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469A -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469A
KR20090025469A KR1020070090347A KR20070090347A KR20090025469A KR 20090025469 A KR20090025469 A KR 20090025469A KR 1020070090347 A KR1020070090347 A KR 1020070090347A KR 20070090347 A KR20070090347 A KR 20070090347A KR 20090025469 A KR20090025469 A KR 2009002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x
extract
inflammatory diseas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노
조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생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469A/ko
Publication of KR2009002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염증관련 효소인 COX-1과 COX-2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증제 또는 통증 완화용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천마 추출물, COX-1, COX-2, 염증성 질환, 통증 완화

Description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or the alleviation of pain containing extract of gastrodia elata}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은 즉각적인 세포 환경에서 무수한 생리학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분비 및 자가분비 매개체 모두의 역할을 하는 유비쿼터스 호르몬이다. PG는 류마티스관절염 및 골관절염, 혈압억제, 혈소판응집, 분만유도, 통증 및 열의 악화와 같은 염증성 반응에 다양한 생리학적 영향을 미친다.
염증성 질환이란 세균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염증을 유발하는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프로스타글란딘엔도퍼옥시드 신타아제, EC 1.14.991, COX)는 아라키돈산에서 프로스타글란딘 H2(PGH2)으로의 대사작용의 속도제한단계를 촉매작용하고, PGH2는 더 대사작용하여 다양한 프로스트글란딘, 프로스타시클린 및 트롬복산 A2로 변화한다. 1990년대 초반에, COX가 일반적으로 COX-1 및 COX-2의 두가지 이성질형(isoform)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진 바 있다. 그 후에 COX-1 및 COX-2 단백질이 조류 및 포유류가 되기 전에 완전히 분기된 별개의 유전자로부터 유도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COX-1 및 COX-2 경로를 통하여 생성된 PG는 동일한 분자이며, 따라서 동일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진다. 실제로 상술한 두 단백질이 완전히 다른 생물학적 반응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COX-1은 염증부위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인체 여러 장기와 조직, 즉, 위장관 또는 신장 등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물질을 생성하는 데에도 관여하고, COX-2는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아스피린(aspirin), 이브프로펜(ibuprofen)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COX-1과 COX-2를 동시에 억제하거나 주로 COX-1을 억제한다.
COX에 의해 PG의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통증 및 염증의 조절에서 중요한 약물이 되고 있다. 총괄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로 알려져 있다. NSAIDs의 용도는, 특히 아스피린에서, 심장혈관병의 예방으로 확장되어 왔다. 지난 10년 동안, COX-2의 효소 활성의 직접적인 억제제인 새로운 화합물이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도 위의 염증을 덜 일으키리라는 추론과 함께, 개발하는 데 상당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염증성 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급성 만성 염증질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관절염의 원인은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화농성, 염증성 관절염 등 몇 가지 질환을 제외하고는 정확하게 밝혀있지는 않은데,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같은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오면 유사분자구조를 가진 유전인자에 의해 면역반응이 발생하여,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그 결과로 염증을 발생하며 특히 관절 내에서 관절염이 유발된다. 또한, 관절염유발요인으로는 사람 개개인의 유전인 선천적 요인도 주요요인으로 강직성 척추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질병 특이유전자가 발견되었다. 그 외 외부의 자극이나 스트레스 혹은 물리적인 상처 등에 의한 연골파괴도 관절염 발생에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절조직에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면역세포인 백혈구의 수치가 증가하고, 백혈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TNF-α, 프로스타글란딘 E2 등 염증유발 인자를 생성 분비하여 관절의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각종 독성, 연골 등 관절조직을 파괴하는 물질을 생성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관절염을 악화시킨다. 이에 반해 염증반응을 종결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프로스타글란딘 D2가 증가하면 후기 염증반응을 조속히 종결한다.
한편, 천마(天麻: Gastrodia elata)는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뿌리는 참마 또는 산약으로 불리운다. 키 30∼100 ㎝ 정도의 외줄기로 곧게 자 라며, 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져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 월에 싹이 나서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다. 참나무 뿌리가 삭은 곳에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이라 불리우며, 특히 두통, 중풍, 불면증, 고혈압, 우울증 같은 두뇌의 질환에 뚜렷한 효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 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뛰어난 효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마는 디아스타제가 풍부하여 소화기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나타내며, 천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끼쳐 동맥경화증을 개선시켜줄뿐만 아니라 숙면을 유도하기도 하며, 심장 수축력 강화, 모세혈관의 확장을 도모하며, 특히 정력 증강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마 추출물이 염증관련 효소인 COX-1과 COX-2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 및 통증 완화에 유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천마 추출물은 천마 뿌리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천마 뿌리 건조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추출액을 여과하고, 이를 다시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마 추출물에 대하여 COX-1 및 COX-2 억제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천마 추출물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에 비하여 COX-1 활성 억제 정도가 약 150 배 약하게 나타났으며, COX-2 활성억제 정도는 약 6 배 낮 았다. 그러나, COX-2/COX-1 비는 인도메타신이 55.6이고 천마 추출물은 2.38로 나타남으로써, 인도메타신은 COX-1에 대하여 더 선택적으로 활성을 억제하는 반면, 천마 추출물은 COX-2와 COX-1에 대하여 비슷한 정도로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참조).
프로스타글란딘 E2와 프로스타글란딘 D2는 사이클로옥시지나제-2(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생성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2은 염증과 통증, 관절조직의 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연골조직 퇴화,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시키고 관절활액의 섬유화를 증가시켜 관절의 염증과 통증을 악화시킨다(Morgan et al., Arthritis Rheum, 2004. 50(5): p.1642-9.). 반면에 프로스타글란딘 D2는 프라스타글란딘 J2의 전구물질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을 조기에 종결지어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타겟 물질이다(Gilroy et al, Nat Med, 1999. 5(6): p. 698-701).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COX-1 및 COX-2를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조기에 종결시키는 항염증제 및 통증 완화용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증성 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의 제제화법으로 제형화하여 정제, 연질캅셀, 주사제, 연고제, 경피투여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람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낭(ovules)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해면체내, 근육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을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제로도 제조가 가능한 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글리세린, 메틸 파라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포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을 함유한 프라스타 제형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 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투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평균 몸무게가 70 ㎏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할 때 정제, 연질캅셀 등으로 제형화하여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주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연고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30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경피투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50 ∼ 12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된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추출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통증 완화용 건강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통증 완화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 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염증관련 효소인 COX-1과 COX-2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증제 또는 통증 완화용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마 추출물의 제조
천마 20 g을 에탄올 1 ℓ에 넣고 실온에서 24 시간 진탕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Whatman No.2)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1차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잔사를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1차 및 2차 추출액을 모두 혼합한 후 회전 감압농축기로 상기 혼합 추출액을 농축, 건조하여 천마 추출물의 고형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천마 추출물의 COX-1 및 COX-2 활성 억제 측정
세 개의 웰(well)에 어세이 버퍼(assay buffer, 160 μl)와 헴(heme, 10 μl)을 넣어 백그라운드 웰(Background Wells)을 준비하고, 다른 세 개의 웰에 어세이 버퍼(assay buffer, 150 μl), 헴(heme, 10 μl) 및 COX-1 또는 COX-2 효소(10 μl)를 넣어 100% 이니셜 액티비티 웰(initial activity Wells)을 준비하였다. 또한, 세 개의 웰에 어세이 버퍼(assay buffer, 150 μl), 헴(heme, 10 μl) 및 COX-1 또는 COX-2 효소(10 μl)를 넣어 저해제 웰(Inhibitor Wells)를 준비하였다. 저해제 웰에 천마 추출물(최종농도 4, 6 및 16 ppm의 농도) 10 μl를 첨가하였다. 이때, 100% 이니셜 액티비티 웰 및 백그라운드 웰에는 저해제를 녹인 용매 10 μl 를 첨가하였다. 몇 초 동안 플레이트를 흔들어 혼합하고 25 ℃에서 5 분간 배양한 후, 비색 기질 용액(colorimetric substrate solution) 20 μl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아라키돈산 20 μl를 모든 웰에 첨가하고 몇 초 동안 흔들어 혼합하고 25 ℃에서 5 분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웰에 대하여 59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시 샘플은 물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하였다. 천마 추출물에 대한 대조약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알려진 인도메타신(Indomethacine)을 사용하였는데 그 최종농도는 0.02, 0.04 및 0.08 μM(COX-1)이고, 1, 2 및 4 μM(COX-2)이다. 모든 흡광도 값은 평균화하고, 100% 이니셜 액티비티 웰 및 백그라운드 웰로부터 백그라운드 웰의 흡광도 값을 뺀다.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64782491-PAT00001
각 샘플에 대한 각각의 농도에서 COX-1과 COX-2의 활성억제 효과를 샘플이 들어있지 않을 때의 활성을 100%로 하여 50%를 억제하는 농도(IC50)로 표 1에 나타내었다.
IC50 ppm(μM) IC50 ppm(μM) IC50(COX-2)/IC50(COX-1)
효소 COX-1 COX-2
천마 추출물 5.64 13.4 2.38
인도메타신 0.039(0.11) 2.17(6.1) 55.6(57)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마 추출물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에 비하여 COX-1 활성 억제 정도가 약 150 배 약하게 나타났으며, COX-2 활성억제 정도는 약 6 배 낮았다. 그러나, COX-2/COX-1 비는 인도메타신이 55.6이고 천마 추출물은 2.38로 나타남으로써, 인도메타신은 COX-1 에 대하여 더 선택적으로 활성을 억제하는 반면, 천마 추출물은 COX-2와 COX-1에 대하여 비슷한 정도로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제 및 통증 완화제로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2 g
-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 ㎍/㎖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천마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천마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천마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 곡물류(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 종실류(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
- 영지(0.5 중량%),
- 지황(0.5 중량%)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3-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구연산 0.05 ~ 0.3%, 카라멜 0.005 ~ 0.02%, 비타민 C 0.1 ~ 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 ~ 98 ℃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주입하여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3-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천마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3. 야채쥬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4. 과일쥬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건염, 건막염, 류마티스 열, 루프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천식, 아토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의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70090347A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25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47A KR20090025469A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47A KR20090025469A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69A true KR20090025469A (ko) 2009-03-11

Family

ID=4069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47A KR20090025469A (ko) 2007-09-06 2007-09-06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46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534A1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바이로메드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6955B1 (ko) * 2011-03-24 2013-09-09 서범구 한약재와 선옥균을 발효시킨 식품첨가제용 조성물
KR20150067435A (ko) * 2013-12-10 2015-06-1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염에 효능이 있는 마황부자세신 조성물
WO2016017840A1 (ko) * 2014-07-31 2016-02-04 안국약품 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1693439B1 (ko) 2015-10-06 2017-01-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타격수 및 타격에너지 조절이 가능한 유압브레이커
KR20180108286A (ko) 2017-03-24 2018-10-04 (주) 한국레저마케팅 연옥분말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겔 조성물
KR20200081553A (ko) 2018-12-27 2020-07-08 한국콜마주식회사 진해거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2184A (ko) * 2019-01-24 2020-08-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마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장상피세포 이동 및 상처 회복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55B1 (ko) * 2011-03-24 2013-09-09 서범구 한약재와 선옥균을 발효시킨 식품첨가제용 조성물
WO2013115534A1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바이로메드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7435A (ko) * 2013-12-10 2015-06-1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염에 효능이 있는 마황부자세신 조성물
WO2016017840A1 (ko) * 2014-07-31 2016-02-04 안국약품 주식회사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1693439B1 (ko) 2015-10-06 2017-01-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타격수 및 타격에너지 조절이 가능한 유압브레이커
KR20180108286A (ko) 2017-03-24 2018-10-04 (주) 한국레저마케팅 연옥분말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겔 조성물
KR20200081553A (ko) 2018-12-27 2020-07-08 한국콜마주식회사 진해거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2184A (ko) * 2019-01-24 2020-08-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마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장상피세포 이동 및 상처 회복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8309B1 (ko)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7521A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8526B1 (ko) Cape, 퀘르세틴 및 크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용 조성물
KR100902368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010200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용조성물
KR101695507B1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09771B1 (ko)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1545A (ko) 오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66075A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5070B1 (ko) 펠리누스린테우스 균사체 및 천마 혼합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25825B1 (ko) 미나리 유기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61793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1060198B1 (ko) 조뱅이(소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