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909A -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909A
KR20210133909A KR1020210142706A KR20210142706A KR20210133909A KR 20210133909 A KR20210133909 A KR 20210133909A KR 1020210142706 A KR1020210142706 A KR 1020210142706A KR 20210142706 A KR20210142706 A KR 20210142706A KR 20210133909 A KR20210133909 A KR 2021013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cornia
green tea
cor
rais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최주희
김영민
조정용
장아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3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천연원료인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 or menopause related disease comprising Salicornia spp. extract}
본 발명은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뼈의 질량이 감소하고 뼈 조직의 미세구조의 퇴화로 골절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환이다. 특히, 골다공증은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특히 칼슘)과 기질이 감소한 상태이며, 골재형성의 균형이 깨져서 파골작용이 조골작용보다 증가된 상태에서 발생한다. 정상적인 뼈 내부는 그물망처럼 치밀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골다공증의 경우에는 구조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미세구조가 얇아져 약해짐으로써 조그만 충격에도 뼈가 쉽게 골절될 수 있는 상태로 진행된다.
골다공증은 크게 일차성 골다공증(primary osteoporosis)과 이차성 골다공증(secondary osteoporosis)으로 분류된다. 일차성 골다공증은 폐경 후 골다공증(postmenopausal osteoporosis), 노인성 골다공증(age-related osteoporosis), 및 특발성 골다공증(idiopathic osteoporosis)을 포함한다. 이차성 골다공증(secondary osteoporosis)은 연령에 상관없이 질병이나 약물로 인해 발생한다.
갱년기의 여성에게서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혈액순환, 체중조절, 뼈 관리를 돕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저하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갱년기가 아니더라도 난소 절제, 난소 기능저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 환자에서도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하여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뼈의 질량이 감소하고, 구멍이 많아져 골 손실이 증가하므로 골다공증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된다. 폐경기 이후 후기 변화는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문제를 쉽게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보건복지부 국민 건강 통계에 따르면, 3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유병률이 남성은 1%, 여성은 9%로 나타나, 여성 유병률이 남성 대비 9 배나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암 환자에게서는 골전이가 일어나고, 예컨대 유방암에서 관찰되는 골 전이는 대부분 뼈를 파괴하는 골 용해성 골 전이(osteolytic metastasis)이다. 이는 유방암 세포가 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파골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천연물로부터 질병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생리활성물질의 보고 알려진 해양식물의 탐색에 관한 연구 및 해조류로부터 질병을 억제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소재를 찾으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함초 (Salicornia spp.)는 명아주 과의 한해살이 풀로 국내 자생하는 대표적인 식용 및 약용 염생식물이다. 함초는 오랫동안 민간약으로 시력저하,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병 등에 사용되어 왔고, 항산화, 항당뇨, 항암, 항고혈압, 항고지혈증, 피부미백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함초 추출물의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연구 및 이의 생리활성 유효성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함초 추출물이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골 질환 치료용 조성물로 제안한다.
본 발명자들은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천연물-유래의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함초(Salicornia spp.) 추출물이 TRAP 양성인 다핵세포의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냈고, 또한 파골세포와 관련된 유전자인 TRAP, Cathepsin K, DC-STAMP 그리고 NFATc1의 발현 확인 결과 분화 시 증가된 유전자 발현이 함초 열수 추출물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난소절제수술로 유도된 골다공증 동물 모델에서는 함초 열수 추출물 섭취로 인해 체중 증가 억제 효과 및 골밀도 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초 추출물의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에 대한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함초(Salicornia spp.)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골 질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천연물-유래의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함초 추출물이 TRAP 양성인 다핵세포의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냈고, 또한 파골세포와 관련된 유전자인 TRAP, Cathepsin K, DC-STAMP 그리고 NFATc1의 발현 확인 결과 분화 시 증가된 유전자 발현이 함초 열수 추출물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난소절제수술로 유도된 골다공증 동물 모델에서는 함초 열수 추출물 섭취로 인해 체중 증가 억제 효과 및 골밀도 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골 질환"은 조골세포의 활성 손실 또는 파골세포의 과다한 생성 및/또는 이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상태 또는 질병 및 골량 저하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골량 저하 질환이란 골 밀도의 저하, 골 조직의 열화(degradation)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골량의 저하가 나타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갱년기의 에스트로겐 저하로 인한 골 대상성 질환 및 암세포에 의해 활성화되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 손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osteoporosis), 골연화증(osteomalacia), 골관절염(osteoarthritis), 파제트병(Paget's disease), 섬유성 골염(fibrous ostitis), 무형성 골질환(adynamic bone disease), 대사성 골질환(metabolic bone disease, MBD),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한 뼈의 손상,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골절, 골감소증 또는 골형성 부전증(osteogenesis imperfect)이다.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한 뼈의 손상에서 "암"은 유방암, 위암, 폐암, 난소암, 간암, 직장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 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백혈병, non-Hodgkin 임파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전이성 골암이다.
한편, 상기 골다공증은 일차성 골다공증(primary osteoporosis) 및 이차성 골다공증(secondary osteoporosis)을 포함한다.
일차성 골다공증은 폐경 후 골다공증(postmenopausal osteoporosis), 노인성 골다공증(age-related osteoporosis), 또는 특발성 골다공증(idiopathic osteoporosis)을 포함한다.
이차성 골다공증은 연령에 상관없이 질병(내분비질환, 위장관질환, 악성종양)이나 약물(부신피질호르몬, 항암화학요법, 갑상선호르몬, 항경련제, 항응고제, 메토트렉사트(methotrexate),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GnRH 등), 알코올, 흡연,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갱년기"는 특히 여성의 경우에서 난소 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한 폐경기에 접어드는 50세 전후를 의미한다. 폐경기의 지속에 따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각종 갱년기 증후군들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갱년기 질환"은 골다공증, 체중 증가,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 복부 비만, 지방간,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및 관절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은 뇌졸중, 심근경색, 뇌출혈, 심부전증, 뇌혈전증, 심장마비, 혈관재협착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혈전생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골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골 질환의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골 질환이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거나 증상의 진행 또는 악화를 지연시키거나 증상을 호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함초(Salicornia spp.)는 살리코르니아 헤르바세아(Salicornia herbacea), 살리코르니아 유로파에아(Salicornia europaea), 살리코르니아 페렌난스(Salicornia perennans), 살리코르니아 프로쿰벤스(Salicornia procumbens), 살리코르니아 마리티마(Salicornia maritima), 살리코르니아 비겔로비(Salicornia bigelovii), 살리코르니아 데프레사(Salicornia depressa), 살리코르니아 루브라(Salicornia rubra), 살리코르니아 프라에콕스(Salicornia praecox), 살리코르니아 세네갈렌시스(Salicornia senegalensis), 살리코르니아 페리에리(Salicornia perrieri), 살리코르니아 파키스타키야(Salicornia pachystachya), 살리코르니아 메예리아나(Salicornia meyeriana), 살리코르니아 유니플로라(Salicornia uniflora), 또는 살리코르니아 브라키아타(Salicornia brachiate)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함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함초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함초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함초(Salicornia spp.) 추출물은 함초를 건조 및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서 극성 용매 (예를 들어,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를 가하여, 80 내지 120℃로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2 내지 8시간 동안 80 내지 120℃로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서 사용되는 극성 용매는,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극성 용매는 물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저급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에 따르면, 상기 극성용매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다.
본 발명에서 함초 추출시,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환류추출법, 상온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함초의 10배 내지 20 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80℃ 내지 11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함초에 물을 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함초에 물을 가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함초의 10배 내지 20 배 중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5일 내지 10일 동안 에탄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함초에 에탄올을 가하여 7일 동안 에탄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함초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함초의 물 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특정 유기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만을 정제하여 수득한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초의 물 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약 0.00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유기용매(예를 들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를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비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 분리방법에서 사용가능한 비극성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메틸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획물 분리방법에서 사용가능한 극성 용매는,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함초(Salicornia spp.)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salts)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합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 환자의 골 손실 정도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000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환자가 갖는 골 손실 정도 등에 따라, 0.1 내지 1000 ㎎/㎏, 10 내지 1000 ㎎/㎏, 50 내지 1000 ㎎/㎏, 100 내지 1000 ㎎/㎏, 200 내지 1000 ㎎/㎏, 300 내지 1000 ㎎/㎏, 0.1 내지 800 ㎎/㎏, 10 내지 800 ㎎/㎏, 50 내지 800 ㎎/㎏, 100 내지 800 ㎎/㎏, 200 내지 800 ㎎/㎏, 300 내지 800 ㎎/㎏, 0.1 내지 500 ㎎/㎏, 10 내지 500 ㎎/㎏, 50 내지 500 ㎎/㎏, 100 내지 500 ㎎/㎏ 또는 200 내지 500 ㎎/㎏, 예를 들어, 300 내지 500 ㎎/㎏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함초 추출물, 유기용매 분획물,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salts)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subject)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여 대상(subject)"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에 대한 함초 추출물의 활용성과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골 질환을 유도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 검증 실험 및 난소 절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함초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골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함초 열수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세포로부터 파골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그림이다.
도 2는 함초 에탄올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세포로부터 파골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그림이다.
도 3은 함초 열수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유도 관련 유전자 발현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골다공증으로 유도된 체중 증가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골다공증으로 유도된 골밀도 감소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함초 열수 추출물의 골다공증으로 유도된 혈중 지질 및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시예 1: 함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함초 (Salicornia herbacea L.)는 대한민국 (주)다사랑으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함초 200 g에 증류수 2 L를 가하여 약탕기에서 9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한편, 건조된 함초 1 kg에 에탄올 10 L를 가하여 일주일 동안 에탄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들을 감압플라스크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였다.
상기 감압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용 수기에 1/3 정도 채운 다음, 가열 수조(Heating bath)의 온도를 각각 40℃(열수추출물) 및 30℃(에탄올추출물)로 설정한 뒤, 10분 동안 감압농축기를 작동시켰다. 1차 농축 이후에 압력을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차 농축을 실시하였다.
농축한 함초 추출물은 동결 건조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한 실험
2-1. 함초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억제 평가 (TRAP staining)
마우스 골수에서 분리한 대식세포를 12 웰(well) 플레이트에 2 x 105/웰의 밀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FBS,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대식세포 집락자극인자(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가 첨가된 배지로 교체해준 후 함초 열수 추출물(10, 50 및 100 ug/ml) 및 에탄올 추출물(10, 50 및 100 ug/ml)을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100 ng/ml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위의 방법(배지교체, 함초추출물 처리, 및 RANKL 처리)을 반복하면서 세포를 6일 동안 분화시켰다.
이후 파골세포의 세포 화학적 표지효소인 TRAP (Tartrate resistance acid phosphatase)에 TRAP 염색키트(KAMIYA BIOMEDICAL COMPANY)의 발색성 기질을 첨가하여 핵을 염색을 하였다. 핵이 3개 이상으로 다핵화 된 세포를 관찰하고 이미지화 및 수치화 하였다.
대식세포는 RANK에 결합하여 TRAP 양성 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TRAP 양성 세포에 RANKL, 또는 TNF-α와 같은 염증인자로 자극하면 세포끼리 융합되어 다핵형 TRAP 양성 세포로 분화된다.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험에서 대식세포에 RANKL을 처리했을 때 파골세포로의 분화가 증가하였으며, 함초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서 파골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서, 함초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함초 열수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유도 유전자 발현에 대한 억제 평가 (Real time PCR)
함초 열수 추출물을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TRAP, DC-STAMP, Cathepsin K, NFATc1에 대한 유전자 발현(gene expression)을 Real-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BMDMs을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2x105/well의 밀도로 24h 동안 배양하고, 함초 열수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를 2h 동안 처리해주었다. 이후 RANKL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3일 동안 분화시킨 후 TRIzol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내 RNA를 분리하고, RNA 정량값을 토대로 RT premix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하여 Real time PCR을 통해 증폭시켰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Mouse TRAP, DC-STAMP, Cathepsin K, NFATc1이고 대조군(Control) 유전자인 GAPDH와 비교하여 상대적 양을 비교하였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 (5‘-3’)
1 TRAP 정방향 프라이머 CTGGAGTGCACGATGCCAGCGACA
2 TRAP 역방향 프라이머 TCCGTGCTCGGCGATGGACCAGA
3 DC-STAMP 정방향 프라이머 CCAAGGAGTCGTCCATGATT
4 DC-STAMP 역방향 프라이머 GGCTGCTTTGATCGTTTCTC
5 Cathepsin K 정방향 프라이머 GGCCAACTCAAGAAGAAAAC
6 Cathepsin K 역방향 프라이머 GTGCTTGCTTCCCTTCTGG
7 NFATc1 정방향 프라이머 CTCGAAAGACAGTGGAGCAT
8 NFATc1 역방향 프라이머 CGGCTGCCTTCCGTCTCATAG
대식세포에 RANKL을 처리하면 RANK에 결합하여 TRAP 양성인 다핵화된 파골세포로 분화된다. 또한 파골세포로 분화하는데 중요한 전사 인자인 NFATc1을 활성화 시키고 파골세포분화기전 (osteoclastogenesis)에 관여하는 TRAP, Cathepsine K, DC-STAMP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도 3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RANKL 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TRAP, Cathepsin K, DC-STAMP, NFATc1의 발현은 함초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RANKL - - + +
함초 열수 추출물(SHW) - + - +
TRAP 1 6.3 471 55
Cathepsin K 1 4 3465 443
DC-STAMP 1 1 308 85
NFATc1 1 1 15 3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이 전사인자인 NFATc1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파골세포분화기전 관련 유전자인 TRAP, DC-STAMP, Cathepsin K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함초 열수 추출물의 난소 절제술을 이용한 골다공증 유도 동물모델에 대한 골밀도 감소 억제 효과 평가
실험동물로는 C57BL/6 계 암컷 7주령을 사용하였다. 온도 22±2℃, 상대습도 50±10%, 12시간 명암 주기로 설정된 환경의 플라스틱 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골다공증유발을 위한 난소 절제 이전에 동일 환경에서 약 1주 정도 사육 조건에 적응시켰다.
졸레틸(Zoletil)과 럼펀(lumpun)을 근육 주사하여 마취한 후 난소 수술부위를 제모하고 소독하였다. 수술부위를 1 cm 가량 절개하고 다른 장기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자궁을 따라 난소를 확인한 후 봉합용 실로 난소를 결찰한 뒤 양측의 난소를 모두 절제하였다. 난소 절제 후 각 장기를 복강 내로 재위치 시킨 뒤 봉합용 실로 봉합하였다.
실험동물 그룹은 회복된 마우스를 무작위로 나눈 후 매일 경구투여 실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군(Group) = G1; Sham / G2; OVX / G3; OVX + 함초 열수 추출물 200 mg/kg / G4; OVX + 함초 열수 추출물 400 mg/kg). 12주 후 부검을 실시하였고, 실험 종료 시점의 최종 체중을 측정하였다.
표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OVX 수술로 인해 G2 OVX 그룹의 체중이 G1 Sham 그룹보다 유의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함초 열수 추출물 400 mg/kg을 먹인 그룹에서는 G2 OVX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함초 열수 추출물을 200 mg/kg 먹인 그룹에서는 G2 OVX 그룹보다 체중이 감소되는 경향이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그룹 G1 G2 G3 G4
체중(kg) 25 28.8 27.8 24.7
난소 절제에 의하여 호르몬이 결핍된 마우스(OVX)로부터 갱년기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체중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고, 함초 추출물을 경구투여함에 따라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호르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성인질병에 대하여 함초 추출물이 치료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골밀도 측정은 이전의 단순 방사선 사진 촬영법이나 컴퓨터 단층 촬영법에 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CT (micro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BMD(Bone mineral density), BV/TV(Bone volume/tissue volume), Tb.Th(Trabecular thickness) 그리고 Tb.N(Trabecular number)을 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마이크로 CT는 시편이 0.9º씩 회전하여 180º까지 200회를 촬영하게 되는데 0.9º씩 회전하는 동안의 X선속 노출 시간은 5.9초이며, 획득된 파일은 마이크로 CT 재구성 프로그램 (NRecon; SkyScan, Aartselaar, Belgium)을 이용해 횡단면 영상을 재구성한 다음 마이크로 CT 영상 프로그램 (Data Viewer; SkyScan, Aartselaar, Belgium)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형성하여 얻었다
표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G2 OVX 그룹에서 골 밀도와 관련된 모든 지표들이 G1 Sham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함초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먹인 두 그룹 G3, G4 그룹에서는 G2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난소 절제수술로 유도된 골밀도 감소에 대해 함초 열수 추출물 섭취로 인해 예방됨을 확인하였다.
그룹 G1 G2 G3 G4
BMD 0.113 0.045 0.06 0.06
BV/TV 14 0.3175 2.402 3.045
Tb.Th 91.738 54.215 69.84 77.622
Tb.N 0.001517 0.000055 0.000318 0.000403
2-4. 함초 열수 추출물의 난소 절제술을 이용한 골다공증 유도 동물모델에 대한 혈중 생화학적 검사
생화학적지표 분석 (serum)을 위해서는 OVX 그룹으로부터 실험 종료 후 부검 시 혈액을 수집하고, 수집된 혈액은 8000 rpm 20 min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혈청에서 T-col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LDL-C (low density lipoprotein)을 분석하였다.
표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G2 OVX 그룹에서 성인질병과 관련된 지표인 LDL-C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함초 추출물 섭취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난소 절제수술로 증가된 LDL-C의 수치는 함초 열수 추출물 섭취로 인해 예방됨을 확인하였다.
그룹 G1 G2 G3 G4
T-col 81 106.8 106.25 91.66
TG 106.4 110 106.5 90
HDL-C 60.72 80.98 79.55 67.56
LDL-C 11.3 16.38 14.425 10.4
난소 절제에 의하여 호르몬이 결핍된 마우스(OVX)로부터 갱년기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혈액 지표상의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었고, 함초 추출물을 경구투여함에 따라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호르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성인질병에 대하여 함초 추출물이 치료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 or menopause related disease comprising Salicornia spp. extract <130> PN180427P-D1 <150> KR 10-2018-0169399 <151> 2018-12-26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AP forward(F) primer <400> 1 ctggagtgca cgatgccagc gaca 24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AP reverse(R) primer <400> 2 tccgtgctcg gcgatggacc aga 23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C-STAMP F primer <400> 3 ccaaggagtc gtccatgat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C-STAMP R primer <400> 4 ggctgctttg atcgtttctc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hepsin K F primer <400> 5 ggccaactca agaagaaaac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hepsin K R primer <400> 6 gtgcttgctt cccttctgg 19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ATc1 F primer <400> 7 ctcgaaagac agtggagcat 20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ATc1 R primer <400> 8 cggctgcctt ccgtctcata g 21

Claims (5)

  1. 함초(Salicornia spp.)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 체중 증가, 뇌졸중, 심근경색, 뇌출혈, 뇌혈전증, 혈관재협착, 동맥경화증 및 복부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열수 추출물은 투여 대상에게 300 내지 500 ㎎/㎏의 1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는 살리코르니아 헤르바세아(Salicornia herbacea), 살리코르니아 유로파에아(Salicornia europaea), 살리코르니아 페렌난스(Salicornia perennans), 살리코르니아 프로쿰벤스(Salicornia procumbens), 살리코르니아 마리티마(Salicornia maritima), 살리코르니아 비겔로비(Salicornia bigelovii), 살리코르니아 데프레사(Salicornia depressa), 살리코르니아 루브라(Salicornia rubra), 살리코르니아 프라에콕스(Salicornia praecox), 살리코르니아 세네갈렌시스(Salicornia senegalensis), 살리코르니아 페리에리(Salicornia perrieri), 살리코르니아 파키스타키야(Salicornia pachystachya), 살리코르니아 메예리아나(Salicornia meyeriana), 살리코르니아 유니플로라(Salicornia uniflora) 및 살리코르니아 브라키아타(Salicornia brachi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4. 함초(Salicornia spp.)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 체중 증가, 뇌졸중, 심근경색, 뇌출혈, 뇌혈전증, 혈관재협착, 동맥경화증 및 복부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는 살리코르니아 헤르바세아(Salicornia herbacea), 살리코르니아 유로파에아(Salicornia europaea), 살리코르니아 페렌난스(Salicornia perennans), 살리코르니아 프로쿰벤스(Salicornia procumbens), 살리코르니아 마리티마(Salicornia maritima), 살리코르니아 비겔로비(Salicornia bigelovii), 살리코르니아 데프레사(Salicornia depressa), 살리코르니아 루브라(Salicornia rubra), 살리코르니아 프라에콕스(Salicornia praecox), 살리코르니아 세네갈렌시스(Salicornia senegalensis), 살리코르니아 페리에리(Salicornia perrieri), 살리코르니아 파키스타키야(Salicornia pachystachya), 살리코르니아 메예리아나(Salicornia meyeriana), 살리코르니아 유니플로라(Salicornia uniflora) 및 살리코르니아 브라키아타(Salicornia brachi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KR1020210142706A 2018-12-26 2021-10-25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3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99 2018-12-26
KR20180169399 2018-12-26
KR1020190154822A KR20200080138A (ko) 2018-12-26 2019-11-27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22A Division KR20200080138A (ko) 2018-12-26 2019-11-27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909A true KR20210133909A (ko) 2021-11-08

Family

ID=71571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22A KR20200080138A (ko) 2018-12-26 2019-11-27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42706A KR20210133909A (ko) 2018-12-26 2021-10-25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22A KR20200080138A (ko) 2018-12-26 2019-11-27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801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171A1 (ko) * 2022-04-13 2023-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30B1 (ko) * 2021-11-30 2024-04-16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염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171A1 (ko) * 2022-04-13 2023-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38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912B2 (ja) Igf−1分泌促進剤
KR101806474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210133909A (ko)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736929B2 (en) Method for preparing herbal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fat-solublepolyphenol content, herbal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and use thereof
JP7132344B2 (ja) 悪液質および筋損失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06135121A1 (en) Bone disease drug composition using herb medicines
KR101491595B1 (ko) axial―equatorial aryl배향의 furofuran형 리그난을 함유하는 골 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기능성 식품 및 건강 식품
JP6026639B2 (ja) フジバカマ属の抽出物を含有する骨代謝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JP6062065B2 (ja) 過敏性腸症候群を治療するためのアルピニア種抽出物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1446B1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US8501721B2 (en) Postprandial hyperglycemia-improving agent
KR101791648B1 (ko) 알로에-이모딘 및 오메가-3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0001B1 (ko)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76003B2 (ja) 経口用脂肪量低減剤、経口用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および脂肪滴蓄積抑制剤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08007880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runus persica (l.) batsch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one diseases
KR101816193B1 (ko) 13종의 한약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160627B1 (ko) 헛개나무 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92292B1 (ko)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38899A1 (ko)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2995B1 (ko) 피페로날의 신규한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