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022B1 -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022B1
KR102119022B1 KR1020170083761A KR20170083761A KR102119022B1 KR 102119022 B1 KR102119022 B1 KR 102119022B1 KR 1020170083761 A KR1020170083761 A KR 1020170083761A KR 20170083761 A KR20170083761 A KR 20170083761A KR 102119022 B1 KR102119022 B1 KR 10211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xtract
composition
present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90A (ko
Inventor
김동일
전송희
한승희
이광석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한국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한국파마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022B1/ko
Priority to US16/627,165 priority patent/US11690888B2/en
Priority to PCT/KR2018/006437 priority patent/WO2019004626A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4Ev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안정성을 가지므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Oriental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폐경은 모든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필연적 현상이기는 하나, 그로 인한 여성호르몬의 결핍은 장기간에 걸쳐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폐경에 따른 급성 증상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열성홍조, 발한 등의 혈관운동계 증상과 우울, 불안, 신경예민 및 불면 등의 정신적, 정서적 증상 등이 있다. 또한, 만성 증상은 폐경이 발행한 후 수년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써, 이상성감증, 위축성질염 및 요도염 등의 비뇨생식기계 증상, 동맥경화성 순환기 계통의 질환, 골다공증 등이 있다.
갱년기 및 폐경 후 증상의 치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2002년 미국의 WHI(Women's Health Initiative)는 이 요법에 의해 유방암, 관상동맥질환 및 뇌졸중 등의 발병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성호르몬 치료에 의해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호르몬 요법은 각 개개인의 위험성과 유익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와 저용량의 단기 사용을 권고하며, 치료 목적과 위험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므로 주기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침과 한약 등의 치료방법을 통해 갱년기와 폐경 후의 여러 가지 증상들을 치료해왔으며, 최근에는 호르몬 대체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해 더 많은 여성들이 한의학적인 치료방법으로 폐경 이후의 임상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한편, 토사자(cuscutae semen)는 갯실새삼의 씨로써, 주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 밝게 해주고, 양기를 도우며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오수유(Evodia fructus)는 석호 또는 소모오수유 등의 열매로써,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가 허약하고 차서 발병한 복통에 효과가 있고, 위장기능을 조절하며 소화력을 증진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속단(Dipsaci radix)은 천속단의 뿌리로써,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폐경을 연구하기 위한 동물 모델은 수술적인 방법으로 난소를 적출하는 ovariectomized(OVX) rats 또는 mouse가 이용되었으나, 폐경기 여성의 거의 90%는 난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VX 모델은 한계가 있다. 최근에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모델로 VCD에 의해 유도된 폐경 동물 모델이 개발되었는데, VCD 유도 폐경 모델은 자궁의 다른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선택적으로 원시 여포(primordial follicles)와 일차 난포(primary follicles)의 자연적인 소멸을 촉진 시키기 때문에 사람의 폐경 과정과 매우 유사하며, 또한 폐경 후기(post-menopause) 과정만을 보이는 OVX 모델과는 다르게 폐경기 전후(peri-menopause) 및 폐경 후기 과정을 모두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이 VCD 폐경 동물모델에서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4568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분말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분말은 통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b)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1,3-부틸렌글리콜, (g) 헥산, (h) 디에틸에테르, (i)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j)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폐경기 증후군이란 폐경기 여성들의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와 관련되어 겪게 되는 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등의 심혈관 질환,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등과 같은 신경혈관계 이상, 골다공증 등과 같은 운동 기관계 이상, 우울증 등과 같은 정신 신경 계통 이상,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피부 조직의 변화 및 탈모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각각 15 내지 60중량% : 5 내지 50중량% : 15 내지 6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 : 10 내지 15중량% : 20 내지 30중량%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따르면, 폐경에 따른 심장기능 저하 개선 및 우울증 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안정성을 가지므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VCD 폐경 동물 모델, 사람의 폐경 및 OVX 폐경 동물 모델의 폐경 과정을 비교한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식이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심장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자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난소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에 대하여 시험상자의 중심부에서 보낸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에 대하여 시험상자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cortisol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GOT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일반식이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급여한 각군의 GPT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개선 효과 분석 방법
1-1: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른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정선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중량으로 추출포에 넣어 혼합한 것을 물 16L와 함께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하였다. 120mesh 필터로 1차 여과한 추출물을 5㎛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버퍼탱크로 옮겨 15Bx까지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한 추출물은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라 최종 추출물로 제조된다.
동결건조법에 의할 경우, 15Bx로 농축한 상기 추출물을 8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한 후 냉동하여 5일 동안 동결건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2kg의 원료에서 198.8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9.8%).
분무건조법에 의할 경우, 15Bx로 농축한 상기 추출물을 12.98Bx로 희석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한 후, 주입구 온도는 190℃, 배출구 온도는 90℃, 타공은 10sec/1회 및 유속은 1.0L/hr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2kg의 원료에서 170.2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7%).
한약재 이름 영문명 양(g)
토사자 cuscutae semen 800g
오수유 Evodia fructus 400g
속단 Dipsaci radix 800g
총량 2000g
1-2: 에탄올 추출법에 따른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정선한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을 상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중량으로 추출포에 넣어 혼합한 것을 30% 에탄올 16L와 함께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하였다. 120mesh 필터로 1차 여과한 추출물을 5㎛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버퍼탱크로 옮겨 15Bx까지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한 추출물은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에 따라 최종 추출물로 제조된다.
이후의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은 상기 실시예 1-1의 과정과 동일하며, 동결건조법에 의할 경우, 총 2kg의 원료에서 185.2g의 추출물을 얻었으며(수율: 18.5%), 분무건조법에 의할 경우, 총 2kg의 원료에서 168.2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6.8%).
1-3: VCD 폐경 동물모델의 설계
4주령 C57BL/6 암컷 쥐를 사용하였으며, 1주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5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하기와 같이 처리하였다.
- 그룹 1(Sham group) : sesame oil을 17일간 복강 투여한 후 일반 식이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2(VCD group) : 쥐의 복강에 sesame oil(2.5mg/kg) 및 VCD(160mg/kg)를 17일간 투여하여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일반 식이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3(저농도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100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4(고농도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300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 그룹 5(Estradiol group) : 그룹 2와 동일한 방법으로 VCD 폐경을 유도한 후 estradiol(2mg/kg)을 함유하는 사료를 15주간 먹인 군.
1-4: 몸무게, 사료 섭취량 측정 및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 ) 분석
몸무게 및 사료 섭취량은 1주일마다 측정하며, 실험 종료 후 실험기간 동안의 식이 효율을 분석하였다. 식이 효율은 (체중증가량/총사료섭취랑)×100으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1-5: 심장, 난소 및 자궁의 무게 및 지수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쥐의 심장, 난소, 및 자궁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각 장기의 지수는 실험동물의 몸무게에 대한 각 장기 무게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1-6: 행동 실험(Open field test)
실험쥐를 40cm×40cm×40cm의 하얀색 상자에서 10분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였다. 상자의 바닥은 10cm 간격으로 선을 그었으며, 정중앙에 가로, 세로 10cm 박스를 그렸다. 실험쥐의 움직임은 캠코더로 측정하고, 행동 분석 프로그램인 ANY-maze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의 시간(time in the center) 및 총 이동 거리(travelled distance)를 분석하였다.
1-7: 혈액 분석
실험쥐를 avertin tribromoethanol로 마취 후,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4℃에서 2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분리한 후 -80℃에 보관하였다. 이후, 시판되는 kit를 사용하여 -80℃에 보관 중인 혈청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고밀도지단백질(HDL), 중성지방(TG),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및 글루코오스(glucose) 농도를 측정하였다.
1-8: 통계 처리
모든 분석 자료는 결과는 SPSS 23(SPSS Inc., Chicago, IL,USA)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p<0.05 수준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평균±표준오차(mean±SE)로 나타내었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후, 각 시료간의 통계적 유의성에 대하여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또는 Dunnett`s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하였다.
실시예 2: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4의 방법을 통하여 5개의 실험군에서 각각 체중 변화여부,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Sham군이 가장 높고, 그 외 군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도 2 및 도 3), 식이효율은 고농도 군에서 가장 낮게 나왔으나, 유의성은 없었다(도 4).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후 체중증가를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심장, 난소, 및 자궁 무게 및 지수의 정상화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장기의 무게 및 지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에 나타나는 자궁의 위축 및 심장 비대증 증상(heart hypertrophy)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5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심장 지수는 VCD 군이 가장 높게 나와서, 폐경 후 심장 비대증과 같은 질병이 유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저농도 군, 고농도 군 및 Estradiol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확인하였다(도 5).
자궁 지수는 VCD 군이 가장 낮았으나,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으며(p<0.01)(도 6), 난소 지수 역시 VCD 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p<0.01), 저농도 군 및 Estradiol 군에서 유의성 있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도 7).
실시예 4: 갱년기 우울 증상의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갱년기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 우울증 유발에 따른 불안감과 활동성 저하에 대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6 및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CD 군의 경우 시험상자의 중심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Sham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p<0.05),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의 경우 Sham 군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다(p<0.05)(도 8). 전체적인 이동 거리도 VCD 군이 Sham 군에 비해 확연히 감소하였으나(p<0.001), 저농도 군 및 고농도 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각각 p<0.05, p<0.01)(도 9).
또한, 혈중 코티솔(cortisol) 수치를 측정한 결과 VCD 군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p<0.001),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섭취한 군 모두에서 혈중 코티솔 수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저농도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도 10).
실시예 5: 심혈관계 인자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심혈관계 인자가 개선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경 후의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G), 및 혈중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CD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Sham 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p<0.001), 고농도 군에서 Sham 군 수준으로 낮아졌으며(p<0.01)(도 11), 반대로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VCD 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나(p<0.05), 약재 섭취군에서는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도 12).
또한, 중성지방은 VCD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p<0.001), 저농도 군, 고농도 군, 및 Estradioil 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각각 p<0.05, p<0.01 및 p<0.001)(도 13). 글루코오스는 각군이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약재 섭취군이 VCD 군에 비해서는 낮게 측정되었다(도 14).
실시예 6: 간독성 검사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7에 따라 혈중 GOT/GPT의 수치를 측정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섭취에 의한 간독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군의 GOT/GPT 수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는 점에서(도 15 및 도 16),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실험동물에 대해 간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토사자(Cuscutae semen), 오수유 및 속단(Dipsaci radix)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심장 비대증, 우울증,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및 발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자, 오수유 및 속단은 상대적인 중량비로써, 각각 15 내지 60중량% : 5 내지 50중량% : 15 내지 6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토사자(Cuscutae semen), 오수유 및 속단(Dipsaci radix)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심장 비대증, 우울증,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및 발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70083761A 2017-06-30 2017-06-30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61A KR102119022B1 (ko) 2017-06-30 2017-06-30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6/627,165 US11690888B2 (en) 2017-06-30 2018-06-07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PCT/KR2018/006437 WO2019004626A1 (ko) 2017-06-30 2018-06-07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61A KR102119022B1 (ko) 2017-06-30 2017-06-30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90A KR20190003190A (ko) 2019-01-09
KR102119022B1 true KR102119022B1 (ko) 2020-06-12

Family

ID=6474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61A KR102119022B1 (ko) 2017-06-30 2017-06-30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90888B2 (ko)
KR (1) KR102119022B1 (ko)
WO (1) WO2019004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43B1 (ko) * 2020-03-16 2022-04-05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450A (ja) 2004-04-15 2005-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剤組成物
KR20130059532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101333090B1 (ko) * 2012-04-06 2013-11-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8634B1 (ko) * 2015-11-11 2019-10-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4568B1 (ko) 2015-11-13 2017-03-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095011A1 (ko) * 2015-12-02 2017-06-0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0639B1 (ko) * 2015-12-02 2018-05-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난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난소부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8889A1 (en) 2020-05-07
US11690888B2 (en) 2023-07-04
WO2019004626A1 (ko) 2019-01-03
KR20190003190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40006B (zh) 一种越橘苷的提取方法及越橘苷的应用
US20060275510A1 (en) Formulations for menopausal syndromes
WO2020010904A1 (zh) 一种降三高含片及其制备方法
KR101486857B1 (ko)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70715A (zh)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33909A (ko)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902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309175B2 (ja) 男性更年期症状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400913B1 (ko)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KR101758639B1 (ko) 인동등, 우방자 및 황금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1744986A (zh) 人参、麦冬、五味子的单独提取方法及其制剂
CN104043058A (zh) 一种治疗肾虚型腰椎间盘突出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768349B (zh) 四味大果木姜子制剂在制备治疗脑血管及相关疾病药物中的应用
CN101199806A (zh) 一种治疗腹泻的药物及其制备方法和质量控制方法
KR102190001B1 (ko)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169149A (zh) 一种治疗痰火瘀结型甲状腺癌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
KR100404455B1 (ko) 성장촉진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CN110448622B (zh) 治疗热性感冒的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0043707A (ko) 인진쑥, 애엽, 유근피, 적양, 오가피, 대두 lph펩타이드, 백석목, 메밀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제거, 간염, 간암 치료의 의약 조성물
KR101699152B1 (ko) 호로파 및 흑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999533B (zh) 一种养心生脉颗粒及其制法和在抗抑郁的产品中的应用
CN103110675A (zh) 改善营养性贫血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315506C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制剂
CN109303790B (zh) 刺山柑或刺山柑提取物的医药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