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18A -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518A
KR20200103518A KR1020190130832A KR20190130832A KR20200103518A KR 20200103518 A KR20200103518 A KR 20200103518A KR 1020190130832 A KR1020190130832 A KR 1020190130832A KR 20190130832 A KR20190130832 A KR 20190130832A KR 20200103518 A KR20200103518 A KR 20200103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menstrual syndrome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317B1 (ko
Inventor
정용준
강세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넨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넨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넨셀
Publication of KR2020010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본 화합물들은 월경전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여성의 황체기 기간에 발생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 comprising compounds isol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본 명세서는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제질병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ICD]-10)에서 정의한 바로는 경미한 정신적 장애 (minor psychological discomfort), 더부룩함 (bloating), 체중 증가 (weight gain), 유방 압통 (breast tenderness), 근육통 (muscular tension or aches), 집중력 저하 (poor concentration), 식욕 변화 (change in appetite)의 7가지 증상 중 1가지 이상 만족시키면서 이러한 증상이 월경주기 중 황체기에만 국한될 때 월경전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생리 전 4~7일 이전부터 생리전까지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리의 시작과 함께 증상은 완전히 소실된다. 따라서 생리기간에 자궁내막이 벗겨지면서 발생하는 생리통과는 다른 질환으로 구분되고 있다.
월경전 증후군의 발생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호르몬의 불균형과 유전적 성향, 배란 생리주기, 약물복용, 흡연, 음주 및 카페인 섭취, 식사패턴, 피임약 복용, 감정상태 및 결혼상태 등의 생활습관 및 사회적 요인, 그 밖에 연령, 신장과 체중, 출산 및 월경력, 스트레스 등도 월경전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월경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여성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이 각종 뇌신경 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쳐 월경전 증후군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프로락틴의 증가에 따른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불균형 및 세로토닌의 감소 등의 호르몬 문제가 월경전 증후군의 발생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Biqqs와 Demuth, 2011; Imai 등, 2015; Schmidt 등, 2017).
프로락틴은 뇌하수체 전엽의 산호성 세포에서 분비되는 유즙분비자극 호르몬으로써, 에스트로겐에 의해 증가하며,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에 의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정상인의 경우 황체기에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량이 에스트로겐 보다 높아 프로락틴의 분비량이 안정화 되나, 월경전 증후군을 나타내는 여성의 경우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량이 에스트로겐 보다 낮아짐으로써 프로락틴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프로락틴 분비의 증가가 월경전 증후군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Halbreich 등, 1976). 이에 대한 근거로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프리페민정 (아그누스 카스투스 열매 추출물)은 대표적인 월경전 증후군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으며, 임상시험에서 짜증감, 우울감, 분노, 두통, 유방통 등의 증상을 약 50% 정도 개선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통 약재로 사용되는 구절초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인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을 이용하여 월경전 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3-0076114 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44433 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3-0092256 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성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천연소재들을 이용하여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자원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구절초 추출물은 뇌하수체 세포에서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구절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에스큘레틴(esculetin), 리나린(linarin)은 매우 뛰어난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은 월경전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써 상업화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에스큘레틴(esculetin) 및 리나린(linarin)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월경전 황체기의 여성에게 있어서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은 경미한 정신적 장애 (minor psychological discomfort), 더부룩함 (bloating), 체중 증가 (weight gain), 유방 압통 (breast tenderness), 근육통 (muscular tension or aches), 집중력 저하 (poor concentration) 및 식욕 변화 (change in appet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월경전 증후군 증상은 월경 주기 중 황체기에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인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은 뇌하수체세포에서 프로락틴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 따라서,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은 프로락틴의 분비 억제가 요구되는 질환, 즉 월경전 증후군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구절초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클로로겐산; 2, 에스큘레틴; 3, 리나린)
도 2는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의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스큘레틴의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나린의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화학식1, 2, 3으로 표시되는 본 화합물들은 월경전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뇌하수체 세포에서의 프로락틴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여성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절초 (Chrysanthemi Zawadskii Herba)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를 한약재로 사용하며, 한방이나 민간에서 폐렴, 기관지염, 방광질환, 자궁냉증, 월경불순, 위장병, 고혈압 등에 사용 되어 왔다. 구절초의 주요성분으로는 flavonoid계 화합물인 linarin과 chlorogenic acid, coumarin계 화합물인 hydroxycoumarin, scopoletin 및 esculetin,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인 angeloylcumambrin B, cumambrin A, 정유성분인 chamazulene가 보고되어 있으며, 구절초 추출물은 항염증 작용, 해열작용 및 간 보호 작용, sesquiterpene lactone은 항종양 활성, 암세포 세포독성, 타감 작용, 항균작용 및 살충작용, 그 밖에 위장 세포의 보호 작용이나 진통 작용,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약리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소재의 구절초는 한방에서 월경불순으로 사용되는 한약재이나, 월경불순은 일반적으로 월경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월경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희소배란 및 무배란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반드시 월경이 이루어져야 하며, 월경을 하기 전 황체기에 유방압통 및 정신적 증상 등을 나타내는 월경전 증후군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질병이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된 어떠한 문헌에서도 구절초 추출물과 이의 주요성분이 프로락틴 분비억제에 따른 여성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에 유효하다고 밝힌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화합물로서, 퀸산(quinic acid)과 카페산(caffeic acid)의 에스테르 화합물 중 하나이며, 대부분 쌍자엽 식물의 과실이나 잎 등에 존재한다. 상기 클로로겐산의 화학식명은 (1S,3R,4R,5R)-3-{[(2Z)-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로 천연에 존재하는 것을 분리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예를 들어, SIGMA-ALDRICH),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클로로겐산은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은 종래에 알려져 있으나, 여성의 황체기에 나타나는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큘레틴(esculetin)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에스큘레틴은 쿠마린 유도체로서, 구절초, 매실, 레몬, 인진쑥 등을 포함한 식물 중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상기 에스큘레틴은 6,7-Dihydroxycoumarin으로 명명되기도 하며, 천연에 존재하는 것을 분리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예를 들어, SIGMA-ALDRICH),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에스큘레틴은 혈소판 응집, 항산화, 유방암 및 폐암의 억제 효과, 골손실 억제 효과, 항노화 효과 등이 종래에 알려져 있으나, 여성의 황체기에 나타나는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나린(linarin)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리나린은 플라보노이드계의 화합물로서, 구절초에 다량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리나린은 천연에 존재하는 것을 분리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예를 들어, SIGMA-ALDRICH),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리나린은 진통과 해열작용, 골다공증 개선 효과, 간손상 완화 효과, 항당뇨 효과, 치매 예방 효과 등이 종래에 알려져 있으나, 여성의 황체기에 나타나는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합성된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림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합성된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림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리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큘레틴(Esculet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나린(Linar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큘레틴(Esculet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나린(Linar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이 모두 포함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성질체"는 특히 광학 이성질체(optical isomers)(예를 들면, 본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 (essentially pure enantiomers), 본래 순수한 부분 입체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diastereomers) 또는 이 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 isomers)(즉,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그 각도만 다른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position isomers)(특히, 호변이성체(tautomers)) 또는 기하 이성질체(geometric isomers)(예컨대,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래 순수(essentially pure)"란,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와 관련하여 사용 한 경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를 예로 들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이 약 90% 이상, 바람직하게 는 약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5% 이상(w/w)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 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에 기재된 것으로 인지되는 것 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 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 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 (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 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 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 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 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 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 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화학식 1, 2, 3으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 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 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거나 합성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구절초를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감압건조와 동결건조의 방법을 거쳐 분말화 형태를 갖는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맥아 추출물은 맥아를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감압건조와 동결건조의 방법을 거쳐 분말화 형태를 갖는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알로에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감압건조와 동결건조의 방법을 거쳐 분말화 형태를 갖는 추출물일 수 있으며, 알로에의 껍질을 탈피하여 바로 동결건조한 동결건조분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조성을 갖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구절초와 맥아, 알로에를 각각 또는 함께 물, 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이의 추출액을 얻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추출과정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2 내지 5회 반복추출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얻은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제조하여 상기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 내의 알코올의 함량은, 알코올 0 ~ 95 중량% 농도, 바람직하기로는 30 ~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구절초는 70 중량%, 맥아는 50 중량%, 알로에는 30 중량% 농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추출의 효율성 면에서 좋다. 이러한 알코올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적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알코올로는 에탄올, 주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예를 들면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다. 또한, 얻어진 엑기스는 필요에 따라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특히, 동결건조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추출물 내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월경전 황체기의 여성에게 있어서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은 경미한 정신적 장애 (minor psychological discomfort), 더부룩함 (bloating), 체중 증가 (weight gain), 유방 압통 (breast tenderness), 근육통 (muscular tension or aches), 집중력 저하 (poor concentration) 및 식욕 변화 (change in appet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월경전 증후군 증상은 월경 주기 중 황체기에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및 리나린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은 뇌하수체세포에서 프로락틴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 또한, 상기 조성물들은 일상적으로 섭취 및 복용하여 온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로써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 또는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월경전 황체기의 여성에게 있어서 안전하게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 조성물을 임상적으로 이용 시에는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환제, 액상제 및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 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또는 연고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통상적인 담체를 상용하여 제조된 약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포비돈,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노이시린,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유당,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콜로이드 스테아릴마그네슘, 및 광물유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트로키제, 로진지,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탄산칼슘,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엘릭실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이 일반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1일 0.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1회 내지는 6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구절초에 포함된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월경전 상태를 개선시키는 목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환제, 액상제, 현탁제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섭취하거나, 또는 일반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므로,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에 유효성분은 0.1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성상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아 고체 형상, 반고체 형상, 겔 형상, 액체 형상, 분말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음료로 제조할 수 있다. 음료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에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구절초는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였으며, 음건하여 전초를 분쇄한 후 분쇄된 구절초 1 kg을 70% 주정으로 80℃에서 5시간 추출한 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추출물 117.4 g (수율 11.7%)을 얻었다.
[실험예]
실험예 1 : 구절초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의 분석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구절초 추출물을 고성능 액체크로마코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절초 추출물의 분석을 위하여 HPLC (LC-20AD, Shimadzu Corp., Japan)를 이용하였으며, 상기 제조예에의 구절초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희석한 뒤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HPLC에 10 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용 컬럼은 Skypak C18 (250X4.6 mm)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이용한 이동상 A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이동상 B는 0.05% trifluoacetic acid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동용매의 조건은 초기 이동상 A는 15%, 이동상 B는 85%로 시작하였으며, 47분에 이동상 A는 23%, 이동상 B는 77%로 조절하였다. 이동상 유속은 0.5 mL/분으로 하였으며, 254 nm의 UV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각 성분의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절초 70% 주정추출물에서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각각 34.8±0.36, 43.7±5.66, 25.4±0.92 mg/g 함량으로 나타났다.
1)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2) 에스큘레틴(Esculetin)
3) 리나린(Linarin)
실험예 2 : 프로락틴 분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구절초 추출물에서 분리한 클로로겐산과 에스큘레틴, 리나린 화합물에 대하여 프로락틴 분비 억제 효능을 뇌하수체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랫드의 뇌하수체 세포 GH3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였으며, DMEM 배양배지, 트립신, FBS (Fetal bovine sereu)는 깁코(GibcoTM, Invitrogen corporation)에서 구입하였고, 측정용 프로락틴 ELISA 키트는 Mol-innovatio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4 × 104 cells/well의 농도로 GH3 뇌하수체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고프로락틴의 유도를 위하여 에스트라디올(E2)을 1 nM로 각각의 세포에 처리하였다. 프로락틴 분비억제 효능 평가를 위하여, 각각의 클로로겐산, 에스큘레틴, 리나린 화합물을 1, 5, 25 μg/mL로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위해 상용화된 월경전 증후군 치료제인 프리페민정을 100 μg/mL로 처리하였다. 시료가 처리된 세포를 48시간 배양한 후 랫드 프로락틴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프로락틴 분비량을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정량화하였다.
클로로겐산의 프로락틴 분비량은 도 2에 도식화하였으며, 에스큘레틴은 도 3에, 리나린은 도 4에 도식화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로겐산은 5 μg/mL 농도로 처리 시 매우 우수한 프로락틴 분비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도 4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스큘레틴과 리나린은 25 μg/mL 농도로 처리 시 매우 높은 프로락틴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월경전 증후군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는 프리페민정에 비교하였을 때 각각의 활성성분은 모두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제예]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 제제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1 :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2 :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 제제 5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5. 과립상 건강식품
활성성분 1000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상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6. 건강음료
활성성분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용량을 900 ㎖로 조절하였다.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 7. 밀가루 식품
활성성분 0.5 내지 5 g을 밀가루 100 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8. 유제품
활성성분 5 내지 10 g을 우유 100 g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9. 선식
현미 30 g, 보리 20 g, 찹쌀 10 g, 율무 15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7 g, 검정깨 7 g, 들깨 7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활성성분 3 g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큘레틴(Esculet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나린(Linar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3]
    Figure pat00009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큘레틴(Esculet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나린(Linarin)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이 모두 포함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거나 합성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인, 월경전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월경전 황체기의 여성에게 있어서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은 경미한 정신적 장애 (minor psychological discomfort), 더부룩함 (bloating), 체중 증가 (weight gain), 유방 압통 (breast tenderness), 근육통 (muscular tension or aches), 집중력 저하 (poor concentration) 및 식욕 변화 (change in appet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월경전 증후군 증상은 월경 주기 중 황체기에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90130832A 2019-02-25 2019-10-21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331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19 2019-02-25
KR20190021919 201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18A true KR20200103518A (ko) 2020-09-02
KR102331317B1 KR102331317B1 (ko) 2021-11-26

Family

ID=7246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32A KR102331317B1 (ko) 2019-02-25 2019-10-21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4900A (zh) * 2021-11-23 2022-02-08 湖北工程学院 一种从野菊花茎秆中提取分离蒙花苷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42A2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제넨셀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433A (ko)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유영제약 구절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6114A (ko) 2011-12-28 2013-07-08 유은미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256A (ko) 2012-02-10 2013-08-20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86916A (ko) * 2016-01-19 2017-07-27 정옥진 구절초를 함유하는 환의 제조 방법
KR20190105971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제넨셀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433A (ko)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유영제약 구절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6114A (ko) 2011-12-28 2013-07-08 유은미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256A (ko) 2012-02-10 2013-08-20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86916A (ko) * 2016-01-19 2017-07-27 정옥진 구절초를 함유하는 환의 제조 방법
KR20190105971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제넨셀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자생 구절초속 중 페놀화합물 함량분석, Kor.J. Pharmacogn., 48(1), 70-76(2017.) 1부.* *
안국건강, 여성 자궁건강 위한 ‘올댓우먼’ 출시, 아주경제(2014.11.07.)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4900A (zh) * 2021-11-23 2022-02-08 湖北工程学院 一种从野菊花茎秆中提取分离蒙花苷的方法
CN114014900B (zh) * 2021-11-23 2024-04-16 湖北工程学院 一种从野菊花茎秆中提取分离蒙花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317B1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187335B1 (ko) 맥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331317B1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3171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12907B2 (ja) チョウセンノギク抽出物を含む月経前症候群症状改善用組成物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5347B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410771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02368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32349A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5690B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20070060306A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84682B1 (ko) 병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1649B1 (ko) 엉겅퀴, 우슬, 칡, 아로니아, 석류, 하수오 및 생강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8357A (ko) 꾸지뽕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4104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또는 정자 활동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