 콜레스테롤(도 17), 저밀도 지질단백질(도 18), 고밀도 지질단백질(도 19)이 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AT-L 및 AT-H군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간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AST),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ALT) 혈청 분석 결과 C군에서 증가한 AST, ALT 수준이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낮아진 것을 확인하여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이 생체에 간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20 및 21). 뿐만 아니라 세포가 파괴되면 혈중 농도가 높아지는 젖산탈수소효소가 C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젖산탈수소효소 수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의 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도 22).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5)

  1.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포포나무의 씨앗, 열매,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인 것인,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당뇨합병증, 뇌졸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7.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포포나무의 씨앗, 열매,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당뇨합병증, 뇌졸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음료류, 껌류 및 캔디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5.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당뇨합병증, 뇌졸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7.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포포나무의 씨앗, 열매,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사료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인 것인, 사료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사료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당뇨합병증, 뇌졸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생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사료 조성물.
  23.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24.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25. 비만 또는 지질 대사,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포포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PCT/KR2022/020842 2022-03-31 2022-12-20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WO20231912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10 2022-03-31
KR20220040310 2022-03-31
KR1020220157177A KR20230142324A (ko) 2022-03-31 2022-11-22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157177 2022-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249A1 true WO2023191249A1 (ko) 2023-10-05

Family

ID=8820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842 WO2023191249A1 (ko) 2022-03-31 2022-12-20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9124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669A (ko) * 2015-03-30 2016-10-11 김도진 항암 기능의 아세토제닌의 성분을 포함하는 차 제조방법
KR20180043137A (ko) * 2016-10-19 2018-04-27 이경인 포포나무 잎으로부터 루틴(rutin) 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18168144A (ja) * 2017-03-29 2018-11-01 島根県 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KR20210015491A (ko) * 2019-08-02 2021-02-10 김경호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669A (ko) * 2015-03-30 2016-10-11 김도진 항암 기능의 아세토제닌의 성분을 포함하는 차 제조방법
KR20180043137A (ko) * 2016-10-19 2018-04-27 이경인 포포나무 잎으로부터 루틴(rutin) 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18168144A (ja) * 2017-03-29 2018-11-01 島根県 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KR20210015491A (ko) * 2019-08-02 2021-02-10 김경호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M JIN‐SIK, JANG HYE‐LIM, RHEE YOUNG HA: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of Several Tissues of Pawpaw ( Asimina triloba [L.] Dunal) Grown in Korea", JOURNAL OF FOOD SCIENCE, WILEY-BLACKWELL PUBLISHING, INC, US, vol. 82, no. 8, 1 August 2017 (2017-08-01), US , pages 1827 - 1833, XP093094414, ISSN: 0022-1147, DOI: 10.1111/1750-3841.13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3238A2 (ko) 포름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58142A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960846A1 (en) Novel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eb-fpdk11 and use thereof
WO2021167350A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5030293A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079551A (ja) 筋線維化抑制用組成物
WO2024048934A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06777A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3191249A1 (ko)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WO2013069934A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2022535353A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160181A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이상 증식 및 이동성 질환 또는 혈관 내막증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30650A1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43084B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2324A (ko) 포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대사 개선용 조성물
WO2018008999A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01420A1 (ko) 여주 추출물 또는 여주 유래의 하이드로페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180409A (ja) ロコモティブシンドローム改善用組成物
WO2022182199A1 (ko)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29282A1 (ko) 락토바실러스 쿤케이 nchbl-003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23003009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armelo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WO2023229263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59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