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114A -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6114A KR20130076114A KR1020110144553A KR20110144553A KR20130076114A KR 20130076114 A KR20130076114 A KR 20130076114A KR 1020110144553 A KR1020110144553 A KR 1020110144553A KR 20110144553 A KR20110144553 A KR 20110144553A KR 20130076114 A KR20130076114 A KR 20130076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gujeolcho
- mixed
- aronia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람음성 세균과 양성 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에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방부능력이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부 자극도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90년도 이후 최근에 이를수록, 생리 활성 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항암과 항균 분야보다 면역, 심혈관 등의 기타 의약 생리 활성 분야가 더욱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과거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던 항균 분야는 1980년대 후반에 잠시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으나, 최근 내성균에 의한 감염 및 병원 내 감염이 증가하면서 가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항균 약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베타-락탐(β-lactam) 계열의 항생제의 경우, 내성이 매우 급속한 추세로 증가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전체 내성률이 약 80%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진균제의 경우도 대부분 아졸(azole) 또는 알리아민(allyamine) 계열로, 상기 두 가지 항진균제도 시간이 지날수록 매우 많은 저항성 균주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점점 항균제들의 내성 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균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내성 문제뿐 아니라 약리 효능 면에서도, 항균 물질에 대한 새로운 표적의 발견이 필요하고 새로운 표적에 대한 특이적인 항균 소재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현재까지 천연 항균성 물질에 대한 연구로는 알카로이드(alkal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피토알렉신(phytoalexin), 항균펩타이드 및 유기산과 지방산 등의 항균성이 보고되었으며, 주 기작이 산의 pH에 의한 효과 및 킬레이트(chelate)에 의한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EI-shenawy, MA등, J. Food Protec., 1989, 52(11), 771-778) (Bizri, JN 등, J. Food Science, 1994, 59(1), 130-135).
그러나, 이러한 천연 항균성 원료 중 향신료, 한약재 등의 일부는 너무 짙은 색상 및 원료취가 강한 특성이 있어 미려한 제품의 성상이 요구되는 화장품에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부적합한 특징이 있으며, 일부 원료의 경우, 화장품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유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화학 방부제에 비해 좁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지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된 항균 활성 성분이 화학 방부제에 비해, 열, 빛, 산소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경우가 많아, 유통기간 중 항균활성 성분이 분해되어 소비자의 실제 사용 시엔 충분한 방부활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등 천연 물질로서의 한계성으로 인해 대부분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용화된 천연항균제로는 편백 추출물인 희노키티올(Hinokitiol), 목련 추출물인 메그노놀(Megnonol), 자몽종자 추출물(DF-100) 등이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경제성 및 항균스펙트럼, 사용범위의 제한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보다 진보된 천연항균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Bizri, JN 등, J. Food Science, 1994, 59(1), 130-13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천연 항균제 등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그람음성 세균 및 그람양성 세균, 곰팡이와 효모를 포함한 진균류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화장료에 대한 방부능력이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고 피부 자극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절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30 중량%를 함유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그람음성 세균과 양성 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에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방부능력이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부 자극도 거의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및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혼합 추출물은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그람음성 세균과 양성 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에 대한 항균 활성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늦가을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에 꽃 이삭과 잎 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약재로 쓸 수 있다. 꽃 이삭 및 건초(乾草)는 폐렴, 기관지염, 기침 감기, 인두염, 두통, 또는 고혈압에 약용할 수 있고, 소화불량, 또는 위장질환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아로니아는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 혹은 블랙 로원베리(Black Rowanberry) 라고도 불리우며 장미과인 Rosaceases과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 열매이다.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 지역 영하 20도의 추위와 5개월간의 강렬한 자외선 등 가혹한 환경에서 자생한다. 꽃은 산수유, 매실, 앵두와 같이 11 내지 20일 정도 지속되고 9~11월 붉은 열매를 맺으며, 열매가 맛과 향이 좋아 과즙을 음료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식자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아로니아는 보통 한 가지당 약 10 내지 15 kg 정도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구절초를 끓는 증류수와 혼합하여 추출한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아로니아를 물, C1∼C4 의 저급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 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노리아는 추출 용매가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절초는 증류수와 혼합하되, 예를 들어 1:5의 비율로 혼합하고, 예를 들어 약 100℃에서 약 2시간 정도 달이고 압착함으로써 구절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아노리아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과 혼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메탄올은 약 5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80%의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노리아를 유기 용매와 예를 들어, 1:10의 비율로 혼합하고, 예를 들어 25℃에서 150 rpm에서 약 일주일 동안 진탕하고 압착함으로써 아노리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구절초 추출물과 아노리아 추출물을 혼합한다. 상기 추출물들을 혼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마그네틱 핫 플레이트(magnetic hot plate) 및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구절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에,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상기 혼합된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혼합 추출물을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용출시켜 천연 농축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절초 및 아로니아를 각각 상기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이어야 의미를 가지고 또한,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구절초 및 아로니아의 추출물을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해야만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효모와 사상균에 대한 항균 효과의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실질적인 항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제형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람음성 세균과 양성 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에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방부능력이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부 자극도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조예 1] 구절초 추출물 제조(물 추출물)
구절초 100 g을 증류수 5 ℓ에 넣어 밀봉하고, 100℃에서 2시간 달이고 압착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구절초 추출물 제조(에탄올 추출물)
100%의 에탄올 500 ㎖에 구절초 100 g을 넣어 밀봉하고, 진탕기에서 25℃, 150 rpm으로 일주일간 진탕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구절초 추출물 제조(환류냉각 추출물)
구절초 100 g에 10배 양의 증류수를 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냉장실에 보관하였다.
[제조예 4] 아로니아 추출물 제조(메탄올 추출물)
건조하고 분쇄한 아노리아(Aronia melanocarpa) 100 g에 80% 메탄올 1 ℓ를 넣고 밀봉하여 진탕기에서 25℃, 150 rpm을 일주일간 진탕한 후, 순수한 추출액을 회수하기 위하여 0.5 ㎛의 필털 여과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5] 아로니아 추출물 제조(메탄올+물 추출물)
건조하고 분쇄한 아노리아 100 g에 80% 메탄올 800 ℓ에 물 200 ℓ를 넣고 1주일씩 3회 반복 냉침 추출하여 추출액을 한데 보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6]
아로니아
추출물 제조(
환류냉각
추출물)
아로니아 100 g에 10배 양의 증류수를 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냉장실에 보관하였다.
[
제조예
7]
아로니아
추출물 제조(물 추출물)
아로니아 100 g을 증류수 5 ℓ에 넣어 밀봉하고, 100℃에서 2시간 달이고 압착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8]
아로니아
추출물 제조(초고압 추출물)
아로니아 100 g을 진공백에 담아 물 900 g을 첨가한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처리 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0 MPa(1,000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MPa,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4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농출시켜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5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농출시켜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6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농출시켜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7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농출시켜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1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8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4]
상기 제조예 2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4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5]
상기 제조예 2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6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6]
상기 제조예 2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7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7]
상기 제조예 2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8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8]
상기 제조예 3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4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9]
상기 제조예 3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5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다음 동결건조한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농출시켜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10]
상기 제조예 3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6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11]
상기 제조예 3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7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비교예
12]
상기 제조예 3의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 8의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일 부피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회전식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 65 g을 얻었다.
[
실험예
1] 항균력 측정실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혼합 추출물들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해,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그람음성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효모로는 캔디다(Candida albicans ATCC 10231), 사상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niger ATCC 22343)에 대하여 Kirby-Bauer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세균 배양액을 뮐러-힌톤 한천 배지 위에 접종하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 당 각각의 추출물 100 ㎕를 분주한 후 건조하여 배지 위에 두었다. 각 페이퍼 디스크 주위로 생기는 억제환으로 항균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는 항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의 개수는 항균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는 ‘+’의 경우보다 항균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는 ‘+’의 경우보다 항균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는 항균력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혼합 추출물의 억제환의 지름이 비교예 1 내지 12의 혼합 추출물의 억제환의 것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혼합 추출물 즉, 구절초를 끓는 증류수와 혼합하여 추출한 구절초 추출물과 아로니아를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이 각각의 천연 추출물 또는 본 발명과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혼합한 혼합 추출물보다 항균 능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혼합 추출물의 피부자극을 알아보기 위해 피부 첩포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20명(평균연령 29세, 연령분포 23 - 39세)을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1로부터 항균력이 뛰어난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9를 사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 실험을 하였다. 단, 건선, 습진,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씩 핀챔버(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안쪽 부위에 밀폐첩포 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고, 하기식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및 2)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9)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는 달리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Claims (7)
- 구절초 및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구절초를 끓는 증류수와 혼합하여 추출한 구절초 추출물과,
상기 아로니아를 물, C1∼C4 의 저급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 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노리아는 추출 용매가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및 아로니아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구절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에,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상기 혼합된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혼합 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틸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553A KR101888184B1 (ko) | 2011-12-28 | 2011-12-28 |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553A KR101888184B1 (ko) | 2011-12-28 | 2011-12-28 |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6114A true KR20130076114A (ko) | 2013-07-08 |
KR101888184B1 KR101888184B1 (ko) | 2018-08-16 |
Family
ID=4898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4553A KR101888184B1 (ko) | 2011-12-28 | 2011-12-28 |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818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5971A (ko) | 2018-03-07 | 2019-09-18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KR20200103518A (ko) | 2019-02-25 | 2020-09-02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WO2021045242A2 (ko)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1359A (ko) * | 2005-06-29 | 2007-01-0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KR20090007079A (ko) | 2007-07-13 | 2009-01-16 | 최윤하 |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00088463A (ko) * | 2009-01-30 | 2010-08-09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10105142A (ko) * | 2010-03-18 | 2011-09-2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
-
2011
- 2011-12-28 KR KR1020110144553A patent/KR101888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1359A (ko) * | 2005-06-29 | 2007-01-0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KR20090007079A (ko) | 2007-07-13 | 2009-01-16 | 최윤하 |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00088463A (ko) * | 2009-01-30 | 2010-08-09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10105142A (ko) * | 2010-03-18 | 2011-09-2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Bizri, JN 등, J. Food Science, 1994, 59(1), 130-135 |
J Med Food., 제13권,2호,255-269면 (2010)*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5971A (ko) | 2018-03-07 | 2019-09-18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KR20200103518A (ko) | 2019-02-25 | 2020-09-02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WO2021045242A2 (ko)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제넨셀 |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8184B1 (ko)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2005B1 (ko) |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25976B1 (ko) |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JP6956307B2 (ja) | サポニンと植物抽出物の組成物 | |
KR101824687B1 (ko)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806800B1 (ko) |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27236B1 (ko) |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 |
JP4201898B2 (ja) | 抗菌製剤 | |
KR20180011618A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483749B1 (ko) |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 |
CN112220891A (zh) | 含有草本混合精油作为有效成分的抗菌及抗真菌组合物 | |
KR102059392B1 (ko) |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 |
KR20130128888A (ko) |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KR101888184B1 (ko) |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73925B1 (ko) |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
KR100981407B1 (ko) |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53534B1 (ko) |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 |
Al-Ghamdi et al. | Total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Ruta chalepensis L. leaf Extract in Al-Baha area, Saudi Arabia | |
KR101839612B1 (ko) |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 |
KR101211669B1 (ko) |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CN111297765B (zh) | 一种刺梨提取物及其抗菌用途 | |
Shoaib et al. |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er | |
KR20180031119A (ko) |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76202B1 (ko) |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74129B1 (ko) |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96173A (ko) |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