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62B1 -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62B1
KR101548162B1 KR1020140021839A KR20140021839A KR101548162B1 KR 101548162 B1 KR101548162 B1 KR 101548162B1 KR 1020140021839 A KR1020140021839 A KR 1020140021839A KR 20140021839 A KR20140021839 A KR 20140021839A KR 101548162 B1 KR101548162 B1 KR 10154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microbial
salicylic acid
composition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일
김수영
유강열
김지현
전인화
강현주
신준호
박용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Priority to KR102014002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mixture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Coptidis Rhizoma extract and salicylic acid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pathogenic microorganism)은 한약재를 비롯한 일반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하거나 법적으로 기준 수 이하로 검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과 같은 세균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항균제 개발이 필요하다. 문제는 합성항균제를 과다하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인체에 잔류되어 독성을 유발하거나 새로운 내성균을 낳을 수 있다. 특히 외용제에 사용되는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paraben), 이미다졸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및 클로로페네신(chorphenesin) 등은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은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및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 유래 항균 기능을 나타내는 항균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황금(Scutellariae Radix)과 황련(Coptidis Rhizoma)은 약리작용으로 항균을 비롯한 항암작용,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황금과 황련은 대장균을 비롯한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등 식중독균과 용혈성연쇄구균 및 황색포도상구균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황금과 황련 추출물 등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의 경우 항균효과가 있을지라도 매우 높은 농도에서 그 기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균종에 따라서 항균 효과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항균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항생제가 아닌 방부제로 활용되는 항균제와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살리실산(salicylic acid: 2-hydroxybenzoic acid)은 버드나무 껍질에서 처음으로 추출된 이래 항염 및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에는 피부 각질의 제거, 여드름 개선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실산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 효과가 있고, 고농도에서는 조직을 파괴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항균제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어 다른 항균제와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5933호에는 후박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91216호에는 포도근, 검은재나무 및 꽃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식품에 사용되는 안식향산과 화장품을 비롯한 외용제에 사용하는 파라벤, 이미다졸 우레아 및 클로로페네신 등은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은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및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인체에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 유래 항균 기능을 극대화시킨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로서 안전성이 우수한 황련 및 황금 추출물에 실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련 및 황금 추출물에 실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항균, 및 방부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황금 추출물 농도별 및 항생제 처리에 따른 항균활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200 ㎎: 황금 추출물 200 ㎎/mL 처리, 400 ㎎: 황금 추출물 400 ㎎/mL 처리, DMSO: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Am, Amp: 암피실린(ampicillin) 5 ㎎/mL 처리, G418: 겐타마이신(gentamicin 418) 5 ㎎/mL 처리, OX: 옥사실린(oxacillin) 100 ㎎/mL 처리
도 2는 황련 추출물 농도별 및 항생제 처리에 따른 항균활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200 ㎎: 황련 추출물 200 ㎎/mL 처리, 400 ㎎: 황련 추출물 400 ㎎/mL 처리, DMSO: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Am, Amp: 암피실린(ampicillin) 5 ㎎/mL 처리, G418: 겐타마이신(gentamicin 418) 5 ㎎/mL 처리, OX: 옥사실린(oxacillin) 100 ㎎/mL 처리
도 3은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에 살리실산을 농도별로 첨가한 혼합물의 항균활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Am, A: 암피실린(ampicillin) 5 ㎎/mL 처리, G418, G: 겐타마이신(gentamicin 418) 5 ㎎/mL 처리, SA alone: 살리실산 400 ㎎/mL 처리, 1: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에 살리실산 25 ㎎/mL 처리, 2: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에 살리실산 50 ㎎/mL 처리, 3: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에 살리실산 100 ㎎/mL 처리, 4: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에 살리실산 200 ㎎/mL 처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항균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병원성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황금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와 같은 병원성 그람양성균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높으나,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와 같은 병원성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낮다.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은 살리실산이 혼합됨으로 인해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와 같은 병원성 그람음성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synergistic effect)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황금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분쇄한 황금 또는 황련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4~10일 동안 방치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쇄한 황금 또는 황련에 70~9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4~10일 동안 방치한 후 10~30 kHz 초음파를 4~6분간 처리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쇄한 황금 또는 황련에 8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7일 동안 방치한 후 20 kHz 초음파를 5분간 처리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가공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 재료
1) 시약
암피실린(ampicillin), 겐타마이신(gentamicin 418), 옥사실린(oxacillin), 살리실산(salicylic acid) 및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등은 Sigma-Aldrich사(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MHB(Mueller Hinton Broth), NA(Nutrient agar), TSA(Tryptic soy agar), LB(Lactose broth) 및 BHI(Brain Heart Infusion) 등 배지는 Difco-BBL사(USA)로부터 구입하였다.
2) 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등은 ATCC사(미국)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JBE0006, isolate)는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전북)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2. 실험 방법
1) 황금과 황련 추출
잘 건조된 황금과 황련은 500 g을 대상으로 약 1~3 mm 정도로 세절하여 믹서기로 마쇄한 후 200 g을 정량하여 80% 에탄올 2,000 mL에 주입한 후 7일간 방치한 후 Sonics & Materials사(Danbury, CT, U.S.A.)를 사용하여 20 kHz 초음파 출력으로 5분간 처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취하고 0.45 ㎛ 필터로 여과하여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고형의 내용물을 -70℃에 냉동시킨 후 냉동건조시켜 약 18 g을 얻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디스크 확산 항균 실험
실험에 사용한 황금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증하였다. 대장균(E. coli)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LB였고,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그리고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는 각각 NA, TSA 및 BHI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세균은 2~3개의 집락(0.8×108 CFU/mL)을 얻어 접종하였다. 추출물과 살리실산은 여러 가지 농도별로 DMSO에 용해시켜 멸균한 페이퍼 디스크(직경 8 mm)에 10 ㎕씩 점적하였다. 표준 항생제는 암피실린(5 mg/mL), 겐타마이신(5 mg/mL) 및 옥사실린(100 mg/mL)을 사용하였다. DMSO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 평판 배지에 치상하여 35℃로 유지하여 20~24시간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도(clear zone)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3)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MIC 측정은 고형 한천 배지에서 각 세균을 배양한 후 0.5 McFarland standard(1×108 CFU/mL)에 준하여 5개의 집락을 얻고 MHB 배지에 희석하여 접종한 후 35℃에서 2~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황금과 황련의 추출물 및 살리실산은 8.0 mg/mL 농도로 적정하여 각각 2배 계열로 희석하였다. 각 세균과 추출물 또는 약물이 함유된 MHB을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35℃에서 18~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595 nm에서 Multilabel Counter(1420, Perkin Elmer)로 측정하여 MIC 값을 얻었다.
4) 통계처리
모든 실험값은 평균 또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했으며,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처리하였으며, 유의성 한계는 p<0.05로 정하였다.
실시예 1: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항균 효과
본 발명에서는 먼저 황금과 황련을 대상으로 비교적 안정한 에탄올 용매를 활용하여 추출한 후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 5종의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각 추출물의 농도를 mL 당 25~400 mg으로 적정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황금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균주에 대해 100 mg/mL 이상에서 항균효과를 보였고,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는 200 mg/mL 이상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의 경우 400 mg/mL 농도에서 항균 효과를 보였다. 황련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와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는 100 mg/mL 이상에서 항균효과를 보였으나,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의 경우는 400 mg/mL 농도에서 약간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5가지 병원균을 대상으로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농도를 200 mg/mL와 400 mg/mL로 정하고 표준 항생제와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대장균(E. coli)은 암피실린에 감수성이 높았고(clear zone: 6.1±0.5 mm),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는 겐타마이신에서 3.1±0.3 mm로 나타난 반면, 황금과 황련 추출물은 200 mg/mL 농도에서는 흔적이었고, 400 mg/mL 농도에서는 약 2 mm 이하로 나타나 항균 효과가 매우 낮았다(도 1 및 2). 그러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는 겐타마이신(4.5±0.3 mm)에 비해 황금 추출물 400 mg(3.7±0.3 mm)에서 항균 활성이 낮았지만, 황련 추출물(400 mg/mL)은 겐타마이신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는 옥사실린(4.9±0.3 mm)에 비해 황금 추출물 400 mg에서 2 mm 이하로 항균 활성이 낮은 반면, 황련 추출물은 200 mg/mL과 400 mg/mL 농도에서 각각 3.1±0.2 mm와 4.5±0.3 mm으로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400 mg에서는 옥사실린의 항균 활성과 유사하였다.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는 황금 추출물 200 mg/mL와 400 mg/mL 농도에서 각각 3.0±0.4 mm와 4.0±0.4 mm로 나타났으며, 400 mg/mL 농도에서는 옥사실린(4.0±0.2 mm)과 항균 활성이 유사하였고, 황련 추출물 200 mg/mL와 400 mg/mL 농도에서 각각 3.0±0.2 mm와 5.0±0.4 mm으로 나타나, 400 mg/mL 농도에서는 옥사실린(4.0±0.2 mm)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항균 활성이 향상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황금 추출물의 경우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매우 낮았지만,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와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에서는 비교적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황련 추출물은 대장균(E. coli)과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에서는 항균 효과가 낮았을 지라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에서 항균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살리실산의 항균 효과
살리실산은 산성이면서 페놀류 계통의 천연물 유래 물질로 항균, 해열, 진통, 항염증 및 피부 각질의 연화 등 약리 효과가 알려졌고, 각종 약물에 살리실산을 결합시켜 용해성, 안정성 및 약리성 등을 개량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도에 따른 살리실산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고자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 등 5종을 대상으로 살리실산의 농도를 mL 당 25~400 mg으로 적정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50 mg/mL 농도의 살리실산은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거나 없었지만,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에서 클린존(clear zone)이 평균 3.0 mm로 비교적 그 활성이 높았다. 살리실산 100 mg/mL 농도에서는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의 항균효과는 낮았으나,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는 클린존(clear zone)이 각각 평균 2.5 mm와 4.1 mm로 항균활성이 높았다. 살리실산 200 mg/mL 농도에서는 모든 세균에서 클린존(clear zone)이 2.8~5.3 mm로 항균 활성이 높아졌고, 400 g/mL 농도에서는 대장균(E. coli)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가 각각 5.3 mm와 5.8 mm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에서 100 mg/mL 이상의 살리실산 농도에서 항균 효과가 있었지만,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항균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살리실산의 농도별 항균 효과
균주 살리실산(mg/mL)의 inhibition zone(mm)
25 50 100 200 400
E. coli - ± 1.5 2.8 5.3
P. aeruginosa - ± 2.5 3.2 3.8
S. aureus - - 1.5 2.3 2.8
L. monocytogenes - ± 1.5 3.3 4.5
B. cereus ± 3.0 4.1 5.3 5.8
-: 활성이 없음, ±: 활성이 약함
실시예 3: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황금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의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황금과 황련 추출물 그리고 살리실산의 MIC를 측정한 결과, 표 2와 같이 황금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는 각각 4.09, 6.18 및 3.52 mg/mL로 비교적 높았으며, 대장균(E. coli)과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는 8 mg/mL 이상의 고농도에서도 약간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황련 추출물의 MIC는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 monocytogenes) 등에서 8 mg/mL 이상의 고농도에서도 항균 효과가 없었지만,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에서는 0.51 mg/mL으로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살리실산의 경우 사용한 모든 세균에서 MIC가 0.51~4.09 mg/mL로 나타났으며,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의 항균 효과
시료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mg/mL)
E. coli P. aeruginosa S. aureus L. monocytogenes B. cereus
황금 추출물 >8.00 >8.00 4.09 6.18 3.52
황련 추출물 >8.00 >8.00 0.51 >8.00 2.05
살리실산 2.04 4.09 2.04 3.15 0.51
실시예 4: 황금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의 조성물의 항균작용에 대한 상승효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낮은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균을 대상으로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과 여기에 살리실산의 농도에 따른 항균작용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최고 농도인 400 mg/mL에서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균은 클린존(clear zone)이 2.0 mm 이하로 항균활성이 거의 없었다(도 1 및 2). 더불어 항균 활성이 없는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농도인 100 mg/mL씩 동량으로 최종 200 mg/mL 농도를 적정하여 이들의 항균작용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상승효과는 없었다(도 3). 그러므로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농도를 200 mg/mL로 고정하고 살리실산의 최저 항균 활성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25~200 mg/mL를 첨가하여 각각의 항균작용을 조사하여 표준항생제인 암피실린(5 mg/mL), 겐타마이신(5 mg/mL) 또는 살리실산(400 mg/mL)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장균(E. coli)을 대상으로 모든 농도의 살리실산 처리군은 황금과 황련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유의하게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황금+황련 추출물 200 mg/mL에 살리실산을 100 mg/mL 및 200 m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첨가구에서는 암피실린과 살리실산(400 mg/mL) 단독 처리군보다 매우 유의하게 항균효과에 대한 상승작용이 있었다(도 3). 또한,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균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황금+황련 추출물 200 mg/mL에 살리실산 50 mg/mL 농도 이하에서는 아무런 항균효과에 대한 상승 작용이 없었던 반면, 살리실산 100 mg/mL와 200 mg/mL 농도 처리군에서는 살리실산(400 mg/mL) 단독 처리군보다 항균 활성이 높았다(p<0.05). 특히 200 mg/mL 살리실산 처리군에서는 겐타마이신의 효과와 유사할 정도로 항균작용이 우수하였다(도 3).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에서 사용한 5가지 병원성 세균 중 대장균(E. coli)과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는 황금과 황련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나 동시에 처리했을 때도 항균 효과가 낮았지만, 상기 혼합 추출물에 살리실산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상승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고농도의 살리실산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살리실산에 황금과 황련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항균작용에 대한 상승효과가 매우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결과는 살리실산을 최소화된 농도에서 황금과 황련의 동시처리는 식품이나 화장품을 비롯한 외용제의 제품에 방부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병원성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그람음성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금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분쇄한 황금 또는 황련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4~10일 동안 방치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20140021839A 2014-02-25 2014-02-25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4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839A KR101548162B1 (ko) 2014-02-25 2014-02-25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839A KR101548162B1 (ko) 2014-02-25 2014-02-25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162B1 true KR101548162B1 (ko) 2015-08-31

Family

ID=5406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839A KR101548162B1 (ko) 2014-02-25 2014-02-25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43A (ko) * 2020-08-19 2022-02-28 이경수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그리고 진균류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는 식품소재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5181A (ja) 2003-11-18 2006-02-16 Sekisui Chem Co Ltd 皮膚外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5181A (ja) 2003-11-18 2006-02-16 Sekisui Chem Co Ltd 皮膚外用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43A (ko) * 2020-08-19 2022-02-28 이경수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그리고 진균류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는 식품소재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0803B1 (ko) 2020-08-19 2022-06-20 이경수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그리고 진균류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는 식품소재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urmahani et al. Antibacterial property of Hylocereus polyrhizus and Hylocereus undatus peel extracts.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30121600A (ko)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08751B1 (ko)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91123B1 (ko) 메티실린 저항성 균주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101390084B1 (ko)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72224B1 (ko) 인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22543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수수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20110125108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84026A (ko)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4873A (ko) 참가시나무 열매 및 바나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23665B1 (ko) 그람음성구균 녹농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 및 이의 용도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US20110223118A1 (en)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ceriphyllum rossii extract and activ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KR100512098B1 (ko) 레불린산 및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항생제, 화장품 및 식품
KR20170119892A (ko) 청호추출물의 천연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87391B1 (ko)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