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93B1 -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93B1
KR101113593B1 KR1020110012804A KR20110012804A KR101113593B1 KR 101113593 B1 KR101113593 B1 KR 101113593B1 KR 1020110012804 A KR1020110012804 A KR 1020110012804A KR 20110012804 A KR20110012804 A KR 20110012804A KR 101113593 B1 KR101113593 B1 KR 10111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sewage
erectile dysfunction
cheonm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민
강대길
이호섭
리향
김혜윰
류명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1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고지혈증 백서에서 음경해면체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발기 기능을 개선시키는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홍삼, 천마 및 하수오를 중량비 1:1:1로 혼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rising the extract of Red Panax ginseng, Gastrodia Rhizoma and Polygoni multiflori Radix for treating or preventing erectile dysfunction}
본 발명은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고지혈증 백서에서 음경해면체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발기 기능을 개선시키는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천마 및 하수오를 중량비 1:1:1로 혼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기부전은 성행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발기가 되지 못하거나 또는 충분한 시간 동안 발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발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음경해면체의 평활근으로서, 평활근이 이완되어야만 혈류량이 증가되거나 유지되어 발기력이 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강력한 내피세포 유래 이완인자(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로 밝혀짐에 따라, 음경 해면체 평활근 이완에 대한 일산화질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성적 충동이 신경계를 통해 전달되면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에서는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O Synthase, NOS)가 L-아르기닌(L-arginine)을 기질로 해서 일산화질소를 생성하게 된다.
이 내피세포 유래 일산화질소는 가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soluble 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cGMP(3’,5’-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의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때 생성된 cGMP는 평활근 세포내 Ca2+ 유입을 억제하고, 따라서 Ca2+의 수축적인 요소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되어 평활근이 이완되는 것이다.(NO-cGMP Mechanism of Penile Erectiion)
한편 발기부전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고령, 장기적 약물 투여(호르몬제, 고혈압치료제 일부 등), 만성질환(신경계질환, 신부전증 등),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우울증 등) 및 생활습관에 따른 혈관계 질환(비만,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 등)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연령이나 다른 질환에 부수되어 발생되는 원인 등을 제외하여 보면, 생활습관에 따른 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인 고지혈증이 주목된다 하겠다.
즉 서구화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고칼로리 음식의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혈장 내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게 되어 고지혈증이 발생되면 이로 인해 발기부전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고지혈증으로 인한 죽상동맥경화의 초기에는 혈관의 내벽을 감싸고 있는 혈관내피의 기능부전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내피세포 의존적 혈관이완작용이 손실되고, 더 진행이 되면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음경의 발기부전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여 보면, 발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음경해면체의 평활근 이완작용이고, 이 이완작용은 혈관 내피세포 유래인자로서의 일산화질소가 수행하게 되는데, 고지혈증은 결국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부전을 유발시킴으로써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기능장애가 발생되어 발기부전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죽상경화증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토끼 모델에서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OS)의 활성화가 감소되고, 혈관 수축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트롬복산(Thromboxane, TXA2: 동맥수축, 혈소판응집 및 기관지 수축 등의 활성이 있으며 혈전증 및 협심증 등의 병인 중 하나)의 생성이 증가됨으로써, 전기적 자극에 의한 평활근의 이완이 억제되며 또한, NO-cGMP 경로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평활근의 이완에 장애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음경 발기의 생리현상이 밝혀지고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다양한 약재들의 약리작용과 기전이 연구됨에 따라 평활근에 이완작용이 있는 약재들을 발기부전 치료에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발기부전 치료제로서, 구연산염제제인 화이자사의 ‘비아그라’, 화학적으로 합성된 단일물질 바데나필(Vardenafil), 타다라필(Tadalafil)등은 cGMP와 경쟁적 반응 물질로 작용하는 합성 유도체로서, PDE-5(phosphodiesterase-5)가 cGMP와 반응하는 단일경로만을 차단하여 음경해면체 내의 cGMP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혈관 평활근의 이완 작용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효능이 한시적이고, 두통, 안면홍조, 소화불량,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일회성 및 강제성 발기보다 자연적인 발기 능력을 유지시켜주고, 부작용이 없는 약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하겠다.
다시 말해, 일회성 처치의 개념이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치료제보다는, 지속적으로 복용하여 발기부전의 근본원인으로서의 혈관 상태를 개선하여 발기 능력을 증진시켜주고, 독성이나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는 약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발기부전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로서,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바, 이하 홍삼, 천마 및 하수오에 관련하여 살펴본다.
홍삼(紅蔘, 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4~6년 근 수삼(水蔘)을 선별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증기에 쪄서 말린 것이다.
홍삼은 예로부터 원기회복, 자양강장, 면역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사람들에게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의 효과가 있는 대표적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서양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홍삼은 면역글로블린의 양과 림프세포수를 늘리고 림프세포의 유약화(幼若化)를 촉진시킴으로써, 망상내피계통의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몸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물리적 및 화학적 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또한 홍삼이 주요하게 함유하고 있는 사포닌은 순환기계의 말초 혈관 이완작용,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작용 및 항염증 등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홍삼을 발기부전 및 성기능 개선에 사용한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538717호에는 홍삼,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토사자 및 사상자를 포함하는 성기능 개선용 홍삼복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논문 “남성 갱년기 성기능 장애에서 홍삼이 성기능과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효과”(김영찬 외 5인, 고려인삼학회지 Vol. 20, No.2, p.125-132, 1996)에는 홍삼의 성기능 개선 작용은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은 환자에게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는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천마(天麻, GastrodiaelataBlume)는 난초과에 속하는데 괴경(塊莖)을 건조한 것으로서, 겨울에 채집한 것을 동마(冬麻)라하고 봄에 채집한 것을 춘마(春麻)라고 하는데 품질은 동마(冬麻)가 더 좋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풍을 가라앉히고 경련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두통, 반신불수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서양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gastrodin, daucosterol, citric acid, sucrose 등의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천마의 탕제는 항경련 작용이 뛰어나고 항염증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마를 발기부전 및 성기능 개선에 사용한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면, 한국 등록특허 제0902368호에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토끼의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실험이 그 근거로서 개시되어 있다.
하수오(何首烏, Polygonummultiflorum Thunberg)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3~4년 된 하수오의 괴근(塊根)을 채취하여 건조한 것이다.
여기에서, 하수오는 적하수오(赤何首烏)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대한약전외한약규격집에서 적하수오(赤何首烏)를 하수오로, 백하수오(白何首烏)를 백수오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는 것에 따른다.
참고로, 우리나라와 북한에서는 전통적으로 하수오류(類) 약재를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로 구분하여 규정하는 것에 비하여, 중국 및 일본에서는 백하수오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참고: “하수오와 백하수오의 기원과 명칭에 대한 연구”(최환수 외 3인,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9/1(통권10호), 2003)
하수오의 맛은 쓰고 달고 떫으며 성질은 약간 온하며 간과 신장을 보하고 혈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서, 만성 간염, 유정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서양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chrysophanol, emodin, lecithin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하수오는 혈당을 하강시키고 항균 작용이 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도 있다.
하수오를 발기부전 및 성기능 개선에 사용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7781호에 하수오 및 그 외 30여종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능성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홍삼, 천마 및 하수오에 관련하여 상기에서 검토한 것을 정리하여 보면, 종래기술은 홍삼 또는 천마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홍삼 또는 하수오와 그 외의 다른 생약들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는 홍삼, 천마 및 하수오 중에서 두 개를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세 가지 생약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은바, 홍삼, 천마 및 하수오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발기부전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리학적 효능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성 처치의 개념이 아닐뿐더러 부작용을 가져오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복용함으로써, 발기부전의 근본원인으로서의 혈관 상태를 개선하여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지혈증이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부전 및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기능장애를 유발시킨다는 점에 주목하여,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백서에서 생체 내 음경 내압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효과가 현저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를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의 중량비를 1:1:1의 비율로 하며, 추출용 용매는, 바람직하게 2차 증류수(전체 시료 중량의 5배 내지 10배의 부피)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치료를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 된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제제화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 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연령, 성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0.001 내지 3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고,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에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하여 발기부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지혈증에 인한 발기부전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의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써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인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부작용을 가져오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복용함으로써, 발기부전의 근본원인으로서의 혈관 상태를 개선하여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혈관 이완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음경 해면체 내압을 증가함으로써 발기기능을 증진하는,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음경해면체 최대 내압/평균동맥혈압(ICP/MAP)을 증가함으로써 발기 시에 필요한 혈류 흐름을 증진하는,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AUC 수치를 증가함으로써 발기기능 지속 효과를 증진하는, 발기부전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혈관 이완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음경 해면체 내부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음경해면체 최대 내압/평균동맥혈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AUC(Area under the curv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의 제조
홍삼, 천마, 하수오를 각각 600g씩 구입하여 홍삼 100g, 천마 100g및 하수오100g, 즉, 홍삼, 천마, 하수오를 1:1:1의 비율로 섞은 다음, 바람직하게는 10배 2차 증류수 3L(전체 시료 중량의 5배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10배에 달하는 부피)에 시료가 충분히 추출될 수 있도록 상온에서 2시간 정도 담가둔 후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여과된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후 -21℃에서 완전히 얼려 2 내지 3일에 거쳐 진공상태로 동결 건조시켜 물을 제거하였다.
동결 건조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조성물 분말을 잘게 분쇄하여 체에 걸러 분말상태로 만든 후 -7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인 진한 갈색의 물질을 55.3g을 습득하였고 수율은 18.4%이다.
분말상태의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은 정수된 깨끗한 물에 녹여 이하 실험예에 사용한다.
또한 이하 실험예에서 사용되는 홍삼, 홍삼 및 천마(1:1), 홍삼 및 하수오(1:1) 추출물도 상기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획득하여 사용된다.
참고예 1. 실험 준비
1-1. 실험동물
7주령 SD계(Sprague-Dawley 계통) 특정병원균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SPF) 백서(몸무게가 약 200g인 건강한 상태)를 1주간의 적응기를 둔 후 체중이 유사한 백서들을 한 그룹으로 사육상자 당 8마리씩 실험에 투입하였다.
이 동물들은 인수시 및 적응기간동안 일반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온도 22±2℃, 상대습도 55±10%,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오후 6시) 및 조도 150~300Lux로 설정하고, 적응 기간동안은 방사선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와 정수시스템을 이용한 물(tap water)을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1-2. 식이성 고지혈증 유도 처리한 SD계 백서 병변모델
1주간의 적응 기간 이후 10주 동안 리서치 다이어트사의 (Research Diet Inc., New Brunswick, NJ)의 고지방/콜레스테롤(high fat/cholesterol diet, HFCD, 7.5% cocoa butter and 1.25% cholesterol) 식이 처리한 병변모델을 이용하였다.
1-3. SD계 백서 병변모델에 유효성분 처리
1주간의 적응기간 후에 체중이 유사한 백서들을 그룹 당 8마리씩 분류하여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하는 실험을 10주간 수행하였다.
일반 식이(regular diet)만 투입한 음성대조군(CONT) 이외에,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HFCD: high fat diet)로 4주 유도한 후 군당 8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양성대조군 (HFCD: high fat diet), 3 mg/kg/day 농도로 투여한 플루바스타틴군 (Fluva: Fluvastatin), 2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홍삼군 (WR), 2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홍삼과 천마군(1:1, WRG), 홍삼과 하수오군 (1:1, WRP) 및 홍삼, 천마, 하수오군 (1:1:1, WRGP)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간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매일 오전 9시에 체중과 식이섭취량을 측정하고 식이잔량을 산출하였다.
여기에서,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과 더불어서, 혈관확장기능을 하는 일산화질소(NO)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합성효소(NOS)를 자극하고 상향조절(upregulation)시켜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다른 군과의 효능 대조를 위해 사용하였다.
1-4. 통계처리
유의성 검증을 위해 스튜던트 티-테스트(student t-test) 및 원웨이 아노바 테스트(one-way ANOVA test)를 이용하였다. P < 0.05를 유의성의 한계로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mean ± SE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1.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이 SD계 백서 병변모델의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도 1은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HFCD 군에서의 체중이 다른 군과 비교했을 때에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홍삼군(WR), 홍삼과 천마군(WRG) 및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이 HFCD 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이 SD계 백서 병변모델의 혈관 이완효과에 미치는 영향
도 2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혈관 이완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험 동물을 희생(sacrifice)시켜 흉부 대동맥 및 경동맥을 분리한 후에, 분리된 흉부 대동맥 및 경동맥을 118 mM NaCl, 4.7 mM KCl, 1.1 mM MgSO4, KH2PO4, 1.5 mM CaCl2, 25 mM NaHCO3, 10 mM glucose가 들어있는 차가운 Krebs 용액 (pH 7.4)에 넣고 연결 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 mm의 길이의 절편으로 만들었다.
흉부 대동맥 및 경동맥 절편에 95% O2-5%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 ℃ 의 Krebs 용액에서 고정시킨 후 장력(isometric tension)을 장력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 Grass FT 03, GRASS Instrument, MA, USA)가 장착된 생리 기록계 (Grass Model 7E, Grass Instrument,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 시간 동안 10분간 간격으로 Krebs 용액을 갈아주면서 안정화 시킨 다음 1 uM의 페닐에프린(phenylephrine)으로 수축시키고 5분 후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농도의존적으로 투여하여 혈관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음 Krebs 용액으로 40분간 세척하고 다시 페닐에프린(phenylephrine)으로 수축시키고 니트로프루시드나트륨(sodium nitroprusside, SNP)을 농도의존적으로 투여하여 혈관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FCD군의 혈관장력은 다른 군과 비교하였을 때 이완효과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감소는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에서 유의성 있게 혈관 이완효과가 회복되는 것을 나타냈다.
한편 실험예 2는 흉부 대동맥 및 경동맥의 혈관 이완 효과에 관한 것인바, 홍삼군, 홍삼과 천마군, 홍삼과 하수오군과의 비교에 대해서는 발기부전 치료 효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음경 해면체 내부 압력 측정(실험예 3.)을 통해 서술한다.
실험예3.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이 SD계 백서 병변모델의 발기부전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
실험동물을 펜토바르비탈나트륨(Sodium Pentobarbital, 50 mg/kg. i.v.)로 마취하고 경동맥에 캐뉼라하여 경동맥으로 압력변환기와 생리기록기에 연결하여 동맥압의 변화를 측정한다.
하복부부터 귀두표피까지 정중앙으로 피부를 절개하여 복강과 음경 해면체까지의 피하조직들을 노출시킨 다음 오른쪽 음경내부에 23 G의 needle을 삽입하여 폴리에틸렌 튜브(polyethylene tube)를 통해 압력변환기와 생리기록기에 연결하여 음경내부압력을 측정한다.
노출된 하복부에서 방광과 전립선을 조심스럽게 박리한 다음 오른쪽 골반신경총과 해면체 신경을 확인하여 전기자극기에 연결하여 10 v, 0.1 ms, 3 Hz 강도로 매 10분마다 1분간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서 약물에 대한 음경해면체 내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다.
도 3은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음경 해면체 내부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p<0.001 vs. CONT, *p<0.001 vs. HFCD, †p<0.05 vs. WR, &p<0.01 vs. WRG, $P<0.01 vs. WRP).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음경 해면체 내부압력(Intra-cavernosal pressure, ICP)의 최대치가 나타나 있으며,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HFCD군이 다른 군에 비교하여 현저하여 감소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HFCD군에 비해서 일반식이군(CONT) 및 홍삼군(WR)이 음경 해면체 내부압력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군은, HFCD군은 물론 일반식이군(CONT), 풀루바스타틴군(Fluva), 홍삼군(WR), 홍삼과 천마군(WRG), 홍삼과 하수오군(WRP)에 비해 현저하게 음경 해면체 내부압력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이 발기 기능면에서 다른 군에 비해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도 4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음경해면체 최대 내압/평균동맥혈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음경해면체 최대 내압/평균동맥혈압(ICP/MAP)이 나타나 있으며,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 2의 결과가 더불어서 고려하여 보면,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군이 발기 시에 필요한 혈류 흐름의 전반적인 개선 효과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즉 흉부 대동맥 및 경동맥에서의 혈관 이완 효과와 더불어서 음경 해면체 내에서의 국부적인 발기개선 효과가 존재하는바, 전반적인 혈류 개선 효과로 인한 발기부전 치료 효능이 현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겠다.
도 5는 실험 동물 모델인 SD계 백서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한 결과로 인한 AUC(Area under the curv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AUC(Area under the curve)수치가 나타나 있으며,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UC 수치가 투여용량(dose)/청소율(clearance)이라는 점을 보면,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에서의 발기기능 지속효과가 현저하다는 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여 보면, 발기 기능면, 발기 시 혈류 흐름면 및 발기의 지속 효과면에서 모두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이 플루바스타틴(Fluva), 홍삼군(WR), 홍삼과 천마군(WRG), 홍삼과 하수오군(WRP)에 비해 현저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바, 홍삼, 천마, 하수오군(WRGP)의 발기부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능이 가장 현저하다고 할 수 있겠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홍삼(紅蔘, Panax ginseng C.A. Meyer),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 및 하수오(何首烏,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혼합 추출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제를 추가하되,
    상기 홍삼, 천마 및 하수오의 건조 중량비를 1:1:1로 하여 혼합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은 상기 건강기능식품 원료의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12804A 2011-02-14 2011-02-14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11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04A KR101113593B1 (ko) 2011-02-14 2011-02-14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04A KR101113593B1 (ko) 2011-02-14 2011-02-14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593B1 true KR101113593B1 (ko) 2012-03-06

Family

ID=461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04A KR101113593B1 (ko) 2011-02-14 2011-02-14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74A (ko) 2015-09-18 2016-01-2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강 효과를 갖는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60011175A (ko) 2015-09-18 2016-01-2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68B1 (ko) * 2007-09-06 2009-06-11 삼성생약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77781A (ko) * 2008-12-29 2010-07-08 정인학 발기부전에 효과적인 기능성 분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한 기능성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보조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68B1 (ko) * 2007-09-06 2009-06-11 삼성생약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77781A (ko) * 2008-12-29 2010-07-08 정인학 발기부전에 효과적인 기능성 분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한 기능성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보조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려인삼학회지, 23(1), 1999.03.25., pp.13-2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74A (ko) 2015-09-18 2016-01-2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강 효과를 갖는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60011175A (ko) 2015-09-18 2016-01-2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931B2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effects of relieving alcohol-induced hangover symptoms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1579120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338043B (zh) 一种提高免疫力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099833A (zh) 有助于缓解运动疲劳和延缓衰老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486857B1 (ko)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479963A (zh)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4524146A (zh) 一种预防和辅助治疗“三高症”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0688252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101113593B1 (ko)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6994141B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50114929A (ko) 변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EP3403664B1 (en) Use of cistanche tubulosa
US1112338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0585562B1 (ko)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용 생약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CN103110684A (zh) 对胃黏膜有辅助保护作用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3181557A (zh) 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660116B1 (ko)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2384235A (zh) 包含天然混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症的组合物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4056234A (zh) 一种解酒的药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