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368B1 -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368B1
KR100902368B1 KR1020070090348A KR20070090348A KR100902368B1 KR 100902368 B1 KR100902368 B1 KR 100902368B1 KR 1020070090348 A KR1020070090348 A KR 1020070090348A KR 20070090348 A KR20070090348 A KR 20070090348A KR 100902368 B1 KR100902368 B1 KR 10090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eonma
erectile dysfunction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470A (ko
Inventor
한상노
조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생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음경 해면체에 대해 이완효과를 가지므로 발기부전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천마 추출물, 음경 해면체, 발기부전

Description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mpotency containing extract of gastrodia elata}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경발기는 혈관과 내분비계, 신경계 등의 종합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생리반응으로서 다양한 자극에 의하여 해면체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공이 팽창되고 소동맥 확장으로 인한 혈류의 증가로 음경 내압이 증가됨에 따라 비교적 딱딱한 백막과 소공사이에 존재하는 백막하 정맥이 소공의 팽창에 의해 눌려 정맥혈의 누출이 막혀짐으로써 음경 내압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서 발기가 유발된다(Lue TF, Tanagho EA., J Urol, 1987, 137, 829-36). 이러한 음경발기의 생리현상이 밝혀지고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다양한 약제들의 약리작용과 기전이 연구됨에 따라 평활근에 이완작용이 있는 약제들을 발기부전의 치료에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해면체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물질로는 아드레날린성 α수용체 봉쇄제, 콜린성 약물, NO(Nitric oxide), 펩타이드,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칼슘통로 차단제, 칼륨통로 개방제, 비특이성 혈관확장제 등이 있다(Linet OI, Ogrinc FG., N Eng J Med, 1996, 334, 873-7; Tong YC et al., Pharmacology, 1992, 45, 241-9; Miller MA et al., Int J Impot Res , 1995, 7, 91-100; Andersson K-E, Wagner G., Physiol Rev, 1995, 75, 191-236; Andersson K-E, Stief CG., World J Uro, 1997, l15, 14-20; Andersson KE., Pharmacol Rev, 2001, 53, 417-50).
발기부전증의 빈도에 관한 정확한 연구는 없으나, 평균수명의 연장과 성인병의 증가 및 식생활의 개선, 산업사회화로 인한 산업재해와 교통사고의 증가, 복잡한 현대생활로 인한 육체적인 피로와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발기부전 환자가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발기부전의 치료로는 약물복용, 남성호르몬투여 등의 내과적 치료법과 혈관 수술, 음경보형물삽입술 등의 외과적 치료 및 음경해면체내 혈관 확장제 주입법 등이 있다. 내과적 약물치료요법으로는 심한 기질성 발기부전을 제외하고 남성호르몬, 요힘빈(yohimbin), 아포모르핀(apomorphine), 트라조돈(trazodone)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 치료효과가 적으며 확실한 재현성이 인정되는 약제는 없는 실정이며(Andersson KE, Pharmacol Rev, 2001, 53, 417-50; Montorsi F et al., BJU International, 2003, 91, 446-54; Vitezic D, Pelcic JM,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2, 40(9), 393-403), 현재는 실데나필(Sildenafil)이 발기부전의 일차 처치로 사용되고 있다(Heaton JP, Dean J, Sleep DJ, Int J Impot Res, 2002, 14, 61-4).
한편, 천마(天麻: Gastrodia elata)는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뿌리는 참마 또는 산약으로 불리운다. 키 30∼100 ㎝ 정도의 외줄기로 곧게 자라며, 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져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 월에 싹이 나서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다. 참나무 뿌리가 삭은 곳에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이라 불리우며, 특히 두통, 중풍, 불면증, 고혈압, 우울증 같은 두뇌의 질환에 뚜렷한 효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 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뛰어난 효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마는 디아스타제가 풍부하여 소화기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나타내며, 천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끼쳐 동맥경화증을 개선시켜줄뿐만 아니라 숙면을 유도하기도 하며, 심장 수축력 강화, 모세혈관의 확장을 도모하며, 특히 정력 증강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마 추출물이 음경해면체 이완효과가 있음을 발견하 고, 이 약리효능은 음경 발기를 하는 중요한 활성이기 때문에 본 화합물의 천마 추출물이 발기부전 증세를 호전할 수 있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천마 추출물은 천마 뿌리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천마 뿌리 건조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추출액을 여과하고, 이를 다시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마 추출물의 토끼의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작용을 측정해 본 결과, PHE에 의해 수축된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은 천마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이완작용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 특히, 20 mg/ml 처리 시 92% 까지 이완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마 추출물의 이완작용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내피세포를 제거한 경우와 ODQ를 전처치한 경우 이완작용을 측정한 결과, 천마의 이완효과는 내피세포를 제거한 경우와 ODQ 전처치한 경우 모두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이완반응이 구아닐산 시클라아제의 활성화를 거치는 세포내 cGMP의 증가에 의해 일어남을 의미하는 것이다(도 2 참조).
음경발기는 혈관과 내분비계, 신경계 등의 종합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생리반응으로서 다양한 자극에 의하여 해면체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공이 팽창되고 소동맥 확장으로 인한 혈류의 증가로 음경 내압이 증가됨에 따라 비교적 딱딱한 백막과 소공사이에 존재하는 백막하 정맥이 소공의 팽창에 의해 눌려 정맥혈의 누출이 막혀짐으로써 음경 내압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서 발기가 유발된다(Lue TF, Tanagho EA., J Urol, 1987, 137, 829-36).
따라서,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음경해면체 이완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발기부전 증세를 호전할 수 있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의 제제화법으로 제형화하여 정제, 연질캅셀, 주사제, 연고제, 경피투여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람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낭(ovules)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해면체내, 근육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을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제로도 제조가 가능한 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글리세린, 메틸 파라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포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을 함유한 프라스타 제형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투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평균 몸무게가 70 ㎏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정제, 연질캅셀 등으로 제 형화하여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주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연고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30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경피투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50 ∼ 12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된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기부전 예방용 건강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기부전 예방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발기부전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기부전 예방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 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발기부전 예방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발기부전 예방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음경 해면체에 대해 이완효과를 가지므로, 본 발명 따른 조성물은 발기부전을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마 추출물의 제조
천마 20 g을 에탄올 1 ℓ에 넣고 실온에서 24 시간 진탕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Whatman No.2)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1차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잔사를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1차 및 2차 추출액을 모두 혼합한 후 회전 감압농축기로 상기 혼합 추출액을 농축, 건조하여 천마 추출물의 고형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천마 추출물의 토끼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작용 확인
천마 추출물이 발기력 강화 효과를 보이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생체외 실험을 실시하였다.
<1-1> 토끼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의 준비
인체의 음경 해면체와 구조 및 생리학적 발기기전이 유사한 생후 4-6개월 된 뉴질랜드 화이트 래빗(New Zealand White rabbit, (주)샘타코 BIO KOREA, 한국) 수컷 85 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소듐 펜토바비탈(sodium pentobarbital)을 30-50 ㎎/㎏으로 토끼 이각정맥을 통해 마취시키고, 음경을 절제하여 95% 산소와 5%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저온의 타이로이드(Tyrode) 용액(조성: (mEq/L) Na+ 153.6, K+ 5.3, Ca2 + 3.0, Mg2 + 1.2, Cl- 157.2, H2PO4 - 0.6, SO4 - 1.2, HCO3 - 7.1 및 글루코오스 11.4) 내에서 해면체 평활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해면체 평활근으로 2 × 2 × 6 ㎜의 절편을 만들고 타이로이드 용액이 들어있는 10 ㎖ 조직 용 기(organ bath)에 고정하였다. 절편의 한쪽 끝은 조직 용기의 아랫부분에 고정하고, 다른 끝은 등력성 수축 기록계(Biopac systems, USA)에 연결하여 해면체 평활근의 운동상태를 기록하였다. 조직 용기 내의 타이로이드 용액은 37 ℃로 유지하고, 산소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며 pH 7.4로 유지하였다.
내피세포 제거 실험은 해면체 평활근을 비벼 문질러 내피세포를 제거하였으며(Kim N et al., J Clin Invest, 1991, 88, 238-42), 이렇게 제조된 해면체 평활근 절편은 페닐에프린(phenylephrine, 5 × 10-6 M; 이하 “PHE”라 약칭함)으로 수축을 유발하고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에 의한 이완의 유무로 내피세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내피세포 제거 후 아세틸콜린에 대한 이완이 없거나 아세틸콜린에 대한 이완이 탈내피 조작 전의 10% 이내의 이완반응을 보이는 표본만을 골라 내피세포가 제거된 평활근 절편으로 사용하였다. 내피세포 제거와 관계없는 실험은 이미 형성된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사용하였다.
<1-2> 천마 추출물의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약물반응 검사
안정상태에 도달된 해면체 평활근에 천마 추출물을 축적용량으로 투여하여 해면체 평활근의 긴장도 변화를 관찰하고 PHE로 수축된 해면체 평활근에 천마 추출물을 축적용량으로 투여하여 긴장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안정상태의 해면체 평활근에서 천마 추출물은 저농도나 고농도에 서 수축작용은 없었으나 자발운동이 있는 경우 천마 추출물 5 mg/ml에서부터 자발운동을 억제하였다.
<1-3> 천마 추출물의 해면체 평활근 이완기전에 대한 실험
PHE로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수축시킨 후 천마 추출물의 이완작용 중 내피의존성이완인자(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HE로 수축된 해면체 평활근 절편에 구아닐산 시클라아제(guanylate cyclase) 특이적 억제제인 1H-(1,2,4)-옥사디아졸로[4,3-a]퀴녹살린-1-온(ODQ, 시그마사)을 처치하고 천마 추출물의 이완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천마 추출물의 이완작용에 있어 내피세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탈내피 해면체 평활근을 PHE로 수축시키고 천마 추출물을 투여하여 이완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마 추출물은 1 mg/ml에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이완작용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완정도는 천마 추출물 1 mg/ml에서 2.3 ± 1.3%, 2.5 mg/ml에서 11.1 ± 3.3%였으며 5, 10, 15 및 20 mg/ml에서 각각 20.7 ± 7.5, 36.7 ± 6.3, 50.5 ± 9.7 및 92.2 ± 8.8%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마의 이완효과는 내피세포를 제거한 경우와 ODQ 전처치한 경우 모두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와 같이 이완반응이 ODQ 처치에 의해 현저하게 소실되는 것은 이완반응이 구아닐산 시클라아제의 활성화를 거치는 세포내 cGMP의 증가에 의해 일어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2 g
-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 ㎍/㎖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천마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천마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천마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 곡물류(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 종실류(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
- 영지(0.5 중량%),
- 지황(0.5 중량%)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3-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구연산 0.05 ~ 0.3%, 카라멜 0.005 ~ 0.02%, 비타민 C 0.1 ~ 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 ~ 98 ℃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 음 탄산가스를 0.5 ~ 0.82% 주입하여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3-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천마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3. 야채쥬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4. 과일쥬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농도에 따른 PEH에 의해 수축된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효과를 나타내고,
도 2는 내피세포를 제거한 경우 및 ODQ를 전처리한 경우 PEH에 의해 수축된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의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90348A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0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48A KR100902368B1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48A KR100902368B1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70A KR20090025470A (ko) 2009-03-11
KR100902368B1 true KR100902368B1 (ko) 2009-06-11

Family

ID=4069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48A KR100902368B1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3B1 (ko) * 2011-02-14 2012-03-06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7631A (zh) * 2014-11-11 2015-04-29 王桂荣 治疗剖腹产后尿潴留的中药汤剂
KR20240009119A (ko) 2022-07-13 2024-01-22 농업회사법인 딥루티드팜 주식회사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A (ja) * 1987-06-11 1990-01-0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視線方向検出装置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JPH025A (ja) * 1987-06-11 1990-01-0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視線方向検出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숙명여대석사학위논문 ‘천마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안은경, 2005
중앙대 학위논문, '천마의 phenol성 물질의 약리활성', 20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3B1 (ko) * 2011-02-14 2012-03-06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70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306B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0771524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02368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31317B1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720695B1 (ko) 변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36974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6919B1 (ko) 상지, 두충, 오가피 및 흑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 억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02449530B1 (ko)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051543A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1545A (ko) 오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5457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ecampane extract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
KR2005001461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2004323439A (ja) 血液粘性改善用組成物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17979A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87458B1 (ko) 육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