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16B1 -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116B1
KR100660116B1 KR1020050007016A KR20050007016A KR100660116B1 KR 100660116 B1 KR100660116 B1 KR 100660116B1 KR 1020050007016 A KR1020050007016 A KR 1020050007016A KR 20050007016 A KR20050007016 A KR 20050007016A KR 100660116 B1 KR100660116 B1 KR 10066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exual
powder
composition
contro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114A (ko
Inventor
방남석
신대희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주)포메디
방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메디, 방남석 filed Critical (주)포메디
Priority to KR102005000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1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 및 대두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력 및 음경 해면체 내압 증가를 통하여 음경 발기력을 향상시키며, 결과적으로 흰쥐의 성생활에 대한 빈도와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탁월한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홍삼, 대두, 트리블러스, 복분자, 구기자, 성기능,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n crude drug complex comprising Ginseng radix and Glycine max. for improving sexual dysfunction}
도 1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운팅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운팅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입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입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을 나타낸 도이며,
도 8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운팅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운팅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10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입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입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12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잠복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13은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빈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14는 흰쥐의 성생활 정도 및 빈도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을 나타낸 도이며,
도 15는 신경자극에 의해 발기 작용을 유도한 흰쥐에서 음경 해면체 내압에 대한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16은 토끼에서 적출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서 페닐레프린으로 수축을 유도한 후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대한 SA1 및 SA2의 용량별 직접 투여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17은 토끼에서 적출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서 페닐레프린으로 수축을 유도한 후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대한 20 μg/㎖의 SA1 및 SA2의 단회 처치 (직접 처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18은 SA1 및 SA2를 2주 반복 경구 투여한 토끼의 음경 해면체 평활근을 적출하여 페닐레프린으로 수축을 유도한 후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 대두 발효 추출물, 트리블러스 추출물, 복분자 분말 및 구기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성반응은 성욕과 음경발기 및 이에 따른 누정, 사정, 쾌감으로 이루어진다. 음경발기는 음부의 자극이나 시청각 자극에 의하여 음경이 딱딱하게 커지는 것을 말하며, 사정은 다시 누정, 사정, 오르가즘 (쾌감)으로 나뉜다. 누정은 정액이 후부요도내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하고, 사정은 누정에 이어 정액이 요도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오르가즘은 성적 긴장의 해소와 관계되어 뇌에서 느끼는 감각이다.
남성의 음경은 해면체 (음경해면체 및 요도해면체), 혈관 (음경동맥 및 음경 정맥) 및 발기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성의 성기능은 남성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상태에서 음경 해면체, 음경동맥, 음경정맥, 그리고 발기신경이 제대로 구성되어야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음경발기는 다양한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한 발기신경의 자극에 의해 나타난다. 성적 자극을 받으면 남성 성기의 해면체에서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NO)가 생성되며 NO는 구아닐레이트 싸이클레이즈 (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싸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의 농도를 높여서 해면체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음경동맥을 확장시키고 음경정맥을 수축시킴으로써 음경 혈류의 증가로 음경내압이 증가하여 발기가 유발된다. 따라서, 이러한 음경발기는 일련의 혈류역동학적 과정으로서 내분비계, 혈관계, 신경계 및 정신계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생리 반응으로 여겨진다 (Lue YF, et al., J. Urol., 137, pp829-836, 1987).
발기부전 (Erectile dysfunction) 또는 성적 임포텐스 (Sexual impotence)란 성공적인 성교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발기가 되지 않는 남성의 성적 무능력을 가르키는 용어로서 이러한 발기부전증은 심리적 장해 (심인성), 생리학적 이상 (기질성) 또는 이들 두 가지 복합 요인으로 인해서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여러 가지 요소가 발기부전증의 원인이 된다.
발기부전증의 주요 원인인 기질성 발기부전증의 원인으로는, 혈관 이상, 신경 결함 (Neurologic deficiencies) 및 약물 치료 부작용이 있다. 발기부전의 일차적인 혈관 원인은 음경이 혈액으로 채워지는 것을 방해하는 동맥 부전증 및 발기가 되어 있는 동안 음경 내에 혈액이 유지되는 것을 방해하는 정맥 이상증이다. 동맥 부전증은 일차적으로 동맥경화증에 기인하며, 흡연으로 인해 악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기부전치료에는 진공압축장치, 혈관수술, 음경보철기구, 성심리요법, 호르몬요법 및 혈관확장제의 투여 등이 있다. 이중, 발기 향상 및 증진용 주요 약물들은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과 같은 남성호르몬 약제 (Androgenic agent), 알도스테론 (Aldosterone)과 같은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 E1) 유도체,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L-아르기닌 (L-arginine)과 같은 일산화질소 공여체 (NO donor), 실데나필 (Sildenafil)과 같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Phosphodiesterase inhibitor), 요힘빈 (Yohimbin)과 같은 알파-아드레날린 길항제 (Alpha-adrenergic antagonist), 그 외 여러 가지 혈관 확장제 (Vasoactive agent)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예를 보면, 미국의 파이자 (Pfizer)사에서 개발된 실데나필 사이트래이트 (Sildenafil citrate)(비아그라, Viagra)는 해면체에서 cGMP를 분해시키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5 (Phosphodiesterase type 5, PDE 5)를 억제하여 NO의 효과를 증가시킴으로써 발기부전에 효과적이나 두통, 근육통,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며 심장병 약과 함께 복용될 경우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된 의약품들에 비하여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 및 식품소재를 이용한 성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홍삼 (Ginseng radix)은 오갈피과 (Araliaceae)에 속한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의 건조근이다. 홍삼은 인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성미는 달고 조금 쓰며 성질은 평 (平)하며 비 (脾)와 폐 (肺)로 들어가 작용하며 한의학에서 대표적인 보기약으로 주치효능은 대보원기, 납기평천, 생진지갈하며 중추신경에 대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고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예방 효과가 있어 강심작용, 항산화작용, 항피로작용, 항방사능작용과 혈당강하작용 등이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사포닌 (Saponin: ginsenosides), 파낙시놀(Panaxynol), 베타-엘레멘 (Beta-elemene), 말톨 (Maltol) 등이 있다. 홍삼의 액상 추출액 (Aqueous extract)은 빈혈 (Anemia), 당뇨병, 불면증 (Insomnia), 위염 (Gastritis), 혈압이상, 소화불량 (Dyspepsia), 과로 (Overstrain), 그리고 피로 (Fatigue)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사포닌 (Saponin: ginsenosides)이라고 하는 여러 가지 트립테르펜 배당체 (Triterpene glycoside)를 함유하고 있다고 연구되었다 (Baranov A.I., J.Ethnopharmacol., 6, 339-53, 1982; Chong S.K., et al., Postgrad Med. J., 64, 841-6, 1988).
대두 (Glycine max(L.) MERR.)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카로틴 (Carotene),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활혈 (活血), 이수 (利水)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682-683, 1998).
복분자 (Rubus coreanus Miq.)는 한방효능면에서 익기경신, 자양강장, 보간 명목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감기, 열성질병, 폐렴, 기침에 쓰며 (김, 한국자원식물II, pp140, 서울대학교, 1996; 배, 한국약용식물 교학사, pp231, 2000; 정, 한국식물도감, 교육사, 1995) 탄닌성분과 폴리페놀은 항암 및 항산화 효과 및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효과가 있다 (윤 등, 한국식품과학회지 34, No. 5 pp898-904, 2002; 윤 등, 한국식품과학회지, 35, No. 3, pp 499-502, 2003; 이 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 No. 1, pp5-11, 2003; 양 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3, No. 5, pp769-777, 2004).
구기자 (Lycium chinense MILL.)는 구기자나무의 성숙한 과실로서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에는 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및 니코틴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베타-시토스테롤 (Beta-sitosterol) 및 리놀렌산 (Linoleic acid)도 추출되었다 (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26, 1998). 구기자는 영양실조증, 노쇠, 병후 허약, 소모성 질환에 의한 쇠약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트리블러스 (Tribulus terrestris L.)는 뿌리와 잎에 사포닌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사포게닌 (Sapogenin)에는 디오스게닌 (Diosgenin), 기토게닌 (Gitogenin), 클로로게닌 (Chloroge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고혈압증에 좋고 해열, 이뇨 변비, 간장병, 토혈, 혈변, 생리 불순, 설사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52-753, 1998).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 대두 발효 추출물, 트리블러스 추출물, 복분자 분말 및 구기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한방제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생약 SA1 및 SA2가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력 향상 및 음경 내압 증가를 통하여 음경 발기력을 증가시키며, 실험 동물인 흰쥐의 성생활에 대한 빈도와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력 향상 및 음경 내압 증가를 통하여 음경 발기력 증가 효과를 가지는 홍삼 추출물, 대두 발효 추출물, 트리블러스 추출물, 복분자 분말 및 구기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주성분으로 구성하는 복합 한방 제제 SA1 및 SA2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대두 발효 추출물, 트리블러스 추출물, 복분자 분말 및 구기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성기능 장애는 발기부전 또는 성적 임포텐스, 성욕감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상기 홍삼, 대두 및 트리블러스를 각각 세척 또는 거피한 후 세절하여,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 온도에서 약 1일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약 5일 내지 20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분말한 후, 분말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15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10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의 추출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1회 내지 12회, 바람직하게는 4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원심 분리 및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하여 홍삼 및 트리블러스 추출물을 얻고 남은 대두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발효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얻어, 각 추출물을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주 생약 성분인 홍삼 추출분말 10~30 중량 %, 대두 발효 추출분말 15~25 중량 %,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1~7 중량 %, 복분자 분말 20~35 중량 %, 구기자 분말 1~8 중량 %으로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복합 한방 제제에 배합되는 주성분이외에 그 효능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황기, 산약, 작약, 산수유, 길경 등의 기타 생약 성분들의 추출물을 가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를 생체내 실험 및 생체외 실험으로 나누어, 상세하게는, 생체내생체외로 흰쥐의 성적 행동 변화 및 최대 음경 해면체 내압 그리고 생체외 실험으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작용을 관찰한 결과,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가 흰쥐의 성생활 빈도 및 정도 및 음경 해면체 내압을 증가시키며, 음경 근육 조직의 이완작용을 향상시킴으로써 탁월한 성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및 생약 분말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 한방 제제를 0.0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방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 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복합 한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 한방 제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Gelatin)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 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홍삼 추출분말,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대두 발효 추출분말, 복분자 분말 및 구기자 분말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한방 제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성기능 개선 및 성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복합 한방 제제의 양은 전 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과립, 분말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참고예, 그리고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그리고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대두 발효 및 트리블러스 추출물과 구기자 및 복분자 생약 분말의 제조
1-1. 홍삼 및 트리블러스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홍삼 및 트리블러스를 세척하여 각각 20~25 ℃의 온도에서 5~10일 동안 자연건조 후 세절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홍삼 및 트리블러스 건조분말 100 g 각각에 정제수 1 L를 가하여 50 ℃에서 1시간 동안 4회 환류 추출한 후 이를 모두 합하여 여과지 (와트만사, 미국)로 여과한 다음에 이를 감압농축기 (Eylea사, N-1000, 일본)로 감압 (30~50 mmHg) 농축하여 홍삼 3.5 g 및 트리블러스 4.2 g의 추출물 분말을 각각 수득하였다.
1-2. 대두 발효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대두 100 g을 상기 실시예 1-1에 기재된 제조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대두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당업계의 통상적인 발효공정을 통하여 대두 발효 추출분말 4.5 g을 얻었다.
1-3. 구기자 및 복분자 분말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구기자 및 복분자 각 100 g을 세척하여 각각 20~25 ℃의 온도에서 5~10일 동안 자연건조 후 세절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복합 한방 제제 SA1 및 SA2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홍삼 추출분말, 대두 발효 추출분말, 복분자 분말, 구기자 분말 및 트리블러스 추출분말을 일정한 배합비, 즉, 홍삼 추출분말 25 %, 대두 발효 추출분말 20 %, 복분자 분말 35 %, 구기자 분말 5 %,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5 % 및 황기, 산약, 작약, 산수유, 길경 등의 기타 생약성분들의 추출물을 미량으로 혼합하여 성기능 개선용 복합 한방 제제 SA1 (이하 SA1이라 명명함)을 제조하였으며, 홍삼 추출분말 30 %, 대두 발효 추출분말 20 %, 복분자 분말 30 %, 구기자 분말 6 %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4 % 및 황기, 산약, 작약, 산수유, 길경 등의 기타 생약성분들의 추출물을 미량으로 혼합하여 성기능 개선용 복합 한방 제제 SA2 (이하 SA2라 명명함)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1. 실험 준비
1-1. 시약 및 실험 동물
본 실험에 사용된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과 페닐 에프린 (Phenylephrine)은 시그마사 (Sigma Chemical Co., MO,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체중 250 g 내외의 웅성 및 자성 스프리그-다우리 (Sprague-Dawley, SD)계 흰쥐와 3 kg 내외의 웅성 뉴질랜드 화이트종 (New Zealand White, NZW)계 토끼는 제일상사로부터 공급받아 온도 23±1 ℃, 상대습도 55±15 % 및 300-500 룩스 (Lux)의 조도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전 시험 기간 동안 흰쥐는 5마리씩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 (240 W×39.L× 175 H mm)에, 토끼는 토끼용 사육상자에 넣어 일주일이상 순화시킨 후 육안적 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실험 동물용 고형 사료 (주, 삼양사)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1-2. 통계처리
각 실험군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은 원-웨이 아노바 (One-way ANOVA)를 시행하여 p=0.0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경우 던네트의 티 검정법 (Dunnett`s t-test)으로 실험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예 1. SA1 및 SA2의 투여가 흰쥐의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에 미치는 영향
SA1 및 SA2의 단회 투여 및 2주 반복 투여가 흰쥐의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Islam 등의 방법 (Islam MW, et al., J. Ethnopharmcol, 33, pp67-72, 1991)에 따라 체중 250 g 내외의 SD계 웅성 흰쥐를 행동 관찰용 상자 안에 넣고, 약 5분간 적응시킨 후 성생활의 상대로서 발정이 유도된 자성 흰쥐를 상자 안에 넣고 비디오 모니터 (Video monitor)를 이용하여 성생활을 관찰하였다. 실험은 1) 30분간 삽입 (Intromission)이 없을 때, 2) 첫 삽입 후 20분간 사정 (Ejaculation)이 없을 때, 3) 사정 후 15분간 삽입이 없을 때, 4) 사정이 첫 삽입에서 나타날 때 중, 한 가지 반응이 관찰 될 때 종료되었다. 자성 흰쥐는 자궁 절개술 후 성생활에 대해 순응하는 경우만 사용하였으며, 시험 전 72시간 및 6시간에 각각 0.1 mg의 6-에스트라디올 벤조네이트 (6-estradiol benzonate)와 1.0 mg의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을 투여하였다.
흰쥐의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운팅 잠복기 (Mounting latency), 마운팅 빈도 (Mounting frequency), 삽입 잠복기 (Intromission latency), 삽입 빈도 (Intromission frequency), 사정 잠복기 (Ejaculatory latency), 사정 빈도 (Ejaculatory frequency),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Postejaculatory interval)이 조사되었다.
평 가 항 목 항 목 설 명
마운팅 잠복기 실험 시작 후 첫 마운팅까지 소요된 시간
마운팅 빈도 마운팅의 횟수
삽입 잠복기 실험 시작 후 첫 삽입까지 소요된 시간
삽입 빈도 삽입의 횟수
사정 잠복기 첫 삽입 후 사정까지 소요된 시간
사정 빈도 사정의 횟수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사정 후 첫 삽입까지 소요된 시간
1-1. SA1 및 SA2의 단회 투여가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에 미치는 영향
SA1 및 SA2의 단회 투여에 의한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웅성 흰쥐에 SA1 및 SA2를 경구로 투여한 후 자성 흰쥐를 넣고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시험 물질은 0.5 %의 메틸셀룰로오즈 (Methylcellulose)용액에 현탁하여 경구 투여 바늘 (Sonde)을 사용하여 경구로 강제 투여하였다.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조제용매만 투여하였다.
1-1-1. 마운팅 잠복기 (Mounting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마운팅 잠복기는 21.3초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마운팅 잠복기는 각각 19.8, 39.7, 21.0, 21.2, 21.2, 21.9, 22.8 및 30.0초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2. 마운팅 빈도 (Mounting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마운팅 빈도는 23.8회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19.0, 20.3, 20.4, 20.2, 22.0, 21.8, 20.2 및 20.3회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3. 삽입 잠복기 (Intromission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삽입 잠복기는 225.6초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152.8, 149.0, 133.3, 141.8, 156.8, 162.3, 144.4 및 146.0초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4. 삽입 빈도 (Intromission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삽입 빈도는 5.8회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7.8, 8.3, 14.8, 7.0, 8.4, 5.7, 13.8 및 6.3회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5. 사정 잠복기 (Ejaculatory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잠복기는 134.5초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269.2, 183.6, 202.1, 183.9, 167.9, 159.5, 231.6 및 177.3초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6. 사정 빈도 (Ejaculatory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빈도는 2.2회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2.0, 2.3, 2.4, 2.4, 2.2, 2.4, 2.2 및 2.3회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7.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Postejaculatory interval)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는 522.2초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494.8, 477.5, 475.6, 442.1, 271.9, 438.4, 455.9 및 574.1초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량 (mg/kg) 마운팅 잠복기 (sec) 삽입 잠복기 (sec) 사정 잠복기 (sec) 마운팅 빈도 삽입 빈도 사정 빈도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sec)
대조군 0 21.3± 7.3 225.6± 83.7 134.5± 23.4 23.8±2.4 5.8±1.5 2.2±0.4 522.2±97.8
SA1 30 19.8± 4.3 152.8± 80.5 269.2±33.1 19.0±3.0 7.8±2.2 2.0± 0.4 494.8±85.5
100 39.7± 9.8 149.0± 42.7 183.6±50.2 20.3± 1.7± 8.3±3.6 2.3± 0.8 477.5±171.9
300 21.0± 6.7 133.3± 42.8 202.1± 60.0 20.4±2.7 14.8± 4.1 2.4± 0.2 475.6±51.5
600 21.2± 3.2 141.8±68.9 183.9± 61.8 20.2±3.5 7.0±3.1 2.4± 0.4 442.1±96.5
SA2 30 21.2± 8.0 156.8±48.8 167.9± 26.8 22.0±3.1 8.4±2.6 2.2±0.4 271.9±25.4
100 21.9± 3.6 162.3± 51.5 159.5± 43.6 21.8±2.3 5.7±0.8 2.4±0.4 438.4±38.1
300 22.8± 6.4 144.4± 72.7 231.6± 33.2 20.2±2.1 13.8±4.8 2.2±0.5 455.9±66.4
600 30.0± 9.5 146.0±38.0 177.3± 106.6 20.3± 1.7 6.3±1.2 2.3± 0.9 574.1±128.7
1-2.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가 성생활의 정도와 빈도에 미치는 영향
SA1 및 SA2의 반복 투여에 의한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2주간 경구로 반복 투여하였고, 실험 당일은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경구로 투여한 후 자성 흰쥐를 넣고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시험 물질은 0.5 %의 메틸셀룰로오즈 (Methylcellulose)용액에 현탁하여 경구 투여 바늘 (Sonde)을 사용하여 경구로 강제 투여하였다.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조제용매만 투여하였다.
1-2-1. 마운팅 잠복기 (Mounting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마운팅 잠복기는 173초였으나,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모든 용량군과 SA2의 30 mg/kg의 용량군에서 마운팅 잠복기는 각각 34.4, 32.2, 12.5, 39.4 및 27.8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SA2의 100, 300 및 600 mg/kg의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2. 마운팅 빈도 (Mounting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마운팅 빈도는 10.7회였으나,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30, 100, 300 및 600 mg/kg의 모든 용량군과 SA2의 600 mg/kg의 용량군에서 마운팅 빈도는 각각 19.4, 18.2, 22.0, 20.5 및 18.0회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A2의 30, 100 및 300 mg/kg의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3. 삽입 잠복기 (Intromission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삽입 잠복기는 519.3초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30 mg/kg의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A1의 100, 300 및 600 mg/kg의 용량군과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삽입 잠복기는 각각 244.0, 132.3, 214.7, 210.9, 207.0, 174.8 및 191.6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4. 삽입 빈도 (Intromission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삽입 빈도는 6.9회였으나,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300 mg/kg의 용량군에서 16.3회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A1의 30, 100 및 600 mg/kg의 용량군과 SA2의 모든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5. 사정 잠복기 (Ejaculatory lat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잠복기는 168.4초였으나,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100, 300 및 600 mg/kg의 용량군과 SA2의 300 mg/kg의 용량군에서 각각 440.1, 407.3, 452.9 및 415.6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사정 잠복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A1 30 mg/kg의 용량군과 SA2 30, 100 및 600 mg/kg의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6. 사정 빈도 (Ejaculatory frequency)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빈도는 1.6회였으며,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 및 SA2의 모든 용량군에서 사정 빈도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7.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Postejaculatory interval)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는 538.8초였으나, 30, 100, 300, 600 mg/kg의 SA1 및 SA2를 각각 반복 투여한 결과, SA1의 100 및 300 mg/kg의 용량군에서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는 각각 280.3 및 320.9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A1의 30 및 600 mg/kg의 용량군과 SA2의 모든 용량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량 (mg/kg) 마운팅 잠복기 (sec) 삽입 잠복기 (sec) 사정 잠복기 (sec) 마운팅 빈도 삽입 빈도 사정 빈도 사정 후 재삽입 잠복기 (sec)
대조군 0 173.0± 39.2 519.3± 70.9 168.4± 65.2 10.7±1.4 6.9±2.4 1.6±0.2 538.8± 38.1
SA1 30 34.4± 8.0** 259.7±110.4 299.2±44.0 19.4±2.4* 14.5±2.5 2.2±0.3 364.2±56.8
100 32.2±9.0* 244.0±86.5* 440.1±48.5** 18.2± 1.8* 12.0±2.6 2.4±0.3 280.3±40.0**
300 12.5± 1.3** 132.3±56.8** 407.3± 42.0* 22.0±8.8** 16.3±3.4* 2.4±.2 320.9± 33.1*
600 39.4± 9.4* 214.7±48.3** 452.9± 61.3** 20.5±8.7** 8.3±2.0 2.0±0.2 533.9± 68.3
SA2 30 27.8±8.1** 210.9±97.4* 339.6± 34.8 17.75±7.6 10.1±2.8 2.0±0.3 400.0±22.1
100 77.4±20.2 207.0± 75.7* 275.3±50.4 15.0±8.8 4.0±1.0 2.4±0.3 581.9±257.7
300 110.8±34.6 174.8± 42.2** 415.6±63.7** 20.6±14.5 10.7±3.1 2.4±0.2 386.9±60.9
600 58.1±15.4 191.6± 40.7** 305.7±29.7 18.0± 7.4* 4.9±1.3 2.0±0.2 519.8± 47.6
실험예 2.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가 신경 자극에 의한 동맥압 및 최대 음경 해면체 내압에 미치는 영향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가 신경 자극에 의한 발기 작용을 유도한 흰쥐의 동맥압 (Arterial pressure) 및 최대 음경 해면체 내압 (Intracavernosal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Mizusawa H, et al., Asian J. Androl., 4, pp225-228, 2002).
체중 250-300 g의 SD계 웅성 흰쥐를 사용하여 0.5 %의 메틸셀룰로오즈 (Methylcellulose)용액에 현탁된 SA1 및 SA2를 각각 2주 일간 경구 투여 바늘 (Sonde)를 사용하여 경구로 강제 투여하였다.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조제용매만 투여하였다. 이후 35 mg/kg b.wt.의 소디움 펜토발비탈 (Sodium pentobarbital)을 복강 주사한 후, 복부 정중선을 절개하여 방광과 전립선을 노출시킨 다음 전립선 후측벽에 위치한 주골반 신경절을 찾아서 그 분지인 골반신경 및 음경해면체 신경을 박리한 후 백금 전극 (Platinum electrode)를 음경 해면체 신경에 설치하여 전기 자극기 (Electric stimulator)에 연결하였다. 또한, 음경표피를 절개하여 음경 해면체를 노출시킨 후 해면체 내압측정을 위해 26 G 바늘 (26 G needle)을 음경 해면체내에 유치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전기적 자극이나 약물 주입에 따른 동맥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동맥에 22 G 바늘 (22 G needle)을 유치하였다. 30분간 안정화시킨 후 각각의 바늘을 트랜스듀서 (Transducer) 및 폴리그래프 시스템 (Polygraph system)에 연결하여 신경 자극에 의한 동맥압의 변화 및 최대 음경 내압을 측정하고 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바늘 (Needle) 및 연결선은 헤파린 (Heparin)이 첨가된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신경자극에 의해 동맥압은 114.3 mmHg에서 106.6 mmHg로 7.7 mmHg가 감소하였다. SA1의 300 mg/kg 투여군의 경우 121.6 mmHg에서 112.0 mmHg로 9.6 mmHg가, SA2의 300 mg/kg 투여군의 경우 116.2 mmHg에서 106.9 mmHg로 9.3 mmHg가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경자극에 의해 유도된 최대 음경 해면체 내압은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15.5 mmHg였으나, SA1 및 SA2의 3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30.2 및 25.2 mmHg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량 (mg/kg) 동맥압 (mmHg) 음경 해면체 내압 (mmHg)
투여 전 투여 후 Δ 맥압
대조군 0 114.3±6.3 106.6±7.7 7.7±1.6 15.5±2.0
SA1 300 121.6±8.1 112.0±10.3 9.6±3.2 30.2±2.4**
SA2 300 116.2±5.1 106.9±6.7 9.3±3.3 25.2±3.0*
실험예 3. SA1 및 SA2의 용량별 처치가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
SA1 및 SA2의 용량별 처치가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hoi 등의 방법 (Choi YD, et al., J. Urol., 162, pp1508-1511, 1999)에 따라 3 kg 내외의 NZW계 웅성 토끼에 50 mg/kg b.wt.의 소디움 펜토발비탈 (Sodium pentobarbital)을 복강 주사한 후, 음경 전체를 절제하였다.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크렙스 (Krebs) 용액 내에서 백막으로부터 음경 해면체 평활근을 분리하여 절편을 만든 후, 이를 크렙스 (Krebs) 용액이 들어 있는 장기 용액기 (Organ bath)에 현수하였다. 장기 용액기 내에서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등력성 수축 기록계에 연결하고, 2 g정도의 초기장력으로 평 형화시켰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5 ×10-6 M 페닐레프린 (Phenylephrine)을 처치하여 수축 정도를 관찰하고 절편을 크렙스 (Krebs) 용액으로 씻어내어 평형 상태로 회복시켰다. 3회에 걸쳐 페닐레프린에 의한 반응성을 확인하였으며,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 정도의 차이가 10 % 이내일 때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다시 평형화시킨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이 현수된 장기 용액기에 50 %의 디메틸설포사이드 용액에 현탁 용해된 2×10-4, 10-3 , 10-2 , 10-1, 100 및 101 ㎍/ml의 SA1 및 SA2를 각각 처치하여 장력의 변화를 관찰하고 농도반응곡선을 나타내었다. 각 장기 용액기 내의 온도는 37 ℃를 유지하였으며,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를 장기 용액기 내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에 의한 이완율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정도를 100 %로 하여 그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은 조제 용매만 투여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축적 이완율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률을 100 %로 기준하였을 때 각각 2.90, 5.48, 7.76, 10.98, 9.75 및 13.06 %를 나타내었다. SA1을 10배수의 축적용량으로 투여한 경우 SA1의 2×10-4, 10-3, 10-2 , 10-1 및 100 ㎍/ml에서 이완율은 각각 4.52, 5.85, 9.34, 12.52, 및 18.64%로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SA1의 2×101 ㎍/ml의 용량에서 이완율은 49.81 %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SA2를 10배수의 축적용량으로 투여한 경우 SA2의 2×10-4, 10-3, 10-2 , 10-1 및 100 ㎍/ml의 농도에서 이완율은 각각 4.76, 9.88, 11.10, 12.82 및 20.57 %로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SA2 의 2×101 ㎍/ml의 용량에서 이완율은 47.14 %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량 (μg/ml)
0.0002 0.002 0.02 0.2 2 20
대조군 2.90±0.70 5.48±0.68 7.76±1.62 10.98±1.65 9.75±2.44 13.06± 2.83
SA1 4.52±0.47 5.85±1.14 9.34±1.25 12.52±1.40 18.64±5.11 49.81±4.16**
SA2 4.76±0.96 9.88±1.77 11.10±1.69 12.82± 2.17 20.57± 5.28 47.14±6.37**
실험예 4. SA1 및 SA2의 단회 처치가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
SA 1 및 SA2의 단회 처치가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hoi 등의 방법 (Choi YD, et al., J. Urol., 162, pp1508-1511, 1999)에 따라 3 kg 내외의 NZW계 웅성 토끼에 50 mg/kg b.wt.의 소디움 펜토발비탈을 복강 주사한 후, 음경 전체를 절제하였다.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크렙스 용액 내에서 백막으로부터 음경 해면체 평활근을 분리하여 절편을 만들고 크렙스 용액이 들어 있는 장기 용액기에 현수하였다. 장기 용액기 내에서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등력성 수축 기록계에 연결하고, 2 g정도의 초기장력으로 평형화 시켰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5×10-6 M 페닐레프린을 처치하여 수축 정도를 관찰하고 절편을 크렙스 용액으로 씻어내어 평형 상태로 회복시켰다. 3회에 걸쳐 페닐레프린에 의한 반응성을 확인하였으며,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 정도의 차이가 10 % 이내일 때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다시 평형화 시킨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이 고정된 장기 용액기에 5×10-6 M 페닐레프린을 처치하여 수축을 유발시킨 후, 50 %의 디메틸설포사이드 용액에 현탁 용해된 2×101 ㎍/ml의 SA1 및 SA2를 각각 처치하고 1×10-8, 10-7, 10-6, 10-5 및 10 -4 M 농도의 아세틸콜린을 처치하여 이완 작용을 관찰하고 농도반응곡선을 나타내었다. 각 장기 용액기 내의 온도는 37 ℃를 유지하였으며,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를 장기 용액기 내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아세틸콜린에 의한 이완력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정도를 100 %로 하여 그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은 조제 용매만 투여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각 용량의 아세틸콜린에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율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률을 100 %로 기준하였을 때 각각 1.84, 11.90, 47.68, 66.73 및 67.90 %였다. 그러나 SA1의 2×101 ㎍/ml 투여군에서 각 아세틸콜린 용량에 대한 이완율은 25.46, 36.65, 82.66, 109.50 및 115.57 %로, SA2의 2×101 ㎍/ml 투여군에서 각 아세틸콜린 용량에 대한 이완율은 27.21, 45.80, 90.25, 103.69 및 106.63 %로 아세틸콜린의 모든 용량에서 SA1 및 SA2의 이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세틸콜린 (M)
10-8 10-7 10-6 10-5 10-4
대조군 1.84±0.47 11.90±3.40 47.68±8.29 66.73±8.00 67.90±4.42
SA1 25.46±2.16** 36.65±7.90** 82.66±4.37* 109±5.65** 115.57±13.90**
SA2 27.21±1.85** 45.80±3.73** 90.25±8.99** 103.69±8.79** 106.63±9.76*
실험예 5. SA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가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
SA 1 및 SA2의 2주 반복 투여가 아세틸콜린에 의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 kg 내외의 NZW계 웅성 토끼를 사용하여 SA1 및 SA2를 2주간 경구 투여한 후 50 mg/kg b.wt.의 소디움 펜토발비탈을 복강 주사한 후, 음경 전체를 절제하였다.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크렙스 용액 내에서 백막으로부터 음경 해면체 평활근을 분리하여 절편을 만들고 크렙스 용액이 들어 있는 장기 용액기에 현수하였다. 장기 용액기 내에서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등력성 수축 기록계에 연결하고, 2 g정도의 초기장력으로 평형화 시켰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5×10-6 M 페닐레프린을 처치하여 수축 정도를 관찰하고 절편을 크렙스 용액으로 씻어내어 평형 상태로 회복시켰다. 3회에 걸쳐 페닐레프린에 의한 반응성을 확인하였으며,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 정도의 차이가 10 % 이내일 때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을 다시 평형화 시킨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 절편이 현수된 장기 용액기에 5×10-6 M 페닐레프린을 처치하여 수축을 유발시킨 후, 10 배수의 축적용량으로 아세틸콜린 (1×10-8, 1×10-4 M) 처치하여 이완 작용을 관찰하고 농도반응곡선을 나타내었다. 각 장기 용액기 내의 온도는 37 ℃를 유지하였으며, 95 % 산소와 5 %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를 장기 용액기 내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아세틸콜린에 의한 이완력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정도를 100 %로 하여 그 비율로 나타내었다. SA1 및 SA2의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조제 용매만 투여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표 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SA1 및 SA2를 2주간 반복 투여한 토끼의 음경 해면체 평활근에서 페닐레프린으로 수축을 유도한 후 아세틸콜린의 농도별 이완율을 관찰한 결과, 조제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각 아세틸콜린 용량에 대한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율은 페닐레프린에 의한 수축률을 100 %로 기준하였을 때 각각 2.20, 18.24, 51.83, 74.10 및 79.41 %였으나, SA1 300 mg/kg 투여군에서 아세틸콜린 1×10-8, 10-5 및 10-4 M의 용량에 대한 이완율은 7.18, 103.31 및 112.95 %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SA1 300 mg/kg 투여군의 아세틸콜린 1×10-7 및 10-6 M 용량과 SA2의 300 mg/kg 투여군의 각 아세틸콜린 용량에서의 이완율은 27.80, 65.93, 2.80, 17.27, 46.15, 74.45 및 80.53 %로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용량 (mg/kg) 아세틸콜린 (M)
10-8 10-7 10-6 10-5 10-4
대조군 0 2.20±0.54 18.24±3.98 51.83±6.78 74.10±7.58 79.41±8.03
SA1 300 7.18±2.03* 27.80±4.53 65.93±6.23 103.31±6.57** 112.95±3.30**
SA2 300 2.80±0.79 17.27±2.82 46.15±2.25 75.45±4.73 80.53±6.55
본 발명의 복합 생약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SA1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액제의 제조
SA2 1000 ㎎
CMC-Na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건강 식품의 제조
SA1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4. 건강 음료의 제조
SA2 1000 ㎎
구연산 1000 ㎎
이성화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한방 제제는 음경 해면체 내압의 증가 및 음경 해면체 평활근의 이완력 강화를 통해 음경 발기력을 개선시키며, 흰쥐의 성생활의 정도 및 빈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성기능을 개선 및 발기 부전, 성욕감소 등의 성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홍삼 추출분말 10~30 중량 %, 대두 발효 추출분말 15~25 중량 %,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1~7 중량 %, 복분자 분말 20~35 중량 %, 구기자 분말 1~8 중량 %을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 발기부전 또는 성욕 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홍삼 추출분말 10~30 중량 %, 대두 발효 추출분말 15~25 중량 %, 트리블러스 추출분말 1~7 중량 %, 복분자 분말 20~35 중량 %, 구기자 분말 1~8 중량 %을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 발기부전 또는 성욕 감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KR1020050007016A 2005-01-26 2005-01-26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66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016A KR100660116B1 (ko) 2005-01-26 2005-01-26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016A KR100660116B1 (ko) 2005-01-26 2005-01-26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14A KR20060086114A (ko) 2006-07-31
KR100660116B1 true KR100660116B1 (ko) 2006-12-20

Family

ID=3717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016A KR100660116B1 (ko) 2005-01-26 2005-01-26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40B1 (ko) * 2008-07-07 2011-03-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6491C1 (ru) * 2012-08-20 2013-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афарм"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лового влечения (либидо) у мужчин путем примен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добавки к пище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лового влечения (либидо) у мужчи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212A (ko) * 2002-05-10 2004-12-03 인데나 에스피아 남성과 여성의 발기불능 치료에 유용한 제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212A (ko) * 2002-05-10 2004-12-03 인데나 에스피아 남성과 여성의 발기불능 치료에 유용한 제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무총리실 최종보고서, 국산 식품소재 및 생약재를 활용한 강정용 건강식품 개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2000. 09. 31 *
고려인삼학회지 20(2), 125-132(199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40B1 (ko) * 2008-07-07 2011-03-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14A (ko)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4208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и выделенных из него сапонинов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60275520A1 (en) White peony extract for improving the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EP3017821B1 (e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CN107853517B (zh) 一种提神抗疲劳的中药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660116B1 (ko)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92931B1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85562B1 (ko)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용 생약조성물
KR101385657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CN113456778A (zh) 一种提升能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113593B1 (ko) 홍삼, 천마 및 하수오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420270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2501A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1816708B (zh) 治疗风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126839A (ko)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8136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6474039B (zh) 一种激发人体潜能提高男性性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835555B1 (ko) 기능성 초콜릿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069692A1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240133076A (ko) 산조인, 대조, 맥아, 감초, 당귀 및 비트의 생약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99895B1 (ko)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