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751B1 -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751B1
KR100542751B1 KR1020030028736A KR20030028736A KR100542751B1 KR 100542751 B1 KR100542751 B1 KR 100542751B1 KR 1020030028736 A KR1020030028736 A KR 1020030028736A KR 20030028736 A KR20030028736 A KR 20030028736A KR 100542751 B1 KR100542751 B1 KR 10054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gompi
tyrosinas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124A (ko
Inventor
최재수
강혜숙
손병화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3002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을 갖는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대해 작용하여, 그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멜라닌 과다 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등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곰피, 티로시나제 저해, 플로로탄닌류, 화합물, 미백, 화장료 조성물, 식품, 갈변 방지용 조성물.

Description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hlorotannins or the extract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hav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도 1 은 플로로글루시놀 첨가 및 무첨가시 버섯 티로시나제 및 L-티로신의 라인웨버-버크 플롯에 관한 도이고,
도 2 는 엑크스토로놀 첨가 및 무첨가시 버섯 티로시나제 및 L-티로신의 라인웨버-버크 플롯에 관한 도이고,
도 3 은 엑콜 첨가 및 무첨가시 버섯 티로시나제 및 L-티로신의 라인웨버-버크 플롯에 관한 도이고 ,
도 4 는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 첨가 및 무첨가시 버섯 티로시나제 및 L-티로신의 라인웨버-버크 플롯에 관한 도이고 ,
도 5 는 디엑콜 첨가 및 무첨가시 버섯 티로시나제 및 L-티로신의 라인웨버-버크 플롯에 관한 도이다.
본 발명은 곰피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플로로탄닌류(phlorotannins)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티로시나제(Tyrosinase, EC 1.14.18.1)는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 PPO)(Mayer A. M. , Phytochemistry, 26, pp11-20, 1987; Whitaker J. R. et al., In Food Enzymes, Structure and Mechanism, pp271-307, 1995)의 일종으로 구리가 함유된 효소로서 사람을 포함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발견되는데, 아미노산 중 티로신(tyrosine)은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DOPA(3,4-dihydroxyphenylalanine)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되고, 도파퀴논은 다시 5,6-디하이드록시인돌(5,6-dihydroxyindole)로 전환되며, 이것이 중합을 통해 단백질과 결합하여 멜라닌(melanin)색소를 형성하게 된다. 신체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피부, 머리카락 및 눈동자의 색소화에 관여하는데, 멜라닌의 과잉 합성 및 축적 시에는 피부에 기미, 주근깨와 같은 미적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Hearing V. J. et al., FASEB J., 5, pp2902-2909, 1991). 이와 같이, L-티로신에서 멜라닌을 형성하는 효소적 산화는 그 최종산물인 멜라닌이 다양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합성의 변화가 여러 질병 상태를 유발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상기에 기술한 작용 외에, 티로시나제는 과일, 야채와 갑각류의 갈변에 관여하며, 곤충의 탈피에 관련된 중요한 효소로써 해충을 통제하는 약물을 개발하는데 응용되고 있다 (Andersen S.O., Anul. Rev. Entomol., 24, pp29-61, 1979). 또한 티로시나제는 도파민(dopamine)의 신경독성(neurotoxicity)에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파킨슨(Parkinson)씨 병과 관련이 되는 신경퇴화 (neurodegenerat ion)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Xu Y. et al., Mol. Brain Res., 45, pp159-162, 1997). 아울러, 최근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이용한 미백 화장품이나 색소과잉침착 등의 치료제로서의 효과가 기대되면서 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식물로부터 분리된 여러 화합물들을 이용한 상피 세포 층의 멜라닌 과다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미백제용 화장품과 의약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2000-0073847호에서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의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protocatechuic acdehyde)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2000-0073136호에서는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에 관해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등록 제190992호에서는 천문동추출물과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한 피부미백용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나 갈변 방지제들은 세포독성과 돌연변이원성이 있는 등 안전성이 떨어지거나, 활성이 낮고 피부 투과성이 좋지 않은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실제 사용시 효과도 좋은 항 티로시나제(anti-tyrosinase) 활성을 갖는 성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특히, 식품이나 화장품에 사용할 때에 일정한 기준 없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티로시나제 저해제의 안전성은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한편, 효소 반응의 저해제에는 경쟁적 저해제와 비경쟁적 저해제가 있다. 경쟁적 저해제는 기질이 유리 효소와 결합하는 것을 막는 물질로서, 그 효소에 대해서 같은 결합부위를 갖기 때문에 경쟁관계를 가지며, 상호 배타적이다. 경쟁적 저해제는 원래 기질의 대사 될 수 없는 유도체이거나 또 다른 그 효소의 기질이거나 그 반응 생성물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전형적인 비경쟁적 저해제는 기질의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질 또한 저해제의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질(S)과 저해제 (I)는 가역적이며, 무작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다른 부위에 결합한다. 즉, I는 효소 (E) 또는 ES와 결합하고, SE 또는 EI와 결합한다. 즉, 효소의 촉매 부위에 비경쟁적 저해제가 결합하여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Segel I. H., In Biochemical calculations, p246, 1976). 네르야 등(Nerya O. et al., J. Agric. Food Chem., 51, pp1201-1207, 2003)은 비경쟁적 저해제의 구조적 특징 중 하나로서 레조시놀(resorcinol) 부분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경쟁적 저해제들은 효소에 있는 구리를 킬레이트 하는 능력이 있다고 하였다.
곰피 (Ecklonia stolonifera Okamura)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의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해안선을 따라 2∼10 m 수심에서 자라며, 오래전부터 다시마, 미역 등과 함께 식용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해조류는 항마취제, 항염증제, 습진, 통풍, 담석 등의 치료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오고 있다(Hoppe, In Pharmaceutical Science, p9 1982). 곰피의 성분으로는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Lee J. H. et al., Arch. Pharm. Res. 19, pp223-227, 1996), 플로로탄닌류(phlorotannins) (Taniguchi K. et al., Nippon Suisan Gakkaishi, 57, pp2065-2071, 1991) 및 엑클로니아락톤스(ecklonialactones) (Kurata K. et al., Chem. Lett. pp267-270, 1989; Kurata K. et al., Phytochemistry, 33 , pp155-159, 1993)가 알려져 있다.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활성(Lee J. H. et al., Arch. Pharm. Res. 19, pp223-227, 1996), 항돌연변이 활성(Lee J. H. et al., J. Food Sci. Nutr., 1, pp64-68, 1996; Lee J. H. et al., Nat. Prod. Sci. 4 , pp105-114, 1998; Han E. S. et al., Environ. Mutagen. Carcinogen. 20, pp104-111, 2000), 섭식저해 효과(Taniguchi K. et al., Nippon Suisan Gakkaishi, 57, pp2065-2071, 1991)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그 활성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Park D. C. et al., J. Fish. Sci. Tech. 3, pp195-199, 2000). 한편,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곰피의 성분들은 식용 갈조류인 곰피에서 분리된 화합물이므로 식품이나 다른 생물체의 색소침착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후쿠야마 등은 디벤조-1,4-디옥신 환(dibenzo-1,4-dioxin ring)을 가진 플로로탄닌류는 항-플라스민 저해제(anti-plasmin inhibitors) 작용을 한다고 보고하였으며(Fukuyama Y. et al., Chem. Pharm. Bull., 37, pp349-353, 1989; Fukuyama Y. et al., Chem. Pharm. Bull., 37, pp2438-2440, 1989; Fukuyama Y. et al., Chem. Pharm. Bull., 38, pp133-135, 1990; Fukuyama Y. et al., Chem. Lett., 739-742, 1985; Nakayama Y. et al., Agric. Biol. Chem. 53, pp3025-3030, 1989) 또한, 메틸-α-리놀레이트(methyl-α-linolenate)의 산화 유도기를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중합도가 낮을수록 효과가 크다고 보고하였다 (Nakamura T. et al., Fish. Sci. 62, pp923-926,1996). 이와 반대로 플로로탄닌류의 중합도와 극성이 클수록 해양 초식동물의 섭식 저해 효과 (Hay M. E., Ann. Rev. Ecol., Syst. 19, pp111-145, 1988; Taniguchi K. et al., Nippon Suisan Gakkaishi, 57 , pp2065-2071, 1991;Altena A. et al., Biochem. Syst. Ecol., 20, pp493-499, 1992; Boettcher A. A. et al., Ecology, 74, pp891-903 1993; Targett N. M. et al., Oecologia 103, 170-179, 1995)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플로로탄닌류 중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는 적조의 원인이 되는 미세조류에 대한 알지시달 효과(algicidal effect)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Nagayama K. et al., Aquaculture 218, pp601-611, 2003). 그러나, 지금까지 플로로탄닌류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및 저해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곰피에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추출물 및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한 후, 그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추출물 및 화합물로써, 곰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등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곰피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곰피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엑크스트로놀(eckstolonol), 엑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eckstolonol pentaacetate), 엑콜(eckol),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 ) 및 디엑콜(dieckol) 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곰피로부터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곰피 조추출물은 곰피를 동결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곰피 건조 중량의 약 3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곰피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곰피 조추출물은 물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순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본 발명의 곰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곰피 조추출물 즉, 곰피 메탄올추출물에 n-헥산: 물: 메탄올을 일정 비율, 바람직하게는 10: 9: 1로 혼합하여 n-헥산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 물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성 분획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크래피(SiO2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50 :1의 혼합용매로 시간당 일정용량, 바람직하게는 1000 ㎖의 속도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F1 부터 F10까지 10개의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F1 분획물은 다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로 분리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농도기울기 용출로 20 % ∼ 100 %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세파덱스로 정제하여 상기 1 내지 6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리 및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곰피로부터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곰피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상기 플로로탄닌류(phlorotannins)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수득된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의 갈변방지용 조성물로써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 여,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양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0.01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를 갖는 피부 미백용으로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클린징, 세안제, 비누,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에 첨가하여 피부 미백용으로 유용하게 이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세정제, 세안제, 트리트먼트 및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 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 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트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 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 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유액, 화장수,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보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양모료, 육모료, 헤어크림, 헤어리퀴드, 세트로션, 헤어스프레이, 헤어브리지, 컬러린스, 컬러스프레이, 퍼머넌트웨이브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핸드크림,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필수성분인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 이외에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필요에 따라 상기에 예시되는 것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 등)을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경 피 적용 제제 개발 메뉴얼」 마츠모토미치오 감수 제 1판 (세이시 서원 1985년 발행) 등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첨가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화장료 첨가물은 기존의 화장품 및 세안제재 등의 생산공정 과정이나 완제품 상에서 첨가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피부 미백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크림제, 로션제, 마사지 팩, 전신세정제, 비누제, 샴푸제, 기타 관리용 제제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식품의 갈변 방지용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0.01 %~10 %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 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곰피 조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곰피는 부산시 기장군 대변연안 앞 바다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곰피는 동결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 ㎏을 메탄올 10 ℓ를 넣고 70 ℃에서 일정시간 간격(12 h, 6h, 3h)으로 3회 반복하여 환류냉각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40 ℃에서 메탄올을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써 곰피 조추출물 700 g을 수득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곰피 헥산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곰피 조추출물 700 g에 헥산 : 물 : 메탄올 = 10: 9: 1의 혼합용매 4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 및 헥산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헥산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헥산 가용 추출물 27.93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 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곰피 디클로로메탄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 ℓ에 디클로로메탄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이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디클로로메탄 가용 추출물 25.58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곰피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 ℓ에 에틸아세테이트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24.99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곰피 부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층 2 ℓ에 부탄올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수가용성 분획물 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수가용 추출물 및 부 탄올 가용 추출물 99.59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99.59 g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이 때 전개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50 :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키에셀 겔 60(Kiesel gel 60, 230-400 매쉬)을 사용하여 시간당 1000 ㎖씩 분획을 수행하여 10개의 하부분획물로 나눈 후, 각각의 분획물의 활성을 측정하여 그중 가장 활성이 뛰어난 F1 분획물을 용매로는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키에셀 겔 60(Kiesel gel 60, 230-400 매쉬)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RP-18 CC를 고정상으로 리크로프렙(Lichroprep, Merck사, Germany)을 사용하고, 용매로는 20 % ∼ 100 %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농도 기울기 용출로 분리한 다음, 세파덱스 LH-20(st. Louis, MO, 시그마 사)로 정제하여 하기 기재한 바와 같은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인 1 내지 6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NMR 및 MS 등과 같은 각종 분석기기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 화합물 1 :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1
물질의 성상: 흰색 분말.
물질의 분자식: C6H6O3.
EI-MS : m/z (R. int): 126(100) [M+].
IR (KBr) cm-1: 3481, 1617, 1499, 1419.
1H-NMR (400 MHz, CD3OD): 5.78(3H, s).
13C-NMR (100 MHz, CD3OD): 160.9, 96.3.
(2) 화합물 2 : 엑크스토로놀(eckstolonol)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2
물질의 성상: 미흰색 분말.
물질의 분자식: C18H10O9.
HRFAB-MS: Found, m/z 370.0324 [M]+, Calcd for C18H10O9, m/z 370.0325.
IR (KBr) cm-1: 3243, 1635, 1518, 1494, 1396, 1281, 1243, 1207, 1154, 1118, 1089, 1012, 810.
1H-NMR (400 MHz, DMSO-d 6): 9.77(C1-OH), 9.64(C9-OH), 9.60 (C6-OH), 9.27(C3-OH), 9.26(C11-OH), 6.10(1H, s, H-7), 6.04(1H, d, J=2.81 Hz, H-2), 6.01(1H, d, J=2.66 Hz, H-10), 5.84(1H, d, J=2.66 Hz, H-4), and 5.82(1H, d, J=2.66 Hz, H-12).
13C-NMR (100 MHz, DMSO-d6): 153.3(C-3), 153.0(C-11), 146.1(C-1), 146.0(C-9), 142.1(C-4a), 141.7(C-12a), 140.1(C-6), 137.2(C-7a), 131.6(C-13b), 125.9(C-5a), 122.7(C-8a), 122.5(C-13a), 122.3(C-14a), 98.8(C-2, 10), 97.6(C- 7), 과 93.9(C-4, 12).
(3) 화합물 2a : 엑크스토로놀 펜타아세테이트(eckstolonol pentaacetate)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3
IR (KBr) cm-1: 1769, 1506, 1477, 1371, 1193, 1079, 1021, 885. EI-MS m/z (R. int.): 580(M+, 21), 538(45), 496(47), 454(72), 412(52), 370(100), 341(30).
1H-NMR (400 MHz, CDCl3 + DMSO-d6): 1.59(3H, s), 1.61(3H, s), 1.64(3H, s), 1.65(3H, s), 1.73(3H, s), 5.80(1H, s), 5.96(1H, d, J=2.62 Hz), 5.97(1H, d, J=2.62 Hz), 6.00(1H, d, J=2.62 Hz), 6.02(1H, d, J=2.62 Hz).
(4) 화합물 3 : 엑콜(eckol)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4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18H12O9.
양성 FAB-MS m/z: 372 [M]+.
1H-NMR(400 MHz, CD3OD): 5.93(3H, s), 5.94(2H, s), 6.13(1H, s).
13C-NMR (100 MHz, CD3OD): 162.4, 160.7, 150.0, 147.7, 147.6, 144.7, 143.8, 139.0, 126.1, 125.3, 125.1, 100.3, 99.9, 98.2, 96.3, 95.9.
(5) 화합물 4 :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 )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5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30H18O14.
양성 FAB-MS m/z: 602 [M]+.
1H-NMR (400 MHz, CD3OD): 6.63(1H, s), 6.40(1H, s), 6.26(1H, s), 5.97(2H, d, J=2.08 Hz), 5.94(1H, t, J=1.88 Hz), 5.92(1H, t, J=1.98 Hz), 5.88(2H, d, J=2.08 Hz).
13C-NMR(100 MHz, CD3OD): 162.67, 162.64, 161.00, 160.97, 153.99, 152.50, 151.96, 149.07, 149.03, 146.74, 144.71, 139.19, 136.15, 128.89, 125.86, 125.56, 123.17, 106.15, 106.11, 100.78, 100.22, 98.60, 98.48, 97.03, 96.24, 96.21.
(6) 화합물 5 : 디엑콜(dieckol)
Figure 112003016219499-pat00006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36H21O18. 양성
FAB-MS m/z: 742 [M]+.
1H-NMR (400 MHz, CD3OD): 6.15(1H, s), 6.13(1H, s), 6.09(2H, s), 6.06(1H, d, J=2.85 Hz), 6.05(1H, d, J=2.85 Hz), 5.98(1H, d, J=2.76 Hz), 5.95(1H, d, J=2.76 Hz), 5.92(3H, s).
13C-NMR (100 MHz, CD3OD): 162.67, 160.95, 158.61, 156.81, 155.33, 153.19, 148.14, 148.09, 147.92, 147.71, 145.10, 144.95, 144.20, 144.10, 139.44, 139.27, 127.28, 127.00, 126.46, 126.41, 125.67, 125.45, 125.38, 100.67, 100.56, 100.30, 100.19, 98.47, 97.02, 96.65, 96.57, 96.17.
실험예 1. 곰피 조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곰피 조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L-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노 등(No, J.K., et al., Life Science, 65, pp241-246, 1999)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 mM L-티로신(자센 치미카사), 5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 및 증류수를 10:10:9의 비율로 혼합한 반응 혼합액 170 ㎕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곰피 조추출물(메탄올 추출물) 및 실시예 2내지 5에서 수득한 각 용매 분획물 10 ㎕와 버섯 티로시나제수용액 (1000 units/㎖)을 20 ㎕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반응액이 200 ㎕가 되도록 96-웰 마이크로플래이트(microplate)에 넣었다. 이 반응액을 25 ℃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래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Versa max)에서 490 nm의 파장으로 도파크롬(dopachrome)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이 효소의 활성단위 (U)는 위에서 언급한 조건 하에서 분당 1 ㎛ole의 도파크롬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는 하기의 수학식1으로 구하였다. 하기 수학식1에서 시료의 흡광도(Asamp.)는 저해제를 넣었을 때의 490 ㎚에서의 흡광도, 표준 흡광도(Astd.)는 저해제를 넣지 않았을 때의 490 ㎚에서의 흡광도 및 대조군 흡광도(Actrl.)는 저해제를 넣었고 효소를 넣지 않았을 때의 490 ㎚에서의 흡광도이며, 490 ㎚에서 도파크롬의 흡광계수는 3.3 ×103 이다. 저해 활성은 농도-저해 곡선의 내삽법에 의해 얻어진 3개 수치의 50 % 저해 농도의 평균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코지산(시그마 사)을 사용하였다.
% 저해율 = 1-(시료의 흡광도- 대조군 흡광도)/표준 흡광도 ×100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에서 IC50치가 67.02 ㎍/㎖로 두드러진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료 IC50 (㎍/㎖)
곰피 조추출물 354.02
곰피n-헥산 가용성 분획물 >500
곰피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183.41
곰피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67.02
곰피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0
곰피 수가용성 분획물 >500
코지 산 4.57
실험예 2. 5가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6에서 수득된 5가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5가지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인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화합물 1), 엑크스토로놀(eckstolonol, 화합물 2), 엑콜(eckol, 화합물 3) ,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 (phlorofucofuroeckol A, 화합물 4) 및 디엑콜(dieckol, 화합물 5)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IC50 (㎍/㎖) (μM)
플로로글루시놀 (1) 92.8 (736.6)
엑크스토로놀 (2) 126.3 (341.4)
엑콜 (3) 33.2 (89.3)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4) 177.3 (295.4)
디엑콜 (5) 2.2 (2.9)
코지산 6.3 (44.5)
실험예 3.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운동역학적 분석(Kinetic analysis)
상기 실시예 6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운동역학적 분석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5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녹인 버섯 티로시나제에 기질로는 L-티로신을 사용하여 0.5 mM에서 2 mM까지 다른 네 가지 농도로 반응액을 준비한 후, 각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여러 가지 농도로 반응액에 첨가하여 490 nm에서 도파크롬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의 Km(Michaelis constant), Vmax(maximal velocity) 및 저해제의 Ki(inhibition constant) 는 라인웨버-버크 플롯(Lineweaver-Burk plots)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플로로글루시놀 (1)과 엑크스토로놀 (2)의 티로시나제 저해 방식은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듯이,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과 세 개의 다른 농도로 각각 저해제를 첨가한 것의 선이 Y축에서 교차되므로, 버섯 티로시나제의 L-티로신 산화 에 대한 경쟁적 저해제임을 알 수 있었고, 플로로글루시놀의 Ki 값은 2.3 ×10-4 M(Vmax=2.57 ㎛ole/㎖, Km=1.2×10-3), 엑크스토로놀의 Ki 값은 9.5 ×10-5 M(Vmax=2.5 ㎛ole/㎖, Km=6.7×10-4)이였다. 엑콜 (3),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4) 및 디엑콜 (5)의 티로시나제 저해 방식은 도 4, 5 및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과 두개 또는 세 개의 다른 농도로 각각 저해제를 첨가한 것의 선이 X축에서 교차되므로 버섯 티로시나제의 L-티로신 산화에 대한 비경쟁적 저해제임을 알 수 있었고, Ki 값은 직선의 기울기 또는 Y절편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며, 엑콜의 Ki 값은 1.6 ×10-5 M(Vmax=3.3 ㎛ole/㎖, Km=1.7×10-3 ), 플로로푸코푸로엑콜의 Ki 값은 1.4 ×10-3 M(Vmax=6.3 ㎛ole/㎖, Km=4×10-3) 및 디엑콜의 Ki 값은 2.4 ×10-5 M(Vmax=6.3 ㎛ole/㎖, Km=6.7×10-3)로 나타났다.
비교예 1. 해초류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
여러 가지의 해초류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실험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해 보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녹조류 2종, 갈조류 5종, 홍조류 10종에 서 유일하게 곰피에서 IC50치가 345.0 ㎍/㎖로서 티로시나제에 의한 L-티로신의 산화를 저해하였다.
해초류 IC50(㎍/㎖)
녹조류 실파래(Enteromorpha crinita) >500
구멍갈파래(Ulva pertusaKjellman) >500
갈조류 톳(Hizikia fusiformis) >500
큰잎모자반(Sargassum ringgoldianumHarvey) >500
Sargassum miyabei >500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Mertens) O. Kuntze) >500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345.0
홍조류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Lamourous) >500
까막살(Carpopeltis cornea Okamura Dawson) >500
진주발(Chondrus crispus (Linne) Stack) >500
참도박(Pachymeniopsis elliptica Yamada) (Grateloupia elliptica Holmes) >500
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 (S. gracilis (Martens) Falkenberg) >500
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Wulfen) C. Agardh) >500
Rhodymenia intricate (Okam) Okamura >500
Acrosorium flabellatum >500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G. confervoides(Linne) Greville) >500
Gigatina tenella Harvey >500
대조군 코지산 4.57
하기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비누 제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1~30 (%)
유지................................................적당량
수산화나트륨........................................적당량
염화나트륨..........................................적당량
향료................................................소 량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비누를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1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감초 엑기스..........................................0.20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2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 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3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4.00 (%)
갈조 엑기스..........................................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크림 제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팩 제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5.00(%)
폴리비닐알코올.......................................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3.00
에탄올...............................................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팩을 제조하였다.
미용액 제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12.00
크산탄검(2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6.00
진한 글리세린.........................................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곰피 조추출물,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등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기 제1항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플로로글루시놀, 엑크스트로놀, 엑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 엑콜 또는 디엑콜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과 같은 화장품류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 세정제, 세안제, 트리트먼트 및 미용액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곰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인 플로로글루시놀, 엑크스트로놀, 엑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 엑콜 및 디엑콜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첨가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의 첨가물은 크림제, 로션제, 마사지 팩, 전신세정제, 비누제, 샴푸제 및 기타 관리용 제제에 사용가능한 화장료 첨가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030028736A 2003-05-06 2003-05-06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4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36A KR100542751B1 (ko) 2003-05-06 2003-05-06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36A KR100542751B1 (ko) 2003-05-06 2003-05-06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24A KR20040095124A (ko) 2004-11-12
KR100542751B1 true KR100542751B1 (ko) 2006-01-20

Family

ID=3744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36A KR100542751B1 (ko) 2003-05-06 2003-05-06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85A (ko) 2019-05-27 2020-12-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97B1 (ko) * 2005-06-29 2007-04-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45023B1 (ko) * 2006-09-27 2007-08-0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보라색우무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KR100879558B1 (ko) * 2007-07-31 2009-01-22 라이브켐 주식회사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85A (ko) 2019-05-27 2020-12-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24A (ko) 200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5447A (ko) 여드름 피부용 피부 외용제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06532A (ja) NF−κB活性化抑制剤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0893B1 (ko)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2751B1 (ko)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50818B1 (ko)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상황버섯 추출물 또는그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931528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JP2006069972A (ja)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1724018B1 (ko) 모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3858B1 (ko) 익모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30624B1 (ko) 모시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0186B1 (k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