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13B1 -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13B1
KR101400913B1 KR1020140028980A KR20140028980A KR101400913B1 KR 101400913 B1 KR101400913 B1 KR 101400913B1 KR 1020140028980 A KR1020140028980 A KR 1020140028980A KR 20140028980 A KR20140028980 A KR 20140028980A KR 101400913 B1 KR101400913 B1 KR 10140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hyme
composition
present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이지원
노유헌
김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to KR102014002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별꽃 추출물 또는 (b)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관련 질환 및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성호르몬 전구체와 생체 성호르몬 억제 활성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관련 질환 및 증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과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woman hormone controlling disorder}
본 발명은 별꽃 추출물 또는 백리향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꽃 추출물 또는 별꽃과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과 이로 인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에스트로겐 분비가 크게 감소한다. 이 경우 난포자극호르몬(FSH) 및 황체형성호르몬(LH)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고, 프로게스테론의 생성도 감소된다. 뿐만 아니라 출산과 같이 여성의 신체에 큰 변화가 올 경우에 여성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가 동반되어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과 이로 인한 여러 증상들이 나타난다.
참고로,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으로는, 여성 갱년기, 성욕감퇴, 에스트로겐 저하증, DHEA 저하증, SHBG 증가 질환, 성호르몬 과다증, 성조숙증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과민, 정서불안, 우울증, 현기증, 안면홍조, 발한, 수면장애, 활력저하, 기억력저하, 업무능력 감소, 체력 저하, 운동능력 감소, 체모감소, 피부노화, 골밀도 감소 및 내장지방증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성 호르몬 조절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호르몬 요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요법은 유방암, 뇌졸중, 심장마비, 정맥 혈전증, 심혈관계 질환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호르몬 조절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 물질을 이용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데, 본 발명자들은 여성 호르몬 관련 질환 및 이로 인한 증상의 개선 효능이 뛰어난 새로운 천연성분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별꽃 추출물이 여성 호르몬 전구체를 증가시키고, 여성 호르몬 억제 인자를 감소시킴으로써 여성 호르몬이 감소하는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특히 별꽃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을 함께 적용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별꽃(Stellaria media)은 석죽과의 2년생 초본으로 길가나 밭둑에 주로 자라며 키는 10~20cm 정도로서, 단백질, 칼슘, 철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러한 별꽃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젖을 잘 나오게 한다. 또 잇몸병이나 충치, 맹장염, 장염, 장궤양 등의 염증을 치료하기도 한다.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낙엽반관목으로, 우리나라 곳곳의 높은 산에 자라는 백리향과 바닷가 바위가 많은 곳에 자생하는 섬백리향, 흰꽃이 피는 흰백리향 등이 있다. 이러한 백리향은 음료, 살균제, 화장품 원료 또는 약용으로 이용된다.
아직까지 별꽃 및 백리향이 여성 호르몬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성 호르몬 조절에 관련된 질환 또는 증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성의 성호르몬이 감소하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신체에 거부반응을 줄일 수 있는, 약용식물을 이용한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성호르몬 전구체인 DHEA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성호르몬 억제 생리물질인 SHBG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으로 인한 질환 및 증상의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별꽃 추출물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에 의하여 증가된 40대 이상 여성의 성호르몬 전구체 DHEA 농도의 증가율을 나타낸 결과(Placebo: 위약군, S: 별꽃 추출물, S+T: 별꽃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의 혼합조성물)
도 2는 별꽃 추출물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에 의해 증가된 40대 이상 여성의 성호르몬 억제 생리 활성 물질 SHBG의 농도를 추출물 처리전후로 나타낸 결과(Placebo: 위약군, S: 별꽃 추출물, S+T: 별꽃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의 혼합조성물)
도 3은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에 의하여 개선된 여성 갱년기 증상 수치를 MRS를 통해서 평가하여 정량화한 결과(Placebo: 위약군, S: 별꽃 추출물, S+T: 별꽃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의 혼합조성물)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이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의 의미도 포함한다. 즉, 별꽃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별꽃 추출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별꽃 추출물 또는 백리향 추출물의 효능이나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별꽃 또는 백리향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별꽃 또는 백리향 추출물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 유효량'은 별꽃 추출물 또는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이나 이로 인한 증상은 출산, 노화와 같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으로는, 여성 갱년기, 성욕감퇴, 에스트로겐 저하증, DHEA 저하증, SHBG 증가 질환, 성호르몬 과다증, 성조숙증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과민, 정서불안, 우울증, 현기증, 안면홍조, 발한, 수면장애, 활력저하, 기억력저하, 업무능력 감소, 체력 저하, 운동능력 감소, 체모감소, 피부노화, 골밀도 감소 및 내장지방증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로, 여성 호르몬 전구체로 대표되는 DHEA(Dehydroepiandrosterone)와 여성 호르몬 억제 물질로 대표되는 SHBG(Sex-hormone binding globulin)는 서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그 하나하나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성호르몬 전구체 및 성호르몬 관련 생리물질의 안정적 조절을 통해서 성호르몬 관련 질환 및 증상의 개선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별꽃 추출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은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에 의한 질환 또는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효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별꽃 추출물 또는 별꽃과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용매, 구체적으로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데, 추출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우선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 등이 있다.
그리고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메틸렌클로라이드, 석유에테르 및 THF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추출용매로서, (a) 물, (b)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추출의 용이성면에서 본 발명은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별꽃 또는 별꽃과 백리향에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별꽃 추출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별꽃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별꽃 추출물의 제조
①별꽃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②분쇄물 중량의 약 1 내지 20배의 부피량(v/w%),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의 부피량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③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④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⑤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⑥약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회 반복 추출한다. 그리고 ⑦상기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⑧여과액을 진공농축한 후 ⑨배합비율에 따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⑩분무 건조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별꽃 추출물을 얻는다.
한편, 별꽃 추출물은 아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아임계 추출법이나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2)백리향 추출물의 제조
①백리향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②분쇄물 중량의 약 1 내지 25배의 부피량(v/w%),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배의 부피량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③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④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3시간 내지 6시간 동안, ⑤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⑥약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회 반복 추출한다. 그리고 ⑦상기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⑧여과액을 진공농축한 후 ⑨배합비율에 따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⑩분무 건조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백리향 추출물을 획득한다.
한편, 백리향 추출물은 아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아임계 추출법이나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3)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 제조
위와 같은 방법으로 획득한 각각의 별꽃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1:10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9:1, 보다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a) 별꽃 추출물 또는 (b)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별꽃 추출물, 별꽃 및 백리향 복합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이 추가 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a) 별꽃 추출물 또는 별꽃과 백리향 복합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과, (S)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담체는 제제(製劑)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mg/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1: 여성호르몬 관련 호르몬들의 증가 및 감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여성 호르몬 전구체인 DHEA 및 성호르몬 생체 활성 억제 글로블린인 SHBG의 혈중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이 여성 호르몬 조절 관련 질환 및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1-1> 시험 대상
40대 이상의 성인 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후 DHEA의 혈중 농도 증가 및 SHBG의 혈중 농도 감소를 확인하여 발명 조성물의 성호르몬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1-2> 시험 방법
본 검사에 동의한 만45세 이상 중년 여성 90명 중 위약(Placebo)을 섭취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별꽃 추출물(S) 또는 별꽃 추출물(S)과 백리향 추출물(T)의 혼합물(S+T; 7:3 혼합비)을 섭취한 실험군으로 각 30명씩 임의로 분류하여 8주간 위약 또는 실험약을 일일 400mg 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섭취 전과 후에 <시험예 1-3>의 방법으로 혈중 DHEA 및 SHBG의 농도를 조사하여 본 조성물의 섭취로 인한 성호르몬 조절 평가를 실시하였다.
<1-3> 본 조성물 섭취로 인한 성인 여성의 DHEA 증가 및 SHBG 억제 효과
혈액은 섭취 전과 후에 동일한 시각인 오후 2시에 실험군 여성의 혈액을 팔 정맥으로 채취한 후, heparin 처리된 튜브로 옮겨 담고 2,500rpm(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을 대상으로 DHEA, SHBG ELISA kit (ADI-901-093, 065; Enzo Life Sciences,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혈중 성호르몬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시험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시험 결과, 도 1과 같이 별꽃 추출물(S)을 섭취한 여성의 경우 DHEA의 혈중 농도가 섭취 전에 비해 각각 약 10.8nmol/L로 증가하였고, 혼합물(S+T)을 섭취한 경우 DHEA의 혈중 농도가 섭취 전에 비해 26.8nmol/L로 증가하였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별꽃 추출물(S)를 섭취한 여성의 경우, SHBG의 혈중 농도가 섭취전에 비해 각각 10.15 nmol/L 가량 감소하였고, 혼합물(S+T)을 섭취한 경우, SHBG의 혈중 농도가 섭취전에 비해 22.1 nmol/L 가까이 감소하였다.
시험예 2: 인체시험을 통한 여성 호르몬 저하 증상의 개선 효과
여성에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후 여성 갱년기 평가 설문지를 통해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에 의한 여성 갱년기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2-1> 시험 대상 및 기간
본 검사에 동의한 만45세 이상 중년 여성 90명 중 위약(Placebo)을 섭취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별꽃 추출물(S) 또는 별꽃 추출물(S)과 백리향 추출물(T)의 혼합물(S+T; 7:3 혼합비)을 섭취한 실험군으로 각 30명씩 임의로 분류하여 8주간 위약 또는 실험약을 일일 400mg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섭취 전과 후에 <시험예 2-2>의 검사지에 답하도록 하여 본 조성물의 섭취로 인한 여성 갱년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2-2> 한글판 MRS( Menopause Rating Scale )
1953년 Kupperman등이 발표한 Kupperman index는 현재까지 여성 갱년기 증상과 관련한 연구에서 증상 평가 척도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가 설문 검사 방식이다. 이 방식을 보완하여 1992년 Hildich 등이 보완하여 만든 것이 MENQOL(the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이며 이것을 다시 1996년에 새롭게 보완하여 만든 측정법이 MRS이다. MRS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들에 인용되면서 신뢰도와 타당성이 인정되고 있다. 신체증상, 정신증상, 비뇨생식기증상 등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수가 적고 간편하여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MRS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기준으로 증상을 평가한다.

증 상
상태 정도

없음(0)

약간(1)

보통(2)

심함(3)
매우
심함(4)

안면홍조, 발한
(얼굴이 화끈거리거나 열이 나는 경험, 갑작스럽게 땀이 나는 경험)

심장 불편감
(갑자기 가슴 두근거림, 맥박이 빨라지거나 건너 뜀)

수면 문제
(잠들기 어렵거나 잘깸, 수면을 지속하기 어려움)

우울한 기분
(기분이 처짐, 슬픔, 쉽게 눈물이 남, 의욕 없음)

과민성
(신경이 날카로워지는 느낌, 공격적인 느낌, 긴장감)

불안감
(내적인 초조감, 공황상태가 되는 느낌)

신체 및 정신적 피로
(피로, 무기력함, 기억력 감퇴, 집중력 감소, 건망증)

성적인 문제
(성적 욕구 변화, 성행위의 변화, 성적 만족감의 변화)

배뇨 문제
(배뇨 어려움, 소변이 자주 마려움, 요실금)

질 건조감
(질 부위의 건조감 또는 화끈한 느낌, 성교시 불편감)

관절 및 근육 불편감
(관절 통증, 류마티스와 유사한 증상)
총 점
총점을 계산하여 0~4점은 양호한 갱년기 상태로서 원만한 갱년기를 이야기하며, 5~8점은 경미한 갱년기 상태로서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9~15점은 중증도 갱년기 상태로서 갱년기 장애가 있으므로 전문가의 진단가 치료가 필요하다. 16점 이상은 심한 갱년기 상태로서 장기적인 계획과 치료가 매우 필요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시험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대조군의 MRS 점수가 섭취 전후 크게 차이가 없는 반면, 본 발명의 별꽃 추출물 섭취군은 섭취전에 비해 MRS 점수가 각각 약 4.3점 가량 감소하여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율을 보였다. 또한 본 조성물의 혼합물 섭취군은 섭취 전에 비해 MRS 점수가 약 8.9점 감소하여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율을 보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MRS 검사항목인 활력개선, 성욕, 수면문제, 신경안정, 비뇨기 문제, 관절문제, 우울감, 과민성, 질건강 등 여성 호르몬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킴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 질환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3. 별꽃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별꽃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별꽃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별꽃 추출물 및 상기 백리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별꽃 추출물 및 상기 백리향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10 내지 1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호르몬 조절 이상 질환은 여성 갱년기, 에스트로겐 저하증, DHEA 저하증, SHBG 증가 질환, 성호르몬 과다증, 성조숙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028980A 2014-03-12 2014-03-12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KR10140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80A KR101400913B1 (ko) 2014-03-12 2014-03-12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80A KR101400913B1 (ko) 2014-03-12 2014-03-12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913B1 true KR101400913B1 (ko) 2014-05-28

Family

ID=5089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80A KR101400913B1 (ko) 2014-03-12 2014-03-12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77B1 (ko) * 2014-07-03 2015-10-27 주식회사 파미니티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WO2017069293A1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파미니티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KR20210115684A (ko) 2020-03-16 2021-09-27 신민서 야래향이 함유된 호르몬 조절 크림 제조방법 및 이 크림을 이용한 맛사지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424A (ko) * 1999-09-30 2002-06-22 프란시스 비이. 자콥 폐경기 여성용 조성물
JP2011195504A (ja) 2010-03-19 2011-10-06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424A (ko) * 1999-09-30 2002-06-22 프란시스 비이. 자콥 폐경기 여성용 조성물
JP2011195504A (ja) 2010-03-19 2011-10-06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77B1 (ko) * 2014-07-03 2015-10-27 주식회사 파미니티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WO2017069293A1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파미니티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KR20210115684A (ko) 2020-03-16 2021-09-27 신민서 야래향이 함유된 호르몬 조절 크림 제조방법 및 이 크림을 이용한 맛사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2017021639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03561755A (zh) 稻米、米糠或稻壳提取物作为组胺受体拮抗剂的新用途
KR101563577B1 (ko)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JPH07274894A (ja) 胃潰瘍予防飲食品
KR101400913B1 (ko) 여성 호르몬 조절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189891B1 (ko) 쌀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0291B1 (ko) 꾸지뽕 추출물 또는 꾸지뽕 추출물 및 마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 호르몬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6456690B (zh) 包含来自荜茇的提取物的用于预防、治疗和改善排尿功能障碍的组合物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521003A (ja) シクンシ抽出物を含む前立腺肥大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4302302A (zh) 包含作为活性成分的蓝靛果忍冬的果实提取物用于预防或改善缺血性脑血管病的药物组合物或保健食品
KR101621446B1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787908B1 (ja) 経口更年期症状改善剤
KR101300775B1 (ko)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Compound K,또는 인삼유래 사포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82377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40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402A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20200116783A (ko) 볏짚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106621B (zh) 包含大花马齿苋提取物或其馏分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神经炎症或者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