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918A -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918A
KR20060093918A KR1020050015049A KR20050015049A KR20060093918A KR 20060093918 A KR20060093918 A KR 20060093918A KR 1020050015049 A KR1020050015049 A KR 1020050015049A KR 20050015049 A KR20050015049 A KR 20050015049A KR 20060093918 A KR20060093918 A KR 2006009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ed herbal
osteoporosis
ogapi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628B1 (ko
Inventor
김정근
김세원
김형건
고선일
백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코텍
Priority to KR102005001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628B1/ko
Priority to CN2006800056138A priority patent/CN101128210B/zh
Priority to EP06716084A priority patent/EP1853348A4/en
Priority to JP2007556974A priority patent/JP2008531552A/ja
Priority to PCT/KR2006/000634 priority patent/WO2006091030A1/en
Publication of KR2006009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628B1/ko
Priority to US11/844,237 priority patent/US8053001B2/en
Priority to US12/133,626 priority patent/US83339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83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mmu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과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herbal mixture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조골 세포주 MG63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OPG 단백질의 발현을 ELISA로 분석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파골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과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bone)은 근육과 연합되어 있는 석회화된 결체조직으로서, 표면은 두껍고 단단한 석회화 조직으로 신체균형을 이루는 지주역할을 하며, 장기를 보호한다. 골의 안쪽은 골수조직으로 칼슘대사의 중심이 되는 부위이다. 골은 콜라겐(collagen),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오스테오넥틴(osteonectin) 등 유기질(organic substance)과 칼슘, 인, 불소 등의 무기질(inorganic substance) 및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체에서는 항상 골형성(bone formation)과 골흡수(bone resorption)가 일어나고 있다. 골형성은 소량의 부갑상선 호르몬이나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불소, 인 등에 의하여 촉진되며, 골흡수는 물리적 감압, 무중력상태, 다량의 부갑상선 호르몬,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등에 의하여 촉진된다. 따라서 골대사에는 이들 사이의 균형(balance)이 중요하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골흡수와 골형성의 균형이 무너져 발생하는 것으로 골형성보다 과다하게 골흡수가 진행되는데 기인한 질환으로, 골다공증은 골 조직의 석회가 감소되어 뼈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骨髓腔)이 넓어지고, 증 세가 진전됨에 따라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 골조직은 조골세포에 의해 형성되고 파골세포에 의해 파괴 흡수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동적인 조직이다.
골흡수는 파골세포에 의해서 일어나며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는 NF-κB 수용체의 수용체 활성제(receptor activator of NF-κB receptor, RANKL)가 반드시 필요하다. RANKL은 조골세포 및 간엽세포에 존재하며 파골세포 전구세포 및 파골세포의 NF-κB의 수용체 활성제(receptor activator of NF-κB, RANK)에 결합한다(Hofbauer L. C., Khosla S., Dunstan C. R., Lacey D. L., Boyle W. J., Riggs B. L., The roles of osteoprotegerin and osteoprotegerin ligand in the paracrine regulation of bone resorption. J Bone Miner Res., 15(1):2-12, 2000). 조골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인 오스테오프로테그린(osteiprotegerin, OPG)은 RANKL의 유인기(decoy) 수용기로써 RANKL와 RANK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파골세포 전구세포가 파골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며, 파골세포의 활성도 억제 시킨다(Kong Y. Y., Feige U., Sarosi I., Bolon B., Tafuri A., Morony S., Capparelli C., Li J., Elliott R., McCabe S., Wong T., Campagnuolo G., Moran E., Bogoch E. R., Van G., Nguyen L. T., Ohashi P. S., Lacey D. L., Fish E., Boyle W. J., Penninger J. M.: Activated T cells regulate bone loss and joint destruction in adjuvant arthritis through osteoprotegerin ligand. Nature, 402:304-309, 1999; Yasuda H., Shima N., Nakagawa N., Yamaguchi K., Kinosaki M., Goto M., Mochizuki S. I., Tsuda E., Morinaga T., Udagawa N., Takahashi N., Suda T., Higashio K.: A novel molecular mechanism modula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one, 25(1):109-113, 1999; Suda T., Takahashi N., Udagawa N., Jimi E., Gillespie M. T., Martin T. J.: Mod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y the new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nd ligand families. Endocr Rev, 20(3):345-357, 1999; Aubin J. E., Bonnelye E.: Osteoprotegerin and its ligand: a new paradigm for regulation of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sorption., Osteoporos Int, 11(11):905-913, 2000).
골다공증의 원인은 원발성(primary)과 속발성(secondary)으로 나누며 원발성 골다공증은 주로 노년기 골다공증과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이고 속발성 골다공증은 갑상선 기능항진, 부갑상선 기능항진, 부신피질 기능항진, 임신, 장기간의 고정(예, 석고붕대 고정 등), 영양부족, 약물, 종양과 그 밖의 만성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원발성 골다공증은 원인이 분명치 않으나 여러 인자가 관여한다고 인식되어 왔다. 노화에 의한 골대사의 평형의 붕괴와 더불어 칼슘부족, 부갑상선 호르몬의 과잉, 칼시토닌(calcitonine)의 결핍, 활성형 비타민 D의 부족, 여성호르몬의 결핍, 운동부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칼슘대사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는 부갑상선 호르몬(PTH), 칼시토닌(CT), 1,25-(OH)2D3등이다. 칼슘의 대사에 관여하는 부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의 방여포 세포라고도 불리는 C세포에서 분비되는 칼시토닌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칼시토닌은 폴리펩타이드로 분자량이 3500-4000 정도이며 뼈에 작용하여 칼슘염이 뼈에 침착되도록 도와준다. 그 결과 혈중 칼슘과 마그네슘이 감소하고 소변 내의 인산과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도 감소한다.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도 폴리펩타이드로서 분자량이 8447 정도이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 작용하여 파골세포(Osteoclast)를 활성화하여 골흡수를 증가시키고, 소장 점막에서 비타민 D3의 작용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혈중칼슘과 마그네슘이 증가하고 소변 내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과 인산(PO4 3-)도 증가한다.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인 에스트라디올은 뼈에서 조골세포(Osteoblast)를 활성화시켜 골흡수를 막는다.
여성의 폐경기 이후에는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저하되어 그 결과 혈중 칼시토 닌이 감소하고 신장에서의 1,25-(OH)2D3 합성이 감소하며,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인터루킨 6(IL-6)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이 증가하여 소장 내에서의 칼슘 흡수율이 저하되며, 파골세포가 활성화됨으로써 골흡수가 증대되어 골소실율이 항진되므로 골다공증의 발생율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골흡수가 골형성보다 활발해지면 관절기능에 장해가 생기고 척추가 점진적으로 기형이 되며 척추와 기타 부위에 미세한 골절이 유발되고, 통증(특히 요배통)이 심해 져 운동성이 저하되며, 척추 후만이 일어나 신장이 줄어든다.
골다공증은 그 증세 자체보다는 골의 약화에 따라 용이하게 초래되는 각종 골절, 특히 대퇴골 골절 또는 척추골절 등이 장기간 활동을 제한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노인층 사망의 15%에 대한 원인제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량은 유전적 요인, 영양 섭취, 호르몬의 변화, 운동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개인차는 있지만 백인보다는 흑인이 골 재흡수 수준(bone resorption level)이 낮아 골량이 더 높으며, 대개 골량은 14~18세에 가장 높고 노후에는 1년에 약 1%씩 감소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골 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이와 같이 골다공증은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골질환 치료와 관련되어 약 1,3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에서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현재 골흡수 억제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과거에는 주로 골의 무기질, 즉 칼슘과 인의 대사이상을 중심 으로 그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의 발병 기전 규명에는 큰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알렌드로네이트, 에티드로네이트), 호르몬 제제(랄록시펜), 비타민 D 제제, 칼시토닌 제제, 칼슘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흡수율이 떨어지며 복용방법이 까다롭고 식도염을 유발시키며, 호르몬 제제는 평생 복용하여야 하며 장기 투여할 경우 유방암, 자궁암, 담석 및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비타민 D 제제는 고가이며 효과가 확실하지 않고, 칼시토닌 제제는 고가이며 투여방법이 어렵고, 칼슘제제는 부작용은 적지만 치료보다는 예방효과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으며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지황과 오가피의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하던 중,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조골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생성과 활성화를 막는 단백질인 오스테오프로데그린의 발현을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부작용 없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발현 증식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과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osteoprotegerin; OPG) 발현 증식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과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현삼과에 딸린 약용식물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 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민간요법에서는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cis Cortex)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관목식물로, 북반구 극동아시아에만 분포하며 남한에는 멸종 위기에 있는 야생보호식물이다. 오가피의 종류로는 가시오가피, 일반오가피, 향오가피가 있고, 한방에서 독성과 부작용이 없다는 상약으로 분류하여 뿌리와 껍질을 약재로 사용한다. 잎에는 지사노사이드(Chiisanoside)가 있어 약리적 기능을 갖고 있으며, 뿌리에서는 오가피 배당체뿐만 아니라 지링긴(Sylrgin), 쿠마린 배당체 등이 있다. 오가피에는 오가피 배당체인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B, D)와 면역성을 높여 주는 수용성 다당체가 있다. 오가피는 맛이 맵고 쓰며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고, 간경(肝經), 신경(神經)에 작용하여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정수를 불러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오로(오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허로병)와 칠상(남자가 허약해서 생기는 일곱 가지 증상)을 보해 주며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데에 쓰였으며, 이를 장복하면 신체의 기(氣)를 높여주고 위를 보해 주고 정력을 좋게 해주며 정신을 맑게 하고 의지력을 높게 하며 몸이 가벼워지고 늙는 것을 방지하고 몸 안의 나쁜 피를 맑고 깨끗이 다스려 준다고 알려져 있고, 허리 척추가 쑤시는 통증, 남자 음위증, 낭습, 여자음양증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숙지황 및 오가피를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 용액으로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 조할 수 있다.
숙지황 및 오가피 각각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이들을 추출용기에 넣고,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다. 추출물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액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숙지황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얻은 숙지황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방법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통상의 추출방법이 가능하며, 열수 추출의 경우 10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숙지황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은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15.0:0.5~0.15:5.0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1~1:4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4:1~1:1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는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단백질의 발현을 촉진시킨다(도 1).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도 2).
특히,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8:1~1:4으로 혼합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4:1~1:1으로 혼합되는 경우에,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단백질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 및 파골세포 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모두 현저하게 나타나며,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두 성분의 상승 작용으로 인하여 탁월하게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는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단백질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랫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 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D3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300 내지 700 ㎎/㎏이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50 내지 450 ㎎/㎏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 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0.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삼칠근, 숙지황 및 오가피는 재배산으로 시중의 건재상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1. 숙지황 추출물의 제조
숙지황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숙지황 100g을 3ℓ 추출용기에 넣고 증류수 1ℓ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숙지황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42%).
1-2. 오가피 추출물의 제조
오가피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오가피 100g을 3ℓ 추출용기에 넣고 증류수 1ℓ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오가피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5.8%).
1-3.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상기 1-1에서 얻은 숙지황 추출물 0.15~15.0 중량부와 상기 1-2에서 얻은 오가피 추출물 0.5~5.0 중량부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합하여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세포 배양액에 희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조골세포의 배양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오스테오프로테그린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골육종에서 유래된 세포주인 MG-63 세포주와 HOS 세포주를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로 37℃, 95% 습도,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1-2. 파골세포 생성을 억제하는 오스테오프로테그린의 발현 측정
본 발명에서는 조골세포를 배양하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처리하여 OPG의 분비양이 증가됨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험예 1-1에서 기술한 MG-63 세포주를 96 웰 플래이트에 포화상태가 되도록 배양한 다음, 여러 농도의 생약재 추출물이 포함된 혈청 부재(serum free) DMEM 배양액 2 ㎖을 첨가하여 16시간 배양한 후 상청액을 수확하였다. OPG 효소 면역 측 정법 (ELISA)을 이용하여 OPG가 유리된 양을 측정하였다. 효소면역 측정 시 흡광도는 Dynatech MR-7000 (Dynatech Laboratorie 사) 기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OPG 유리량은 배지만 첨가한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OPG 유리 증가율(%) = (1-실험군의 O.D.450/대조군의 O.D.450)×100
(상기 식에서 O.D.450는 450 nm에서의 흡광도)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첨가한 경우 조골세포에서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인 OPG 단백질의 발현을 실시예 1의 숙지황 추출물의 3 및 6 ㎎/㎖의 농도에서 각각 200% 및 221 %까지 증가시켰으며, 오가피 추출물의 1.25 ㎎/㎖의 농도에서 194% 까지 증가시켜 두 생약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OPG 발현을 증가시킨다.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약 120~130% 이상의 오스테오프로테그린 단백질 발현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1, 도 1). 특히, 숙지황 추출물을 6 ㎎/㎖ 넣을 경우 보다, 숙지황 추출물 3 ㎎/㎖과 오가피 추출물을 1.25 ㎎/㎖을 혼합했을 때 상승작용으로 OPG 발현 증가 효과가 더욱 탁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약재 추출물 제조시 숙지황 추출물에 대한 오가피 추출물의 적절한 혼합 중량비가 OPG 발현 증가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OPG 분비량 (%)
오가피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농도(㎎/㎖) 0 1.25
0 100 194.8
3 200.4 249.2
6 221.6 198.2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에서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OPG 발현을 증가시켜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파골세포(osteoclast)의 증식 억제 작용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성장 및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칼슘-포스페이트로 피막된 플레이트(OAAS, OCT Inc.)에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파골세포의 표지효소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활성을 분석하였다.
2-1.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순수 분리 및 성숙한 파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마우스 골수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7∼9주 된 웅성 마우스를 경부염전으로 희생시킨 후, 대퇴골과 경골을 무균적으로 적출하고 연조직을 제거하며 장골의 양끝을 절단한 후, 26G 주사침을 이용하여 한쪽 끝의 골수강에 0.1% 콜라게나제 (Gibco), 0.05% 트립신 및 0.5 mM EDTA(Gibco)가 포함된 효소용액 1㎖를 주사하였다. 골수를 꺼낸 후 30분간 교반하고 골수세포를 모아 10% FBS가 포함된 α-MEM(α-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24시간 전배양한 후 미부착 세포들을 모았다.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되는 미부착 세포를 웰당 2×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8일간 배양하는 동안 20 ng/㎖ 대식세포-집락 자극 인자(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Peprotech, USA)와 30 ng/㎖ RANKL(Peprotech, USA)이 포함된 α-MEM에 상기 실시예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처리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파골세포의 생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세포를 고정하여 TRAP 염색을 시행하였다.
2-2. TRAP(+)인 다핵세포 형성 측정
파골세포의 형성 측정은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칼슘-포스페이트로 코팅된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한 후 TRAP(+)를 보이는 다핵세포의 수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배양 후 부착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시트레이트-아세테이트-포름알데히드(citrate-acetate-formaldehyde)로 5분 동안 고정시키고 나프톨 (naphthol) AS-BI 포스페이트(phosphate), 패스트 가르넷(fast Garnet) GBC 용액과 7mM 타르타레이트 완충액(tartrate buffer, pH 5)을 함유하는 37℃ 아세테이트 완충액(pH 5.0)에 1시간 동안 배양하여 TRAP 염색을 하였다. 3개 이상의 핵을 가지는 TRAP(+) 다핵세포들을 파골세포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단일 추출물을 처리하여 8일 동안 배양한 후 TRAP 양성 다핵세포의 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아래의 수학식 2로 생성의 억제율을 표기 하였다.
<수학식 2>
TRAP(+)인 다핵세포 생성 억제율(%) = 100 - {(실험군 다핵세포수 / 대조군 다핵세포수) × 100}
파골세포증식 억제율(%)
오가피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농도(㎎/㎖) 0 0.125 0.25 0.5 1
0 0.00 12.77 19.28 61.61 99.74
0.125 12.43 15.85 33.42 70.69 99.57
0.25 12.68 28.19 40.10 71.64 99.83
0.5 40.10 40.02 60.84 81.92 100.00
1 49.01 55.01 68.98 93.32 100.00
2 81.75 90.15 92.89 99.31 100.00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숙지황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어떤 추출물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억제 비율을 0으로 하고 대조군에 비한 TRAP 양성 다핵세포의 수의 억제 비율이 각각 0.125, 0.25, 0.5, 1, 2 ㎎/㎖의 농도에서 12.43, 12.68, 40.10, 49.01, 81.75%로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오가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각각 0.125, 0.25, 0.5, 1 ㎎/㎖의 농도에서 12.77, 19.28, 61.61, 99.74%로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억제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TRAP(+)인 다핵세포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숙지황 추출물은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농도를 높이더라도 0.5 ㎎/㎖의 농도까지는 50%의 억제효과를 넘지 못하는 활성을 보일 뿐이나, 오가피 추출물과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낮은 농도에서도 최대 100%의 억제 효과의 큰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숙지황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25 ㎎/㎖ 이상으로 혼합한 경우, 특히 숙지황 추출물을 약 2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오가피 추출물을 약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50 중량% 이상과 오가피 추출물 25 중량% 이상을 포함할 경우에 그 이하의 중량%를 갖는 경우에 비해 파골세포의 생성이 현저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숙지황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상승작용으로 현저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급성독성실험을 하였다.
실험동물로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모두 랫트에서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추출물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0.5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5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ㅇ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숙지황 및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로부터 오스테오프로테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와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복합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숙지황 추출물을 2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오가피 추출물을 10 중량% 이상 포함할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 숙지황 50 중량% 이상과 오가피 추출물 25 중량% 이상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상기 효과가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탁월하게 향상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조골세포로부터의 오스테오프로테제린(OPG) 분비 촉진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숙지황 및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15.0:0.5~0.1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8: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숙지황 추출물:오가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4: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15049A 2005-02-23 2005-02-23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049A KR100680628B1 (ko) 2005-02-23 2005-02-23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2006800056138A CN101128210B (zh) 2005-02-23 2006-02-23 熟地黄和五加皮的草药混合物提取物以及用于预防和治疗骨质疏松症的包含其的组合物
EP06716084A EP1853348A4 (en) 2005-02-23 2006-02-23 MEDICINAL PLANT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JP2007556974A JP2008531552A (ja) 2005-02-23 2006-02-23 熟地黄と五加皮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骨粗鬆症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PCT/KR2006/000634 WO2006091030A1 (en) 2005-02-23 2006-02-23 A herbal mixture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US11/844,237 US8053001B2 (en) 2005-02-23 2007-08-23 Herbal mixture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US12/133,626 US8333998B2 (en) 2005-02-23 2008-06-05 Herbal mixture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049A KR100680628B1 (ko) 2005-02-23 2005-02-23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918A true KR20060093918A (ko) 2006-08-28
KR100680628B1 KR100680628B1 (ko) 2007-02-09

Family

ID=3692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049A KR100680628B1 (ko) 2005-02-23 2005-02-23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53001B2 (ko)
EP (1) EP1853348A4 (ko)
JP (1) JP2008531552A (ko)
KR (1) KR100680628B1 (ko)
CN (1) CN101128210B (ko)
WO (1) WO2006091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81B1 (ko) * 2007-04-18 2008-08-19 주식회사 오스코텍 숙지황, 삼칠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953842B (zh) * 2010-08-25 2012-05-30 南京中医药大学 丁香苷在制备治疗急性痛风药物中的应用
KR101486857B1 (ko) * 2013-06-11 2015-01-28 (주)뉴메드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6923B1 (ko) * 2016-01-28 2016-08-23 류홍선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사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467B1 (en) * 1995-07-18 2001-11-06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restructuring bone
KR100455222B1 (ko) * 1999-12-31 2004-11-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이어트 인삼복합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826B1 (ko) * 2000-11-28 2004-01-31 신준식 구척 및 천수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830746B1 (ko) * 2000-12-23 2008-05-20 신준식 오적골, 우슬, 두충, 오가피, 고비 및 구판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약학적 제제
KR20030012714A (ko) * 2001-08-04 2003-02-12 양상철 성장촉진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WO2003024467A1 (fr) * 2001-09-17 2003-03-27 School Juridical Person, Suzuka Univesity Of Medical Science Compositions comprenant des plantes determinees et medicaments et aliments de sante comprenant ces compositions en tant qu'ingredients actifs
KR100373497B1 (en) * 2001-10-27 2003-02-25 Jung Keun Kim Extract of rehmanniae radix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facilitating bone formation of children an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KR100399374B1 (ko) * 2001-10-27 2003-10-01 주식회사 오스코텍 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기 뼈 형성 촉진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3171289A (ja) * 2001-12-06 2003-06-17 Nissei Marine Kogyo Kk 鎮痛用医薬組成物
JP3650083B2 (ja) 2002-06-10 2005-05-18 日本無線株式会社 導波管スロットアレーアンテナ
JP2004155779A (ja) * 2002-10-16 2004-06-03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の予防・治療用経口組成物
KR20050047579A (ko) * 2003-11-18 2005-05-23 신준식 혼합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KR100555904B1 (ko) * 2004-05-19 2006-03-03 주식회사 오스코텍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3348A4 (en) 2010-11-03
JP2008531552A (ja) 2008-08-14
CN101128210A (zh) 2008-02-20
WO2006091030A1 (en) 2006-08-31
US8053001B2 (en) 2011-11-08
US20080254151A1 (en) 2008-10-16
US8333998B2 (en) 2012-12-18
KR100680628B1 (ko) 2007-02-09
US20080026085A1 (en) 2008-01-31
EP1853348A1 (en) 2007-11-14
CN101128210B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358B1 (ko) 삼칠근, 숙지황,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0680628B1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7794760B2 (en) Herbal mixture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Acanthopanacis Cortex and Notoginseng Radi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itis
KR20100009151A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4566A (ko) 엉겅퀴 및 우슬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464877B1 (ko)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KR20080094132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10048642A (ko)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10048641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90011140A (ko) 창이자, 숙지황 및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27452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70130075A (ko)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0081A (ko)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40004293A (ko) 문주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