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534B1 -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534B1
KR101853534B1 KR1020160000561A KR20160000561A KR101853534B1 KR 101853534 B1 KR101853534 B1 KR 101853534B1 KR 1020160000561 A KR1020160000561 A KR 1020160000561A KR 20160000561 A KR20160000561 A KR 20160000561A KR 101853534 B1 KR101853534 B1 KR 10185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thanol
bacillus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474A (ko
Inventor
허준혁
임영호
김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600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5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은 바실러스속 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식품,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항균 활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식품 중에서도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오염률이 높은 홍삼 제품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with Antibacterial Effect on Bacillus genus Bacteria Containing Red Ginseng Ethanol Extract or Purified Extract thereof}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에 무익한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도 있으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트리클로산과 같은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라벤류에 대해서 최근에는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인공방부제의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어 최근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는 인체 독성이 최소화된 천연 소재의 제품으로 개발 방향을 선회하고 있으며, 파라벤뿐만 아니라 방부제로 사용하고 있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천연 물질로 대체하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천연 물질의 비싼 가격과 천연 소재에 대한 가공 기술력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천연 물질을 방부제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천연활성 물질들의 경우, 대부분 맛의 변화, 색취, 안정성 저하, 제형상의 문제점, 재연성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천연 방부제의 예로서, 자몽종자추출물, 황금복합추출물이 있고, 이와 같은 식품첨가용 방부제를 활용할 경우 맛이나 물성에 대한 상용성이 떨어져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자몽종자추출물의 경우 쓴 맛이 강해 식품에 사용할 경우 쓴 맛에 대한 마스킹을 위해 별도로 당을 첨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자몽종자추출물의 가공 과정에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가 검출되는 경우가 있어 천연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이런 이유로 별도의 미생물 생장 억제 성분 없이 수분활성도를 조절하거나 밀봉 후 멸균시키는 방법으로 미생물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방부제 없이 미생물을 관리할 경우, 포장이나 유통 중에 문제가 생기면 미생물 오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활용가능한 식품첨가용 방부제를 병행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식품에 첨가되는 방부제에 있어서,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사멸 효과가 있는 항균제를 사용할 경우 세균의 내성을 유발할 수 있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고, 한편으로 특정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한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발생이 높으므로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는 항균제보다는 특정한 균에만 항균 효과가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특히, 홍삼을 원료로 하는 제품의 경우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오염율이 높기 때문에, 홍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바실러스속 균에만 항균 효과를 보이는 방부 조성물의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방부제로 사용되는 인공물질들을 대신하여 천연 소재의 방부 효과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 분획물이 식품에서 번식할 수 있는 바실러스속 균에 대하여 종래 사용되었던 화합물 또는 천연 소재 유래 추출물과 유사하게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3-01060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컬럼 정제 분획물은 바실러스속 균에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식품,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항균 활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식품 중에서도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오염 발생이 많은 홍삼 제품에 활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정제 분획물이 홍삼에서 유래되므로 소비자들이 안전성에 대하여 우려가 적으며, 맛에 대한 거부감도 없고,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50 내지 100%(v/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v/v)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v/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50%(v/v) 미만인 경우에는 에탄올을 적정 함량으로 추출할 때 비해서 상대적으로 바실러스속 균의 사멸 효과가 낮아진다.
상기 홍삼 에탄올 추출물은 10℃ 내지 100℃에서 추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시 온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수득한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사멸 효과가 낮아진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홍삼을 70%(v/v) 에탄올 수용액에서 상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물이 바실러스속 균을 억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홍삼을 55%(v/v) 에탄올 수용액에서 70℃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물이 바실러스 속 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홍삼을 70%(v/v) 에탄올 수용액에서 50℃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물이 바실러스 속 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바실러스속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바실러스 진센기후미(B. ginsengihum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실러스속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진센기후미(B. ginsengihumi)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사용되는 컬럼에는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합성 고분자, 규산마그네슘, 활성탄, 셀룰로오스,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충진제가 이용될 수 있고, 방향족계 합성수지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컬럼은 방향족 타입의 합성 흡착제 컬럼일 수 있고, Diaion HP-20 합성 흡착제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컬럼을 이용한 분리는 원하는 순도의 분획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가 에탄올일 경우, 상기 탈착 용매는 7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9%(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7%(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탈착 용매로 사용되는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얻어지는 분획물의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가 메탄올일 경우, 상기 탈착 용매는 70 내지 100%(v/v)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9%(v/v)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7%(v/v)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v/v)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탈착 용매로 사용되는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얻어지는 분획물의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인 에탄올 수용액 첨가시에는 에탄올 수용액을 컬럼에 흘려주는 것, 예를 들면 가압하여 흘려주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있어서, 7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을 HP-20 컬럼에 넣어 흡착시킨 후 컬럼에 흡착된 성분을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용매(30, 50, 70, 85, 95%(v/v))를 이용하여 탈착시켜 분획물을 수득하였을 때, 70%(v/v) 이상의 에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를 기존보다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85%(v/v) 이상의 에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이 바실러스속 균에 대하여 천연방부 조성물로 쓰이는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인공물질인 트리클로산과 유사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표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7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을 HP-20 컬럼에 넣어 흡착시킨 후 컬럼에 흡착된 성분을 다양한 농도의 메탄올 용매(30, 50, 70, 85, 95%(v/v))를 이용하여 탈착시켜 분획물을 수득하였을 때, 70%(v/v) 이상의 메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를 기존보다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85%(v/v) 이상의 메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이 바실러스속 균에 대하여 천연방부 조성물로 쓰이는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인공물질인 트리클로산과 유사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표 3 참조).
상기 바실러스속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바실러스 진센기후미(B. ginsengihum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실러스속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진센기후미(B. ginsengihumi)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은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에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바실러스속 균 사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바실러스속 균 사멸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홍삼을 원료로 하는 제품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홍삼을 원료로 하는 제품의 경우 다른 미생물보다도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오염도가 높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오염 정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식품 보존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건강 식품, 바람직하게는 식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바실러스속에 대한 항균 효과를 필요로 하는 조성물에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 식품은 식미와 외관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이외에 감미제, 보존제, 향료, 색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억제용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비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바실러스속 균억제용 조성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시럽제, 환제, 현탁액제, 연고제, 좌제, 또는 주사제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억제용 조성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투여량 또한 치료되는 대상의 종류, 투여경로, 체중, 성별, 나이, 질환의 정도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홍삼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정제 분획물 제조
[1-1]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홍삼 1kg에 0, 30, 50, 70%(v/v) 에탄올을 5.5배수 가하여 50℃에서 10시간 동안 1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브릭스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였으며 잔류 에탄올이 1% 이하로 남도록 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사용된 에탄올 수용액에 대하여 수득된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농축액을 각각 50g 이상 얻었다.
[1-2]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 제조(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중 항균 효과가 뛰어난 70% 에탄올로 추출한 농축액에서 소수성 분획을 정제하기 위해서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에 정제수를 3배수 가하여 희석시킨 후, 희석액 150g을 HP-20 이온교환 수지(Mitsubishi Chemical Industry) 100g을 충진시킨 컬럼에 통과시켰다. 통과시킨 희석액의 5배수에 해당하는 정제수로 컬럼을 세척한 다음, 컬럼에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30, 50, 70, 85, 95%(v/v))을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 컬럼에 부착된 효능 성분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분획물의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분획물에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켜 고형분을 얻었다.
[1-3]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 제조(메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
탈착 용매로서 메탄올 수용액(30, 50, 70, 85, 95%(v/v))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2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메탄올 정제 분획물의 고형분을 얻었다.
에탄올을 탈착용매로 하여 정제한 분획물의 항균 효과 비교
[2-1]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및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HP-20 컬럼 분획물(실시예 [1-2]의 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분획물)의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고형분을 50mg/㎖로 정제수에 녹인 후 페이퍼 디스크법을 통해 B. subtilis(Biomerieux, France), B. amyloliquefaciens(Biomerieux, France), B.licheniformis(Biomerieux, France), B. ginsengihumi(Biomerieux, France)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들은 TSA(Tryptic soy agar: 1.5% Tryptone, 0.5% Yeast extract, 0.5% NaCl, 1.5% Agar) 배지에 증균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배양 배지와 동일한 배지로 만든 평판 배지 위에 준비된 균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고르게 접종하였다. 세균이 자라지 못하는 범위인 클리어 존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식품첨가용 방부제로 사용되는 자몽종자추출물(50mg/㎖)(Chemi Research & Manufacturing, 미국, 플로리다주), 황금복합추출물(50mg/㎖)(Bionic Trading Corporation, 한국, 아산시) 또는 항균제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3mg/㎖)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클리어 존 (mm)
시료명 B. subtilis B.amyloliquefaciens B.licheniformis B. ginsengihumi
홍삼 에탄올 0%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30%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50% 추출 농축액 0.5 0 0 2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 2.5 2 1.5 3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30% 정제 분획 0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에탄올 50% 정제 분획 1.5 0 0 3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에탄올 70% 정제 분획 5 3 3 5
홍삼 에탄올 추출70% 농축액의 에탄올 85% 정제 분획 7 3 5 5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에탄올 95% 정제 분획 7 4 5 5
자몽종자추출물 5 4 6 7.5
황금복합추출물 0 0 0 2
트리클로산 17 12 13 21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에서 7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바실러스속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이 추출액에서 85% 이상의 에탄올을 탈착용매로 활용하여 소수성 분획만을 회수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이 바실러스속 균주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은 방부제로 사용되는 자몽종자추출물과 동등한 우수한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황금복합추출물에 비해서 우수한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고, 트리클로산 대비 40% 수준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삼 추출물로부터 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하여 정제한 분획물이 천연항균제임을 감안할 때 매우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을 천연방부조성물을 대신하여 사용하거나, 세균의 내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는 트리클로산을 대신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바실러스속 균 외의 다른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균주로서 E. coli, C. albicans, A. niger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클리어 존 (mm)
시료명 E. coli C. albicans A. niger
홍삼 에탄올 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3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3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5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7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85%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에탄올 95% 정제 분획 0 0 0
트리클로산 21 7 5
그 결과, 바실러스속 세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던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에탄올 85% 정제 분획 및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에탄올 95% 정제 분획이 바실러스속이 아닌 다른 세균 및 진균에는 사멸 효과가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이 다른 세균이나, 진균에는 사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바실러스속 균에만 특이적으로 사멸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오염 발생이 높은 특정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정제 분획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탄올을 탈착용매로 하여 정제한 분획물의 항균 효과 비교
[3-1]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및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HP-20 컬럼 분획물(실시예 [1-3]의 메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분획물)의 바실러스속 균에 대한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시료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클리어 존 (mm)
시료명 B. subtilis B.amyloliquefaciens B.licheniformis B. ginsengihumi
홍삼 에탄올 0%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30%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50% 추출 농축액 0.5 0 0 2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 2.5 2 1.5 3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30% 정제 분획 0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메탄올 50% 정제 분획 1.5 0 0 3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메탄올 70% 정제 분획 5 3 3 5
홍삼 에탄올 추출70% 농축액의 메탄올 85% 정제 분획 7 3 5 5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메탄올 95% 정제 분획 7 4 5 5
자몽종자추출물 5 4 6 7.5
황금복합추출물 0 0 0 2
트리클로산 17 12 13 21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에서 7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바실러스속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이 추출액에서 85% 이상의 메탄올을 탈착용매로 활용하여 소수성 분획만을 회수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이 바실러스속 균주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정제 분획물은 방부제로 사용되는 자몽종자추출물과 동등한 우수한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황금복합추출물에 비해서 우수한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고, 트리클로산 대비 40% 수준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삼 추출물로부터 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하여 정제한 분획물이 천연항균제임을 감안할 때 매우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정제 분획물을 천연방부조성물을 대신하여 사용하거나, 세균의 내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는 트리클로산을 대신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2] 바실러스속 균 외의 다른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균주로서 E. coli, C. albicans, A. niger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클리어 존 (mm)
시료명 E. coli C. albicans A. niger
홍삼 에탄올 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3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70% 추출 농축액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3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5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70%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85% 정제 분획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메탄올 95% 정제 분획 0 0 0
트리클로산 21 7 5
그 결과, 바실러스속 세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던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메탄올 85% 정제 분획 및 홍삼 에탄올 추출 70% 농축액의 메탄올 95% 정제 분획이 바실러스속이 아닌 다른 세균 및 진균에는 사멸 효과가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에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정제 분획물이 다른 세균이나, 진균에는 사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바실러스속 균에만 특이적으로 사멸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오염 발생이 높은 특정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정제 분획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로서,
    추출 용매로서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이고,
    상기 컬럼은 방향족 타입의 합성 흡착제를 포함하는 컬럼이며,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7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또는 70 내지 100%(v/v) 메탄올 수용액인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80 내지 97%(v/v) 에탄올 수용액인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속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바실러스 진센기후미(B. ginsengihum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은 홍삼을 원료로 하는 제품에 포함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14. 청구항 5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어느 한 항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존제.
  15. 청구항 5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식품.
  16. 청구항 5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청구항 5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60000561A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KR10185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1A KR101853534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1A KR101853534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74A KR20170081474A (ko) 2017-07-12
KR101853534B1 true KR101853534B1 (ko) 2018-04-30

Family

ID=5935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61A KR101853534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69A (ko) * 2020-12-21 2022-06-28 이종원 장기안정성이 향상된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살균소독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473B1 (ko) * 2018-03-07 2019-09-2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미용 성분이 강화된 홍삼 분획물의 제조 방법
KR102384358B1 (ko) * 2020-06-26 2022-04-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학위논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69A (ko) * 2020-12-21 2022-06-28 이종원 장기안정성이 향상된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살균소독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680B1 (ko) 2020-12-21 2023-09-11 이종원 장기안정성이 향상된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살균소독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74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161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32803B1 (ko) 계피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37345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53534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KR101824687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42907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17020B1 (ko) 녹차씨로부터 유래된 사포닌류를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암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575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749593B1 (ko)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507533B1 (ko)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1669B1 (ko)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10125108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928211B1 (ko)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1457996B1 (ko) 스타피레아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60060939A (ko) 천연 방부제 및 화장품 기능성 원료용 산사 열매 추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84358B1 (ko)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