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945A -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945A
KR20090099945A KR1020080025256A KR20080025256A KR20090099945A KR 20090099945 A KR20090099945 A KR 20090099945A KR 1020080025256 A KR1020080025256 A KR 1020080025256A KR 20080025256 A KR20080025256 A KR 20080025256A KR 20090099945 A KR20090099945 A KR 2009009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fat
blood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813B1 (ko
Inventor
김상찬
박숙자
이종록
신정훈
조미정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8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복자 (Raphani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나복자 물 추출물은 생체 내 실험 (in vivo)을 통해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 난소 주위 지방의 중량, 혈중 지질함량, 혈중 렙틴 및 아디포넥틴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므로, 상기 조성물은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복자, 고지혈증, 비만

Description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aphani semen as an active ingredient showing anti-obesity and anti-hyperlipidemia activity}
본 발명은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Schoen FJ et al .,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pp.473-484, 1994
[문헌 2] 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문헌 3] Kunitomi M, et al ., Int . J. Obes . Relat . Metab . Disord ., 26, pp.361-9, 2002
[문헌 4] Mitchell M, et al ., Reproduction, 130, pp.583-97, 2005
[문헌 5] 중약대사전, 김창민 외, pp.715-718, 1997
[문헌 6] Sahai A, et al ., Am . J. Physiol . Gastrointest . Liver Physiol ., 287, pp.G1035-43, 2004
고지혈증 (hyperlipidemia)은 혈액 속의 지질성분이 보통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혈청지질의 주요 성분을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 (hypercholesterinemia), 고중성지질혈증 (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불리운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 (Schoen FJ et al .,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pp.473-484, 1994).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 (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쏘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상태로 손등에 노란색 결절이 생기고 발목과 손목 주위에 결절이 발생한다. 그리고 눈꺼풀에 결절이 발생하며 홍채 주위에 하얀 고리가 생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80년대 이후 과식과 동물성 지방의 섭취, 운동부족, 흡연과 과음,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고지혈증 환자가 늘고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지나친 혈중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지질 대사에 사용되는 주요 약들은 스타틴, 담즙산 차단제, 피브르산 유도체 등이 있다 이 약들은 각각 다른 기전으로 작용한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선택은 증가된 지단백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이들은 매일 경구로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들은 콜레스테롤과 혈중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지만,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타 틴의 경우 구역, 두통, 복통과 설사나 변비가 나타날 수 있어 근육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담즙산 차단제는 비타민 A, D, K의 장 흡수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 비타민 보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브리산 유도체는 신장 질환, 간질환 또는 담낭 질환에는 부적합한 약이다. 따라서 이들 제제를 대신할 의약품 및 천연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비만은 체지방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상태로 키에 따라 계산되는 건강한 체중의 최대치보다도 적어도 20%이상 체중이 초과하는 경우에 비만으로 여긴다. 비만은 장기와 관절에 압박을 주기 때문에 등의 통증, 엉덩이와 무릎의 통증, 그리고 숨이 가빠지는 것 등 여러 가지 건강문제의 원인이 되며,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고혈압과 같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들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도 불러온다. 또한 비만은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비만한 사람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며 이로 인해 동맥의 내벽에 지방이 축적되는 동맥경화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동맥경화는 고혈압과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이 된다. 동맥 혈전증과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색전증도 자주 나타나며, 담석증의 위험도 더 크고, 당뇨병에도 더 잘 걸리는 경향이 있다. 유방암과 자궁암 같은 여러 암 역시 비만한 사람에게 더 흔하다. 과중한 몸무게는 관절들을 압박하는데, 특히 엉덩이와 무릎의 골관절염은 비만한 사람들에게 흔하다. 호흡성 질환으로 수면 무호흡 역시 비만한 사람들과 관련이 있다. 현재 비만을 판단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준은 복부 지방의 양 및 분포로 알려져 있다 (Kunitomi M, et al ., Int . J. Obes . Relat . Metab . Disord ., 26, pp.361-9, 2002).
전 세계적으로 비만 환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의 원인 규명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 운동 등의 감소에 따른 에너지 항상성의 이상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식단조절과 운동이 필수적이며 식욕 억제 약물을 사용해 볼 수 있으나 부작용 때문에 거의 추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사용되어 인체에 무해함이 입증되어 온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치료제의 경우, 기존 치료제에 의한 내성이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Mitchell M, et al ., Reproduction, 130, pp.583-97, 2005).
렙틴 (leptin)은 식욕조절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ob/ob 마우스에서 지방축적량이 증가할수록 렙틴의 혈중농도는 증가하며, 비만환자의 신체는 렙틴에 대한 저항성을 띠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지방조직은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필요없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지방조직이 에너지 대사와 비만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을 분비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방조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어 왔다. 지방축적량이 증가하면 아디포넥틴 분비량이 감소하며, 당뇨병, 심장질환, 암이 발명할 위험을 증가시키는 좋은 지표가 된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혈장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면서 순환하기 때문에 이를 지표로 삼아 지방대사 이상을 검사하기도 하며, 염증억제 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보고도 있었다. 따라서 아디포넥틴과 렙틴에 대해서 비만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복자는 십자화과에 속한 식물로 무 (Raphanus sativus L.)의 여문 종자이다. 말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둥근 난형과 비슷한데 조금 편평하며 길이는 약 3 mm, 너비는 2.5 mm이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한쪽에 세로 홈이 몇 개 있고 한쪽 끝에 밑씨가 있다. 밑씨는 갈색이고 둥근 점 모양으로 도드라져 있다. 확대경으로 관찰하면 씨 전체에 그물무늬가 촘촘히 있다. 질은 단단하고 쪼개면 황백색 혹은 누런 알맹이가 보이고 알맹이에 정유가 있다. 여름과 가을에 종자가 여물면 포기를 베어 햇볕에 말렸다가 손으로 비벼 씨를 빼내어, 잡물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후 한약재로 사용한다 (중약대사전, 김창민 외, pp.715, 1997).
나복자에는 항균물질이 들어 있어 포도상 구7균과 대장균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을 하고 동심성, 백선균 등의 피부진균에 대한 항진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가 치밀어 오르는 증세를 치료하고 호흡을 가라앉히며 소화를 돕고 가래를 삭히는 효능이 있으며 해수로 인한 기관지 천식, 식적기체 (食積氣滯),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증상, 이질에 의한 이급후중을 치료하는데 나복자가 처방된다 (중약대사전, 김창민 외, pp.716-718, 1997). 근래에 들어, 나복자 추출물 또는 일부 구성성분이 강력한 항돌연변이 활성, 항균, 항고혈압 및 항염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어져 온 천연물 성분 중에 나복자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체중, 난소 주위 지방의 중량, 혈중 지질함량, 혈중 렙틴 및 아디포넥틴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 소하여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나복자는 십자화과의 무 (Raphanus sativus L.), 갯무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raphanistroides Makino) 또는 서양무아재비 (Raphanus raphanistrum L.), 바람직하게는 무 (Raphanus sativus L.)의 건조된 종자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건조된 나복자를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100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150분 동안 추출하는 제 1단계; 이를 여과농축 및 동결 건 조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나복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나복자를 0.1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 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macrogol),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복자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나복자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100 ml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나복자 추출물은 고지방 사료를 먹인 마우스를 통해 경구투여한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저밀도지단백, 혈중 렙틴 및 아디포넥틴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해했으며, 고밀도지단백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항고지혈증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지혈증과 비만 억제효과를 지닌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복자의 물 추출물의 제조
나복자는 대원약업사 (대구, 한국)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다. 나복자의 건조 중량 200 g을 취하여 1.3 L 정제수에 100℃에서 150분간 전탕한 후, 여과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통해 본 발명의 시료 (이하 “RS"이라 명명함)를 수득하여 (최종수율 12.09%)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나복자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나복자는 대원약업사 (대구, 한국)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다. 나복자의 건조 중량 200 g을 취하여 1.2 L 메탄올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5일 방치한 후, 감압농축하여 본 발명의 시료 (이하 “RS-M"이라 명명함)를 수득하여 (최종 수율 6.78%)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 및 실험식이의 준비
120 마리의 성숙한 암컷 ICR 마우스 (SLC, Japan)를 7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 시킨 후 사용하였으며, 6일동안 하기 표 1의 고지방 사료를 공급 후 체중을 기본으로 40% beef tallow가 함유된 AIN-76A 고지방 사료 (Dyets, PA, USA)와 유사한 적응성을 보이는 약 반수의 실험동물을 선정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정상사료 대조군에서는 실험 기간 동안 하기 표 1의 정상 사료를 공급하였고 고지방 사료는 약물 투여 개시 6일전부터 84일동안 계속 공급하였다. 대조약물로 사용된 메트 포민 (metformin)은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현재 비만을 포함한 대사증후군 치료 후보 물질의 약효 검색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교 약물 중 하나이며, 와코사 (Wako chemicals, Osaka, Japan)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당 10 마리씩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으며, 메트포민 (metformin) 250 mg/kg 투여군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RS 125, 250 및 500 mg/kg의 용량을 84일 동안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사료 (g/kg diet) 고지방 사료 (g/kg diet)
Ingredient
Casein 200 200
DL-Methionine 3 3
Corn starch 150 150
Sucrose 500 150
Cellulose 50 0
Corn Oil 50 0
Beef tallow 0 400
Mineral mixture 35 35
Vitamin mixture 10 10
Choline bitartrate 2 2
Energy (kJ/g) 0.91 1.30
Protein (% kcal/kg) 13.3 13.3
Carbohydrate(% kcal/kg) 47.4 19.8
Fat (% kcal/kg) 8.0 65.7
Fiber (% kcal/kg) 8.0 0
Other 23.3 1.3
실험군 투여량 동물수 용매 기간
Normal diet 정상사료 대조군 vehicle only 10 마리 정제수 (10 ml/kg) 고지방사료는 약물 투여개시 6일 전부터 84일동안 계속 공급
40% beef tallow가 함유된 AIN-76A 고지방 사료 고지방 사료 대조군 vehicle only
메타포민 투여군 250 mg/kg
RS 투여군 125 mg/kg
250 mg/kg
500 mg/kg
실험예 1. 형태학적 변화
상기 참고예 1의 실험 동물 체중은 투여일, 7, 21, 35, 49, 63, 77, 83 및 실험결과 표 3 및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변화는 모든 고지방 사료 일인 고지방 사료 공급 7일후부터, 메트포민 (metformin), RS 500 및 250 mg/kg 투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체중이 증가하였다.
실험군 체중 체중 증가량 (g)
약물투여개시일 투여 84일
대조군
정상사료 27.86± 0.94 37.42± 2.48 9.56± 2.44
고지방 사료 33.15± 2.03* 55.99± 3.79* 22.84± 3.08*
메타포민 250 mg/kg 33.01± 2.24* 44.22± 2.09*,# 11.21± 2.19#
RS 투여군
500 mg/kg 33.27± 2.74* 41.98± 1.92*,# 8.71± 2.84#
250 mg/kg 33.00± 2.13* 43.83± 2.94*,# 10.83± 2.66#
125 mg/kg 33.00± 2.47* 50.58± 1.96*,# 17.58± 2.78*,#
정상사료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 * p<0.01; 고지방 사료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 # p<0.01
1-2. 난소주위 지방 중량 측정
상기 참고예 1의 실험 동물의 최종 희생일에 난소 주위 지방을 분리한 다음 습 중량 (g)을 측정하였으며, 체중에 따른 지방 중량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체중 당 지방 중량을 산출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지방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난소주위 지방 중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난소주위 지방함량
습 중량 (g) 체중 당 지방 중량 (%)
대조군
정상사료 0.067± 0.031 0.179± 0.086
고지방사료 0.829± 0.130* 1.477± 0.167*
메타포민 250 mg/kg 0.291± 0.093*,# 0.660± 0.208*,#
RS 투여군
500 mg/kg 0.187± 0.028*,# 0.447± 0.075*,#
250 mg/kg 0.278± 0.075*,# 0.640± 0.188*,#
125 mg/kg 0.521± 0.124*,# 1.038± 0.276*,#
정상사료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 * p<0.01; 고지방 사료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 # p<0.01
실험예 2. 혈중 지질의 함량 측정
2-1.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 측정
상기 참고예 1의 실험동물을 최종 희생일에 마취 하에서 복대정맥으로부터 약 1 ml의 혈액을 채취하여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이후 혈청 중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LDL 및 HDL의 함량을 혈액자동분석장치 (AU400, olympus, Japan)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의 변화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RS 모든 투여군에서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2. 혈중 중성지질의 함량 측정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청 중 중성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같다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혈중 중성지질의 함량이 증가한 반면에,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혈중 저밀도지질 (LDL) 및 고밀도지질 (HDL)의 함량 측정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청 중 저밀도지단백 및 고밀도지단백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청 중 LDL 함량은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청 중 HDL 함량의 변화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혈중 렙틴 (leptin) 및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의 함량 측정
3-1. 혈중 렙틴 (leptin)의 함량 측정
상기 참고예 1의 실험동물을 최종 희생일에 마취하에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중 렙틴 (leptin)의 함량은 Sahai 등의 방법 (Sahai A, et al ., Am . J. Physiol .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7, pp.G1035-43, 2004)에 따라 방사면역측정법 킷트 (radioimmunoassay kit, Linco Research, MO,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혈중 렙틴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혈중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의 함량 측정
상기 참고예 1의 실험동물을 최종희생일에 마취하에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중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의 함량은 ELISA 킷트 (Otsukapharm,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디포넥틴 함량의 변화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조직병리학적 변화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상기 참고예 1의 실험동물의 난소주위 지방 및 복벽에 부착된 지방 조직을 적출한 다음, 포매를 실시한 다음 3~4 ㎛의 절편을 준비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 (Hematoxylin-Eosin) 염색하에서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상 병변 유무를 관찰하였다. 난소 주위 지방 및 복벽 지방 세포의 평균 직경을 자동영상 분석장치 (DMI-300, Image Processing, DMI, Korea)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험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소주위 지방 세포의 평균 직경 변화은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난소주위 지방세포 직경이 증가되었으며,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적된 복벽 지방의 두께 변화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복벽지방 두께의 증가되었으며,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벽 지방세포의 평균 직경 변화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정상사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복벽 지방세포 직경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RS 모든 투여군에서는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사료 대조군(a),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b) 및 메트포민 (metformin) 250 mg/kg 투여군(c)의 난소 주위 지방의 조직학적 소견은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에서 현저한 지방세포 비대가 관찰되었으나 메트포민 (metformin) 투여군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S 500(a), 250(b) 및 125 mg/kg 투여군(c)의 난소 주위 지방의 조직학적 소견은 고지방사료 공급에 의해 초래되는 지방세포 비대가 RS 투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사료 대조군(a),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b) 및 메트포민 투여군(c)의 복벽지방의 조직학적 소견으로 고지방 사료 공급 대조군에서는 난소주위 지방과 유사하게 현저한 지방세포 비대가 관찰되었으나, 메트포민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S 500(a), 250(b) 및 125 mg/kg 투여군(c)의 복벽지방의 조직학적 소견으로 고지방사료 공급에 의해 초래되는 지방세포 비대가 RS 투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조제
RS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조제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RS 1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RS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RS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RS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정량
통상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RS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RS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실험기간동안 체중의 변화(A),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의 변화(B)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2는 혈청 중 중성지질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3은 혈청 중 LDL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4는 혈청 중 HLD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5는 혈청 중 렙틴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6은 혈청 중 아디포넥틴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7은 난소주위 지방 세포의 평균 직경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8은 축적된 복벽 지방의 두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9는 복벽 지방 세포 평균 직경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10은 정상사료 대조군(a),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b) 및 메트포민 투여군(c)의 난소 주위 지방의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11은 RS 500(a), 250(b), 125 mg/kg 투여군(c)의 난소 주위 지방의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12은 정상사료 대조군(a), 고지방사료 공급 대조군(b) 및 메트포민 투여군(c)의 복벽지방의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13는 RS 500(a), 250(b), 125 mg/kg 투여군(c)의 복벽지방의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Claims (6)

  1. 나복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복자는 십자화과의 무 (Raphanus sativus L.), 갯무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raphanistroides Makino) 또는 서양무아재비 (Raphanus raphanistrum L.)의 건조된 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나복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25256A 2008-03-19 2008-03-19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6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56A KR100967813B1 (ko) 2008-03-19 2008-03-19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56A KR100967813B1 (ko) 2008-03-19 2008-03-19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45A true KR20090099945A (ko) 2009-09-23
KR100967813B1 KR100967813B1 (ko) 2010-07-05

Family

ID=4135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256A KR100967813B1 (ko) 2008-03-19 2008-03-19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8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70B1 (ko) * 2017-10-17 2018-09-12 한국식품연구원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225297A1 (ko) * 2021-04-21 2022-10-27 한국한의학연구원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5175A (ko) * 2021-04-21 2022-10-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47B1 (ko) * 2005-03-30 2007-02-12 정두수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70B1 (ko) * 2017-10-17 2018-09-12 한국식품연구원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225297A1 (ko) * 2021-04-21 2022-10-27 한국한의학연구원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5175A (ko) * 2021-04-21 2022-10-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813B1 (ko) 201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7813B1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3524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10158B1 (ko) 엉겅퀴 및 우슬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807169B1 (ko)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51586B1 (ko)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875247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6935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3834B1 (ko) 차전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49930B1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KR20110112915A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20110030875A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07025A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81014B1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761822B1 (ko) 진지버 오피시날 추출물 및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