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119A -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119A
KR20240009119A KR1020220086238A KR20220086238A KR20240009119A KR 20240009119 A KR20240009119 A KR 20240009119A KR 1020220086238 A KR1020220086238 A KR 1020220086238A KR 20220086238 A KR20220086238 A KR 20220086238A KR 20240009119 A KR20240009119 A KR 2024000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mposition
extract
slug
erectile dys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딥루티드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딥루티드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딥루티드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119A/ko
Publication of KR2024000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인 굼벵이 중에서 숫 굼벵이 추출,이 숫 굼벵이의 번데기 추출물 및 이들의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Composition of PB2441 strain derived from male slug with erectile dysfunction improvement and tonic effect}
본 발명은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인 굼벵이 중에서 숫 굼벵이 추출,이 숫 굼벵이의 번데기 추출물 및 이들의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경 발기는 혈관과 내분비계, 신경계 등의 종합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생리반응으로서 다양한 자극에 의하여 해면체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공이 팽창되고 소동맥 확장으로 인한 혈류의 증가로 음경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딱딱한 백막과 소공 사이에 존재하는 백막하 정맥이 소공의 팽창에 의해 눌려 정맥혈의 누출이 막혀짐으로써 음경 내압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서 발기가 유발된다(Lue TF, Tanagho EA., J Urol, 1987, 137,829-36).
이러한 음경발기의 생리현상이 밝혀지고 해면체 평활근에 작용하는 다양한 약제들의 약리작용과 기전이 연구됨에 따라 평활근에 이완작용이 있는 약제들을 발기부전의 치료에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이 되고 있다.
현재 해면체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물질로는 아드레날린성 α수용체 봉쇄제, 콜린성 약물, NO(Nitric oxide), 펩타이드,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칼슘통로 차단제, 칼륨통로 개방제, 비특이성 혈관확장제 등이 있다(Linet OI, Ogrinc FG., N Eng J Med, 1996, 334, 873-7; Tong YC et al., Pharmacology, 1992, 45, 241-
9; Miller MA et al., Int J Impot Res, 1995, 7, 91-100; Andersson K-E, Wagner G., Physiol Rev, 1995,75, 191-236; Andersson K-E, Stief CG., World J Uro, 1997, l15, 14-20; Andersson KE., Pharmacol Rev, 2001, 53, 417-50).
발기부전증의 빈도에 관한 정확한 연구는 없으나, 평균수명의 연장과 성인병의 증가 및 식생활의 개선, 산업사회화로 인한 산업재해와 교통사고의 증가, 복잡한 현대생활로 인한 육체적인 피로와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발기부전 환자가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발기부전의 치료로는 약물복용, 남성호르몬투여 등의 내과적 치료법과 혈관 수술, 음경 보형물 삽입술 등의 외과적 치료 및 음경해면체내 혈관 확장제 주입법 등이 있다.
내과적 약물치료요법으로는 심한 기질성 발기부전을 제외하고 남성호르몬, 요힘빈(yohimbin), 아포모르핀(apomorphine), 트라조돈(trazodone)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 치료효과가 적으며 확실한 재현성이 인정되는 약제는 없는 실정이며(Andersson KE, Pharmacol Rev, 2001, 53, 417-50; Montorsi F et al., BJU International, 2003, 91, 446-54; Vitezic D, Pelcic JM,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2, 40(9), 393-403), 현재는 실데나필(Sildenafil)이 발기부전의 일차 처치로 사용되고 있다(Heaton JP, Dean J, Sleep DJ, Int J Impot Res, 2002, 14, 61-4).
또한, 부작용이 없이 발기부전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 대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5470호를 보면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알려진 천연물을 이용한 발기부전 개선 내지 치료용 조성물은 그 효과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천연물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5470호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 유래의 강정제 내지 발기부전 개선제를 연구하던 중에 흙 속에 사는 풍뎅이류의 유충으로 꽃벵이라고 불리며, 단백질이 풍부하고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약리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기능성 식품의 대체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굼벵이(흰점박이꽃무지 유충,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중에서 숫 굼벵이 또는 이 숫 굼벵이가 탈바꿈한 번데기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인 굼벵이 중에서 숫 굼벵이 추출물 또는 이 숫 굼벵이의 번데기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숫 굼벵이 또는 숫 굼벵이의 번데기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기탁번호 KCTC14828BP인 신규 바실러스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숫 굼벵이의 구별은 엉덩이의 모양이 둥근 타원형의 암 굼벵이에 비하여 뽀족하고, 배면의 색상에서 흰색 면이 좁고 검은색이 짙은 암 굼벵이에 비하여 흰색 면이 넓게 퍼져있으며 검은색이 엷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숫 굼벵이는 3령의 굼벵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식품으로 이용되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 유래 추출물인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인 굼벵이 중에서 숫 굼벵이 추출물 또는 이 숫 굼벵이의 번데기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굼벵이의 유충에서 번데기까지 생활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암 굼벵이와 숫 굼벵이의 비교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숫 굼벵이 또는 숫 굼벵이 번데기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굼벵이의 유충에서 번데기까지 생활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3령의 유충은 10일 내외의 전 번데기 과정을 거친 후 주위 톱밥 등을 이용하여 타원형의 단단한 고치를 만들고 그곳에서 번데기가 되며, 대략 30일 정도에 성충으로 우화를 한다.
본 발명에서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것은 유충 중에서는 3령의 유충이며, 번데기는 고치를 형성한 후에 우화되기 전까지 어떠한 것을 선택하여도 효과에서 차이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숫 굼벵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암 굼벵이와의 구별 방법을 통하여 선별할 수 있으며, 구별 방법의 이용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엉덩이의 모양과 배변의 색상에 의해 암 굼벵이와 구별하는데, 구체적으로 유충의 암수 구별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둥근 타원형 모양을 한 암 굼벵이의 엉덩이 모양과 비교하여 뽀족한 모양을 가진 굼벵이가 숫 굼벵이며, 또한 배면에서 흰색을 보이면 면이 좁고 검은색이 짙은 암 굼벵이에 비하여 숫 굼벵이는 흰색 면이 넓게 퍼져있으며 검은색이 엷게 나타나기 때문에 배면의 색상에 의해서도 구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유충의 암수를 구별한 다음 이들이 성충으로 사육하여 그 유효성을 판명한 결과 구별 확율이 99% 이상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굼벵이 또는 번데기를 추출하기 전에 발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굼벵이 분변을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Genome이 99% 이상 일치하여 이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PB2441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2021년 12월 15일자로 한국생물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였으며, 그 기탁번호는 KCTC14828BP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발효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식품 첨가물, 약제학적 부형제 등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하여 식품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내지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여 함게 배합될 수 있는 첨가물의 종류 및 조성물의 제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숫 굼벵이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은 3령의 숫 굼벵이를 절식 후 건조 분말화시킨 것을 냉장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이 냉장 보관한 굼벵이 분말 100g에 10배의 95% 에탄올을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시간씩 교반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Adventec 110 mm No.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Tokyo, Japan)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숫 굼벵이 발효 추출물 제조
굼벵이의 발효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탁번호 KCTC14828BP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PB2441 균주와 비교 대상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를 사용하였다.
동결하여 보관된 상기 균주를 30℃, 100rpm 조건하에 1일 동안 OD 660nm 값이 1.7~1.8이 될 때까지 전 배양한 후, 균주의 활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30℃, 100rpm 조건하에 1일 동안 OD 660nm 값이 1.7~1.8이 될 때까지 1차 계대 배양하였다. 그 후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pellet)만 획득한 후 멸균수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균체를 현탁하였다.
그 후 멸균한 굼벵이 시료 300g에 균주 300㎖를 접종한 후 촉촉해질 정도로 멸균수를 추가하였으며, 중간 중간 멸균수로 버무려주며 30℃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굼벵이 발효물을 멸균한 다음 2일 동안 자연 건조한 다음 분말화하여 냉장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이 냉장 보관한 굼벵이 분말 100g에 10배의 95% 에탄올을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시간씩 교반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Adventec 110 mm No.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Tokyo, Japan)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숫 번데기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나 고치가 형성된 후 15일 지난 숫 번데기를 사용한 것에 차이가 잇다.
실시예 4. 숫 번데기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나 고치가 형성된 후 15일 지난 숫 번데기를 사용한 것에 차이가 잇다.
시험예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함량 측정
테스토스테론 함량은 o-프트알데히드(o-phthaldehyde)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아그라 및물개 페니스에서 추출한 키소메타(Kissometer : 한창제약) 및 음양곽+파극+복분자를 1:1:1로 혼합한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은 증류수를 이용하였다.
비아그라(Viagra)는 50mg/70kg(체중)으로, 키소메타(Kissometer : 한창제약)는 1,500mg/70kg(체중)으로, 실시예 추출은 500mg/kg(체중)으로, 음양곽+파극+복분자의 생약제 혼합물 추출물도 5000mg/kg(체중)이 되도록 실험동물(Sprague Dawley 웅성 흰쥐 : 250±10g )에 3주간 투여한 다음, 고환을 적출하여 고환 중의 테스토스테론(ng/mg protein)의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테스토스테론 생성량(ng/mg protein) 증가율(%)
음성 대조군(증류수) 14.28±1.63 100
바이그라 투여군 15.81±1.62 110.6
키소메타 투여군 14.75±1.58 103.3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 14.46±1.48 101.3
실시예 1 추출물 투여군 16.27±1.62 113.9
실시예 2 추출물 투여군 17.43±1.67 122.1
실시예 3 추출물 투여군 16.34±1.63 114.4
실시예 4 추출물 투여군 17.52±1.62 122.7
상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3∼22%의 매우 유의적인 테스토스테론 생성량의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발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인 바이그라 투여군, 키소메타 투여군 및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보다 모두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생성량 증가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2: 산화질소(Nitric oxide) 측정
고환 조직 중의 NO 함량은
고환 조직 0.1g을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7.5) 1㎖로 균질화한 후에 6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얻어진 상층액 200㎕에 90mUnit nitrate reductase 100㎕, 0.28mM NADPII 100㎕, 3.5μM FAD 100㎕,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7.5) 200㎕를 각각 첨가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3분간 끓여 모든 반응은 중지한 후 Griss시약 (2% 술파닐산/5% H3PO4: 0.2% N-(1-나프틸)-에틸렌디아민/물)을 1:1의 비율로 제조하여 700㎕을 첨가한 다음 다시 60℃에서 10분간 가온시킨 후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질산나트륨에 의한 표준 검량선에 따라 정량하였다.
산화질소(NO)는 혈압조절, 신경전달, 혈액응고, 면역기능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조직과 세포의 L-아르기닌으로부터 산화질소 합성 효소(NOS)에 의해 합성된다고 한다. 그리고 NO는 혈관확장 등에 의해 발기 촉진 인자이다.
직접 발기성분인 cGMP의 생산에 직접 관계하는 성력 발현 촉진인 자로 밝혀진 산화질소(nitric oxide : NO)의 생성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고환 중의 테스토스테론 생성량 평가와 동일하게 시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산화질소(NO) 생성량(nmol/mg protein) 증가율(%)
음성 대조군(증류수) 20.25±1.65 100
바이그라 투여군 21.77±1.64 107.5
키소메타 투여군 21.75±1.62 107.4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 21.89±1.65 108.1
실시예 1 추출물 투여군 23.47±1.64 115.9
실시예 2 추출물 투여군 25.27±1.67 124.8
실시예 3 추출물 투여군 23.85±1.63 117.8
실시예 4 추출물 투여군 25.45±1.64 125.7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5∼25%의 매우 유의적인 테스토스테론 생성량의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발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인 바이그라 투여군, 키소메타 투여군 및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보다 모두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생성량 증가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3: 부고환 중의 정자수 측정
정자수 측정은 Morrissey 등(1988)의 방법에 따라 부고환에서 측정하였는데, 우선 흰쥐의 왼쪽 부고환을 적출한 다음, 측정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실온에서 용해시킨 후 부고환 무게의 10배의 HBSS 용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을 첨가하여 균질화하였다. 이 균질물을 다시 HBSS 용액으로 40배 희석한 후 일정량을 취해서 hemocytometer를 사용하여 역상 현미경으로 정자수(×106/g epididymis)를 분석하는데, 상기 테스토스테론 및 산화질소의 생성량 분석 평가와 동일하게 시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하여 시험동물(Sprague Dawley 웅성 흰쥐 : 250±10g )에 3주간 투여한 다음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정자수(×106/g epididymis) 증가율(%)
음성 대조군(증류수) 53.12±1.65 100
바이그라 투여군 59.71±1.61 112.4
키소메타 투여군 62.58±1.64 117.8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 62.73±1.67 118.1
실시예 1 추출물 투여군 66.35±1.63 124.9
실시예 2 추출물 투여군 71.02±1.65 133.7
실시예 3 추출물 투여군 67.51±1.62 127.1
실시예 4 추출물 투여군 72.03±1.62 135.6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5∼35%의 매우 유의적인 테스토스테론 생성량의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발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인 바이그라 투여군, 키소메타 투여군 및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보다 모두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생성량 증가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4: 지구력 측정
지구력 측정은 Avakyan 등(Byullen Experimental noi medisiny, 84 : 375)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웅성 ICR 마우스를 시험동물로 하고 100×50×50cm의 수욕 상에 동물의 꼬리를 수면으로부터 10∼12cm 높이로 거꾸로 고정시켜 마우스의 두부와 상지가 수중에 잠길 정도로 하여 강제로 운동을 유도한다.
피로가 최대로 되어 머리가 물속에 잠기는 시간을 측정하며 이때 수욕의 온도는 14∼16℃를 유지하며 시료는 4일간 연속투여하며 최종시료 투여 24시간 만에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테스토스테론 및 산화질소의 생성량 분석 평가와 동일하게 시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영시간(분) 증가율(%)
음성 대조군(증류수) 13.35±3.71 100
바이그라 투여군 13.38±3.68 100.2
키소메타 투여군 13.92±3.72 104.3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투여군 14.21±3.71 106.5
실시예 1 추출물 투여군 16.79±3.71 125.8
실시예 2 추출물 투여군 18.00±3.65 134.9
실시예 3 추출물 투여군 17.27±3.73 129.4
실시예 4 추출물 투여군 18.13±3.67 135.8
상기 표 4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5∼35%의 매우 유의적인 테스토스테론 생성량의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발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인 바이그라 투여군, 키소메타 투여군 및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5: 토끼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작용 확인
건강한 토끼의 이각 정맥을 통해 케타민(50 mg/kg i.v.)으로 마취 및 심장 출혈로 희생시킨 후 음경 조직을 치골 아래로 분지하여 들어가는 부위까지 박리 및 적출하였다.
음경조직을 4℃ Krebs 완충액에 넣고 음경해면체 평활근 내피세포가 손상받지 않도록 조심히 음경해면체 백막을 제거한 후, 2×2×6mm 크기의 음경해면체 평활근 조직 절편(corpus cavernosal tissue strip)을 만들었다. 이때 Krebs 완충액 조성은 다음과 같다: NaCl136.9 mM, KCl 5.4 mM, MgCl26H2O 1.0 mM, CaCl2 2.0 mM, NaHCO3 23.8 mM, Glucose 5.5 mM.
음경해면체 평활근 조직절편을 95% O2 - 5%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 pH 7.4의 Krebs 완충용액에서 고정시킨 후, 등척성 장력(isometric tension)을 힘-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Grass FT 03, Grass Instrument, MA, USA)가 장착된 생리기록계(Grass Model 7E, Grass Instrument,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μM의 페닐레프린(phenylephrine, PE)으로 수축시키고, 5분 후, 1 μM의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으로 이완반응을 시켜 음경해면체 평활근 안정성을 측정한 후 Kreb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으며, 시료의 농도는 3×10-3g/ml)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평활근 이완 효과
non-treated -3.12±4.75 %
음양곽+파극+복분자 추출물 25.45±5.17 %
실시예 1 추출물 77.84±5.12 %
실시예 2 추출물 88.74±5.07 %
실시예 3 추출물 81.24±5.24 %
실시예 4 추출물 90.16±5.17 %
상기 표 5를 보면,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조성물의 현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발효한 후 추출한 실시예 2와 4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보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식품으로 이용되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 유래 추출물인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인 굼벵이 중에서 숫 굼벵이 추출물 또는 이 숫 굼벵이의 번데기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828BP 20211215

Claims (5)

  1. 숫 굼벵이 에탄올 추출물 또는 숫 굼벵이의 번데기 에탄올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기탁번호 KCTC14828BP인 신규 바실러스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 굼벵이는 엉덩이의 모양이 둥근 타원형의 암 굼벵이에 비하여 뽀족하고, 배면의 색상에서 흰색 면이 좁고 검은색이 짙은 암 굼벵이에 비하여 흰색 면이 넓게 퍼져있으며 검은색이 엷게 나타나는 것으로 구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 굼벵이는 3령의 굼벵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양강장효과 및 발기부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20220086238A 2022-07-13 2022-07-13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KR20240009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38A KR20240009119A (ko) 2022-07-13 2022-07-13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38A KR20240009119A (ko) 2022-07-13 2022-07-13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119A true KR20240009119A (ko) 2024-01-22

Family

ID=8971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238A KR20240009119A (ko) 2022-07-13 2022-07-13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1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470A (ko) 2007-09-06 2009-03-11 삼성생약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470A (ko) 2007-09-06 2009-03-11 삼성생약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8141B (zh) 一种全程无抗养殖技术方案在蛋鸡养殖中的应用
KR100380318B1 (ko) 홍삼을 이용한 닭 사료의 제조방법
CN104922586A (zh) 一种防治鸡球虫病的益生菌发酵中药制剂的制备及其应用
CN102362627A (zh) 虫草保健咖啡
WO1999021961A1 (en) Process for making and uses of cordyceps fermentation products
KR100849232B1 (ko) 혈전용해 증강 기능성 발효물 및 그 발효방법
CN111700142B (zh) 一种发酵茯苓酸代用茶的制备方法
KR20240009119A (ko) 발기부전 개선 및 자양강장효과를 가지는 숫 굼벵이 유래 피비2441 균주 조성물
CN1215754A (zh) 冬虫夏草发酵产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7718202B2 (en) Method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with acantopanax extract (ogalpi)
KR20050105434A (ko)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CN106819569A (zh) 一种促进消化器官发育的蛋雏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403565B1 (ko)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 제조방법
KR102135801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7569B1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51849B2 (ja) 嚥下障害改善剤
KR100559493B1 (ko)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제
KR100462166B1 (ko) 강정효과를 갖는 나방이 이전의 누에 수 번데기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06955B1 (ko) 한약재와 선옥균을 발효시킨 식품첨가제용 조성물
CN106690020A (zh) 一种健胃补肾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090011874A (ko) 탁주의 제조방법
KR20050036004A (ko)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JP2003113114A (ja) 免疫賦活素材
RU27469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CN1175828C (zh) 一种抗房劳、抗衰老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