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4026A -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4026A
KR20180084026A KR1020180082144A KR20180082144A KR20180084026A KR 20180084026 A KR20180084026 A KR 20180084026A KR 1020180082144 A KR1020180082144 A KR 1020180082144A KR 20180082144 A KR20180082144 A KR 20180082144A KR 20180084026 A KR20180084026 A KR 2018008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resent
skin whitening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후
양정은
원경화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8008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4026A/ko
Publication of KR2018008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추출 및 분획을 통하여 얻어지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구성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생활용품 등지의 방부제 또는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까지도 있으며, 특히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사용에 있어서 청호로부터 추출한 안전한 물질의 항균 조성물을 방부 목적으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kin Whitening Compositon Comprising Extract of Artemisiae Annuae Herb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호로부터 추출한 조성물이 갖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 효모, 곰팡이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과, 피부 미백과 관련된 우수한 활성을 활용하기 위한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부제는, 식품, 약품, 화장품, 생활용품, 목재 등의 제품에 첨가되어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차단 또는 지연하여 보존성을 높인다. 파라벤류와 같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인공물질은 화장품과 같이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미량 섭취되는 경우에도 피부 알러지와 내성균을 유발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현재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의 경우, 제품의 특성상 제조가 쉽고 원가가 싸며,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성이 우수한 합성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화장품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류인 메틸파라벤(Metyl Paraben), 에틸파라벤(Ethyl Paraben), 프로필파라벤 (Propyl Paraben), 부틸파라벤(Butyl Paraben) 등과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Imidazolidinyl Urea), 트리클로산(Trichlosan), 디아졸리디닐우레아(Diazolidinyl Urea), 쿼터늄-15(Quaternium-15),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글루콘산 클로로 헥시딘 (Chlorohexidine gluconic acid) 등의 화학적 합성방부제를 들 수 있다.
문제는, 화장품용 방부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러한 합성방부제들이 피부에 대한 자극과 위험요소들을 지니는 것으로 점차 드러나고 있고, 심지어는 내분비계통의 장애 및 호르몬 교란 등을 통한 발암가능성까지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디아졸리디닐우레아와,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포함한 포르말린 유리형 방부제는, 전 세계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 그 사용이 감소추세에 있고, 두발 세정용 제품과 워시오프(wash off) 제품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본을 포함한 몇몇 국가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거나 그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포르말린 유리형 방부제들은, 포함된 포르말린 그룹이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유리되며, 이렇게 유리된 포르말린은 피부 자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암을 유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장품과 의약품에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메틸파라벤 등의 파라벤류 방부제들은, 피부알러지(Andrea Counti 등, Contact Dermatitis, 1997, 37, 35-36.)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Edwin 등,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 12-19.)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허용된 기준내의 사용도 불신되고 있고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성 및 만성독성과 돌연변이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신동화, 식품과학과 산업, 1990, 23(4) 68-72)
최근, 한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는 이러한 방부제의 심각한 위험성들을 인식하고, 유럽과 동등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그동안 사용해 오던 방부제 중에서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닐파라벤, 벤질파라벤, 펜틸파라벤 등의 5종은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공지하였다.(2014.08.07. European Commission의 트리클로산 및 파라벤 사용규제 개정)
이에, 천연 방부능력을 지닌 식물추출물을 기반으로 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천연방부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종래 합성천연 방부제의 항균스펙트럼을 확장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8259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97183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녹차, 카모마일, 자몽, 목련, 프로폴리스, 나한백 및 버드나무 추출물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천연방부제에 관한 것으로, 광범위한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항균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서 독성이나 자극이 발생하지 않는 인체사용에 있어 안전하여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됨을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청호를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유기용매 분획을 얻고 이를 다시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하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테릴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신규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안한다. 이에, 신규한 스테릴 에스테르로서 다양한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사용됨을 기대한다.
그런데 종래의 여러 기술을 포함한 위의 선행문헌들에 의하면, 제품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항균력과 더불어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선행특허 기술은 아예 없는 실정이며, 특히 화장품과 식품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상당하므로 개선의 여지가 매우 큰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82599호 “복합천연방부제”(공개일자 : 2007.10.09.)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97183호 “신규한 스테릴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 2007.03.2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 유래의 항균기능을 극대화시킨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로서 안전성이 우수한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균효과와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까지도 우수한 청호로부터 유효적절하게 추출한 청호추출의 천연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위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로부터 추출한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호추출의 천연방부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부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추출용매는 물, 여러 종류의 알콜 및 물과 여러 종류의 알콜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여러 종류의 알콜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등이 있으나,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추출 및 분획을 통하여 얻어지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구성으로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생활용품 등지에서 천연방부제로 사용되고, 완제품 기준으로 총 중량에 대한 대비기준으로 약 0.1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청구항 1의 천연방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항균 추출물은 건조 또는 비 건조된 청호 원재를 분쇄하고, 분쇄물에 용매를 10 내지 100배의 중량비로 가하여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으로서, 상기 수득물은 에탄올 추출 후 물,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부탄올로 분획하고, 완제품(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의 요구 물성에 대응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까지도 있으며, 특히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사용에 있어서 청호로부터 추출한 안전한 물질의 항균 조성물을 방부 목적으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확인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호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대한 확인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호 추출물의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의 확인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하기(下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됨을 부연한다.
이하,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여러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화학방부제 부작용은 사용자로 하여금 방부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며, 잠재적으로는 피부 안전성을 저해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방부제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 기존의 화학방부제가 가지는 부작용을 해결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위해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 및 독성과 내성이 없는 천연방부제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된 본 발명은,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방부제에 관한 것이다.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 또는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를 의미한다. 청호에 포함된 아르테미신이라는 물질은 기존의 항암제보다 1,200배나 강한 진정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청호는 해열진통, 면역증강, 간 기능보호, 항 말라리아 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방부제에 포함되는 항균 조성물은 청호의 원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등의 알콜, 에틸렌,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혹은 가온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양산적(量産的) 측면에서 추출용매로서, 물 또는 에탄올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고온 추출은 유효성분의 파괴 우려가 있으므로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을 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물은 건조 또는 비건조된 원재를 분쇄하고, 분쇄물에 용매를 10 내지 100배의 중량비로 가하여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여 생산할 수 있다. 수득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호추출의 항균조성물(또는 천연방부제)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의 완제품 기준으로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방부제는 광범위한 방부 스펙트럼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 특히 세균과 진균 및 효모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과 부작용이 없어 인체(특히, 피부)에 매우 안전한 작용,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식품, 의약품 및 생활용품 등에 적용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각종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 등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을 제공한다. 생활용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적용의 예로서는, 물티슈, 기저귀, 생리대 및 천연펄프, 고분자(수지), 면, 부직포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균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등을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가공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각각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와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나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이나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下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 재료
1) 시약
NA(Nutrient agar), TSA(Tryptic soy agar), LB(Lactose broth) 및 PDA(Potato dextros agar) 등 배지는 Difco-BBL사(USA)로부터 구입하였다.
2) 균주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세균으로 분류되는 균주 4종 및 진균으로 분류되는 균주 2종을 사용하였으며 균주는 다음과 같다. 즉, 대장균 (Escherichia coli CCARM0237),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ACC14021),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3881)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ACC14394),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KCTC7270),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KACC40280)를 사용하였다 (CCARM 서울여대 항생제내성균주은행, KACC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은행, KCTC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2. 실험 방법
1) 청호의 추출 및 제조
잘 건조된 청호 500g을 대상으로 약 1~3mm 정도로 세절하여 물, 70%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추출 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한 다음에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2) 디스크 확산 항균 실험
실험에 사용한 청호 추출물의 항균활성 탐색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증하였다. 대장균(E. coli )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LB였고,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그리고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 niger)는 각각 NA, PDA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세균은 2~3개의 집락(0.8×108CFU/mL)을 얻어 접종하였다. 추출물은 여러 가지 농도별로 DMSO에 용해시켜 멸균한 페이퍼 디스크(직경 8 mm)에 10㎕씩 점적하였다. DMSO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 평판 배지에 치상하여 35℃로 유지하여 20~24시간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도(clear zone)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3)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MIC 측정은 고형 한천 배지에서 각 세균을 배양한 후 0.5 McFarland standard(1×108 CFU/mL)에 준하여 5개의 집락을 얻고 MHB 배지에 희석하여 접종한 후 35℃에서 2~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청호추출은 8.0 mg/mL 농도로 적정하여 각각 2배 계열로 희석하였다. 각 세균과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35℃에서 18~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595 nm에서 Multilabel Counter(1420, Perkin Elmer)로 측정하여 MIC 값을 얻었다.
4) 통계처리
모든 실험값은 평균 또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했으며,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처리하였으며, 유의성 한계는 p<0.05로 정하였다.
<실험예 1: 청호 추출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디스크확산법)>
본 발명에서는 먼저 청호를 대상으로 비교적 안전한 물,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활용하여 각각 항균 조성물을 추출하였으며, 대장균(E. coli)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LB였고,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그리고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 niger) 총 6종의 미생물을 대상으로 각 추출물(항균 조성물)의 농도를 mL 당 5~100mg으로 적정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청호 물 추출물(물 용매를 사용하여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 조성물)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장균(E. coli)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그리고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에서 10mg/ml 이상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청호 에탄올 추출물(에탄올 70% 용매를 사용하여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 조성물)에서는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장균(E. coli)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 subtil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는 5mg/ml 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는 10mg/ml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표 2]
Figure pat00002
청호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 조성물)에서는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mg/ml의 농도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만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표 3]
Figure pat00003
상술한 [표 1] 내지 [표 3]의 "균주번호a"에서 CCARM은 서울여대 항생제내성균주은행, KACC는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은행, KCTC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제공한 균주이고, "항균활성(mm)b"는 투명대의 크기(직경 mm)이다.
< 실험예 2: 청호 추출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확인 ( MIC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표 4]에는 각각의 균을 사멸할 수 있는 청호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가 나타나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 실험예 3 : 청호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한 피부 노화억제 효과>
본 발명의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Kilani 등의 방법(Kilani et al., Environ. Toxicol. Phar. 20: 478-484(2005) 참조)에 준하여 1,1-diphenyl -2- pic rylh- ydrazyl (DPPH; Sigma Co., USA)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면 라디칼이 소거되어 짙은 자색으로 탈색되기 때문에, 흡광도 측정을 통하여 항산화 물질의 수소 공여능을 측정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산화 효능이 잘 알려진 알부틴(arbutin)를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메탄올로 희석된 시험물질을 농도별(100, 500 및 1,000 ㎍/ml)로 100 ㎕씩 첨가한 후, DPPH용액(0.2mM DPPH in Methanol)을 100 ㎕ 첨가하여 25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험물질의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에 의해 전자공여능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시험물질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 100
도 1의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청호 물(H2O),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 처리군은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에 비하여 라디칼 소거능이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4 : 미백효과 확인 -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이시하마 등의 문헌 (Ishihara Y et al. J. Antibiot(Tokyo). 44(1), p25-32, 1991)에 기재된 활성 실험법을 변형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산화작용에 관여하는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3㎎/㎖의 티로신 용액 50㎕ (0.1M 인산 완충액, pH 6.8에 용해시킴)와 50부피% 메탄올 용액 1㎖ 에 청호 추출물들을 각각 첨가하여, 농도별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농도별 시료는 각 추출물 10㎍/㎖, 100㎍/㎖ 및 250㎍/㎖ 비교예의 알부틴 10㎍/㎖, 100㎍/㎖ 및 250㎍/㎖ 이다.
상기 각각의 시료 50㎕씩을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버섯 추출 티로시나제(시그마, Tyrosinase from 공개특허 10-2013-0030907 mushroom, 200 Unit/㎖, 0.1M 인산 완충액, pH 6.8에 용해시킴) 50㎕를 첨가하였다. 그 후, 37℃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분광광도계(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Max)를 이용하여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도파크롬은 멜라닌 생성의 중간물질로서, 도파크롬 생성이 억제될 경우 미백효과를 가질 수 있다.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은 시료를 가하지 않는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마쯔다 등의 문헌 (Matsuda H et al. Biol. Pharm. Bull. 19(1), p153-156, 1996)에 따라 하기 식 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대조군 O.D.475 - 시료 O.D.475) / 대조군 O.D.475 } X 100
상기 식 1에서, O.D.475는 475㎚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호 추출물 중 에칠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에탄올, 물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가지며, 미백효능으로 잘 알려져 있는 양성대조군인 알부틴(단일 물질)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도, 청호추출물이(혼합물질) 효능이 크게 뒤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산 효율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청호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청호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천연방부제의 세포독성 효과에 대해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과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세포를 이용해 MTT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와 HaCaT의 경우에, 청호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처럼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볼 때,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및 의약용 등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 청호 추출물의 화장품 방부 효과>
청호로부터 추출한 항균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방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항균 조성물을 2.5%의 농도로 포함하는 로션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항균 조성물을 함유한 로션은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표 6]에는 방부력의 확인시험 결과가 나타나 있으며, 상용제품 대비 70~82%의 방부력을 보이고 있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6]
Figure pat00006
여기서, Control은 기존의 상용 방부제 또는 화학 방부제이다.
< 실험예 7 : 청호 추출물의 피부안정성 확인 시험>
청호 추출물의 피부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기준(control) 대비 반응도가 낮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청호추출물을 피부에 사용하여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표 7]은 패치 테스트 기준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pat00007
여기서, 평균 피부 반응도(mean score) = (점수×반응 수×100×1/2) / [3(최대점수) × 총피검자수(n)]
[표 8]
Figure pat00008
이상에서 살펴본 바처럼,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까지도 있으며, 특히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사용에 있어서 청호로부터 추출한 안전한 물질의 항균 조성물을 방부 목적으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호 추출물은 물, 에탄올, 및 에칠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80082144A 2018-07-16 2018-07-16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4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44A KR20180084026A (ko) 2018-07-16 2018-07-16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44A KR20180084026A (ko) 2018-07-16 2018-07-16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139A Division KR20170119892A (ko) 2016-04-20 2016-04-20 청호추출물의 천연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026A true KR20180084026A (ko) 2018-07-24

Family

ID=6305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44A KR20180084026A (ko) 2018-07-16 2018-07-16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4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257B1 (ko) * 2020-07-20 2021-04-20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생리 활성 물질의 함량 및 피부 개선 효능이 증진된 개똥쑥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183B1 (ko) 2006-05-29 2007-03-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스테릴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2599B1 (ko) 2006-04-04 2007-12-0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복합천연방부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99B1 (ko) 2006-04-04 2007-12-0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복합천연방부제
KR100697183B1 (ko) 2006-05-29 2007-03-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스테릴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257B1 (ko) * 2020-07-20 2021-04-20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생리 활성 물질의 함량 및 피부 개선 효능이 증진된 개똥쑥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699B1 (ko) 항미생물제 및 항미생물성 조성물
KR101525976B1 (ko)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30121600A (ko)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11747B1 (ko) 금전초, 오배자, 계피 및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67627B1 (ko) 다실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의 세포사멸 억제용 조성물
El-Haddad et al.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f carob pulp and seeds extracts: HPLC,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studies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717020B1 (ko) 녹차씨로부터 유래된 사포닌류를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암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9163B1 (ko) 드렁방동사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4026A (ko) 청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130112322A (ko)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19892A (ko) 청호추출물의 천연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Mekjaruskul et al. Potential Cosmeceutical Applications and Evaluation of Human Skin Irritation of Tagetes erecta L. Flower Extract
KR101253279B1 (ko) 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542751B1 (ko)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134110A (ko)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