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245A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1245A KR20220091245A KR1020200182561A KR20200182561A KR20220091245A KR 20220091245 A KR20220091245 A KR 20220091245A KR 1020200182561 A KR1020200182561 A KR 1020200182561A KR 20200182561 A KR20200182561 A KR 20200182561A KR 20220091245 A KR20220091245 A KR 202200912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ease
- extract
- present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obes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암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똥쑥 추출물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질환 또는 증세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개똥쑥(Artemisia annua)는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자 약초로서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으며, 개똥쑥 추출물을 활용해서 제조한 아르테미시닌 성분을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발하여 노벨상을 수상하는 등 수많은 약리학적 연구가 되고 있으나, 호르몬과의 구체적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었다.
한편, 에스트로겐(estrogen)은 난소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으로, 생리주기조절의 기능 외에도 여러 장기에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산을 조절하고, 뼈에서는 골밀도를 유지하고, 자궁벽의 성숙에 작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신경세포의 생존과 지방생성과정에도 중요하게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이 폐경기에 난소 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체내 농도의 저하가 일어나면, 혈중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열성홍조, 발한, 불면증, 우울증, 및 두통 등을 포함하는 통상 갱년기 장애가 나타나게 되고,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내 에스트로겐 감소로 혈관계에서 플라크(plaque)가 형성될 위험이 증가하여 죽상경화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일어나며 신경세포의 손상에 따른 파킨슨과 알츠하이머같은 퇴행성뇌질환이 증가하고 지방생성과정의 조절부재에 따른 비만이 일어날 수 있다(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J Clin Invest. Mar;116(3):561-70. PMID: 16511588).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갱년기 장애 등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유래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요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유방암, 심혈관질환, 발작, 혈액응고 등의 잠재적 부작용이 있음이 WHI(Women's health initiative)의 광범위 무작위-위약-조절 연구발표를 통해 보고되었다(Rossouw JE, Anderson GL, Prentice RL,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3): 32133. PMID 12117397, Anderson GL, Limacher M, Assaf AR, et al. (2004). "Effect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sterectomy: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1 (14): 170112. PMID 15082697).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에스트로겐효과를 나타내어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 등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가지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인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면서 발암 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없어,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Ishkawa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MG63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Ishkawa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4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4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5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5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MG63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루시퍼라제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Ishkawa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4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4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MCF7 세포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본 발명 추출물의 부작용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5a는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도 5c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부족은 난소절제 또는 폐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일 수 있으며,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이기에, 부작용인 암세포 증식효과를 가지지 않는 에스트로겐 활성을 의미하며, 상기 암세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방암세포(MCF7) 또는 자궁내막암세포(Ishikaw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활성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나타내는 생리활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기에,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들을 치료할 수 있으면서도, 암세포를 증식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도된 질환의 발병이 예상되는 개체에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치료하고자 하는 개개인 또는 세포의 천연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해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에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며, 전이를 예방하고,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며,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차도시키며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치료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발병된 환자에게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도된 질환을 호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루시퍼라제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져,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면서도, 암세포 등의 세포 증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완화"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말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 또는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투여 경로, 투여량에 따라 적절하게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의 예로는 경구, 비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주입에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투여가 포함된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절한 투여량 및 투여 횟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실제로 투여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양 및 투여 횟수는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의 종류, 투여 경로, 성별, 건강 상태, 식이, 개체의 연령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와 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용도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을 억제 또는 완화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통증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개똥쑥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을 분쇄한 다음, 분쇄 시료의 10배에 해당하는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였으며, 개똥쑥 열수추출물은 증류수를 이용한 환류냉각추출법(Reflux extraction) 이용하였고, 개똥쑥 에탄올(EtOH)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이용한 초음파 추출(Ultrasonification extraction)을 활용하여 제조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은 시료와 증류수를 넣은 용기에 100 ℃heating mentle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추출 진행하였고, 이후 여과지(Whatman No. 2, Maidstone, England)로 감압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초음파 추출은 유리 플라스크에 시료와 70% 에탄올을 넣고 혼합한 다음, 초음파 수조에 넣고 1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고, 이후 수득한 샘플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로 45 ℃의 온도에서 진공 농축한 다음, 분말화 하였다.
실시예 2.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에스트로겐에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3가지의 세포 Ishikawa(자궁내막암세포), MCF7(유방암세포) 및 MG673(조골세포)을 준비한 다음,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에스트로겐 활성물질이 결합하는 경우 발광을 나타내는 ERE-luc vector를 활용한 루시퍼라제 실험(Luciferase assay)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대조군(CON)과 10-7M로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 처리한 그룹,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0.01, 0.1μg/ml)을 처리한 그룹 및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0.01, 0.1μg/ml)을 처리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Ishikawa 세포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MCF7 세포에서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이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MG63 세포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이 더 높은 에스트로겐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개똥쑥 추출물의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부작용 억제 효과 확인
에스트로겐 활성 성분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암발생의 위험인자(risk factor)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한 이러한 부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Ishikawa(자궁내막암세포) 및 MCF7(유방암세포)에 대한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무처리 대조군과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 에탄올 또는 열수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0.00064, 0.00032, 0.016, 0.08, 0.4, 2μ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세포 증식 수준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Ishikawa 세포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대로 양성 대조군은 에스트로겐 활성의 부작용으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세포가 증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탄올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4b) 및 열수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4c)에는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오히려 세포 증식이 감소하여 낮은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MCF-7 세포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대로 양성 대조군은 에스트로겐 활성의 부작용으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세포가 증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탄올로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5b) 및 열수 추출한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5c)에는 0.00064μ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은 세포 증식율을 보여줬으나, 농도를 점차 높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Ishikawa 세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방암세포인 MCF-7 세포의 세포 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암 발생 유도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죽상경화증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개똥쑥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인 약학적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및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561A KR102463297B1 (ko) | 2020-12-23 | 2020-12-23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PCT/KR2021/019643 WO2022139477A1 (ko) | 2020-12-23 | 2021-12-22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561A KR102463297B1 (ko) | 2020-12-23 | 2020-12-23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1245A true KR20220091245A (ko) | 2022-06-30 |
KR102463297B1 KR102463297B1 (ko) | 2022-11-07 |
Family
ID=8215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561A KR102463297B1 (ko) | 2020-12-23 | 2020-12-23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3297B1 (ko) |
WO (1) | WO2022139477A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30392A (zh) * | 2013-04-10 | 2013-08-07 | 上海交通大学 | 青蒿素类化合物在制备抗动脉粥样硬化药物中的用途 |
KR20140058975A (ko) * | 2012-11-07 | 2014-05-15 | 박흥순 | 항유방암 및 항자궁경부암 활성을 갖는 개똥쑥의 추출방법 |
KR20150019822A (ko) * | 2013-08-16 | 2015-02-25 |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087719A (ko) * | 2014-01-22 | 2015-07-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087728A (ko) * | 2014-01-22 | 2015-07-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15108A (ko) * | 2014-04-02 | 2015-10-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N106109976A (zh) * | 2016-08-17 | 2016-11-16 | 李胜利 | 一种治疗妇女更年期出虚汗的药物 |
KR20170114140A (ko) * | 2016-04-05 | 2017-10-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개똥쑥으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761B1 (ko) * | 2013-11-05 | 2015-01-29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US20160193220A1 (en) * | 2014-12-30 | 2016-07-07 | Peter Shepherd Parsonson |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KR20190090362A (ko) * | 2018-01-24 | 2019-08-01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
-
2020
- 2020-12-23 KR KR1020200182561A patent/KR1024632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2-22 WO PCT/KR2021/019643 patent/WO20221394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8975A (ko) * | 2012-11-07 | 2014-05-15 | 박흥순 | 항유방암 및 항자궁경부암 활성을 갖는 개똥쑥의 추출방법 |
CN103230392A (zh) * | 2013-04-10 | 2013-08-07 | 上海交通大学 | 青蒿素类化合物在制备抗动脉粥样硬化药物中的用途 |
KR20150019822A (ko) * | 2013-08-16 | 2015-02-25 |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087719A (ko) * | 2014-01-22 | 2015-07-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087728A (ko) * | 2014-01-22 | 2015-07-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15108A (ko) * | 2014-04-02 | 2015-10-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70114140A (ko) * | 2016-04-05 | 2017-10-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개똥쑥으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06109976A (zh) * | 2016-08-17 | 2016-11-16 | 李胜利 | 一种治疗妇女更年期出虚汗的药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3297B1 (ko) | 2022-11-07 |
WO2022139477A1 (ko) | 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12137B2 (ja) | 骨密度増加剤及び抗更年期障害剤 | |
KR100877604B1 (ko) |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
KR101898688B1 (ko)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0585445B1 (ko) |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 |
KR100854442B1 (ko) | 하엽 추출물 또는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EP3009139A1 (en) | Composition containing composite extract of rehmannia glutinosa and pueraria lobata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mptoms | |
JP6026639B2 (ja) | フジバカマ属の抽出物を含有する骨代謝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2861148B (zh) | 一种治疗原发性痛经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与应用 | |
KR101621446B1 (ko) |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463297B1 (ko) |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 |
CN110201041A (zh) | 一种活血化瘀通脉降脂的组合物 | |
KR101732483B1 (ko) |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10286025B2 (en) |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extracts of Schisandra fructus, Eucommiae cortex and Lycii fruc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bone diseases | |
KR102145347B1 (ko) |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
KR20110030875A (ko) |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120499B1 (ko) |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750873B1 (ko) | 천초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 |
KR100750879B1 (ko) | 고련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 |
KR20150124108A (ko) |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 |
KR102448274B1 (ko) |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70130082A (ko) |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101889418B1 (ko) |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 |
KR20170140592A (ko) | 하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240032222A (ko) | 참당귀 추출물 및 타라곤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075860A (ko) | 해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