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82199A1 -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82199A1
WO2022182199A1 PCT/KR2022/002790 KR2022002790W WO2022182199A1 WO 2022182199 A1 WO2022182199 A1 WO 2022182199A1 KR 2022002790 W KR2022002790 W KR 2022002790W WO 2022182199 A1 WO2022182199 A1 WO 20221821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ackcurrant
hot water
water extract
extract
fatty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27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호
박선민
양은숙
윤영석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터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터,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지원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터
Publication of WO20221821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821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 Fatty liver is defined as a case in which the weight due to the deposition of fat in the liver consists of more than 5% of the weight in the liver.
  • Non-alcoholic liver disease refers to a case where the cause of fatty liver is not caused by alcohol, and includes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simple steatosis in the liver to steatohepatitis and cirrhosis. The causes of this include fat deposition in the liver due to insulin resistance, excessive nutritional intake, and genetic causes.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s been on the rise for many years, and this is believed to be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chronic liver disease every year.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known to account for most of chronic liver diseases except for cases with clear causes, such as viral or alcoholic, especially in chronic liver diseases before and after puberty.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s described above, the caus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also known to some extent, but, nevertheless, there is no specific treatment method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yet.
  • black currant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 is a dicotyledonous perennial seedlings of the Rosaceae family. It is a very valuable horticultural crop in Oceania, Northern Europe, North America, Russia, Tru, Germany, Scandinavia, the United Kingdom, New Zealand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with an annual worldwide production of 500,000 to 600,000 tonnes. It grows well in the shade and is strong against cold, so it can be grown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Currently, it is mainly cultivated in Hwacheon, Gangwon-do and Buan, Jeolla-do. Blackcurrant contains a very large amount of anthocyanins (250/mg100g fresh fruit). Representative anthocyanins include cyanidin-3-O-rutinoside and delphinidin-3-O-ru. and tinoside (delphinidin-3-O-rutinoside).
  •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contributes to the inhibi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uch as reducing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lowering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GPT). .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uch as reducing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lowering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GPT).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s an active ingredient.
  •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serum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nd GPT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improves cholesterol level,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evel in the liver, and improves fat Since it exhibits an apoptotic effect, it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serum GO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PT glutase transferase
  • FIG. 1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hromatogram results of anthocyanins analyzed in blackcurrant.
  • 3 is a diagram showing a calibration curve of anthocyanins (Delphinidin-3-rutinoside, Cyanidin-3-rutinoside).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ell viability of adipocyt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dependent treatment of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imal model.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s an active ingredient.
  • non-alcoholic liver disease refers to fatty liver not caused by alcohol, and includes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simple steatosis in the liver to steatohepatitis and cirrhosis. do. The causes of this include fat deposition in the liver due to insulin resistance, excessive nutritional intake, and genetic causes.
  •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 Rosaceae family is a dicotyledonous perennial seedling of the Rosaceae family. It is a very valuable horticultural crop in Oceania, Northern Europe, North America, Russia, Tru, Germany, Scandinavia, the United Kingdom, New Zealand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with an annual worldwide production of 500,000 to 600,000 tonnes. It grows well in the shade and is strong against cold, so it can be grown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Currently, it is mainly cultivated in Hwacheon, Gangwon-do and Buan, Jeolla-do. Blackcurrant contains a very large amount of anthocyanins (250/mg100g fresh fruit). Representative anthocyanins include cyanidin-3-O-rutinoside and delphinidin-3-O-ru. and tinoside (delphinidin-3-O-rutinoside).
  • extract refers to a liquid component obtained by immersing a target substance in various solvents and then extract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room temperature, low temperature, or a heated state, and a product such as a solid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liquid component. mean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sult, it can be comprehensively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of the dilutions of the results, their concentrates, their preparations, and their purified products.
  • the extract may be a blackcurrant-derived extract, specifically, a blackcurrant fruit-derived extract.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from various organs of natural, hybrid, and variegated plants of the target plant, for example, roots, above-ground parts, stems, leaves, flowers, body of fruits, skins of fruits as well as plants. It can be extracted from a tissue,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arget plant.
  •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water or various organic solvents.
  • the water or organic solve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ut specifically water, a polar solvent, or a non-polar solvent may be used, and more specifically, water, a lower grade having 1 to 6 carbon atoms. It may be an alcohol (a C1 to C6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butanol), a mixed solvent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water.
  •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ut specifically, a cold extraction method, a heat extraction method ( Hot water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extracting by adding ultrasonic waves, reflux extraction method using a reflux cooler can be used, and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using a heat extraction method (hot water extraction method).
  • the extract may be a blackcurrant fruit extracted with hot water at 80 to 120° C. for 1 to 5 hours, specifically, hot water extraction at 80° C. for 3 hours.
  •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was filtered with a 50 um filter after hot water extractio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40 ° C., and then freeze-dried at -80 ° C. for 3-4 days. was used (Fig. 1).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hibi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GPT).
  • GT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PT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 liver damage appeared due to high serum GOT and GPT concentrations, which are indicators of liver damage,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fed only a high-fat diet without any treatment, but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blackcurrant It was confirmed that serum GOT and GPT were suppressed in all groups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lyophilized fruit (Table 5).
  • the extract may be to reduce the amount of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was increased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but decreased in both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of which the medium dos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Medium) ) showed the greatest decrease (Table 6).
  • the extract may be one that kills adipocytes.
  • the extract may be to improve cholesterol levels, triglyceride levels,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evels in the liver.
  • th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whereas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comparative example) decreased.
  • HD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high-dos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the freeze-dried product of blackcurrant fruit.
  •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 the blood TNF- ⁇ (Tumor necrosis factor- ⁇ ) concentration (pg/ml) indicating the degree of inflammation was de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the lyophilized product of blackcurrant frui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were effectively reduced (Table 7).
  • the level of TNF- ⁇ expression in hepatocytes was also de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fruit inhibits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GPT), cholesterol level,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the liver. It is significant in improving the level, confirming that it exhibits an adipocyte apoptosis effect, and thus confirming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or the first time.
  • GT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TT glutamic pyruvic transferase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ccurrence, spread, and recurrence of a target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 of inhibiting or delaying the occurrence, spread and recurrence of a target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changes the condition for the better.
  • the treatment comprises reducing or alleviating the symptom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ducing the severity of the disease, delaying or slowing the disease, palliation or stabilization of the disease state, and other beneficial resul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0.0001 wt% to 10 wt%, preferably 0.001 wt% to 1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may have one dosage form, and may be oral or parenteral various dosage forms. In the case of formulation, it is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that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one or more compounds and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lactose), gelatin, etc.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lactose), gelatin,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for example,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may be included.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pendent on the subject's type and severity, age, sex, and disease.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drug activity, drug sensitivity,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treatment period,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for a desirable effec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500 mg/kg bw per day, Specifically, it may be preferable to administer 0.1 to 500 mg/kg bw, more specifically, 10 to 150 mg/kg bw.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o various mammals such as mice, livestock, and humans by various routes, and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include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for example, oral, rectal or intravenous, muscle, It may be administered by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Specifically, it may be or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veterinary drugs as well as pharmaceuticals applied to humans.
  • the animal is a concept including livestock and pet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n individual.
  •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animal that has or can develop the target disease, an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or suspected individua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individual can be effectively treated or prevented hav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can be applied to any individual.
  • any animal such as monkey, dog, cat, rabbit, guinea pig, rat, mouse, cow, sheep, pig, goat, birds and fish may be used.
  • administering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in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njugate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the drug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etc. may b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oral composition since the peptide is digestible, it is preferred that the oral composition be formulated to coat the active agent or to protect it from degradation in the stomach.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active agent to a target cel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ctive ingredient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generally in an amount of 0.001 to 1,000 mg/day for an adult (60 kg), Specifically, an amount of 0.1 to 1,000 mg/day, more specifically, an amount of 10 to 600 mg/day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a day.
  • a specific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a particular patient will depend on the specific composition, age, weight, general health, and sex of the patient, including the type and extent of the response to be achieved and, if desired, whether other agents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apply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se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and drugs used together or concurrently with a specific composition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pharmaceutical field.
  • Said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can be ascertain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rough routine dosage determination tests in the art of medicine with a given set of conditions.
  •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administered several times by dividing the do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hil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hormone therapy, drug 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s an active ingredient.
  •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the symptoms of the subject disease and the subject's symptoms are improved or beneficial by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m of pills, powders, granules, needles, tablets, capsules or liquids, and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for example, various foods, for example , beverages,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an essential ingredient that can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other ingredients other than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it may contain various herbal extracts, food supplement additive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conventional food.
  • the food supplement additives include food supplement additives conventional in the art, for example, flavor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fillers, stabilizer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harin, aspartam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it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and pulp for the production of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supplement includes health functional food and health food.
  • the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in addition to supplying nutrients, it is processed to efficiently exhibit bioregulatory functions and has high medical effects.
  • “function (sex)” means to obtain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ac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foo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 drug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can be excellent in portabilit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a feed additive.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auxili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one-meal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one-meal meal, for or suitable for the animal to eat, ingest, and digest.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plant feeds such as grains, root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s,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gourds or grain by-products; and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materials, oils and fats, minerals, oils and fats, single cell proteins, zooplankton, or food. These may be used alon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blackcurrant fruits were washed and then freeze-dried. At this time, the yield was 18% based on the initial weight. Before the experiment, the dried material was pulverized and used.
  • Blackcurrant contains a lot of anthocyanins, among them, cyanidin-3-O-rutinoside is the most abundant, and delphinidin-3-O-rutinoside is the most abundant. O-rutinoside) was the second most abundant, and the two components were standardized using the above two components as indicator components.
  • the OP9 pre-adipocyte cel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and the cell culture was 20% FBS (Fetal Bovine Serum), 2 mM L-glutamine, 100 U/ml penicillin (penicillin), 100 ⁇ g/ml streptomycin (streptomycin) in MEM- ⁇ medium containing 37 °C, 5% CO 2 Cultivation in a cell incubator conditions.
  •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 the concentration-dependent cell viability by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treatment was measured by 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1 (WST-1) assay.
  • the cultured cells were aliquoted to 1 ⁇ 10 4 cells/well in a 96-well plate.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sample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and after incubation for 48 hours, 10 ul of WST-1 reagent was added per 100 ul and reacted using a microplate reader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Tecan Trading AG, Switzerl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as induced by partially removing the pancreas in 10-week-old mice to decrease insulin secretion by 50% and increase insulin resistance with a high-fat, high-cholesterol diet.
  • mice were treated in group 6 (low dose group of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Low-EX, 100 mg/kg bw/day), medium dose group of black currant hot water extract (Medium-Ex, 300 mg/kg bw/day) of the mice as shown in Table 3 below.
  •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high-dose group (High-Ex, 900 mg/kg bw/day), blackcurrant fruit freeze-dried product (BC, Comparative Example, 1,700 mg/kg bw/day), metformin (metformin, Positive-C ( After dividing into positive control group), 30 mg/kg/bw/day), and negative control group (not shown in Table 3)
  • 10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nd samples according to each group were treated on a high-fat, high-cholesterol diet (43% high fat, 2.5% high fat). Cholesterol containing diet) and administered for 8 weeks (Fig. 5 and Table 4).
  • liver damage was confirmed due to high serum GOT and GPT concentrations, which are indicators of liver damage. was confirmed (Table 5).
  • GOT (IU/L) GPT (IU/L) 5) Px-control 54.0 ⁇ 3.2 a 38.2 ⁇ 3.8 a 6) Positive-C 41.0 ⁇ 3.6 c 33.0 ⁇ 2.6 b 1) Low 46.3 ⁇ 1.7 b 26.8 ⁇ 1.8 s 2) Medium 47.0 ⁇ 3.5 b 27.0 ⁇ 2.0 c 3 )High 41.7 ⁇ 2.2 c 24.1 ⁇ 1.7 d 4) BC 40.6 ⁇ 3.0 c 28.6 ⁇ 1.5 c
  • LD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riedewald equation.
  • LDL-cholesterol Total-cholesterol-HDL-cholesterol - TG/5
  • th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but decreas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the freeze-dried product of blackcurrant fruit (Comparative Example) (Table 6).
  • HD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dos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the freeze-dried product of blackcurrant fruit.
  • serum triglycerid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and were lower in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than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cholesterol metabolism.
  • Example 7 Measurement of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liver, insulin resistance index, oxidative stress (peroxidation) index and inflammation-related index
  • Fatty liver disease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evels are closely relate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of the animal model of Example 3 reared for 8 weeks,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Index) Insulin Resistance) level, inflammation-related index TNF- ⁇ (Tumor necrosis factor- ⁇ ) concentration and expression level were measured, and oxidative stress (peroxidation) index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ssay was performed.
  •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Index
  • TNF- ⁇ Tumor necrosis factor- ⁇
  •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tissue was determined by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the TG content of the supernatant using Asan's TG kit after grinding the liver in lysis buffer and centrifuging at 13,000xg at 4°C for 20 minutes. did.
  • HOMA-IR an indicator of insulin resistance
  •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colorimetrically quantified using Asan's glucose kit.
  • Serum insul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with an ultrasensitive insulin ELISA kit (R&D diagnostics, Minneapolis, MN), and HOMA-IR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following formula.
  • HOMA-IR Serum Glucose Concentration (mg/dL) X Serum Insulin Concentration (IU/L)/22.5
  • TNF- ⁇ an inflammation-related indicator
  • concentration of TNF- ⁇ was measured using a TNF-a ELISA kit (Thrmofisher, Waltham, Mass.).
  • the liver was pulverized in trizol to extract total RNA, and cDNA was synthesized using a reverse transcriptase kit.
  • CT was calculated with a mouse TNF- ⁇ primer by real-time PCR to calculate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 was measured.
  • the liver was triturated in lysis buffer, centrifuged at 13,000xg at 4°C for 2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analyzed with a TBAR kit (Thrmofisher, Waltham, MA).
  • the HOMA-IR level an indicator of insulin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but was the lowest in the medium-dose hot water extract. (Table 7).
  • the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showed a similar level of HOMA-IR to that of the medium dos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um dose hot water extract of blackcurrant and the blackcurrant fruit freeze-dried product lowered insulin resistance.
  • the blood TNF- ⁇ concentration (pg/ml) indicating the degree of inflammation was de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effectively reduced in the currant fruit lyophilisate (Table 7).
  • the level of TNF- ⁇ expression in hepatocytes was also de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and blackcurrant fruit lyophilis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evel.
  • Triglycerides (mg/g tissue) HOMA-IR TNF-a (pg/ml) TNF-a expression (AU) TBARS (malnondialdehyde nmol/mg protein) 5) Px-control 47.6 ⁇ 4.8 a 12.3 ⁇ 1.1 a 8.9 ⁇ 0.7 a 1.0 ⁇ 0.12 a 3.05+0.20 a 6) Positive-C 32.9 ⁇ 5.0 c 8.7 ⁇ 0.5 b 5.6 ⁇ 0.6 b 0.85+0.11 b 1.53+0.11 d 1) Low 43.5 ⁇ 4.4 ab 7.7 ⁇ 0.9 c 5.8 ⁇ 0.6 b 0.91+0.11 ab 2.80+0.16 b 2) Medium 32.6 ⁇ 5.2 c 5.9 ⁇ 0.6 d 4.5 ⁇ 0.5 cd 0.81+0.10 b 1.75+0.15 c 3 )High 41.9 ⁇ 3.7 b 8.0 ⁇ 0.7 bc 4.8 ⁇ 0.6 c 0.80+0.10 b 1.62+0.20 cd 4) BC 40.7 ⁇ 5.4 b 5.7 ⁇ 0.8 d 4.2
  • Tables 5 to 7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and Px mice were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the following samples for 12 weeks: 1) Low: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powder 100mg/kg bw/day , 2) Medium: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powder 300mg/kg bw/day, 3) High: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powder 900mg/kg bw/day, 4) BC (Blackcurrant fruit freeze-dried product): 2000 mg/kg bw /day, 5) Px-control (negative control): 2 g dextrin/kg bw/day or 6) Positive-C (metformin): 30 mg/kg bw/day.
  • the values of a and b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 blackcurrant hot water extract inhibits serum GOT and GPT, improves cholesterol levels, triglyceride levels, insulin resistan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evels in the liver, and exhibits apoptotic effect on adipocyte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억제하고,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을 개선시키며, 지방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지방간은 간 내 지방침착으로 인한 무게가 간 내 무게의 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정의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은 그 중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간 내 단순 지방침착(simple steatosis)부터 지방간염, 간경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이의 원인으로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간 내 지방침착, 과도한 영양섭취, 유전적 원인 등이 지목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수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만성 간질환이 증가하는 원인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바이러스성, 알코올성 등 원인이 뚜렷한 경우를 제외한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특히 사춘기 전후의 만성 간질환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진단 방법으로 나이, 공복혈당, body mass index, 혈소판수, 알부민,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ALT(alanine aminotransferase) 비를 이용하여 섬유화 정도를 예측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그 원인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한편, 블랙커런트(Black Currant, Ribes nigrum L.)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다년생 묘목이다. 오세아니아, 북유럽, 북미, 러시아, 폴란드,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 뉴질랜드 및 동부유럽국가들에서 매우 가치 있는 원예작물로 연간 전 세계에서 500,000~600,000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늘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한 특성도 강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현재는 강원도 화천지역과 전라도 부안지역에서 주로 경작되고 있다. 블랙커런트에는 매우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류(250/mg100g fresh fruit)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안토시아닌들로는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cyanidin-3-O-rutinoside),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delphinidin-3-O-rutinoside)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이 간에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고,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저하시키는 등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억제에 기여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식품 기능성 평가 프로그램”과 일부 한국식품연구원의 지원을 받았다.(This work was supported by “Food Functionality Evaluation program”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partl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억제하고,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을 개선시키며, 지방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블랙커런트에서 분석된 안토시아닌의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안토시아닌(Delphinidin-3-rutinoside, Cyanidin-3-rutinoside)의 검량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동물 모델의 실험 설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은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은 지방간을 의미하며 간 내 단순 지방침착(simple steatosis)부터 지방간염, 간경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이의 원인으로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간 내 지방침착, 과도한 영양섭취, 유전적 원인 등이 지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블랙커런트(Black Currant, Ribes nigrum L.)"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다년생 묘목이다. 오세아니아, 북유럽, 북미, 러시아, 폴란드,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 뉴질랜드 및 동부유럽국가들에서 매우 가치 있는 원예작물로 연간 전 세계에서 500,000~600,000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늘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한 특성도 강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현재는 강원도 화천지역과 전라도 부안지역에서 주로 경작되고 있다. 블랙커런트에는 매우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류(250/mg100g fresh fruit)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안토시아닌들로는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cyanidin-3-O-rutinoside),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delphinidin-3-O-rutinosid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블랙커런트 유래 추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블랙커런트 열매 유래 추출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추출물은 대상식물의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대상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물 또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C1 내지 C6의 알코올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으며, 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랙커런트 열매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열수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 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추출법(열수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블랙커런트의 열매를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 구체적으로는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 또는 상기 시간 범위보다 짧은 시간 추출하는 경우, 블랙커런트 열매의 유용성분이 제한적으로 추출되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억제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 또는 상기 시간 범위보다 긴 시간 추출하는 경우, 블랙커런트 열매의 유용성분이 파괴되거나 경제성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 농축하는 단계;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열수 추출 후 50 um 필터로 여과하고 40℃에서 저온 감압 농축한 뒤 -80℃에서 3-4일 동안 동결건조하였으며, 실험 전 건조물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도 1).
본 발명의 추출물은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 급이한 음성대조군에서는 간손상 지표인 혈청 GOT, GPT 농도가 높아 간 손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을 첨가한 고지방식이를 급이한 군에서는 모두 혈청 GOT 및 GPT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상기 추출물은 간 내 중성지방의 축적량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음성대조군에서는 간에서 중성지방의 축적량이 증가하였으나,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이 중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Medium)에서 가장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표 6).
상기 추출물은 지방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처리군은 300 μg/ml의 농도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상기 추출물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을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음성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농도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한 반면,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비교예)에서 감소하였다(표 6). HDL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런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혈청 중성지방 및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및 표 7).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수준은 음성대조군이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반면,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저용량 및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도 대조군보다 HOMA-IR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의 경우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HOMA-IR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이 인슐린 저항성을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어세이를 통해 과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MDA(malondialdehyde) 수준은 음성대조군이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반면, 고용량 및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에서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또한, 염증 정도를 나타내는 혈중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농도(pg/㎖)는 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및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중용량과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표 7). 간세포에서의 TNF-α 발현 수준 또한 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및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감소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랙커런트 열매의 열수 추출물이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억제하고,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을 개선시키며, 지방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대상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대상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징후의 감소 또는 완화, 상기 질병의 정도의 축소, 질병의 지연 또는 완행(slowing), 질병 상태의 일시적 완화(palliation) 또는 안정화, 및 그 외 이로운 결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500mg/kg bw으로,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500mg/kg bw,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0mg/kg bw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에 적용되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물이란 가축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개체"는 대상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개체 또는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에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체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경구 투여시,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성인(60kg)의 경우 0.001 내지 1,000 mg/일의 양,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0 mg/일의 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600 mg/일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료적 유효량은 제공된 증상의 세트로 의약 분야의 통상적인 투여량 결정 테스트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유발을 최소화 하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대상 질환의 의심 및 발명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포함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 유효성분의 함유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제조
블랙커런트 열매를 세척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50 um 필터로 여과하고 40℃에서 저온 감압 농축한 뒤 -80℃에서 3-4일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수율은 최초 중량 대비 14.8%였다. 실험 전 건조물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도 1).
비교예로, 블랙커런트 열매를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수율은 최초 중량 대비 18%였다. 실험 전 건조물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블랙커런트의 안토시아닌의 안정화 및 지표 성분 조사
블랙커런트에는 안토시아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cyanidin-3-O-rutinosid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delphinidin-3-O-rutinoside)가 두번째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바, 상기 2가지 성분을 지표 성분으로 사용하여 표준화하였다.
안토시아닌을 측정하기 위해, 동결건조한 블랙커런트 시료 0.1g에 1% HCl-20% MeOH 용액 10㎖를 첨가한 후 상온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 4℃, 1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 직전 주사기 필터 0.45 um로 2차 여과를 실시하고 HPLC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YMC-pak ODS-AM 303(5.0㎛, 250x4.6㎜), 컬럼 온도 30℃, 유속 0.7㎖/min, UV detector 520㎚, 주입 용량 10㎕)(표 1). 분석표준물질로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Extrasynthese),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Sigma-aldrich)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2002790-appb-img-000001
블랙커런트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인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HPLC로 측정할 때 표준물질로 농도별 선형성을 조사한 결과, 두 가지 지표 성분 모두 직선형을 나타내고 R2가 0.99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 바 지표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3).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의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원물에 비해 현저하게 많은 시아니딘-3-O-루티노사이드, 델피니딘-3-O-루티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블랙커런트 Anthocyanin (㎎/g) Total anthocyanin (㎎/g)
Delphinidin-3-rutinoside Cyanidin-3-rutinoside
추출액 12.30 ± 0.04 11.00 ± 0.02 23.30
원물 1.06 ± 0.01 1.84 ± 0.02 2.90
실시예 3.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 분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만도 중요한 원인인 바,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의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OP9 전지방세포(pre-adipocyte cell)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은 20% FBS(Fetal Bovine Serum), 2 mM L-글루타민(L-glutamine),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함유한 MEM-α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처리에 의한 농도 의존적 세포 생존율은 WST-1(water-soluble tetrazolium salt-1) 어세이로 측정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Х104 cells/well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을 배양한 후 WST-1 시약을 100 ul당 10 ul씩 첨가하여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세포 생존율(%)=(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Х100
그 결과,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처리군은 300 μg/ml의 농도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4.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동물 모델 제작
10주령 마우스에서 췌장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인슐린 분비능을 50% 정도 저하시키고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유도하였다.
상기 마우스를 하기 표 3과 같이 6군(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저용량군(Low-EX, 100㎎/㎏ bw/day),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중용량군(Medium-Ex, 300㎎/㎏ bw/day),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고용량군(High-Ex, 900㎎/㎏ bw/day),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BC, 비교예, 1,700㎎/㎏ bw/day), 메트포민(metformin, Positive-C(양성대조군), 30㎎/㎏/bw/day) 및 음성대조군(표 3에 나타내지 않음))으로 나누고 각 군에 10마리씩 배정한 뒤 각 군에 따른 시료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43% 고지방, 2.5% 콜레스테롤 포함 식이)에 혼합하여 8주 동안 투여하였다(도 5 및 표 4).
Groups 43% high fat diet 2.5% dextrin
양성대조군 메트포민+43% high fat diet 0.05%
Low-EX 블랙커런트+43% high fat diet 0.15%
Medium-Ex 블랙커런트+43% high fat diet 0.45%
High-Ex 블랙커런트+43% high fat diet 1.35%
BC 블랙커런트+43% high fat diet 2.50%
성분/군 Control metformin 저용량 추출물
0.1g/㎏ bw
중용량 추출물
0.3g/kg bw
고용량 추출물 0.9g/kg bw 동결건조물 (비교예)
1.8g/kg bw
Casein 200 200 200 200 200 200
Methionine 3 3 3 3 3 3
Corn starch 270 270 270 270 270 259
Sucrose 200 200 200 200 200 200
Cellulose 34 31.5 32 28 16 5
Corn oil 20 20 20 20 20 20
Shortning 210 210 210 210 210 210
Mineral 35 35 35 35 35 35
Vitamin 10 10 10 10 10 10
Cholin 2 2 2 2 2 2
Cholesterol 25 25 25 25 25 25
블랙커런트추출물   0.5 1.5 4.5 13.5 25
합 계 1,009 1,009 1,009 1,009 1,009 1,009
실시예 5. 간손상 지수 측정
8주간 사육한 실시예 3의 동물 모델에서 간손상 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채혈하여 혈청 내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 활성을 GOT, GPT 키트(아산제약, 서울)를 사용하여 비색정량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음성대조군에서는 간손상 지표인 혈청 GOT, GPT 농도가 높아 간 손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비교예) 모두 혈청 GOT와 GPT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GOT (IU/L) GPT (IU/L)
5) Px-control 54.0±3.2a 38.2±3.8a
6) Positive-C 41.0±3.6c 33.0±2.6b
1) Low 46.3±1.7b 26.8±1.8s
2) Medium 47.0±3.5b 27.0±2.0c
3 )High 41.7±2.2c 24.1±1.7d
4) BC 40.6±3.0c 28.6±1.5c
실시예 6. 콜레스테롤 수준 측정
지방간 질환과 콜레스테롤 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 8주간 사육한 실시예 3의 동물 모델의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및 혈청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농도를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TG 키트(아산제약, 서울)를 사용하여 비색정량으로 측정하였다.
LDL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농도는 하기 Friedewald equation에 따라 산출하였다.
LDL-cholesterol = Total-cholesterol-HDL-cholesterol - TG/5
그 결과, 음성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한 반면,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비교예)에서 감소하였다(표 6).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런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현저히 높았다.
또한, 혈청 중성지방은 양성대조군과 음성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음성대조군에 비해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otal cholesterol
(mg/dL)
HDL (mg/dL) LDL (mg/dL) Triglyceride
(mg/dL)
5) Px-control 148.1±14.8a 26.3±2.1c 102.9±7.9a 94.6±6.5a
6) Positive-C 129.7±12.1b 28.8±1.8b 81.3±8.3b 98.1±9.3a
1) Low 119.7±14.2bc 28.2±1.8bc 74.9±6.9b 83.2±5.3b
2) Medium 110.4±10.2c 27.5±1.7bc 66.7±6.3c 81.5±9.7b
3 )High 117.3±13.9bc 34.0±3.7a 76.8±8.1b 82.8±7.0b
4) BC 114.0±11.4c 33.5±3.5a 67.7±7.2c 73.5±8.3c
실시예 7. 간에서의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지표, 산화적 스트레스(과산화) 지표 및 염증 관련 지표 측정
지방간 질환과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 8주간 사육한 실시예 3의 동물 모델의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수준, 염증 관련 지표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농도 및 발현 수준을 측정하고, 산화적 스트레스(과산화) 지표인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간 조직 내 중성지방 농도는 간을 용해 버퍼(lysis buffer)에서 분쇄하고 4℃에서 13,000x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의 TG 함량을 아산제약의 TG 키트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하였다.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은 공복 혈청 포도당 농도와 혈청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혈청 포도당 농도는 아산제약의 포도당 키트(glucose kit)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하였다. 혈청 인슐린 농도는 초민감성 인슐린 ELISA 키트(ultrasensitive insulin ELISA kit, R&D diagnostics, Minneapolis, MN)로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에 대입하여 HOMA-IR을 산출하였다.
HOMA-IR=혈청 포도당농도 (mg/dL) X 혈청인슐린 농도 (IU/L)/22.5
염증 관련 지표인 TNF-α 농도는 TNF-a ELISA 키트(Thrmofisher, Waltham, MA)로 측정하였다. 간을 트리졸(trizol)에서 분쇄하여 총 RNA를 추출하고 역전사 키트(reverse transcriptase ki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쥐 TNF-α 프라이머와 함께 실시간 PCR로 CT를 계산하여 TNF-α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TBARS 어세이를 수행하기 위해 간을 용해 버퍼에서 분쇄하고 4℃에서 13,000xg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TBAR 키트(Thrmofisher, Waltham, M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성대조군에서는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축적량이 증가하였으나,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비교예)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이 중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Medium)에서 가장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표 7).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 수준은 음성대조군이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반면,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저용량 및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도 대조군보다 HOMA-IR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의 경우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HOMA-IR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이 인슐린 저항성을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TBARS 어세이를 통해 과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MDA(malondialdehyde) 수준은 음성대조군이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반면, 고용량 및 중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에서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또한, 염증 정도를 나타내는 혈중 TNF-α 농도(pg/㎖)는 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및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중용량과 고용량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과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표 7). 간세포에서의 TNF-α 발현 수준 또한 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및 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에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riglyceride
(mg/g tissue)
HOMA-IR TNF-a (pg/㎖) TNF-a
expression (AU)
TBARS (malnondialdehyde nmol/㎎ protein)
5) Px-control 47.6±4.8a 12.3±1.1a 8.9±0.7a 1.0±0.12a 3.05+0.20a
6) Positive-C 32.9±5.0c 8.7±0.5b 5.6±0.6b 0.85+0.11b 1.53+0.11d
1) Low 43.5±4.4ab 7.7±0.9c 5.8±0.6b 0.91+0.11ab 2.80+0.16b
2) Medium 32.6±5.2c 5.9±0.6d 4.5±0.5cd 0.81+0.10b 1.75+0.15c
3 )High 41.9±3.7b 8.0±0.7bc 4.8±0.6c 0.80+0.10b 1.62+0.20cd
4) BC 40.7±5.4b 5.7±0.8d 4.2±0.4d 0.82+0.10b 2.28+0.18c
상기 표 5 내지 7에서의 값은 평균 ±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으며, 12 주 동안 Px 쥐에 다음 시료가 보충된 고지방 식단을 급이하였다: 1) Low: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분말 100mg/kg bw/일, 2) Medium: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분말 300mg/kg bw/일, 3) High: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 분말 900mg/kg bw/일, 4) BC(블랙커랜트 열매 동결건조물): 2000 mg/kg bw/day, 5) Px-control(음성대조군): 2g dextrin/kg bw/day 또는 6) Positive-C(메트포르민): 30mg/kg bw/일. 위첨자가 다른 동일한 행의 a, b 값은 p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은 혈청 GOT 및 GPT를 억제하고,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준,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저항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수준을 개선시키며, 지방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블랙커런트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블랙커런트의 열매를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혈청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ferase)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간 내 중성지방의 축적량을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방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8.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PCT/KR2022/002790 2021-02-26 2022-02-25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821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747 2021-02-26
KR1020210026747A KR20220122877A (ko) 2021-02-26 2021-02-26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2199A1 true WO2022182199A1 (ko) 2022-09-01

Family

ID=8304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2790 WO2022182199A1 (ko) 2021-02-26 2022-02-25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2877A (ko)
WO (1) WO202218219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089A (ko) * 2009-10-21 2012-08-16 마뀌 뉴 라이프 에스. 에이. 안토시아니딘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용방법
KR20160001935A (ko) * 2014-06-30 2016-01-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랙 커런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678301B1 (ko) * 2015-05-13 2016-11-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커런트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70049606A (ko) * 2014-09-25 2017-05-10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오메가-3 지방산과 sglt-2 억제제의 조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089A (ko) * 2009-10-21 2012-08-16 마뀌 뉴 라이프 에스. 에이. 안토시아니딘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용방법
KR20160001935A (ko) * 2014-06-30 2016-01-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랙 커런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70049606A (ko) * 2014-09-25 2017-05-10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오메가-3 지방산과 sglt-2 억제제의 조합
KR101678301B1 (ko) * 2015-05-13 2016-11-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커런트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ANG XILAN, SHEN TIANRAN, JIANG XINWEI, XIA MIN, SUN XUJIA, GUO HONGHUI, LING WENHUA: "Purified Anthocyanins from Bilberry and Black Currant Attenuate Hepatic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Steatohepatitis in Mice with Methionine and Choline Deficienc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US, vol. 63, no. 2, 21 January 2015 (2015-01-21), US , pages 552 - 561, XP055961861, ISSN: 0021-8561, DOI: 10.1021/jf504926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877A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846A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6032249A1 (ko) 모새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74448A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1149301A2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WO2012008788A2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s containing serin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use thereof}
WO2020256464A1 (ko) 항염 활성을 갖는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42113A1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10340A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7099509A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188499A1 (ko) 글리시리진 및 리퀴리틴 함유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06777A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2182199A1 (ko)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121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phytosterol compound
WO2015194809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조절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065059A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46029A1 (ko) 참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 및 근육량 증대용 조성물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46411A2 (ko)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WO2016190689A2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516724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213437A1 (ko)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16107A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60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60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