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904B1 -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904B1
KR100555904B1 KR1020040035638A KR20040035638A KR100555904B1 KR 100555904 B1 KR100555904 B1 KR 100555904B1 KR 1020040035638 A KR1020040035638 A KR 1020040035638A KR 20040035638 A KR20040035638 A KR 20040035638A KR 100555904 B1 KR100555904 B1 KR 10055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ed herbal
herbal medicine
present
osteopo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809A (ko
Inventor
김정근
김세원
김형건
고선일
백동헌
이병의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코텍
Priority to KR102004003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904B1/ko
Priority to JP2005146854A priority patent/JP4496127B2/ja
Publication of KR2005011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904B1/ko
Priority to JP2010045088A priority patent/JP201013270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herbal mixture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파골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골흡수와 골형성의 균형이 무너져 발생하는 것으로 골형성보다 과다하게 골흡수가 진행되는데 기인한 질환으로, 골다공증은 골 조직의 석회가 감소되어 뼈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骨髓腔)이 넓어지고, 증세가 진전됨에 따라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 골조직은 조골세포에 의해 형성되고 파골세포에 의해 파괴 흡수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동적인 조직이다.
골다공증은 그 증세 자체보다는 골의 약화에 따라 용이하게 초래되는 각종 골절, 특히 대퇴골 골절 또는 척추골절 등이 장기간 활동을 제한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노인층 사망의 15%에 대한 원인제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량은 유전적 요인, 영양 섭취, 호르몬의 변화, 운동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개인차는 있지만 백인보다는 흑인이 골 재흡수 수준(bone resorption level)이 낮아 골량이 더 높으며, 대개 골량은 14~18세에 가장 높고 노후에는 1년에 약 1%씩 감소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골 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즉, 폐경기에 이르면 에스트로젠 농도가 급속히 감소하는데, 이때 인터루킨-7(interleukin-7; IL-7)에 의한 것처럼 B-임파구(B-lymphocyte)가 다량 생성되어 골수(bone marrow)에 B 세포 전구체(pre-B cell)가 축적되고 이로 인해 IL-6의 양이 증가하여 파골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결국 골량이 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다공증은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골질환 치료와 관련되어 약 1,3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에서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현재 골흡수 억제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과거에는 주로 골의 무기질, 즉 칼슘과 인의 대사이상을 중심으로 그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의 발병 기전 규명에는 큰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알렌드로네이트, 에티드로네이트), 호르몬 제제(랄록시펜), 비타민 D 제제, 칼시토닌 제제, 칼슘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흡수율이 떨어지며 복용방법이 까다롭고 식도염을 유발시키며, 호르몬 제제는 평생 복용하여야 하며 장기 투여할 경우 유방암, 자궁암, 담석 및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비타민 D 제제는 고가이며 효과가 확실하지 않고, 칼시토닌 제제는 고가이며 투여방법이 어렵고, 칼슘제제는 부작용은 적지만 치료보다는 예방효과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으며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느타리버섯과 느타리버섯속에 속하는 사물 기생균으로 아열대지방의 대초원에서 발생하며 유럽에서는 초원의 버섯 (Boletus of the steppes) 또는 왕느타리버섯(King oyster mushroom)으로 불리워 지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큰느타리버섯은 무독하며, 맛이 달고 향이 짙으며, 위와 장의 기능을 도와주고 기운의 순환을 촉진해서 손발이 저리고 힘이 없거나 허리와 무릎이 시린 증상이 있을 때 좋은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성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알칼리성 식품이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며, 항암작용을 한다는 보고도 있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편도선, 유선염, 탈하증 및 각종 성인병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칼리성 식품으로 일본에서는 항암효과가 큰 자연건강 식품으로 널리 각광받고 있다.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cis Cortex)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관목식물로, 북반구 극동아시아에만 분포하며 남한에는 멸종 위기에 있는 야생보호식물이다. 오가피의 종류로는 가시오가피, 일반오가피, 향오가피가 있고, 한방에서 독성과 부작용이 없다는 상약으로 분류하여 뿌리와 껍질을 약재로 사용한다. 잎에는 지사노사이드(Chiisanoside)가 있어 약리적 기능을 갖고 있으며, 뿌리에서는 오가피 배당체 뿐만 아니라 지링긴(Sylrgin), 쿠마린 배당체 등이 있다. 오가피에는 오가피 배당체인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B, D)와 면역성을 높혀 주는 수용성 다당체가 있다. 오가피는 맛이 맵고 쓰며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고, 간경(肝經), 신경(神經)에 작용하여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정수를 불러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오로(오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허로병)와 칠상(남자가 허약해서 생기는 일곱 가지 증상)을 보해 주며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데에 쓰였으며, 이를 장복하면 신체의 기(氣)를 높여주고 위를 보해 주고 정력을 좋게 해주며 정신을 맑게 하고 의지력을 높게 하며 몸이 가벼워지고 늙는 것을 방지하고 몸 안의 나쁜 피를 맑고 깨끗이 다스려 준다고 알려져 있고, 허리 척추가 쑤시는 통증, 남자 음위증, 낭습, 여자음양증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하던 중,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부작용 없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혼합한 조골세포 증식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혼합한 조골세포 증식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5~2.5 중량부와 오가피 추출물 0.5~5.0 중량부로 혼합한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 생약재는 물 또는 알콜로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혼합 생약재의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를 각각 추출용기에 넣고, 각각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한다. 각각 얻어진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얻는다. 상기에서 얻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0.5~2.5 중량부와 0.5~5.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약 120~130% 이상의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 며, 조골세포의 표지 효소인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을 110~150% 정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현저히 억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표지 효소인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조골세포 증식에 효과가 있으며,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150 내지 45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300 내지 400 m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랫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 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1.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제조
큰느타리버섯 100g을 3ℓ 추출용기에 넣고 증류수 1ℓ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 42%).
2. 오가피 추출물의 제조
오가피 100g을 3ℓ 추출용기에 넣고 증류수 1ℓ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오가피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 5.8%).
3.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얻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5~2.5 중량부와 상기 2에서 얻은 오가피 추출물 0.5~5.0 중량부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합하여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배양액에 희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조골세포 증식 효능 분석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 증식과 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조골세포의 증식과 세포 활성도 분석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골육종에서 유래된 세포주인 MG-63 및 HOS 세포주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독성을 나타내는지 간접적으로 평가하고, 또한 조골세포의 증식에 대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에서 배양한 MG-63 조골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시 세포의 DNA 안으로 유입된 3H-사이미딘(thymidine)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조골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2×104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다음날 1% FBS가 함유된 DMEM으로 교체하였다. 교체된 배양액 내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1×10-4 내지 1 ㎎/㎖의 농도로 희석하여 농도별로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지막 4시간 동안 3 μCi/웰의 3H-사이미딘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세포를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4℃의 5% TCA(trichloroacetic acid)로 처리하여 TCA-불용성인 분획을 분리한 후 0.1 M NaOH로 용해하였다. 이중 일정 분획을 취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lation counter)에서 방사활성(radioactivity)을 측정함으로써 3H-사이미딘의 유입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농도(㎎/㎖) 오가피 추출물
0 0.5 1.0 5.0 10.0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 100.0 105.2 109.9 112.5 119.1
0.5 108.9 109.1 112.2 115.8 121.3
1.0 112.9 112.5 123.8 126.5 132.1
5.0 118.2 119.8 129.2 132.7 138.1
10.0 120.2 126.8 132.5 135.2 145.8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한 세포는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첨가한 세포에 비해 약 120~130% 이상의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조골세포 표지효소인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1에서 배양한 HOS 조골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5×103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단층으로 증식한 후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0.08, 0.4, 1.0, 5.0, 10.0 ㎎/㎖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였으며 10% FBS가 포함된 DMEM으로 96-웰 플레이트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세포를 0.1% 트리톤 X-100/생리식염수(saline)로 37℃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처리액의 일정량을 기질인 100 mM의 PNPP(p-nitrophenylphosphate) 존재하에 0.1N 글리신-NaOH 완충액(pH 10.4)과 함께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켜 기질인 PNPP로부터 유리되어 나온 PNP(p-nitrophenyl)의 양을 405㎚에서 비색정량하였다.
결과는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농도(㎎/㎖) 오가피 추출물
0 0.5 1.0 5.0 10.0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 100.0 114.0 115.0 118.0 121.0
0.5 114.0 116.0 120.0 120.0 130.0
1.0 122.0 136.9 139.2 141.1 145.2
5.0 128.0 141.3 145.8 148.5 155.4
10.0 132.0 146.8 151.8 155.7 158.9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한 세포는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첨가한 세포에 비해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이 110~150% 정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표지 효소인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므로 조골세포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파골세포(osteoclast)의 증식 억제 작용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성장 및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칼슘-포스페이트로 피막된 플레이트(OAAS, OCT Inc.)에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파골세포의 표지효소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이하 "TRAP"라 약칭한다) 활성을 분석하였다.
1.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순수 분리 및 성숙한 파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마우스 골수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7~9주 된 웅성 마우스를 경부염전으로 희생시킨 후, 대퇴골과 경골을 무균적으로 적출하고 연조직을 제거하며 장골의 양끝을 절단한 후 26G 주사침을 이용하여 한쪽 끝의 골수강에 0.1% 콜라게나제 (Gibco), 0.05% 트립신 및 0.5 mM EDTA(Gibco)가 포함된 효소용액 1㎖를 주사하여 골수를 꺼낸 후 30분간 교반하고 골수세포를 모아 10% FBS가 포함된 α-MEM(α-minimum essential medium)에 24시간 전 배양한 후 미부착 세포들을 모았다.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되는 미부착세포를 웰당 2×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8일간 배양하는 동안 20ng/㎖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Peprotech, USA)와 30ng/㎖ RANKL(Peprotech, USA)이 포함된 α-MEM에 상기 실시예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처리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파골세포의 생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세포를 고정하여 TRAP 염색을 시행하였다.
2. TRAP(+)인 다핵세포 형성 측정
파골세포의 형성 측정은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칼슘-포스페이트로 코팅된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한 후 TRAP(+)를 보이는 다핵세포의 수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배양 후 부착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시트레이트-아세테 이트-포름알데히드(citrate-acetate-formaldehyde)로 5분 동안 고정시키고 나프톨 (naphthol) AS-BI 포스페이트(phosphate), 패스트 가르넷(fast Garnet) GBC 용액과 7mM 타르타레이트 완충액(tartrate buffer, pH 5)을 함유하는 37℃ 아세테이트 완충액(pH 5.0)에 1시간 동안 배양하여 TRAP 염색을 하였다. 3개 이상의 핵을 가지는 TRAP(+) 다핵세포들을 파골세포로 간주하였다.
결과는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파골세포증식 억제율(%)
농도(㎎/㎖) 오가피 추출물
0 0.5 1.0 2.5 5.0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 0 14.77 61.08 92.22 99.20
0.5 16.57 53.29 77.64 98.00 100
1.0 31.54 74.45 95.21 98.80 100
2.5 87.03 99.80 100 100 100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의 억제 비율을 0으로 하고 대조군에 비한 TRAP 양성 다핵세포의 수의 억제 비율이 각각 0.5, 1.0, 2.5㎎/㎖의 농도에서 16.57, 31.54, 87.03%로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오가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각각 0.5, 1.0, 2.5, 5.0㎎/㎖의 농도에서 14.77, 61.08, 92.22, 99.20%로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5㎎/㎖ 이상으로 혼합한 경우,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이 현 저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현저히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급성독성실험을 하였다.
실험동물로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모두 랫트에서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추출물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20 ~ 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0.5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0.1 ~ 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5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종실류(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 중량%),
지황(0.5 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 료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큰느타리버섯 추출물과 오가피 추출물을 혼합한 조골세포 증식 및 파골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큰느타리버섯 추출물 0.5~2.5 중량부와 오가피 추출물 0.5~5.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040035638A 2004-05-19 2004-05-19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38A KR100555904B1 (ko) 2004-05-19 2004-05-19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5146854A JP4496127B2 (ja) 2004-05-19 2005-05-19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2010045088A JP2010132703A (ja) 2004-05-19 2010-03-02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38A KR100555904B1 (ko) 2004-05-19 2004-05-19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09A KR20050110809A (ko) 2005-11-24
KR100555904B1 true KR100555904B1 (ko) 2006-03-03

Family

ID=3548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638A KR100555904B1 (ko) 2004-05-19 2004-05-19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4496127B2 (ko)
KR (1) KR100555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904B1 (ko) * 2004-05-19 2006-03-03 주식회사 오스코텍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843261B2 (ja) * 2004-06-10 2011-12-2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新規3,4−seco−lupane型トリテルペノイドサポニン化合物
KR100661398B1 (ko) 2005-02-18 2006-12-27 주식회사 오스코텍 큰느타리버섯, 오가피 및 삼칠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0628B1 (ko) 2005-02-23 2007-02-09 주식회사 오스코텍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018563A (ja) * 2008-07-11 2010-01-28 Iwade Kingaku Kenkyusho:Kk 新規化合物及び当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骨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JP2015059087A (ja) * 2013-09-17 2015-03-30 新田ゼラチン株式会社 変形性関節症または骨粗鬆症の治療剤もしくは予防剤
JP2019189532A (ja) * 2018-04-18 2019-10-31 青木 文夫 ビタミンc混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498B1 (en) 2001-10-27 2003-02-25 Jung Keun Kim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facilitating bone formation an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KR20030034825A (ko) * 2001-10-27 2003-05-09 주식회사 오스코텍 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기 뼈 형성 촉진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9800049A3 (en) * 1995-02-23 1999-01-28 Novartis Nutrition Ag Amino aci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clinical nutrition, and use of the said amino acids for preparing pharmaceutical compns. for the diminution of tnf
KR100555904B1 (ko) * 2004-05-19 2006-03-03 주식회사 오스코텍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498B1 (en) 2001-10-27 2003-02-25 Jung Keun Kim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facilitating bone formation an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KR20030034825A (ko) * 2001-10-27 2003-05-09 주식회사 오스코텍 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기 뼈 형성 촉진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30289A (ja) 2005-12-02
JP2010132703A (ja) 2010-06-17
JP4496127B2 (ja) 2010-07-07
KR20050110809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318296B1 (ko) 산초의 정유를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656943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0628B1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66919B1 (ko) 상지, 두충, 오가피 및 흑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 억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20100009151A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80038212A1 (en) Herbal mixture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acanthopanacis cortex and notoginseng radi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itis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30091160A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410703B1 (ko)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1579B1 (ko) Kiom 법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6129B1 (ko)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30161338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41A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6855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 기능개선용 조성물
KR100567263B1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0839586B1 (ko)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복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641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