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93B1 - 천연 방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방부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9593B1 KR101749593B1 KR1020150111563A KR20150111563A KR101749593B1 KR 101749593 B1 KR101749593 B1 KR 101749593B1 KR 1020150111563 A KR1020150111563 A KR 1020150111563A KR 20150111563 A KR20150111563 A KR 20150111563A KR 101749593 B1 KR101749593 B1 KR 101749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natural
- composition
- natural preservative
- b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ntist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천연 방부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시 상용성이 우수하고, 보존력이 우수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화학제품 분야에서는 방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부제는 제품에 포함된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질되거나 부패되어 유해성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부제는 화학제품의 순도를 보존하고, 품질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화학제품은 인체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에 사용되는 방부제는 인체에 무해하고, 제품의 품질을 저해하지 않으며, 제품의 보존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특성으로 작용한다.
한편, 화학제품의 변질 또는 부패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할뿐만 아니라 특성이 다르다. 이에 따라, 특정 미생물의 생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이 다른 미생물의 생육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화학제품들은 특히 사용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노출되며, 이러한 사용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유해하지 않은 미생물만이 존재하도록 환경을 조절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방부제에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정도(항균스펙트럼)도 중요한 특성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 방부제는 특정함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독성을 방지하기 위해, 천연 유래 물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천연 방부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천연 방부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독성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벌노랑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상기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며; 잔부의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방부제 조성물 중 (벌노랑이 추출물):(방풍 추출물 또는 유자 추출물)의 중량비는 1:3.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솔비톨, 히알론산나트륨, 식물성 오일, 천연 왁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코올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기린초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 중 기린초 추출물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천연 방부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시 상용성이 우수하고, 보존력이 우수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5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중 제조예 4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5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중 제조예 4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천연 방부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특히 화장료 조성물 등에 사용되는 경우 그 특성이 더욱 우수하게 발휘될 수 있다.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 참조)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ATCC 6538P),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22343)에 대해 우수한 증식억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에 대하여 양호한 수준의 증식 억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예를 들면, 벌노랑이의 전초, 뿌리, 잎, 줄기 및 종자 중 1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벌노랑이의 종자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방부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벌노랑이 시료를 분쇄하여 추출용 용매를 이용해 용매 추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가열 추출, 침지 등의 추출방법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 용매는 예를 들면, 증류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솔비톨, 히알론산나트륨, 식물성 오일, 천연 왁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 용매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코올, 구체적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유효성분 함량이 향상되어 방부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벌노랑이 전초 또는 종자를 포함하는 전초를 에탄올에 침지한 후, 고형물질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감압농축 후, 분획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효한 수준의 방부 효과를 갖는 성분의 추출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분획추출 용매는 예를 들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증류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벌노랑이 추출물 외에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벌노랑이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통해 함유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벌노랑이 추출물의 동결건조 분말을 용해시켜 사용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연 방부제 조성물 중 용매는 벌노랑이 추출물을 제외한 잔부의 함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잔부의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글리세린 및 정제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잔부의 용매는 전술한 추출용 용매와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 추출물, 유자(Citrus junos)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항균스펙트럼을 더욱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벌노랑이 추출물;과 방풍 추출물, 유자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이용안정성 및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천연 방부제 조성물 중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의 함량은 예를 들면, 1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예를 들면, 1 중량% 내지 10 중량%이며, 용매는 잔부의 함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잔부의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글리세린 및 정제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벌노랑이 추출물;과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상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벌노랑이 추출물과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항균스펙트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에 대한 상기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1:3.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방부효과, 이용안전성 및 보존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예를 들면, 1:3.5 내지 1:4.5, 1:3.5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부작용 속도 및 항균작용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범위에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작용속도가 우수하여, 제품의 투입 직후부터 방부작용 및 항균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이 사용되는 제품의 보전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방풍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의 혼합물을 전술한 벌노랑이 추출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의 중량비는 예를 들면, 1:1 내지 1:1.2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향균 스펙트럼을 더욱 높이는 동시에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후술하는 제조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 또는 유자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이다. 상기 중량비는 반드시 동결건조를 한 후 측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경우 계량화가 더욱 유리하다.
전술한 벌노랑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er)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벌노랑이 추출물에 방풍 추출물 및 기린초 추출물; 유자 추출물 및 기린초 추출물; 또는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및 기린초 추출물;을 함께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항균스펙트럼을 더욱 확장할 수 있다. 상기 기린초 추출물은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방부효과를 더욱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린초 추출물인 작용을 통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항균스펙트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린초 추출물;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이용안정성 및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사용할 경우 보존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린초 추출물의 함량은 예를 들면, 전체 천연 방부제 조성물 중 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이용안정성 및 상용성을 향상 효과가 더욱 노높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용매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용매의 함량은 예를 들면, 상기 추출물들의 총합을 제외한 나머지 잔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제형된 후 화장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페이스트,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용액, 유탁액, 현탁액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 등의 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방법 및 화장품 제품의 제조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용 화장품, 예를 들면 스킨케어용 화장품, 민감피부용 화장품, 지성피부용 화장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품에 방부효과를 부여하면서 보존력을 장기간 유지하는 동시에, 피부의 유기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부 및 항균하는 작용이 우수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전술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력, 보존력, 품질 유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전술한 천연 방부제 이외의 잔부는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용매,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전술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제조 시 사용된 용매와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제조예
1. 벌노랑이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의 종자를 포함하는 전초 1 kg(건조 중량)을 70% (V/V) 에탄올 수용액 10L에 12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분리한 여과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과액은 50℃ 이하의 온도에서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evaporator, Eyela)를 이용하여 감압농축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감압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증류수 1L에 재분산한 후, 분획추출하였다.
분획추출은 농축액을 분액 깔대기에 넣고,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증류수의 순서로 수행하였으며, 각각 분획용 용매와 농축액의 부피비는 1:1이며, 각 분획단계는 3회씩 반복 수행하여 분획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분획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형태의 벌노랑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방풍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 대신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풍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여정실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 대신 건조된 여정실(Ligustrum lucidum Aiton)(열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정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기린초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 대신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er)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린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광나무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 대신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THUN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풍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유자 추출물의 제조
벌노랑이 대신 유자(Citrus juno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디메틸설폭사이드
용매의 제조
100%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 1 중량%를 증류수 99%에 희석하여 1% 농도로 희석된 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상기 제조예 1, 3 내지 7에서 제조된 추출물 및 용매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희석용매로는 제조예 7에서 제조된 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 추출물(중량%) | 희석용매(중량%) | 도면부호 | |
실시예 1 | 제조예 1 | 1 | 99 | B |
비교예 1 | 제조예 3 | 1 | 99 | Y |
비교예 2 | 제조예 4 | 1 | 99 | G |
비교예 3 | 제조예 5 | 1 | 99 | K |
비교예 4 | 제조예 6 | 1 | 99 | C |
비교예 5 | 제조예 7 | 0 | 100 | D |
실험예
1.
원형여과지법을
이용한 항균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방부제 조성물의 항균활성의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배지의 준비>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항균활성 평가에는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22343)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YM 배지(Yeast extract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검정곰팡이의 배양에는 PDA배지(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원형여과지법>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방부제 조성물을 지름이 10mm인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약 15~20㎕를 흡수시킨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균주가 접종된 배지 표면상에 밀착시켜 표준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는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으며, 검정곰팡이는 25℃의 배양기에서 16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페이퍼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의 결과는 하기 표 2, 도 1(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5) 및 도 6(비교예 4)에 나타내었다.
도면부호 |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C. albicans | A. niger | |
실시예 1 | B | ○ | ○ | △ | ○ | ○ |
비교예 1 | Y | Ⅹ | Ⅹ | Ⅹ | Ⅹ | Ⅹ |
비교예 2 | G | △ | Ⅹ | △ | △ | Ⅹ |
비교예 3 | K | Ⅹ | Ⅹ | Ⅹ | Ⅹ | Ⅹ |
비교예 4 | C | ○ | ○ | ○ | ○ | Ⅹ |
비교예 5 | D | Ⅹ | Ⅹ | Ⅹ | Ⅹ | Ⅹ |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벌노랑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아비칸스 및 검정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상기 제조예 1의 벌노랑이 추출물 및 상기 제조예 2의 방풍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3에서, 용매 1은 글리세린, 용매 2는 증류수이다.
제조예 1 (벌노랑이 추출물, 중량%) |
제조예 2 (방풍 추출물, 중량%) |
용매 1 (글리세린, 중량%) |
용매 2 (증류수, 중량%) |
|
실시예 2 | 1 | 5 | 70 | 24 |
실시예 3 | 2 | 7 | 70 | 21 |
실험예
2 내지 5. 방부 유효성 평가
상기 표 3과 같이 제조된 천연 방부제 조성물에 대하여, 정밀한 방부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평가용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평가용 희석액은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표 4에 표시된 함량으로 1,3-부틸렌 글리콜 50 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천연 방부제 조성물 |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함량 (중량%) |
1,3-부틸렌 글리콜 (중량%) |
평가결과 | |
실험예 2 | 실시예 2 | 1 | 50 | 표5, 도2 |
실험예 3 | 실시예 3 | 1 | 50 | 표6, 도3 |
실험예 4 | 실시예 3 | 5 | 50 | 표7, 도4 |
실험예 5 | 실시예 3 | 10 | 50 | 표8, 도5 |
상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된 평가용 희석액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 방법으로 에 대한 방부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표 5 내지 8 및 도 2 내지 5에 나타내었다.
<평가 배지의 준비>
표준시험균주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22343)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YM 배지(Yeast extract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검정곰팡이의 배양에는 PDA배지(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평가>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도말하였다. 이후, USP <51> preservative effectiveness testing method(General Chapter 51 of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National Formulary)를 이용하여 상기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희석액의 방부력을 평가하였다.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는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으며, 검정곰팡이는 24℃의 배양기에서 120시간 배양하였다.
<평가 결과>
이하, 평가 결과에 ND는 균주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음(no detected)을 의미한다. 하기의 표에서 수치앞 기호 ">"는 해당 수치 이상의 값을 의미한다.
경과일 |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C. albicans | A. niger |
0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1 | >3.0×105 | 5.6×102 | >3.0×105 | >3.0×105 | >3.0×105 |
3 | >3.0×105 | ND | >3.0×105 | >3.0×105 | >3.0×105 |
5 | >3.0×105 | ND | >3.0×105 | >3.0×105 | >3.0×105 |
7 | >3.0×105 | ND | >3.0×105 | >3.0×105 | >3.0×105 |
14 | ND | ND | ND | ND | ND |
21 | ND | ND | ND | ND | ND |
28 | ND | ND | ND | ND | ND |
실시예 2의 시료는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을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1%의 농도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 2의 시료는 황색 포도상구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2는 14일 내에 균주수가 99.9% 이상 감소하여 표준시험균주 5종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부 유효성이 28일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경과일 |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C. albicans | A. niger |
0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1 | >3.0×105 | ND | >3.0×105 | 3.1×102 | >3.0×105 |
3 | >3.0×105 | ND | >3.0×105 | ND | 3.2×102 |
5 | >3.0×105 | ND | >3.0×105 | ND | ND |
7 | >3.0×105 | ND | >3.0×105 | ND | ND |
14 | ND | ND | ND | ND | ND |
21 | ND | ND | ND | ND | ND |
28 | ND | ND | ND | ND | ND |
실시예 3의 시료는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을 1: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1%의 농도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 3의 시료는 황색 포도상구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검정곰팡이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3는 14일 내에 균주수가 99.9% 이상 감소하여 표준시험균주 5종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부 유효성이 28일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경과일 |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C. albicans | A. niger |
0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1 | 7 | ND | ND | ND | 4.3×102 |
3 | ND | ND | ND | ND | ND |
5 | ND | ND | ND | ND | ND |
7 | ND | ND | ND | ND | ND |
14 | ND | ND | ND | ND | ND |
21 | ND | ND | ND | ND | ND |
28 | ND | ND | ND | ND | ND |
실시예 4의 시료는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을 1: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5%의 농도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 3의 시료는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대장균 및 검정곰팡이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4는 균주수가 99.9% 이상 감소하는 기간이 3일 이내로 단축되었으며, 표준시험균주 5종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부 유효성이 28일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경과일 |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C. albicans | A. niger |
0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3.0×105 |
1 | 4.3×102 | ND | ND | ND | >3.0×105 |
3 | ND | ND | ND | ND | 6.3×102 |
5 | ND | ND | ND | ND | ND |
7 | ND | ND | ND | ND | ND |
14 | ND | ND | ND | ND | ND |
21 | ND | ND | ND | ND | ND |
28 | ND | ND | ND | ND | ND |
실시예 5의 시료는 벌노랑이 추출물 및 방풍 추출물을 1: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10%의 농도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 3의 시료는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칸디다 아비칸스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검정곰팡이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는 균주수가 99.9% 이상 감소하는 기간이 3일 이내로 단축되었으며, 3일 이내에 99.9% 이상 개체수가 감소한 균주의 종이 4종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균주 5종에 대한 방부 유효성이 확인되었으며, 방부 유효성이 28일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10 : 대장균 배지
20 : 황색포도상 구균 배지
30 : 녹농균 배지
40 : 칸디다 알비칸스 배지
50 : 검정곰팡이 배지
20 : 황색포도상 구균 배지
30 : 녹농균 배지
40 : 칸디다 알비칸스 배지
50 : 검정곰팡이 배지
Claims (10)
- 벌노랑이 추출물; 방풍 추출물,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기린초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상기 방풍 추출물, 상기 유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기린초 추출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며; 잔부의 용매를 함유하고,
천연방부제 조성물 중 (벌노랑이 추출물):(방풍 추출물 또는 유자 추출물)의 중량비는 1:3.5 내지 1:5인 천연 방부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은 벌노랑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솔비톨, 히알론산나트륨, 식물성 오일, 천연 왁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코올 중 1종 이상인 천연 방부제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따른 천연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천연 방부제 조성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563A KR101749593B1 (ko) | 2015-08-07 | 2015-08-07 | 천연 방부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563A KR101749593B1 (ko) | 2015-08-07 | 2015-08-07 | 천연 방부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226A KR20170018226A (ko) | 2017-02-16 |
KR101749593B1 true KR101749593B1 (ko) | 2017-07-04 |
Family
ID=5826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563A KR101749593B1 (ko) | 2015-08-07 | 2015-08-07 | 천연 방부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95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1795B1 (ko) * | 2019-06-18 | 2020-11-24 | 이정수 |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
KR102141495B1 (ko) * | 2019-12-30 | 2020-08-06 | (주)유알지 | 부처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0213B1 (ko) * | 2013-05-07 | 2014-08-14 | 오혜경 | 방풍이 함유된 오징어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32005B1 (ko) * | 2014-01-29 | 2015-06-26 | 인코스(주) |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563A patent/KR1017495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0213B1 (ko) * | 2013-05-07 | 2014-08-14 | 오혜경 | 방풍이 함유된 오징어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32005B1 (ko) * | 2014-01-29 | 2015-06-26 | 인코스(주) |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226A (ko) | 2017-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5976B1 (ko) |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KR101472518B1 (ko) |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673202B1 (ko) |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806800B1 (ko) |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054177A (ko)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 |
KR100986249B1 (ko) |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 |
KR101511747B1 (ko) | 금전초, 오배자, 계피 및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KR101749593B1 (ko) | 천연 방부제 조성물 | |
KR102126666B1 (ko) | 섭취 성분에 기초하는 화장료 천연방부제 조성물 | |
KR20130128888A (ko) |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KR20100007122A (ko) |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 |
KR102448555B1 (ko) |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 |
KR101853534B1 (ko) | 홍삼 에탄올 추출물 또는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속 균 억제용 조성물 | |
KR102433982B1 (ko) |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39612B1 (ko) |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 |
KR101976572B1 (ko) |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 |
KR102252855B1 (ko) | 나노화된 락토바실러스 속 사균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49136B1 (ko) |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
KR102189326B1 (ko) |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포함하는 유익균 증진 및 유해균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59004B1 (ko) |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 |
KR101507533B1 (ko) |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 |
KR102154139B1 (ko) |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210106044A (ko) | 송담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KR102009604B1 (ko) |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
KR20180031119A (ko) |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