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810A -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810A
KR20130113810A KR1020120036309A KR20120036309A KR20130113810A KR 20130113810 A KR20130113810 A KR 20130113810A KR 1020120036309 A KR1020120036309 A KR 1020120036309A KR 20120036309 A KR20120036309 A KR 20120036309A KR 20130113810 A KR20130113810 A KR 2013011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flower
powder
glue
fast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090B1 (ko
Inventor
김동일
전송희
이승복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09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 안전성을 가지고, 동물모델에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지질 대사 이상, 호르몬 대사 이상, 자궁 및 난소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oriental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폐경은 모든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필연적 현상이기는 하나, 그로 인한 여성호르몬의 결핍은 장기간에 걸쳐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폐경 후 급성 증상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열성홍조, 발한 등의 혈관운동계 증상과 우울, 불안, 신경예민, 불면 등의 정신적, 정서적 증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만성 증상은 폐경이 있은 지 수년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이상성감증, 위축성질염, 요도염 등의 비뇨생식기계 증상, 동맥경화성 순환기 계통의 질환, 골다공증 등이 있다.
갱년기 및 폐경 후 증상의 치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2002년 미국의 WHI(Women's Health Initiative)는 이 요법에 의해 유방암,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의 발병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성호르몬 치료에 의해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호르몬 요법은 각 개개인의 위험성과 유익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와 저용량의 단기 사용을 권고하며, 치료 목적과 위험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므로 주기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침과 한약 등의 치료방법을 통해 갱년기와 폐경 후의 여러 가지 증상들을 치료해왔으며, 최근에는 호르몬 대체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해 더 많은 여성들이 한의학적인 치료방법으로 폐경 이후의 임상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아직까지 폐경 증후군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장기 복용의 안전성이 확인된 치료 약물이 아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한편, 토사자(兎絲子, Cuscuta japonica)는 새삼의 종자로서 마편초과의 갈잎 떨기나무, 순비기 등에 기생하는 일년생 기생초본이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비타민 A, β-카로틴, γ-카로틴, 5,6-에폭시-α-카로틴, 테라산틴, 루틴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p.882, 영림사, 1998).
상기생(桑寄生)은 다른 나무에 기생하여 사는 반 기생식물인 겨우살이과의 뽕나무겨우살이(Taxillus chinensis, Loranthus parasiticus)의 잎, 줄기, 가지를 말린 약재(한국)로서, 누에를 치지 않는 늙은 뽕나무에 기생한다. 상기생은 모양이 새가 그 위에 서 있는 것과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기생, 우목, 조목이라고 불렀으며, 겨울과 봄 사이에 채취하여 가지를 절단하여 말리거나 혹은 찐 후에 말린다.
속단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약용 부위는 뿌리 및 뿌리줄기이며 학명은 플로미스 움브로사 투르크자니노(Phlomis umbrosa Turczaninow) 이다. 속단은 청열, 소종의 효능이 있어 창옹종독,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교주는 아교를 잘게 썰어 불에 볶아 구슬 모양으로 만든 약을 의미하는 것이다.
산약(Dioscoreae Rhizoma)은 마(Dioscoreaceae)과의 다년생 만생 초본 식물인 마의 근경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마의 뿌리에서 껍질과 점액성 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 상태로 사용되는 생약제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에 분포하며 식물체에 자줏빛이 돌고 뿌리는 육질이며 땅 속 깊이 들어간다.
홍화자(Carthami Semen)는 국화과의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꽃,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 그 효능이 홍화와 거의 같으며, 이외에 활혈산결 및 활혈해독하는 효능을 갖고 있어 두창과 창독불출에 사용된다 (서부일 et al., 알기쉬운 본초학, 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 p295, 2004,).
그러나 아직까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이 생체 안전성을 가지고, 폐경 동물모델에서 폐경기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지질 대사 이상, 호르몬 대사 이상, 자궁 및 난소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특허출원번호 : 10-2009-0062112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생체 안전성을 가지고, 폐경 동물모델에서 폐경기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지질 대사 이상, 호르몬 대사 이상, 자궁 및 난소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방암 세포주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유방암 세포주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ER-α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유방암 세포주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ER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GOT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GPT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HDL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칼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자궁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에스트라디올-17β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NO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자궁 조직 내 ERK 및 AKT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폐경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자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H&E 염색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분말을 각각 15내지 35% : 5 내지 25% : 5 내지 25%: 5 내지 25% : 15내지 35% : 5 내지 2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분말은 물, 탄소수 1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며,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한다. 추출 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비는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5% : 5 내지 25% : 5 내지 25%: 5 내지 25% : 15내지 35% : 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20내지 30% : 10 내지 15% : 10 내지 15%: 10 내지 15% : 20내지 30% : 10 내지 15%의 중량비이다. 상기 혼합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효과 면에서 큰 차이가 없으며,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 및 생체 내 자궁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에스트로겐 단백질을 활성화 시킨다. 또한, 폐경 동물모델에서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간 독성이 없으며, 지질대사 관련 지표인 혈중 고밀도지단백질, 혈중 중성지방 및 혈중 글루코오스 수치를 개선시키고, 골대사 관련 지표인 혈중 인 농도 및 혈중 칼슘 농도를 개선시키며, 자궁지수를 향상시키고,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혈중 NO 농도를 조절하고, 자궁 조직의 위축을 개선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생체 안전성을 가지고, 폐경 동물모델에서 폐경기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지질 대사 이상, 호르몬 대사 이상, 자궁 및 난소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경기 증후군' 이란 폐경기 여성들의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와 관련되어 겪게 되는 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등의 심혈관 질환,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등과 같은 신경혈관계 이상, 골다공증 등과 같은 운동 기관계 이상, 우울증 등과 같은 정신 신경 계통 이상,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피부 조직의 변화 및 탈모증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성 호르몬의 급감으로 인한 증상이라면 모두 폐경기 증후군에 해당하고 상기 증상에 국한되어 생각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과 함께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1일 1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이란 질병의 예방 및 치료,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토사자, 상기생 , 속단, 아교주 , 산약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South Korea)에서 제공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를 정선한 뒤 분말하였다. 분쇄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분말을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중량%로 혼합한 후, 멸균한 정수물에 녹여 최종 혼합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한약재 이름 영문명 양 (g)
토사자 Semen Cuscutae 16
상기생 Ramulus Taxilli 8
속단 Radix Dipsaci 8
아교주 Colla Corii Asini 8
산약 Rhizoma Dioscoreae 16
홍화자 Cartjami Semen 8
총량 64
실험예 1. 안전성 검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4 웰 플레이트에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세포(5x105cells/well)를 12시간 배양한 후 FBS를 첨가하지 않은 (serum free medium) RPMI-1640 (Invitrogen) 배지로 교환하여 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이 후, 다양한 농도(0.01, 0.1, 1 또는 5μg)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를 세포에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MTT 용액(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2mg/ml를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dimethylsulfoxide, Sigma)로 용해시켜 5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5μg의 농도까지는 세포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 세포 실험에서는 1 μg 농도의 약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에스트로겐 활성에 미치는 영향 검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 내 에스트로겐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MDA-MB-231 세포주에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1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시간 대 별 (5, 10, 30, 60, 120분)로 세포 내 ERα (Estrogen receptor-alpha) 및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의 인산화를 웨스턴블랏을 통해 측정하였다. ERK는 ERα에 의해 활성화되는 에스트로겐 단백질 효소이다. ERα 및 ERK의 인산화 결과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모두 상기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C)에 비해 ERα 또는 ERK의 인산화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에스트로겐 단백질을 활성화 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폐경 동물모델에서의 치료 효과 검증
3-1. 폐경 동물모델의 설계
8주령 된 Wister albino 암컷 랫트 (오리엔트,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온도 22±1℃, 습도 55±1%, 12시간 명암주기의 통제된 사육실(동국대 일산병원 동물실)에서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반입 후 7일 동안 적응 사육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무게별로 균등하게 10마리씩 4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하기과 같이 처치하였다.
-그룹 1 (정상군(C; Control group)) : Sham OVX, 복부를 절개한 후 난소절제는 하지 않고 다시 봉합한 뒤 이후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군,
-그룹 2 (대조군(N; Negative Control group)) : OVX (난소절제)+무처치군, 난소절제만 하고 무처치한 군,
-그룹 3 (실험군(Ex group)) : OVX (난소절제)+한약재 처리군, 난소절제 후 500 mg/kg농도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
-그룹 4 (양성대조군(P group)) : OVX (난소절제)+Raloxifene Tx, 난소절제 후 5.4 mg/kg 의 농도로 랄록시펜 (Raloxifene,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을 투여한 군.
난소 적출은 에테르(Ether) 마취 후, 최후위늑골에서 옆 방향으로 척추의 좌우 1cm절도를 절개 후, 다시 복막을 절개하고 난소 주변의 체지방을 잡아 난소낭에 쌓인 난소를 꺼내었다. 그 후 난관주위를 봉합사로 결찰하고 난소를 적출한 후, 복막과 근층을 흡수성 봉합사로 동시에 봉합 후 피부는 비흡수성 봉합사로 봉합하여 실시하였다. 약물은 총 3개월간 투여하였으며, 동결 건조 후 사료에 혼합하여 복용하게 하였다.
3-2. 체중변화
3개월 간의 약물 투여가 끝난 후, 각 군의 실험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소 적출을 하지 않은 C군(정상군)에 비하여 난소 적출을 하고 다른 처치를 하지 않은 음성대조군(N)에서 몸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난소 적출 후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Ex)에서는 몸무게가 약간 감소했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난소 적출 후 랄록시펜을 투여한 군(P)에서는 몸무게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후 체중증가를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3. 간독성 검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이 실험 동물의 간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중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및 GPT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청의 분리를 위하여 먼저 랫트를 에테르로 마취한 후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혈액을 25℃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4℃에서 2000 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80℃에 보관하였다. 혈중 GOT및 GPT의 측정 결과를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과 랄록시펜을 투여한 군(P)은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혈중 GOT 및 GPT 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실험동물에 대해 간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지질대사 관련 지표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동물모델에서 지질대사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밀도지단백질 (HDL), 중성지방(TG) 및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 내지 도 9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고밀도지단백질 (HDL)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중성지방(TG)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글루코오스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동물모델에서 지질대사 관련 지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골대사 관련 지표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동물모델에서 골대사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5-1. 혈중 인 농도 측정
P은 모든 세포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인체 내 함량의 85% 정도가 뼈에 존재 한다. 혈중 P은 에너지대사, 근수축, 조직으로의 산소공급 등에 관여하며, 골 흡수 시 Ca과 더불어 감소되고 혈청 중 Ca과 P의 농도는 상승하게 되므로, P와 Ca은 골대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중 인 농도의 변화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인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5-2. 혈중 칼슘 농도 측정
혈중 칼슘 농도의 변화는 뼈에 존재하는 칼슘의 영향을 받게 되고, 난소 적출로 인한 골 교체율의 증가는 골질의 감소를 초래하여 혈중 칼슘의 상승을 가져오게 하므로 혈중 칼슘의 변화는 골 흡수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중 칼슘 농도의 변화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칼슘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동물모델에서 골대사 관련 지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자궁 및 난소 기능에 대한 효능 검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동물모델에서 자궁 및 난소 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6-1. 자궁지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폐경 후에 나타나는 자궁의 위축을 막고 물리적 회복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궁지수를 측정하였다. 자궁 지수는 실험 동물의 몸무게에 대한 자궁 무게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유의성 있게 자궁지수가 상승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체중의 증가와 같은 대사계의 부정적인 효과 없이 자궁 지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2. 혈중 에스트라디올 ( estradiol )-17β 농도 측정
폐경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지표인 혈중 천연 에스트로겐인 혈중 에스트라디올 (estradiol)-17β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에스트라디올 (estradiol)-17β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혈중 에스트로겐의 농도를 조절하여, 폐경기 질환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3. 혈중 NO 농도 측정
NO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혈관이완 인자로 항염증, 항혈전 등의 기능 및 구조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강력한 혈관확장 물질이다. 자궁에서 생성된 산화질소는 자궁근육의 수축력과 혈관 긴장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생리 시 자궁수축과 생리통 및 출혈량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주며, 태반의 혈류 순환을 위해 혈관조직에서 생성되어 혈류조절기능에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연구 결과를 통해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이 자궁에서의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발현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다.
혈중 NO 측정은 Nitric oxide colorimetric Assay Kit(Biovis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랫트에서 분리한 혈청 85ul와 질산환원효소(nitrate reductase)를 섞은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질산염(nitrate)을 아질산염(nitrite)으로 전환시켰다. 그 후 Griess reagent를 섞은 후 1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NO의 농도는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감소하였다.
6-4. 자궁 조직에서의 ERK AKT 의 인산화 측정
자궁 조직의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ERK와 뼈 형성과정에서 조절인자로 작용하는 AKT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N)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Ex)에서 ERK의 인산화 및 AKT의 인산화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6-5. 자궁의 조직학적 분석
자궁의 조직학적 분석을 위하여, Rompun (0.04 ml/100 g) 과 Zoletil 50 (0.04 ml/100 g) 을 랫트의 복강 내에 주입하여 마취시킨 후 자궁을 적출하였다. 상기 자궁조직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10%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자궁 조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파라핀에 포매한 후 4 ㎛ 두께의 연속절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절편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 (BX50)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소를 적출한 음성대조군(B)은 난소를 적출하지 않은 정상군(A)에 비해서 자궁 조직이 위축되어 있었으며,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C)은 자궁의 위축이 음성대조군(B)에 비하여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은 폐경 후 발생하는 자궁의 위축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
2-1. 건강식품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는 15내지 35% : 5 내지 25% : 5 내지 25%: 5 내지 25% : 15내지 35% : 5 내지 2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토사자, 상기생, 속단, 아교주, 산약 및 홍화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병, 빈맥,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골다공증, 우울증, 요실금, 배뇨곤란, 오줌 소태, 재발성 비뇨기계 염증 및 탈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36309A 2012-04-06 2012-04-06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09A KR101333090B1 (ko) 2012-04-06 2012-04-06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09A KR101333090B1 (ko) 2012-04-06 2012-04-06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810A true KR20130113810A (ko) 2013-10-16
KR101333090B1 KR101333090B1 (ko) 2013-11-27

Family

ID=4963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309A KR101333090B1 (ko) 2012-04-06 2012-04-06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0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908A (zh) * 2014-04-16 2014-07-16 泰山医学院 一种预防和治疗废用性骨质疏松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55614A (ko) * 2015-11-11 2017-05-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004626A1 (ko) * 2017-06-30 2019-01-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25077A3 (ko) * 2017-12-22 2019-08-15 한국한의학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8080A (ko) * 2018-02-13 2019-08-21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복합 발효 하수오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12316046A (zh) * 2019-08-05 2021-02-05 石家庄以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治疗动脉粥样硬化药物中的应用
KR20210115702A (ko) * 2020-03-16 2021-09-27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549A (zh) * 2015-09-30 2015-12-02 成都倍加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脱发的内服中药丸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69A (ko) * 1998-09-16 2000-04-15 정세영 홍화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촉진제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908A (zh) * 2014-04-16 2014-07-16 泰山医学院 一种预防和治疗废用性骨质疏松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55614A (ko) * 2015-11-11 2017-05-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004626A1 (ko) * 2017-06-30 2019-01-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690888B2 (en) 2017-06-30 2023-07-04 Dongguk University Wise Campus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WO2019125077A3 (ko) * 2017-12-22 2019-08-15 한국한의학연구원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8080A (ko) * 2018-02-13 2019-08-21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복합 발효 하수오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12316046A (zh) * 2019-08-05 2021-02-05 石家庄以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治疗动脉粥样硬化药物中的应用
KR20210115702A (ko) * 2020-03-16 2021-09-27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090B1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090B1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1696B1 (ko) 목단피, 백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JP2013537890A (ja) ハリグワ及びヨクイニンを含む肥満抑制又は血糖降下用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0771524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3513A (ko) 산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93918A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1347B1 (ko)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 분획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및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068128B1 (ko) 이온화칼슘 시비 현미를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알코올배설과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 및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693573B1 (ko)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464609A (zh) 具有降血脂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