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23B1 -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23B1
KR101436923B1 KR1020120056485A KR20120056485A KR101436923B1 KR 101436923 B1 KR101436923 B1 KR 101436923B1 KR 1020120056485 A KR1020120056485 A KR 1020120056485A KR 20120056485 A KR20120056485 A KR 20120056485A KR 101436923 B1 KR101436923 B1 KR 10143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sium
plant
extract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339A (ko
Inventor
노주원
윤지호
배귀남
황기병
정재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ANTIBACTERIAL ORAL COMPOSITION CONTAING CIRSIUM SP EXC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물질은 미생물은 죽이면서 인체 또는 동물에게는 독성이 낮고 체내의 효소 등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 선택적 독성작용 (selective toxicity)을 갖는 물질로서, 이는 주로 DNA의 복제, 유전정보의 전사 및 해독, 전자 에너지의 수송, 세포벽의 생합성 등을 저해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주된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과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최초의 항생제가 1928년 Alexander Fleming에 의해 발견된 페니실린으로, 이후 미생물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상당히 해방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연간 약2-3만 톤이 생산되며 이중 50%가 동물사료 첨가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가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유럽 국가들과 미국에서는 동물의 성장 촉진 목적으로 사용하는 항생제를 금지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사람에 대해서는 의사의 진단에 의해서만 사용 할 수 있도록 강력히 규제하고 있다. 이는 날로 확산되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하기 때문이며, 기존의 항생제를 대치할 수 있는 안전한 의약품이 요구도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유해세균들, 대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항균 활성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어 항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12-00444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성을 가지면서 생물체에 무해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세균, 구체적으로 피부 표면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아토피, 백선, 또는 건선 등의 피부질환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치아 내의 대표적인 균의 성장을 억제 또는 저해시킬 수 있어서, 구강 내 질환 및 충치를 예방하는 천연 항균용 조성물로서 부작용 없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천연 식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자연친화적이다.
도 1은 실험예 1의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서시움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은 서시움 펜듀럼 (Cirsium pendulum), 서시움 자포니쿰 (Cirsium japonicum ), 서시움 불가리 (Cirsium vulgare), 서시움 카늄 (Cirsium canum), 서시움 피레나이쿰 (Cirsium pyrenaicum) 및 서시움 아리조니쿰 (Cirsium arizonic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은 대계 (Cirsium japonicum)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생성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시움 속 식물은 그의 뿌리, 줄기 또는 잎 등 식물의 전 범위에 걸쳐서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뿌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식물은 그 뿌리로부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항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대계 (Cirsium japonicum)의 뿌리(根)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항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은 대계근(根)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C1~C6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메탄올 추출물 또는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식물의 추출물은 물, C1-C6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서시움 속 (Cirsium sp.)식물, 구체적으로 대계, 더 구체적으로 대계근(根)을 용매로 추출 시, 상기 식물의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시움 속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서시움 속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서시움 속 (Cirsium sp.)식물, 구체적으로 대계, 더 구체적으로 대계근(根)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건조시킨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서시움 속 (Cirsium sp.)식물, 구체적으로 대계, 더 구체적으로 대계근(根) 건조 중량의 0.5 내지 100 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 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초임계 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열수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1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2시간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서시움 속 (Cirsium sp.)식물, 구체적으로 대계, 더 구체적으로 대계근(根)의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의 제조 단계에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 단계 3)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유기용매는 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분획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하여 동량의 헥산(n-hexane)을 혼합한 다음 분액깔때기를 넣고 분획하여 헥산층을 분리 제거한 후, 남은 물 층에 동량에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을 혼합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 제거한 다음, 남은 물 층에 다시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혼합하여 분획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디스크확산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은 넓은 투명존을 나타내거나 세균이 거의 성장하지 못하는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균은 병원성 세균 또는 구강질환 원인균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균은 칸디다 알비칸(C. albican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 cerevisiae), 에쉐리키아 콜리(E. col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S. aureus),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 luteus),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에피더모피톤 플록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마이크로스포럼 아우도워이니( Microsporum audouinii), 트리초피톤페러지니움(Trichophyton ferrugineum), 트리초피톤 멘타그로파이츠(Trichophyton mentagrophytes), 트리초피톤 루범( Trichophyton ruburm),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s),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질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Vaginal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균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 luteus),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S. aureus),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야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2 중량%미만으로 함유되면, 상기와 같은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관찰되지 않고,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다른 함유 물질의 조성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2 내지 50 중량%, 0.02 내지 50 중량%, 0.02 내지 50 중량%, 0.02 내지 50 중량%, 0.02 내지 50 중량% 또는 0.02 내지 50 중량%의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치 등의 형태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 점적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000025mg/g/일 내지 0.025mg/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025mg /g/일 내지 0.01mg/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경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추출물의 제조 및 항균 실험을 위한 균주의 준비
대계근 메탄올 추출물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추출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병원성 균주인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 epidermidis),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M. luteus)와 구강 내 질환 및 충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는 한국유전자원은행 (KCTC)으로부터 분양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항균시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의 대계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디스크확산법을 수행하였다.
24시간동안 액체배지에서 키운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 epidermidis),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M. luteus)와 구강 내 질환 및 충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를 각각 1/10로 희석하고, 그 중 200 ㎕씩을 한천배지에 잘 펴서 깔았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 농도가 20 ㎎/㎖가 되도록 DMSO에 녹인 용액 3 ㎕로 직경 8mm 정도의 둥근 여과지를 적신 후, 한천 배지 위에 올려 한천배지에 확산되게 하였다. 이를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균 성장이 억제된 부분 (투명존; clear zone)을 측정함으로써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1에서 나타내었다.
  Control* 대계근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 luteus) -** +++
스타필로코커스 아레우스(S. aureus) - +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 - +++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s) - +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 - +
표 1 : 투명존의 크기에 따른 각 균에 대한 항균활성
* Control : DMSO
** -: 억제효과 없음, +: 1mm이하, ++: 1mm 초과 2mm이하, +++: 2mm 초과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대계근 추출물은 상기 전 종류의 균에 대하여 투명환을 형성하여 항균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 luteus) 와 엔테로코커스 히레(E. hirae)에서 특히 넓은 부위의 투명존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대계근 추출물은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세균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 역시 항균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없어 항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2]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배합 성분 함량(중량%)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식물 추출물 0.002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g, 홍삼추출물 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g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 0.0025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로,
    상기 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인, 항균용 구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은 서시움 펜듀럼 (Cirsium pendulum), 서시움 자포니쿰 (Cirsium japonicum), 서시움 불가리 (Cirsium vulgare), 서시움 카늄 (Cirsium canum), 서시움 피레나이쿰 (Cirsium pyrenaicum) 및 서시움 아리조니쿰 (Cirsium arizonic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항균용 구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은 대계 (Cirsium japonicum)인, 항균용 구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Cirsium sp.) 식물 추출물은 대계근(根)으로부터 얻어지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은 서시움 속 식물-C1~C6 알코올 추출물인, 항균용 구강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항균용 구강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56485A 2012-05-29 2012-05-29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10143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85A KR101436923B1 (ko) 2012-05-29 2012-05-29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85A KR101436923B1 (ko) 2012-05-29 2012-05-29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9A KR20130133339A (ko) 2013-12-09
KR101436923B1 true KR101436923B1 (ko) 2014-09-03

Family

ID=499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85A KR101436923B1 (ko) 2012-05-29 2012-05-29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1655A4 (en) * 2018-10-24 2022-09-28 Sunstar Inc. COMPOSITION FOR THE MOUTRAL CAV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70188A (ko) * 2007-12-27 2009-07-01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엉겅퀴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00079586A (ko) * 2008-12-31 2010-07-08 구례군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조성물
KR20110004994A (ko) * 2009-07-09 2011-01-17 전라남도 토종 엉겅퀴로부터 약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70188A (ko) * 2007-12-27 2009-07-01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엉겅퀴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00079586A (ko) * 2008-12-31 2010-07-08 구례군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조성물
KR20110004994A (ko) * 2009-07-09 2011-01-17 전라남도 토종 엉겅퀴로부터 약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1655A4 (en) * 2018-10-24 2022-09-28 Sunstar Inc. COMPOSITION FOR THE MOUTRAL C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9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144318B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8001161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090035180A (ko)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KR10142907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90133562A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853534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18020970A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57996B1 (ko) 스타피레아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3575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29654B1 (ko) 산거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20150146046A (ko) 말오줌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51228A (ko) 해양 갈조류 유래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146479B1 (ko) 정향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