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40B1 -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40B1
KR101019340B1 KR1020080065350A KR20080065350A KR101019340B1 KR 101019340 B1 KR101019340 B1 KR 101019340B1 KR 1020080065350 A KR1020080065350 A KR 1020080065350A KR 20080065350 A KR20080065350 A KR 20080065350A KR 101019340 B1 KR101019340 B1 KR 10101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kbunja
penis
corpus cavernosum
tension
phenylep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353A (ko
Inventor
박종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3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4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은, 동물의 음경 전체를 분리하여 요도를 제거한 후 백막을 보유한 음경 해면체를 음경 용기 내에 설치하는 단계; 영양액의 온도 및 함유 산소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로 공급하는 단계; 복분자를 냉동건조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복분자 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경 해면체에 Phenyleprine를 투여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를 수축시킨 후,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축된 음경 해면체에 상기 복분자 액을 농도를 증가시키며 투입하고, 각 농도의 복분자 액 투입 후 마다 상기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분자, 효능, 확인방법, Phenyleprine, 장력, cyclic AMP

Description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a confirmation method for effectiveness of Rubus coreanus concerning}
본 발명은, 복분자 효과 확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발기능력에 대한 복분자의 효능을 확인하는 실험방법에 대한 것이다.
복분자는 장미과의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채 익지 않은 열매로 만든 약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신 기능을 북돋아 유정, 몽정, 유노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시력 약화에도 쓰이고 몸을 가볍게 하고 머리를 검게하며 살결은 부드럽게 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염작용, 항산화 작용,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작용 및 성기능 개선작용, 야뇨증, 전립선 질환, 남성 호르몬 증가를 일으킨다고 보고된 바 있지만 이를 실험적으로 확실하게 밝히지는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복분자의 발기 능력 개선 작용의 확인 및 이를 위한 실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은, 동물의 음경 전체를 분리하여 요도를 제거한 후 백막을 보유한 음경 해면체를 음경 용기 내에 설치하는 단계; 영양액의 온도 및 함유 산소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로 공급하는 단계; 복분자를 냉동건조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복분자 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경 해면체에 Phenyleprine를 투여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를 수축시킨 후,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축된 음경 해면체에 상기 복분자 액을 농도를 증가시키며 투입하고, 각 농도의 복분자 액 투입 후 마다 상기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여된 상기 Phenyleprine의 양은 10 마이크로 몰이고, 투여된 상기 복분자 액의 농도는 1mg/㎖, 3mg/㎖, 10mg/㎖ 및 30m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시된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은, 동물의 음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경을 체온과 같은 실험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음경에 Phenyleprine를 투여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를 수축시킨 후, cyclic AMP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축된 음경에 상기 복분자 액을 농도를 증가시키며 투입하고, 각 농도의 복분자 액 투입 후 마다 상기 음경의 cyclic AMP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은, 지금까지 경험적으로만 보고되어 왔던 복분자의 발기 능력 개선 효능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고 저렴한 실험도구들만을 이용하여 복분자의 효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첫 번째 실험]
도 1은, 복분자 효능을 실험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먼저 2.8 내지 3.2 kg 정도의 뉴질랜드산 백색 가토의 음경 전체를 골 반경으로부터 분리한 후, 요도를 제거하고 백막을 보유한 음경 해면체(12)를 음경용기(10) 내에 설치한다(S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경용기(10)는 하단에 구멍이 있어 음경 해면체(12)에서 떨어지는 액체를 용기 밖의 수집용기(42)에 포집되도록 한다. 음경해면체는 음경 해면체 내부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와이어(19)를 통해 장력측정기(18)와 연결되어 있으며, 영양액이나 복분자 액을 음경 해면체(12)로 주입하기 위한 두 개의 관(14,1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d음경을 담은 음경용기(perfusion chamber, 10)는 히터(20)와 관(21)에 의해 연결되 어 있으며, 히터(2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물의 순환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
음경 해면체(12)에 영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28)가 구동되면, 영양액 보관용기(30)에 담긴 영양액은 두 개의 관(14,16)을 통해 펌프(28)를 지나 보온용기(38) 및 산소 공급용기(32)를 통과한 후, 음경 해면체(12) 내부로 공급된다(S2).
보온용기(38)는 음경 해면체(12)로 공급되는 영양액이나 복분자 액의 온도를 음경 해면세(12)의 온도(체온과 동일)에 맞게 조절해 주도록, 히터(20)와 관(25)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보온용기(38) 내부는 항상 일정 온도로 조절되며, 음경 해면체(12)에 공급되는 영양액의 온도도 두 개의 관(14,16)이 보온용기(38)를 지나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온용기(38)를 통과하면서 조절된다. 또한, 보온용기(38)와 음경 용기(12)는 관(17)에 의해 서로 연통 되어 있다. 이는 음경 용기(12)와 보온용기(38)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산소 공급용기(32)는 산소통(34)과 관(36)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산소통(34)으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내부에 항상 산소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관(14,16)이 이러한 산소공급용기(32) 내부를 지나면서 영양액이 산소를 공급받는다.
그런 다음, Rubus coreanus 추출물 (복분자를 냉동건조시킨 후, 이를 갈아서 원심분리시켜 실험에 사용 될 수 있도록 준비된 추출물)을 Heepes buffer로 녹여 투여 준비한다(S3).
그런 다음,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을 두 개의 관(14,16) 중 하나의 관(16)을 통해 관류시켜 음경해면체(12)에 공급하면, 음경 해면체는 Phenyleprine에 의해 수축된다(S4). 이렇게 수축된 음경 해면체(12)의 장력을 장력 측정기(18)에서 측정한다(S4).
그런 다음, 관(16)을 통해 복분자 액을 관류시킨다. 먼저 1mg/㎖ 농도의 복분자 액을 공급한 후 장력측정기(18)에서 음경 해면체(12)의 장력을 측정하고, 그런 다음 3mg/㎖ 농도의 복분자 액을 공급한 후 장력을 측정하고, 그런 다음 10mg/㎖ 농도의 복분자 액을 공급한 후 장력을 측정하고, 그런 다음 30mg/㎖ 농도의 복분자 액을 공급한 후 장력을 측정한다(S5).
이러한 실험을 여러 번 반복하여 측정된 장력의 변화는 아래와 같다.
투여 용액 측정된 장력 범위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 18.34±3.88g
복분자 농도 1mg/㎖ 17.7±3.68g
복분자 농도 3mg/㎖ 16.14±3.25g
복분자 농도 10mg/㎖ 13.24±2.63g
복분자 농도 30mg/㎖ 8.55±1.77g
도 3은, 위와 같이 측정된 장력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y축이 장력을 나타내고, x축은 음경 해면체(12)에 투여된 물질 및 농도를 나타낸다. 즉, A는 영양액만 공급되던 처음 상태이고, B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이 투여된 상태를, C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농도 1mg/㎖ 복분자 액이 투여된 상태를, D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농도+ 농도 3mg/㎖ 복분자 액이 투여된 상태를, E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농도 10mg/㎖ 복분자 액이 투여된 상태를, F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농도 30mg/㎖ 복분자 액이 투여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음경 해면체는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이 투여되면 음경 해면체(12)는 급격이 수축되어 내부 장력이 상승하였다가, 복 분자 액을 투여하면 수축되어 있던 음경 해면체(12)가 이완되면서 장력이 줄어든다. 투입되는 복분자 액의 농도를 점차 높여갈수록 음경 해면체(12)의 이완되는 양이 늘어나 장력이 더욱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완은 혈관으로 혈액을 많이 넣어 보내는 것으로 토끼 음경이 발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토끼 음경의 발기 능력은 복분자 액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복분자가 토끼 음경 해면체(12)에 직접 작용하여 발기 능력을 개선 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투여된 상기 복분자 액의 농도는 1-30 mg/ml 이내의 범위에서 단계적 증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실험]
본 발명의 복 분자 효능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추가적인 실험으로 더욱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토끼 음경의 피부와 요도를 절개-제거하여 음경을 준비한 후(S6), 실험용기(perfusion chamber)에 집어 넣는다(S7).
그런 다음,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이 포함된 영양액을 분리된 음경에 투입하여 음경을 수축시킨 후 음경을 통과하여 나온 영양액에서 cyclic AMP(cAMP)양을 측정한다(S8).
그런 다음,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과 농도 1, 3, 10 mg/㎖ 복분자액이 포함된 영양액을 순차적으로 투여한 후, 음경 내부세포에서 유리된 cyclic AMP(cAMP) 양을 측정한다(S9). 많은 횟수를 반복하여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투여 용액 측정된 cAMP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 1067.68±72.75 fmol/㎖
복분자 농도 1mg/㎖ 1634.8±267.75 fmol/㎖
복분자 농도 3mg/㎖ 1591.31±316 fmol/㎖
복분자 농도 10mg/㎖ 1121.84±214.42 fmol/㎖
도 5는, 위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험으로, 복분자 액을 투입함으로써, cAMP의 양이 초기 Phenyleprine 10 마이크로 몰(micro mole)을 투여한 때 보다 상당히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분자가 토끼 음경 세포의 이완 즉, 발기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장력의 경우와는 달리 복분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AMP의 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는다.
여기서도, 투여된 상기 복분자 액의 농도는 1-30 mg/ml 이내의 범위에서 단계적 증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분자 효능을 실험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첫 번째 실험 결과로서, 음경 해면체에 투여된 복분자 액의 농도와 음경 해면체의 장력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번째 실험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두 번째 실험 결과로서, 음경에 투여된 복분자 액의 농도와 음경 내부의 cyclic AMP 양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동물의 음경 전체를 분리하여 요도를 제거한 후 백막을 보유한 음경 해면체를 음경 용기 내에 설치하는 단계;
    영약액 보관용기에 담긴 영약액이 보온용기를 거치면서 체온과 동일하게 온도가 조절되고 산소공급용기를 거치면서 산소를 공급받은 후 상기 음경 해면체로 공급되는 단계;
    복분자를 냉동건조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복분자 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경 해면체에 10 마이크로 몰의 Phenyleprine를 투여하여 상기 음경 해면체를 수축시킨 후,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축된 음경 해면체에 상기 복분자 액을 농도를 1mg/㎖, 3mg/㎖, 10mg/㎖ 및 30mg/㎖로 증가시키며 투입하고, 각 농도의 복분자 액 투입 후 마다 상기 음경 해면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물의 음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경을 체온과 같은 실험용기에 넣는 단계;
    10 마이크로 몰의 Phenyleprine이 포함된 영양액을 상기 음경에 투입하여 상기 음경을 수축시킨 후 상기 음경을 통과하여 나온 상기 영양액에서 cyclic AMP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10 마이크로 몰의 Phenyleprine과 농도 1mg/㎖, 3mg/㎖ 및 10mg/㎖ 복분자액이 포함된 영양액을 순차적으로 투여한 후, 상기 음경의 내부세포에서 유리된 cyclic AMP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65350A 2008-07-07 2008-07-07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KR10101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50A KR101019340B1 (ko) 2008-07-07 2008-07-07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50A KR101019340B1 (ko) 2008-07-07 2008-07-07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53A KR20100005353A (ko) 2010-01-15
KR101019340B1 true KR101019340B1 (ko) 2011-03-07

Family

ID=4181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50A KR101019340B1 (ko) 2008-07-07 2008-07-07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329B1 (ko) 1999-06-17 2003-08-09 북경동방백오의약개발유한공사 성기능장애 및 혈관계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559493B1 (ko) * 2005-10-31 2006-03-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제
KR100660116B1 (ko) * 2005-01-26 2006-12-20 (주)포메디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796005B1 (ko) 2006-07-10 2008-01-21 (주)유라팜 시르시마린 또는 시르시마리틴을 함유하는 혈관 평활근이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329B1 (ko) 1999-06-17 2003-08-09 북경동방백오의약개발유한공사 성기능장애 및 혈관계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60116B1 (ko) * 2005-01-26 2006-12-20 (주)포메디 홍삼 및 대두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한방 제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59493B1 (ko) * 2005-10-31 2006-03-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제
KR100796005B1 (ko) 2006-07-10 2008-01-21 (주)유라팜 시르시마린 또는 시르시마리틴을 함유하는 혈관 평활근이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53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bianes et al. Response of the 1–5 day-aged ovine corpus luteum to prostaglandin F2α
Kendrick et al. Cerebrospinal fluid levels of acetylcholinesterase, monoamines and oxytocin during labour, parturition, vaginocervical stimulation, lamb separation and suckling in sheep
Serrats et al. Dual roles for perivascular macrophages in immune-to-brain signaling
Coppen et al. Tryptamine metabolism in depression
Forsling Diurnal rhythms in neurohypophysial function
Toivola et al. Central α-adrenergic regulation of growth hormone and insulin
US1133793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Kendrick et al. The role of oxytocin release in the mediobasal hypothalamus of the sheep in relation to female sexual receptivity
KR101019340B1 (ko) 복분자 효능 확인 방법
Wu et al. Infiltrating T helper 17 cell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are pathogenic for stress-induced hypertension
Guntern et al. An improved immunohistostaining procedure for peptides in human brain
Jimoh et al. Pulsed FSH release from an implantable capsule system
KR20100005352A (ko) 복분자 효능 확인을 위한 복분자 조성물
CN104586877A (zh) 含壳寡糖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Schumacher et al. Light-dark differences in behavioral sensitivity to oxytocin.
Liu et al. Prior antagonism of endothelin-1A receptors alleviates circulatory shock and cerebral ischemia during rat heatstroke
CN110179975B (zh) 植物油疫苗佐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579356B (zh) 一种注射用盐酸戊乙奎醚粉针剂的制备方法
CN100558366C (zh) 寡糖酯在制备抗抑郁的药物中的用途
Jo et al. Evaluation of stress-related behavioral and biological activity of Ocimum sanctum extract in rats
CN109498616A (zh) Egcg在制备改善肝脏炎症及胰岛素抵抗药物中的应用
RU2008136224A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антиглаукомной операции с помощью дренажа ахмеда
RU701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ассоперенос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через интерстиций
TWI555755B (zh) 青心烏龍茶萃取化合物及其做為飢餓素受體促效劑之應用
Maxwell et al. Precocious puberty following head injury: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