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60426A1 -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60426A1
WO2016060426A1 PCT/KR2015/010745 KR2015010745W WO2016060426A1 WO 2016060426 A1 WO2016060426 A1 WO 2016060426A1 KR 2015010745 W KR2015010745 W KR 2015010745W WO 2016060426 A1 WO2016060426 A1 WO 20160604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fatty liver
liver disease
alcoholic fatty
alcoh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7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광훈
김윤희
이혜원
임아랑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JP201751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JP6360972B2/ja
Priority to CN201580053640.1A priority patent/CN107105742B/zh
Priority to US15/515,896 priority patent/US10617732B2/en
Publication of WO20160604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604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raceutical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liver disease in Korea The mortality rate of liver disease in Korea is very high, with 23.5 deaths per 100,000 population,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the 40s (41.1 / 100,000), the second cause of death in the 50s (72.4 / 10 million), and the third cause of death in the 30s. Liver disease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he Korean middle-aged population.
  • fatty liver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neutral fat, which does not exist in normal cells, appears abnormally deposited in liver cells. About 5% of normal liver is composed of fatty tissue, and triglycerides, fatty acids, phospholipids, cholesterol, and cholesterol ester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fat, but once fatty liver occurs, most of the components are replaced with triglycerides. If more than 5% of the weight of the liver is diagnosed as fatty liver. Fatty liver deteriorates and the mass of fat in the hepatocytes is pushed to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ells, including the nucleus, to one side, reducing the function of the hepatocytes. This leads to impaired circulation of blood and lymph in the liver. If this happens, the liver cells can not receive adequate oxygen and nutrition, liver function is reduced.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not defined as alcohol damage to liver, but is defined as fatty acids accumulated in the parenchymal cells of the liver more than 5%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Pathologically, it is classified as simple steatosis and steatohepatitis with inflammation, which can lead to serious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liver fibers, and cirrhosis of the liver for a long time. In Korea, the incidence of nonalcoholic liver disease is increasing due to lifestyle changes.
  • Dolichos lablab Linne also known as Swallow bean, Magpie bean or Small bean ( ⁇ )
  • leaves are exudative and regenerated
  • regenerated leaflets are small, triangular egg-shaped
  • leaflets are broad ovate with sharp leaves and near stems.
  • the leaf on is broad wedge or stalk, with flat edges and hairs on both sides.
  • the flowers are butterfly-shaped and white, and the seeds are white to 2-5.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by the above-mentioned demand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in the hepatocytes treated with the white migraine extract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ly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white migra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white migra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reducing body weight or blood sugar elevated by a high-fat diet contain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to an individua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in animals other than humans includ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fatty liver disease in animals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comprising a white migra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By inhibiting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and medicine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Figure 2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neutral fat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reduced by the licorice phyto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a positive control group, after staining with Nile red
  • the figure confirms the fat content.
  •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3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triglycerides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by licorice phyto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after oil red o staining, This is the result of obtaining an image of triglycerides.
  •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ure 4 is a result of Nile staining assay confirming the degree of triglyceride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is reduced by the white migraine hydrothermal extract.
  •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 5 is an image of triglycerides obtained from an oil red o staining assay confirming the degree to which triglycerides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a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are reduced by H. pylori extract.
  •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ure 6 is a result of Nile red staining assay confirming the degree of triglyceride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by the baekpandu ethanol extract.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 7 is an image of triglycerides obtained from an oil red o staining assay confirming the degree of decrease in triglycerides produced by treating 1 mM free fatty acid in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by a white migraine ethanol extract.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 8 is an MTS assay result carried out to confirm the cytotoxicity of the baekryeok hydrothermal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without free fatty acids.
  • Figure 9 is a Nile red dye assay results comparing the degree of reducing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of soybean extract, frost extract, mung bean extract and pea extract as a control and the white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5% (w / v) BSA solution containing no free fatty acids, and the relative values based on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when 100 mM were treated with 1 mM free fatty acids.
  • Figure 10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crease in body weight (A) and the increase in liver tissue weight (B) of the mouse by a high fat diet.
  • CON is a normal control group
  • HFD is a high-fat diet in which fatty liver is ingested by a high-fat diet
  • HFD + DLL-Ex combines a high-fat diet with 25, 50, 100 (mg / kg / day) white migraine hydrothermal extract.
  • Intake group is a normal control group
  • HFD is a high-fat diet in which fatty liver is ingested by a high-fat diet
  • HFD + DLL-Ex combines a high-fat diet with 25, 50, 100 (mg / kg / day) white migraine hydrothermal extract.
  • Intake group is a normal control group
  • Figure 11 shows the total fat (A), abdominal subcutaneous fat (B), epididymal fat of mice with high-fat diet of 25, 50, 100 (mg / kg / day) of Baekjeok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n the weight of tissue (C) and small intestine adipose tissue (D).
  • ## indicates that the total fat (A), abdominal subcutaneous fat (B), epididymal fat tissue (C) and small intestinal adipose tissue (D) of the high fat diet group (HF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ON).
  • Figure 13 is a 25, 50, 100 (mg / kg / day) of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ood due to a high fat triglycerides (A), total cholesterol (B), low density lipoprotein ( C), whether the increase in free fatty acids (D) is confirmed.
  • A high fat triglycerides
  • B total cholesterol
  • C low density lipoprotein
  • D free fatty acids
  • ## means a significant increase in triglyceride (A), total cholesterol (B), low density lipoprotein (C) and free fatty acid (D) in the blood of the high fat diet group (HF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ON) ( p ⁇ 0.01), *, ** are triglycerides (A) and total cholesterol (B) in the experimental group (HFD + DLL-Ex) with high-fat dietary intake and H2D extracts compared to the high-fat diet (HFD). ), Low density lipoprotein (C), free fatty acid (D) means a significant decrease.
  • M100 is a positive control, a group administered with milk thistle extract (100mg / kg / day) with a high fat diet.
  • Figure 14 i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25, 50, 100 (mg / kg / day) of the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in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due to a high fat diet.
  • ## means that the fasting blood sugar level of the high fat diet group (HFD)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ON) (p ⁇ 0.01), and *, ** are the high fat diet intake and back migraine compared to the high fat diet group (HFD).
  • FFD + DLL-Ex the experimental group
  • M100 is a positive control, a group administered with milk thistle extract (100mg / kg / day) with a high fat die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white bean extract may be used a conventional extraction solvent known in the art.
  • Preferred extraction solvents include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and normal-butanol), and the lower alcohols with water Mixed solvents,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1,3-butylene glycol, hexane, diethyl ether, or butyl acetate are used, more preferably water or ethanol, even more preferably water.
  • the water is added by a volume of 5 to 10 times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bag migraine and is extracted by heating at 90 to 110 ° C. for 2 to 3 hours.
  • the extraction solution is preferably filtered through filter paper and then lyophilized,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80% ethanol is added in a volume of 5 to 10 times the weight of the white migraine, and it is extracted by dipping for 22 to 24 hours at a room temperature of 20 to 25 ° C.
  • the extraction solution is preferably filtered through filter paper and then lyophilized,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the white migraine extrac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triglyceride content of the liver tissue,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non-alcoholic simple fatty liver, non-alcoholic fatty hepatitis and non-alcoholic cirrhosis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white bean extract is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food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ll, such as health functional food, nutritional supplements, nutritional supplements, pharmafood (health food), health food, nutraceutical, designer food, food additives, etc. It may be in the form of food, preferably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dairy products including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the method of addition is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 addition amou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other than the active ingredient, but these various componen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preferably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It may also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o add palatability and / or functionality, and these ingredi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 white migra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white bean extract may be used a conventional extraction solvent known in the art.
  • Preferred extraction solvents include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and normal-butanol), and the lower alcohols with water Mixed solvents,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1,3-butylene glycol, hexane, diethyl ether, or butyl acetate are used, more preferably water or ethanol, even more preferably water.
  • the water is added by a volume of 5 to 10 times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bag migraine and is extracted by heating at 90 to 110 ° C. for 2 to 3 hours.
  • the extraction solution is preferably filtered through filter paper and then lyophilized,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80% ethanol is added in a volume of 5 to 10 times the weight of the white migraine, and it is extracted by dipping for 22 to 24 hours at a room temperature of 20 to 25 ° C.
  • the extraction solution is preferably filtered through filter paper and then lyophilized,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the white migraine extrac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triglyceride content of liver tissue,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non-alcoholic simple fatty liver, non-alcoholic fatty hepatitis and non-alcoholic cirrhosis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eparation, saline solution,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lactose, dex Straw,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syrups,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tioxidants, buffers, bacteriostatic agents, diluents, surfactants, binders,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ing agent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or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preferably applied by oral administration.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crib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condition of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sponse of the patient. Can be.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001-100 mg / kg on an adult basi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syrups or emulsions in oils or aqueous media, or in the form of extracts, powder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further comprise dispersants or stabilizer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reducing body weight or blood sugar, which is elevated by a high fat diet contain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to an individual.
  • the subject includes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with the possibilit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cluding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 in animals other than humans includ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Veterinary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excipients and diluent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veterinary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cetanol, Stearyl alcohol, liquid paraffin, sorbitan monostearate, polysorbate 60, m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mineral oil.
  • the veterinary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an anticoagulant , a lubricant, a humectant, a spice, an emulsifier, a preservative, and the like.
  • Formulations may be formulated using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the animal, wherein the formulation is a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suspension, emulsion, solution , Syrups, aerosols, soft or hard gelatin capsules, suppositori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terile external preparations, and the like.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and weight of the animal, but may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0.1 to 100 mg / kg once or several times a day, and the dosage may be a route of administration, a degree of disease, It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gender, weight, age, and the like. Therefore,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additive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fatty liver disease in animals compris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additive may be in the form of a high concentrate, powder or granules containing 20 to 90% by weight of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phosphates such as 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acid pyrophosphate and polyphosphate (polyphosphate), polyphenols, catechins and alpha.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rosemary extract, vitamin C, green tea extract, licorice extract, chitosan, tannic acid, phytic acid.
  •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phosphates such as 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acid pyrophosphate and polyphosphate (polyphosphate), polyphenols, catechins and alpha.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rosemary extract, vitamin C, green tea extract, licorice extract, chitosan, tannic acid, phytic acid.
  • Animal feed additives containing the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eed containing them are amino acids, inorganic salts, vitamins, antibiotics, antibacterial substances, antioxidants, antifungal enzymes, digestive and absorption enhancers, It can be used with materials such as growth promoters, disease prevention agents and the like.
  • the feed additive may be administered to the animal alone in combination with other feed additives in an edible carrier.
  • the feed additives can be easily administered as a top dressing or directly mixed into animal feed or separately from the feed, in a separate oral formulation, by injection or transdermal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ingredients.
  • single or divided daily dosages can be used as is well known in the art.
  • dosage forms of the extracts as is well known in the art, can be prepared in immediate release or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in combination with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dible carriers.
  • Such edible carriers may be solid or liquid, for example corn starch, lactose, sucrose, soy flakes, peanut oil, olive oil, sesame oil and propylene glycol.
  • the dosage form of the extract may be tablets, capsules, powders, torokies or sugar-containing tablets or top dressings in microdisperse form.
  • a liquid carrier it may be in the form of soft gelatin capsules or syrups or liquid suspensions, emulsions or solutions.
  • the dosage form may contain auxiliarie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wetting or emulsifying agents, solution promoters and the like.
  • the animal feed comprising the Dolichos lablab Linne extract as a feed additive may be any protein-containing organic cereal meal commonly used to meet the dietary needs of the animal. Such protein-containing flours typically consist mainly of corn, soy flour, or corn / bean flour mixtures.
  • the feed additive may be used by adding to the animal feed by dipping, spraying or mixing.
  • the veterinary composition or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iet of a companion animal.
  • Oil Red O 0.35 g of Oil Red O was prepared by dissolving in 100 ml of isopropanol, and then filtered using a 0.2 ⁇ m filter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was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TC).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was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The cells were cultured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C., and the cultured cells were tested by dispens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3 ⁇ 10 4 cells / 500 ⁇ l well) in a 24-well plate.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the cells were used when the cells reached 75% saturation (confluence) after the 24 wells completely attached and shaped the cells.
  • a 0.1 M NaOH solution was prepared at 70 ° C. as a solvent, filtered using a 0.2 ⁇ m filter, and then sterilized.
  • ddH 2 O Tertiary distilled water
  • each fatty acid prepared in 1) was 5 mM using 5% (w / v) BSA solution containing no free fatty acid dissolved in tertiary distilled water prepared in 2) as a solvent. 10 ml of a fatty acid stock solution was prepared. 100 mM palmitate and 100 mM oleate stock solution prepared in 1) was taken with 165 ⁇ l (1.65 mM) of palmitate and 330 ⁇ l (3.3 mM) of oleate, and 9,505 ⁇ l of 5% (w) / v) vortexing while dropping the drops of BSA solution. Thereafter, the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filtered through a 0.2 ⁇ m filter (the prepared mixed solution is stable even if stored at -20 ° C. for 3 to 4 weeks).
  • the final volume is mixed with a growth medium containing 495 ⁇ l of NaOH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containing 10 ml of 5% FFA-free BSA solution + 40 ml of 0.5% FBS / 1% penicillin-streptomycin. Prepared to 50 ml.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Licorice phyto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of 10 to 100 ⁇ M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FFA free fatty acid
  • adipored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300 ⁇ l of AdipoRed in 10 ml of PBS
  • 500 ⁇ l / well was dispensed and reacted by shaking gently for 15 minutes at room temperature. . Plates were stored wrapped in aluminum foil to minimize photobleaching of the dye during this process.
  • reaction was completed, it was applied to a spectrophotometer and the excitation wavelength was measured at 485 nm and emission wavelength 572 nm.
  •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After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the cells were washed with 0.5 ml of PBS buffer, and PBS buffer was completely removed. Thereafter, 0.5 ml of 10% formalin was added at room temperature and incubated for 10 minutes.
  •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at least 1 hour (the cells can be stored in the formalin solution for several days before staining, and wrapped in aluminum foil and parafilm to dry the cells). Should be avoided).
  • Oil Red O solution 0.5 ml was added to the dried cells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fter which the Oil Red O solution was removed and immediately washed by adding ddH 2 O. The following was repeated four times. Debris of the staining solution was removed as much as possible, after which an image was obtain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 Oil Red O staining solution dissolved in 100% isopropanol in dry state was added thereto and gently incubated for 10 minutes. At this time, the oil red O (Oil Red O) stained well so that the pipette up and down to mix, and then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measured the OD at 500nm. The OD value of 100% isopropanol was measured and used as the reference value (zero point).
  • liver cancer cell line HepG 2
  •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 Hepatocarcinoma cell line (HepG 2 ) was treated with free fatty acids mixed with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at a weight ratio of 2: 1 at concentrations of 0.125, 0.25, 0.5, and 1.0 mM, and then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was tested by nile dyeing assay. As a result of confirming with the oil red o staining assa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s (Fig. 1).
  •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in the cells was determined by treating licorice phyto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known as a substance that decomposes triglycerides, by concentration (0, 10, 30, 50, and 100 ⁇ M). It was.
  • a nile staining assay was performed on liver cancer cell lines treated with licorice phytosomes (18 beta-glycyrrhetinic acid) by concentration (0, 10, 30, 50, and 100 ⁇ M). 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ontent of triglycerides by about 10 to 15%.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licorice phytosome (18 beta-glycyrrhetinic acid) in the oil red o staining assay result image was obtained with a decrease in triglyceride (Fig. 3).
  • Hepatic cancer cell line HepG 2
  • 1 mM oleate and palate mixed (2: 1) free fatty acids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the triglycerides produced were reduced by the baekrye hydrothermal extract and oil.
  •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baekpan ethanol extract is slightly weaker than that of the baekpane hydrothermal extract,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results of the triglycerides in the hepatocytes in the Nile red staining assay and the oil red staining assa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tent is about 10 to 15%.
  • MTS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 of Baekjeok hydrotherm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TS assay was carried out by a conventional experimental metho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treated at a high concentration of 500 ⁇ g / ml, the cell viability was hardly changed, as shown in FIG. Confirm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purchased from Samta Co., 8 weeks old, 120 male C57BL / 6J mice, and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fter adapting for 2 weeks. Then, the white piece prepared in (1) of Example 3 while the normal diet control (CON, 10% fat), high fat diet control (HFD, 60% fat), high fat diet by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Divided into two hot water extract groups (25mg / kg / day, 50mg / kg / day, 100mg / kg / da) and positive control group and high-fat diet and milk thistle extract (100mg / kg / day). Breeding for 9 weeks, water and experimental diet was freely supplied. Mice were used 20 animals in each group.
  • the high fat diet and extracts of each group were fed by oral administration for 9 weeks every day. Weight change was measured once a week for 9 weeks, and dietary intake, liver weight and abdominal fat weight were measured. The room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2 ⁇ 1 °C, the humidity at 50 ⁇ 5%, and the contrast was adjusted at 12 hour intervals. 10% normal diet and 60% high fat diet were purchased from central laboratory animals.
  • Example 1 (1)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1) on the weight gain of the mouse by a high fat diet, in the embodiment 3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high fat diet compared to the high fat diet group
  • the body weight of the group ingesting the prepared white migraine extrac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sult.
  • 100 mg / kg / day of the white migraine hydrothermal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 weight gain (Fig. 10A).
  • Example 3 (1)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the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prepared in Example 3 (1) can reduce the liver tissue weight increased by the high fat diet, ingesting both the high fat diet and the white migraine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high fat diet group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eight of liver tissue in one group.
  • liver tissue weight of the high fat diet group (HFD) induced by fatty liver by ingesting a high fat di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liver tissue weigh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CON).
  • Hepatic tissue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xtract.
  • the weight of the liver tissue in the 100 mg / kg / day of the baekhyeol hydrothermal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with a high fat die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sult (Fig. 10B). It is a result suppor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fat accumulation on the liver tissue that is induced.
  • the hot-headed hot-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lood ALT and AST increase by the high-fat diet
  • the white-head migraine prepared in Example 3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high-fat diet compared to the high-fat diet group ALT and AST in the group receiving the hot water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ig. 12).
  • Example 3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evel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and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caused by high fat diet, high fat diet
  • Significantly increase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and free fatty acid levels in the group showed a relatively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the hydrocephalus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FIG. 13).
  • dietary supplementation of P. pylori hydrothermal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blood lipid levels and improved non-alcoholic fatty liver induced by high fat diet.
  • the baek hyeok hydrotherm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lood sugar concentration by the high fat diet
  • the blood sugar concentration in the group consuming both the high fat diet and the baekmig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high fat die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ncentration dependent (FIG. 14).
  • the dietary addition of the baekhyeol hydrotherm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centration of sugar in the se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백편두 추출물이 간암 세포주(HepG2)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 간질환 사망률은 인구 십만명 당 23.5명으로 매우 높으며, 40대 사망원인 1위(41.1명/10만 명), 50대 사망원인 2위(72.4명/10만 명), 30대 사망원인 3위(10명/10만 명)를 차지하는 등 간질환은 한국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상기 간질환 중에서 지방간은 정상세포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중성지방이 간 세포 내에 비정상적으로 침착되어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말한다. 정상 간은 약 5%가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성지방, 지방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지방의 주요 성분이나, 일단 지방간이 발생하면 대부분의 성분이 중성지방으로 대체되며 중성지방의 양이 간 중량의 5% 이상이면 지방간으로 진단된다. 지방간이 악화되어 간세포 속의 지방 덩어리가 커지면 핵을 포함한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이 한쪽으로 밀려 간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며,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으로 인하여 팽창된 간세포들이 간세포 사이에 있는 미세 혈관과 임파선을 압박하여 간 내의 혈액과 임파액의 순환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간세포는 산소와 영양공급을 적절히 받을 수 없어 간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이 아니라, 지방산이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의 실질세포 내에 5% 이상 축적된 경우로 정의한다. 병리학적으로는 단순 지방간(simple steatosis)과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steatohepatitis)으로 분류되는데, 장기간 방치 시, 간염, 간 섬유, 간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비알코올성 간질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는 일명 제비콩, 까치콩 또는 작두(鵲豆)로 불리며, 잎이 삼출복엽이고 호생하며 탁엽은 작고 삼각상란형이며 소엽편은 넓은 난형으로 잎이 뾰족하고 줄기 부근에 있는 잎은 넓은 쐐기형 혹은 톡막형상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성글게 나 있다. 꽃은 나비모양이고 백색이며 종자 역시 2 내지 5개로 백색을 띈다.
백편두는 예부터 민간요법으로 건위화습(健胃化濕), 화중소서(和中消暑)에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316269호에 제비콩 잎 메탄올 추출물이 생리활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929979호에 백편두를 포함하는 한약재 조성물이 항암제 투여로 유도된 간장과 신장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효능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백편두 추출물을 처리한 간세포에서 중성지방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방 식이에 의해 상승한 체중 또는 혈당의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간암 세포주(HepG2)에 올레이트 및 팔미테이트가 2:1의 농도비로 혼합된 유리지방산을 농도별(0.125, 0.25, 0.5 및 1.0mM)로 처리한 후, 중성지방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A)는 나일레드(아디포레드) 염색 후, 중성지방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고, (B)는 오일레드 오 염색 후, 중성지방의 이미지를 획득한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2는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양성대조군인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에 의해 감소된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서 나일레드 염색 후, 중성지방의 함량을 확인한 도면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3은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양성대조군인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에 의해 감소된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서 오일레드 오 염색 후, 중성지방의 이미지를 획득한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4는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백편두 열수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정도를 확인한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5는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백편두 열수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정도를 확인한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에서 획득한 중성지방의 이미지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6은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백편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정도를 확인한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7은 간암 세포주(HepG2)에서 1mM의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백편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정도를 확인한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에서 획득한 중성지방의 이미지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MTS 어세이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편두 열수 추출물과 대조군으로 대두 추출물, 서리태 추출물, 녹두 추출물 및 완두 추출물이 중성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비교한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 결과이다. 대조구는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처리한 것이고, 1mM 유리지방산을 처리 했을 때의 중성지방의 함량을 100%로 기준하여 상대적인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마우스의 체중의 증가(A) 및 간조직 중량의 증가(B)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정상대조군이고, HFD는 고지방 식이 섭취하여 지방간이 유발된 고지방 식이군이며, HFD+DLL-Ex는 고지방 식이 섭취와 25, 50,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이다. (A)에서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의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B)에서 ##는 정상군(CON) 대비 고지방 식이군(HFD)의 간조직 중량이 의미 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p<0.01),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 섭취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HFD+DLL-Ex)의 간조직 중량이 의미있게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100은 양성 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와 함께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 50,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마우스의 총지방(A), 복부피하지방(B), 부고환 지방조직(C) 및 소장 지방조직(D)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고지방 식이군(HFD)의 총지방(A), 복부피하지방(B), 부고환 지방조직(C) 및 소장 지방조직(D)의 무게가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p<0.01),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 섭취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HFD+DLL-Ex)의 총지방(A), 복부피하지방(B), 부고환 지방조직(C) 및 소장지방조직(D)의 무게가 의미있게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M100은 양성 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와 함께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 50,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액 내 ALT 및 AST 증가를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고지방 식이군(HFD)의 ALT(A) 및 AST(B)가 의미있게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하며(p<0.01),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 섭취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HFD+DLL-Ex)의 ALT(A) 및 AST(B)가 의미있게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M100은 양성 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와 함께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 50,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액 내의 중성지방(A), 총콜레스테롤(B), 저밀도지단백(C), 유리지방산(D)의 증가를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고지방 식이군(HFD)의 혈액 내 중성지방(A), 총콜레스테롤(B), 저밀도지단백(C), 유리지방산(D)이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p<0.01),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 섭취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HFD+DLL-Ex)의 혈액 내 중성지방(A), 총콜레스테롤(B), 저밀도지단백(C), 유리지방산(D)이 의미있게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M100은 양성 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와 함께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5, 50,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공복혈당의 증가를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고지방 식이군(HFD)의 공복혈당이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p<0.01), *, **는 고지방 식이군(HFD) 대비 고지방 식이 섭취와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함께 섭취한 실험군(HFD+DLL-Ex)의 공복혈당이 의미있게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M100은 양성 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와 함께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이다.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아세테이트를 이용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열수 추출인 경우, 백편두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배 부피만큼 물을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에탄올 추출을 하는 경우, 백편두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배 부피만큼 80% 에탄올을 넣고, 20 내지 25℃의 상온에서 22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간 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비알콜성 단순성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염 및 비알콜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건강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파머푸드(pharmafood), 건강 식품, 뉴트라슈티칼(nutraceutical), 디자이너 푸드,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이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첨가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되고, 첨가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의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들 다양한 성분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호성 및/또는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아세테이트를 이용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열수 추출인 경우, 백편두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배 부피만큼 물을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에탄올 추출을 하는 경우, 백편두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배 부피만큼 80% 에탄올을 넣고, 20 내지 25℃의 상온에서 22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간 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비알콜성 단순성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염 및 비알콜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방 식이에 의해 상승한 체중 또는 혈당의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체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을 앓는 환자를 포함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비롯한 동물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고,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20 내지 90중량%의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추출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이 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는 반려동물의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시약]
1) 오일레드 오(Oil Red O; Sigma (Cat# O-0625), FW 408.5) 저장용액의 제조
0.35g의 오일레드 오(Oil Red O)를 100㎖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에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0.2㎛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온에 보관하였다.
2) 오일레드 오(Oil Red O) 워킹 용액의 제조
상기 오일레드 오(Oil Red O) 저장용액 6㎖과 4㎖의 ddH2O을 혼합한 다음, 0.2㎛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온에 20분 동안 방치하였다.
3) 10% 포르말린 용액의 제조
63㎖의 ddH2O에 27㎖의 포르말린 원액을 희석시킨 저장용액(37%, Merck, Cat# K36658003)과 10㎖의 10X PBS을 혼합하였다.
4) 10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Merck, Cat# K36543834)을 블랭크로 사용하였다.
5) 6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의 제조
상기 10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6㎖과 ddH2O 4㎖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간암 세포주(HepG2)의 배양
간암 세포주(HepG2)는 ATT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간암 세포주(HepG2)는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는 37℃에서,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고, 배양된 세포는 24웰 플레이트에 일정한 수의 세포(3x 104 cells/ 500㎕ well)를 분주하여 실험을 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분주한 후, 세포가 24웰이 완전히 붙어 세포의 모양을 갖춘 후 세포가 75%의 포화도(confluence) 에 도달했을 때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FFA) 제조
(1) 100mM 팔미테이트(시그마 P-0500) 및 100mM 올레이트(시그마 O-75010) 저장용액의 제조
70℃에서 0.1M NaOH 용액을 용매로 이용하여 제조하고, 0.2㎛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멸균하였다.
(2)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시그마 A-6003) 용액의 제조
3차 증류수(ddH2O)를 용매로 이용하여 제조한 후 멸균하고, 4℃ 냉장보관하였다.
(3) 올레이트 및 팔미테이트의 농도가 2:1이 되도록 혼합한 5mM의 혼합지방산 저장용액 제조
60℃에서, 상기 2)에서 제조한 3차 증류수에 녹인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지 않은 5%(w/v)의 BSA 용액을 용매로 이용하여 상기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지방산의 농도가 5mM이 되도록 지방산 저장용액 10㎖을 제조하였다. 상기 1)에서 제조한 100mM 팔미테이트 및 100mM 올레이트 저장용액을 165㎕(1.65mM)의 팔미테이트(Palmitate) 및 330㎕(3.3mM)의 올레이트(oleate)를 취해 9,505㎕의 5%(w/v)의 BSA 용액에 방울방울 떨어뜨리면서 흔들며 섞어주었다(vortexing). 이후에 상온으로 식힌 다음, 0.2μm 필터로 여과하였다(상기 제조한 혼합용액은 -20℃에서 3 내지 4주 동안 보관하여도 안정하다).
(4) 1%(w/v)의 BSA를 포함하는 1mM의 혼합 유리지방산 제조
무균 환경에서 상기 3)에서 제조한 5%(w/v)의 BSA를 포함하는 5mM 혼합 유리지방산(올레이트 및 팔미테이트가 2:1의 농도비로 혼합된 유리지방산) 용액(10㎖)과 0.5% FBS/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495㎕의 NaOH를 포함하는 성장배지(40㎖)를 혼합하여 FFA의 최종농도가 1mM이고, BSA는 1%(w/v)되도록 50㎖을 제조하였다.
(5) BSA 대조용액의 제조
10㎖의 5% FFA-free BSA 용액 + 40㎖의 0.5% FBS/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495㎕의 NaOH를 포함하는 성장배지를 혼합하여 최종부피가 50㎖ 되도록 준비하였다.
(6) 양성대조용액의 제조
10 내지 100 μM의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백편두 추출물의 제조
(1)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제조
백편두 200g에 대하여 2ℓ의 물을 가하고,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 후, 추출물을 여과하였다. 이후에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감압 건조하여 수득한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10%(v/v)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2) 백편두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백편두 200g에 대하여 2ℓ의 80% 에탄올을 가하고, 20 내지 25℃의 상온에서 22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추출물을 여과하였다. 이후에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감압 건조하여 수득한 백편두 에탄올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10%(v/v)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중성지방의 함량 평가
(1) 나일레드(아디포레드) 염색(AdipoRed staining) 어세이
간암 세포주(HepG2)를 포함하는 배지에 1mM의 유리지방산(FFA)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약하게 흡입(suction)하였다.
37℃의 조건 하에서 아디포레드 용액(AdipoRed solution; 300㎕의 AdipoRed를 10㎖의 PBS에 녹여 제조함)을 500㎕/well씩 분주 후, 암조건 상온의 조건에서 15분 동안 약하게 shaking하여 반응하였다. 이 과정동안 염료의 광퇴색(photobleaching)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를 알루미늄 호일로 싸서 보관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이를 형광분도계(spectrophotometer)에 적용하여 여기파장(excitation)은 485nm, 방출파장(emission)은 572nm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오일레드 오 염색(Oil Red O staining) 어세이
상기 간암 세포주(HepG2)에서 배지를 제거한 뒤, 0.5㎖의 PBS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하고, PBS 완충용액을 완벽하게 제거하였다. 이후에, 상온에서 10%의 포르말린 0.5㎖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포르말린을 제거하고 신선한 포르말린을 0.5㎖ 첨가한 후, 적어도 1 시간이상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세포들은 염색하기 전에 포르말린 용액에 수일 동안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며, 알루미늄 호일과 파라필름으로 싸서 세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후에, 피펫으로 포르말린을 제거한 다음 0.5㎖의 ddH2O을 이용하여 두 번 세척하였다. 상온에서 5분 동안 60%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상온에서 세포가 완벽하게 건조되도록 하였다 (이때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건조된 세포에 0.5㎖의 오일레드 오(Oil Red O) 용액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상온에서 인큐베이션 시킨 후, 오일레드 오(Oil Red O) 용액을 제거하고, 즉시 ddH2O를 첨가하여 세척하기를 4번 반복하였다. 가능한 한 염색 용액의 파편을 제거하도록 하였고, 이후에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물기를 완벽히 제거하여 건조상태에서 100%의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킨 오일레드 오(Oil Red O) 염색 용액 0.5㎖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살살 흔들며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때, 오일레드 오(Oil Red O) 염색이 잘 베어 들도록 피펫으로 위아래로 섞어준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옮겨 담고 500nm에서 OD를 측정하였다. 100% 이소프로판올의 OD값을 측정하여 기준 값 (0점)으로 사용하였다.
4.1. 간암 세포주(HepG2)에서 유리지방산에 의해 증가된 중성지방 함량 확인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에 대한 백편두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모델인 유리지방산에 의해 유도된 세포성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을 사용하였다.
간암 세포주(HepG2)에 올레산과 팔미트산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리지방산을 0.125, 0.25, 0.5 및 1.0mM 농도로 처리한 후, 중성지방의 함량의 변화를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와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결과, 유리지방산의 농도 증가에 비례하게 중성지방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4.2. 백편두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암 세포주(HepG2)에서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의 함량 감소효과 확인
먼저,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진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을 농도(0, 10, 30, 50 및 100μM)별로 처리하여 세포 내의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을 농도(0, 10, 30, 50 및 100μM)별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은 중성지방의 함량을 약 10 내지 15%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 결과 이미지에서도 감초피토좀(18 beta-glycyrrhetin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중성지방이 감소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도 3).
이후에, 간암 세포주(HepG2)에 1mM의 올레이트 및 팔레이트 혼합(2:1) 유리지방산을 처리하여 생성된 중성지방이 백편두 열수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정도를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와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백편두 열수 추출물 10, 50 및 100㎍/㎖의 농도에 대하여 약 28% 정도의 중성지방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또한, 백편두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백편두 열수 추출물에 비해 감소하는 정도가 다소 약하지만,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레드 염색 어세이와 오일레드 오 염색 어세이 결과에서 간세포 내의 중성지방의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10 내지 15% 정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4.3. 백편두 열수 추출물 및 콩류(대두, 서리태, 녹두 및 완두) 추출물의 중성지방 함량 감소 효과 비교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하는 효과가 다른 콩 종류의 추출물에서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두 추출물, 서리태 추출물, 녹두 추출물 및 완두 추출물을 대조구로 이용하여 나일레드 어세이를 실시하여 중성지방의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나일레드 어세이 결과는 도 9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편두 추출물 이외의 다른 콩 추출물에서는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백편두 추출물에서만 유의하게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9).
실시예 5. 백편두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S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MTS 어세이는 통상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도 8에 개시한 바와 같이, 500㎍/㎖의 고농도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세포 생존율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백편두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 확인
(1)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은 8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 120마리를 샘타코사에서 구입하여 2주일 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후,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하여 정상 식이 대조군(CON, 10% fat), 고지방 식이 대조군(HFD, 60% fat),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상기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군(25mg/kg/day, 50mg/kg/day, 100mg/kg/da) 및 양성대조군으로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밀크시슬 추출물(100mg/kg/day)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9주간 사육하였으며, 물과 실험 식이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마우스를 각 군당 20마리씩 사용하였다. 각 군을 대상으로 상기의 고지방 식이와 추출물들은 매일 9주간 경구투여 방식으로 공급하였다. 매주 한번 9주간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식이섭취량, 간 무게, 복부지방 무게를 측정하였다. 사육실 온도는 22±1 ℃, 습도는 50±5 %로 유지하였고, 명암은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10% 정상 식이와 60% 고지방 식이는 중앙실험동물사에서 구입하여 공급하였다.
(2) 체중 변화와 간조직, 총지방, 복부피하지방, 부고환 지방조직 및 소장 지방조직 변화
상기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마우스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의 체중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체중의 증가가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0A).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해 증가한 간 조직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와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모두 섭취한 군의 간 조직 중량이 현저히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의 장기간 섭취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여 지방간이 유발된 고지방 식이군(HFD)의 간 조직 중량이 정상 대조군(CON)의 간 조직 중량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고지방 식이와 더불어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간조직의 중량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고지방 식이와 함께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간조직의 중량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0B).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발되는 간 조직에 대한 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짐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마우스의 총지방, 복부피하지방, 부고환 지방조직 및 소장 지방조직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 및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모두 섭취한 군의 경우, 총지방, 복부피하지방, 부고환 지방조직 및 소장 지방조직의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100mg/kg/day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1).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이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3) 혈중 ALT, AST 변화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중 ALT와 AST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섭취한 군에서의 ALT 및 AST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2).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식이 첨가가 혈중 SGPT(ALT)와 SGOT(AST) 효소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해 발생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여 간 손상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4) 혈액 내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유리지방산 변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한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증가된 혈액 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및 유리지방산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 군에서 현저히 증가된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및 유리지방산 수치가 백편두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비교적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3).
따라서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식이 첨가는 혈액 내 지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공복 시의 혈중 당 농도 변화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중 당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와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을 모두 섭취한 군에서의 혈중 당 농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4).
따라서 본 발명의 백편두 열수 추출물의 식이 첨가는 혈청 내 당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6)

  1.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간 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비알콜성 단순성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염 및 비알콜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은 간 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비알콜성 단순성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염 및 비알콜성 간경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및 보존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상승한 체중 또는 혈당의 감소용 조성물.
  14.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5.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16. 백편두(Dolichos lablab Lin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의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PCT/KR2015/010745 2014-10-13 2015-10-13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0604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17080A JP6360972B2 (ja) 2014-10-13 2015-10-13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のための組成物
CN201580053640.1A CN107105742B (zh) 2014-10-13 2015-10-13 含有白扁豆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改善非酒精性脂肪肝疾病的组合物
US15/515,896 US10617732B2 (en) 2014-10-13 2015-10-13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399 2014-10-13
KR10-2014-0137399 2014-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426A1 true WO2016060426A1 (ko) 2016-04-21

Family

ID=5574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745 WO2016060426A1 (ko) 2014-10-13 2015-10-13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7732B2 (ko)
JP (1) JP6360972B2 (ko)
KR (1) KR101661145B1 (ko)
CN (1) CN107105742B (ko)
WO (1) WO20160604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00A (ko) * 2017-06-29 2019-01-09 (주)셀아이콘랩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511156A (ja) * 2016-12-16 2020-04-16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フ オリエンタル メディスン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313A (zh) * 2018-04-12 2018-09-28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辅助预防非酒精性脂肪肝的保健茶及制法与检测方法
CN109112108A (zh) * 2018-09-18 2019-01-01 南京财经大学 一种HepG2细胞高脂模型的构建方法及应用
KR102251889B1 (ko) * 2019-01-23 2021-05-13 (주)뉴트리 동부, 잠두 또는 제비콩을 함유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CN115025126A (zh) * 2022-06-23 2022-09-09 广元市中医医院 地龙在制备预防和/或治疗脂肪肝的药物中的用途
KR102566370B1 (ko) * 2022-10-11 2023-08-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18A (ko) * 2001-10-10 2003-04-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29979B1 (ko) * 2007-12-04 2009-12-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부작용 억제작용과 항암활성을 갖는 신규한 한약재조성물
KR20100014098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 베네비오 고지혈증,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2188B1 (ko) * 2008-05-19 2010-04-09 이수명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KR101088004B1 (ko) * 2010-11-12 2011-12-0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한약재를 이용한 정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296B1 (ko) 1999-11-25 2001-12-12 오인갑 제비콩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JP4644787B2 (ja) * 2003-08-19 2011-03-02 沖縄県 リパーゼ阻害活性且つ抗酸化性を有する抗肥満剤
CN1927361A (zh) * 2006-08-11 2007-03-14 陈福存 保肝解酒的营养保健食品及其制备工艺
CN101352551A (zh) * 2007-07-28 2009-01-28 孙栋梁 一种治疗肝病的药物
WO2009040824A2 (en) * 2007-09-24 2009-04-02 Ganga Raju Gokaraju Anti-adipogenic compositions containing piper betel and dolichos bifloras
CN101549006B (zh) * 2008-04-01 2011-12-28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野战输血研究所 白扁豆提取物、其提取方法及其在制备抗紫外线损伤制剂中的应用
CN101653211B (zh) * 2009-08-27 2012-05-02 杨波 一种适宜肥胖患者食用的面粉
CN101653281B (zh) * 2009-08-27 2012-10-03 杨波 一种适宜肥胖患者饮用的固体饮料
JP2011195503A (ja) * 2010-03-19 2011-10-06 Shiseido Co Ltd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CN103384529B (zh) * 2010-12-21 2015-08-12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适合于控制动物血糖的方法和组合物
CN102342418A (zh) * 2011-08-30 2012-02-08 马松江 一种具有健脾养胃功能的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72396B (zh) * 2012-09-13 2014-05-07 广东海大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仔猪腹泻用复合中草药制剂及其制备方法
JP6366279B2 (ja) * 2013-01-22 2018-08-01 花王株式会社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WO2015041235A1 (ja) * 2013-09-17 2015-03-26 不二製油株式会社 生活習慣病治療のための食品素材の使用
JP2015057954A (ja) * 2013-09-17 2015-03-30 不二製油株式会社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CN103610975A (zh) * 2013-11-25 2014-03-05 青岛东颐锦禾农业科技有限公司 促消化的牛用药物的制备方法
CN104922538A (zh) * 2015-06-15 2015-09-23 王杰伟 一种用于IgA肾病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18A (ko) * 2001-10-10 2003-04-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29979B1 (ko) * 2007-12-04 2009-12-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부작용 억제작용과 항암활성을 갖는 신규한 한약재조성물
KR100952188B1 (ko) * 2008-05-19 2010-04-09 이수명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KR20100014098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 베네비오 고지혈증,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8004B1 (ko) * 2010-11-12 2011-12-0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한약재를 이용한 정장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Semen Dolichoris as an active ingredient", KHIDI BIO BUSINESS FORUM, 10 April 2015 (2015-04-10), Seoul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1156A (ja) * 2016-12-16 2020-04-16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フ オリエンタル メディスン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US11357812B2 (en) 2016-12-16 2022-06-14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containing Dolichos lablab Linn.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easing hangovers, and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lcoholic gastrointestinal diseases
KR20190002800A (ko) * 2017-06-29 2019-01-09 (주)셀아이콘랩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0757B1 (ko) 2017-06-29 2019-03-22 (주)셀아이콘랩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145B1 (ko) 2016-09-29
JP6360972B2 (ja) 2018-07-18
US10617732B2 (en) 2020-04-14
US20170296607A1 (en) 2017-10-19
CN107105742A (zh) 2017-08-29
KR20160043514A (ko) 2016-04-21
CN107105742B (zh) 2021-01-08
JP2017530140A (ja)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60426A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110988A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9093739A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16153211A2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5577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7082479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7082478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41852B1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0A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46029A1 (ko) 참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 및 근육량 증대용 조성물
KR101084942B1 (ko) 천우슬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WO2012134252A2 (ko)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JP2014185088A (ja) 経口組成物、脂肪細胞分化抑制剤および飲食品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8099A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14A1 (ko) 알코올성 간 손상 또는 알코올성 뇌 손상 보호를 위한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용도
WO2021085741A1 (ko) 번행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04733A2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25297A1 (ko)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06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1708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1589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506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