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2821A1 -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2821A1
WO2021132821A1 PCT/KR2020/008597 KR2020008597W WO2021132821A1 WO 2021132821 A1 WO2021132821 A1 WO 2021132821A1 KR 2020008597 W KR2020008597 W KR 2020008597W WO 2021132821 A1 WO2021132821 A1 WO 20211328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tatic magnetic
mold
field generator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5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상우
박인범
조현진
이승재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CN20208006013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286728A/zh
Priority to JP2022513839A priority patent/JP7305881B2/ja
Priority to US17/628,463 priority patent/US20220258227A1/en
Priority to EP20904328.0A priority patent/EP4082690A4/en
Publication of WO20211328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28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mould osc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을 이용하여 몰드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 및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용기 내에 수용된 용융물의 유동을 국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의 청정도를 확보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본 발명은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여 용융물의 청정도를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은 일정한 내부 형상을 갖는 몰드에 용강을 주입하고, 몰드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몰드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 블룸, 빌렛, 빔 블랭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주편의 표면 품질 및 내부 품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주편의 표면 품질은 몰드 내 용강의 유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연속주조공정에서 침지 노즐을 이용하여 몰드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경우, 침지 노즐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용융물은 제트류를 형성하며 몰드의 폭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몰드의 폭방향으로 유동하는 용융물은 몰드의 내면, 예컨대 단변 플레이트의 내면에 충돌하여 일부는 상승류를 형성하고, 일부는 하향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류는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몰드의 중심부, 예컨대 침지 노즐이 설치된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몰드의 중심부 쪽으로 이동한 용융물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이동하는 용융물 및 침지 노즐과 충돌하여 침지 노즐 주변의 탕면 근처에서 와류(vortex)를 형성하여 탕면의 유동을 불안정하게 한다. 이때, 상승류의 유속이 빠를수록 용융물의 탕면 유동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용융물의 탕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몰드 슬래그나 몰드 플럭스 등과 같은 이종의 물질이 용융물 중으로 혼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향류는 몰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하향 유동하다가 몰드의 중심부에서 상승하는 2차 상승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용강에 함유된 개재물들은 하향류를 따라 주조 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2차 상승류를 따라 부상되어 몰드 슬래그나 몰드 플럭스로 유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런데 하향류의 유속에 따라 개재물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고, 하향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개재물이 응고셀에 침투되어 이후 제조된 주편의 표면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몰드에 자기장 발생기를 설치하여 몰드 내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용강의 탕면 부근에서 상승류를 제어하여 용강 중으로 몰드 플럭스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침지 노즐의 하부에서 하향류를 제어함으로써 개재물의 이동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주편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런데 하향류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하향류에 의해 발생하는 2차 상승류의 형성도 억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향류를 따라 주조 방향으로 이동한 개재물이 제대로 부상되지 않고 용강 중에 잔류하여 여전히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KR10-1176816 B
(선행문헌 2) JP4411945 B
본 발명은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물 중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고, 용융물 중으로 이종의 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는,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설비로서,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몰드; 상기 몰드에 상기 용융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몰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즐;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몰드의 폭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정자장 발생부; 및 상기 정자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장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장변 플레이트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장 발생부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제1전류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 각각은,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측에 감겨지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는,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사이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사이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4정자장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류 공급기는,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서로 반대 극성을 형성하고,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서로 반대 극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는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는 제2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편의 전체 폭을 100이라 할 때,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는 4 내지 36일 수 있다.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 코어; 및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자장 발생부는 상기 몰드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자장 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 자장을 형성할 수 있는 이동 자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 자장의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동 자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자장 발생부는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이동 자장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자장 발생기는 정자장 발생기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상기 정자장 발생기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은, 노즐을 이용하여 몰드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 및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을 주입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의 양쪽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보다 하부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과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정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자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정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이 배치되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의 일부에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0 내지 100Gauss의 자기장을 갖도록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의 범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의 폭에 따라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용융물의 하향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 사이에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용융물의 상승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 인가 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의 탕면과 상기 노즐의 하단 사이에 이동 자장 인가 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자장의 자기장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기 내에 수용된 용융물의 유동을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중에 함유되는 개재물이 용융물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상측으로 부상을 용이하게 하여 개재물에 의한 제품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하여,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에 몰드 플럭스나 몰드 슬래그 등과 같은 이종의 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융물의 청정도를 확보하여 용융물의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
도 3은 정자장 발생부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미인가 영역 형성 여부에 따른 몰드 내 2차 상승류의 유동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
도 8은 이동 자장 발생부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는,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몰드(100)와, 몰드(100)에 용융물을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몰드(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노즐(130)과,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몰드(100)의 폭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정자장 발생부(200) 및 정자장 발생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100)는 내부에 용융물, 예컨대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플레이트(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플레이트(110, 120)는 장변 플레이트(110)와 단변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변 플레이트(110), 예컨대 제1장변 플레이트(111)와 제2장변 플레이트(1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단변 플레이트(120), 예컨대 제1단변 플레이트(121)와 제2단변 플레이트(123)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와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몰드(100)의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될 수 있고, 장변 플레이트(110)와 단변 플레이트(120)는 접촉 부위로 용융물이 유출되지 않게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장변 플레이트(110)의 수평방향 길이는 장변 플레이트(110) 폭이라 하고, 그 방향은 장변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이라 한다. 이때, 장변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은 몰드(100)의 폭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장변 플레이트(110)의 상하방향 길이는 장변 플레이트(110)의 길이라 하고, 그 방향은 장변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이라 한다. 이때, 장변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은 몰드(100)의 길이 방향 또는 주편의 인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변 플레이트(120)의 수평 방향 길이는 단변 플레이트(120)의 폭이라 하고, 그 방향은 단변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이라 한다. 이때, 단변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은 몰드(10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변 플레이트(110)와 단변 플레이트(120)의 내부에는 냉각 매체가 이동하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몰드(100)로 주입된 용융물은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냉각 매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용융물은 몰드(100)의 내면과 접촉하는 부분부터 응고되어 응고셀 또는 주편으로 주조되고, 몰드(100)의 하부로 인발될 수 있다.
노즐(130)은 몰드(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할 수 있다. 노즐(130)은 적어도 일부, 예컨대 하부가 몰드(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몰드(100) 상부에 구비되는 턴디시(미도시)에 수용된 용융물을 몰드(10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노즐(130)은 용융물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132)와, 용융물이 내공부에서 외측, 즉 몰드(100)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즐 몸체(13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되며, 내부에는 용융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134)는 몰드(100) 내부로 용융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 몸체(132)의 하부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예컨대 2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34)는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용융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단변 플레이트(120)와 대향하는 노즐 몸체(132)의 하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정자장 발생부(200)는 몰드(100)의 폭방향 외측에 구비되어 용융물에 자기장, 예컨대 정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정자장 발생부(200)는 노즐(130)의 하단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토출구(134)에 토출되는 용융물의 하향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자장 발생부(200)는 하향류가 형성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정자장 발생부(200)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정자장을 인가하여, 몰드(10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용융물의 하향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정자장은 자기장 발생기에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형성된 자기장으로, 자기장 영역에 있는 유체의 흐름이나 전체적인 거동을 억제함으로써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자장 발생부(200)에 의해 몰드(100)에 정자장이 인가되면, 정자장에 의해 하향류의 이동이 억제되고, 하향류의 유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방향으로 개재물의 이동 거리가 단축되어, 용융물 내에서 개재물의 침투 깊이가 저감될 수 있다.
종래에도 몰드에 정자장 발생부를 설치하여, 하향류를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경우, 몰드의 폭방향 전체를 따라 정자장을 인가하도록 몰드에 정자장 발생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하향류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정자장이 몰드의 폭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정자장에 의해 용융물의 유동이 억제되어 2차 상승류도 저감되어, 용융물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상측으로 부상시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자장 인가 영역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하향류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정자장 미인가 영역에서는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2차 상승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정자장 발생부(200)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 예컨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정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정자장 발생부(200)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고,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는 정자장 인가 영역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상쇄되는 영역, 즉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정자장 인가 영역에서 침투 깊이가 저감된 개재물이 정자장 미인가 영역에서 형성되는 2차 상승류에 의해 상측으로 쉽게 부상할 수 있으므로, 개재물에 의한 주편 표면의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정자장 발생부(200)는 정자장 인가 영역이 형성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서는 몰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향류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는 몰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2차 상승류의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2차 상승류가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자장 인가 영역은 정자장 발생부(200)에 의해 정자장 또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인가할 수 있을 정도의 세기의 정자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정자장 미인가 영역은 용융물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세기를 갖는 정자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거나, 정자장 또는 자기장이 전혀 인가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정자장 미인가 영역은 0 내지 100Gauss 정도의 정자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자장 발생부(200)는 노즐(130)의 하단보다 하부에서 장변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제1전류 공급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되도록,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되도록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4정자장 발생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의 이격 거리(D), 예컨대 제1거리와,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의 이격 거리(D), 예컨대 제2거리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정자기 미인가 영역이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거리와 제2거리는 주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폭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주편의 전체 폭을 100이라 할 때 제1거리와 제2거리는 4 내지 36 정도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주편의 전체 폭을 100이라 할 때 제1거리와 제2거리는 10 내지 25나, 15 내지 20 정도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거리와 제2거리가 제시된 범위보다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는 2차 상승류가 형성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에 2차 상승류가 거의 형성되지 않거나, 2차 상승류가 형성되더라도 비교적 좁은 영역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용융물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충분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제1거리와 제2거리가 제시된 범위보다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서 유속이 저감된 하향류가 몰드(100)의 중심부로 충분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2차 상승류의 유속도 저감되어 개재물을 상측으로 부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를 몰드(100)의 폭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주편의 폭에 따라 제1거리와 제2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용융물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1거리 및 제2거리는 주조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예컨대 주편의 폭이 1100㎜ 이하이고, 주조 속도가 0.7 내지 2.8m/min인 경우에는 제1거리와 제2거리를 50 내지 250㎜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폭이 1100 내지 1500㎜이고, 주조 속도가 0.7 내지 2.8m/min인 경우에는 제1거리와 제2거리를 100 내지 350㎜ 정도로 조절할 수 있고, 주편의 폭이 1500 내지 1900㎜이고, 주조 속도가 0.7 내지 2.8m/min인 경우에는 제1거리와 제2거리를 100 내지 500㎜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제1정자장 발생기(210)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일측에 치우쳐지도록 구비되고, 제2정자장 발생기(220)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이격되고,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타측에 치우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정자장 발생기(210)는 제1코어(212)와 제1코어(212)의 외측에 감겨지는 제1코일(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정자장 발생기(220)는 제2코어(222)와 제2코어(222)의 외측에 감겨지는 제2코일(2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몰드(100)의 일측 또는 장변 플레이트(110)의 일측은 제1단변 플레이트(121)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하고, 몰드(100)의 타측 또는 장변 플레이트(110)의 타측은 제2단변 플레이트(123)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몰드(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길이보다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폭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외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는 그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노즐(130)이 배치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코일(214)은 제1코어(212)의 외측에 제1코어(212)가 연장되는 방향, 예컨대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제2코일(224)은 제2코어(222)의 외측에 제2코어(222)가 연장되는 방향, 예컨대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제3정자장 발생기(230)는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타측에 치우쳐지도록 구비되고,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이격되고,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일측에 치우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정자장 발생기(230)는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대향하는 위치, 예컨대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고,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3정자장 발생기(230)는 제3코어(232)와 제3코어(232)의 외측에 감겨지는 제3코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제4코어(242)와 제4코어(242)의 외측에 감겨지는 제4코일(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코어(232)와 제4코어(242)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몰드(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코어(232)와 제4코어(242)는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폭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외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코어(232)와 제4코어(242)는 그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노즐(130)이 배치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코일(234)은 제3코어(232)의 외측에 제3코어(232)가 연장되는 방향인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제4코일(244)은 제4코어(242)의 외측에 제4코어(242)가 연장되는 방향인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제1전류 공급기(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전류 공급기(250)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전류 공급기(250)는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제1전류 공급기(250)는 자기장 방향이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전류 공급기(250)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 예컨대 노즐(130)의 양쪽에서 자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전류 공급기(250)는 몰드(100)의 일측에서 자기장 방향이 제1정자장 발생기(210)에서 제4정자장 발생기(240) 쪽으로 형성되고, 몰드(100)의 타측에서 자기장 방향이 제3정자장 발생기(230)에서 제2정자장 발생기(220) 쪽으로 형성되도록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제1전류 공급기(2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노즐(130)의 일측, 예컨대 몰드(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하고,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노즐(130)의 타측, 예컨대 몰드(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한다. 예컨대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은 제1방향이라 하고,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제3정자장 발생기(23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은 제2방향이라 한다. 이때,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코어(212), 제2코어(222), 제3코어(232) 및 제4코어(242)에서 몰드(100)와 마주보는 방향을 일측이라 하고, 몰드(10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은 타측이라 한다. 이에 제1전류 공급기(250)는 서로 마주보는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류 공급기(250)는 서로 마주보는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3코어(23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전류 공급기(250)는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2코어(22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제3코어(23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전류 공급기(250)는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3코어(232)의 일측이 N극을 갖고,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이 S극을 갖도록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류 공급기(250)에서 각각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 직류 전류를 형성하면, 각각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 정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서는 자기장 방향이 S극에서 N극 쪽으로 향하는 정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정자장 발생기(210)에서 발생하는 정자기장은 자기장 방향이 제1코어(212)의 타측에서 제1코어(212)일측을 향하고, 제4정자기장 발생기(240)에서 발생하는 정자기장은 자기장 방향이 제4코어(242)의 일측에서 제4코어(242)의 타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드(100)의 일측에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에서 제4정자장 발생기(240) 쪽, 예컨대 제1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정자장 발생기(230)에서 발생하는 정자기장은 자기장 방향이 제3코어(232)의 타측에서 제3코어(232)일측을 향하고, 제2정자기장 발생기(220)에서 발생하는 정자기장은 자기장 방향이 제2코어(222)의 일측에서 제2코어(22)의 타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드(100)의 일측에는 제3정자장 발생기(230)에서 제2정자장 발생기(220) 쪽, 예컨대 제2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방향은 제1정자장 발생기(210)에서 제4정자장 발생기(240) 쪽이고, 제2방향은 제3정자장 발생기(230)에서 제2정자장 발생기(220)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전류 공급기(250)에서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에 따라 제1방향과 제2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도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도 3은 정자장 발생부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노즐(130)을 이용하여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할 수 있다.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하기 이전에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노즐(130)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몰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면서, 주편을 인발할 수 있다. 이때,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하기 이전부터 수행될 수도 있고,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한 이후 수행될 수도 있으며, 몰드(100)에 용융물을 주입함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용융물의 유동은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류 공급기(250)를 통해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면,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 각각은 정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노즐(130)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3정자장 발생기(230)는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는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3코어(232)의 일측은 동일한 극성, 예컨대 N극을 형성하고,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은 동일한 극성, 예컨대 S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서 형성되는 정자장은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를 따라 S극에서 N극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게 된다. 이때,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 주변의 자기장도 S극에서 N극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게 되는데,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에 의해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은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 세기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서로 마주보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서 자기장이 상쇄되어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제3정자장 발생기(230) 사이에도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3코어(23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의 사이,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도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서 각각 발생되는 정자장 사이, 예컨대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심부 및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중심부에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 즉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하다는 것은 자기장 세기가 0 내지 100Gauss 이하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100)의 외측에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를 설치하여,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고,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는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자장 인가 영역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용융물의 하향류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정자장 미인가 영역에서는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2차 상승류를 원활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주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폭에 따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에 주편의 폭에 따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의 폭을 조절하여 2차 상승류를 원활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코어(212) 및 제2코어(222), 제3코어(232)와 제4코어(242)를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여,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미인가 영역과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미인가 영역과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주조 설비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를 제1연결 코어(272)로 연결하고,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를 제2연결 코어(274)로 서로 연결한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주조 설비와 거의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 코어(272)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의 제1코어(212)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의 제2코어(222)를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 코어(272)는 제1코어(212)의 타측과 제2코어(222)의 타측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몰드(100)를 구성하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 코어(274)는 제3정자장 발생기(230)의 제3코어(232)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의 제4코어(242)를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 코어(274)는 제3코어(232)의 타측과 제4코어(242)의 타측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몰드(100)를 구성하는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 코어(272)로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를 연결하고, 제2연결 코어(274)로 제3코어(232)와 제4코어(242)를 연결하고,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면,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 각각 정자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몰드(100)의 외측에서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정자장이 형성될 수 있고, 몰드(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정자장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코어(212)와 제3코어(232)의 일측에 S극이 형성되고,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에 N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정자장 발생기(210, 220, 230, 240)에서 형성되는 정자장은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를 따라 S극에서 N극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게 된다. 이때,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 주변의 자기장도 S극에서 N극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게 되는데,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에 의해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자기장 방향이 제4자기장 발생기(240)에서 제1자기장 발생기(210)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과, 제2자기장 발생기(220)에서 제3자기장 발생기(230)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은 각각의 코어(212, 222, 232, 242)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 세기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서로 마주보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서 자기장이 상쇄되어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1코어(212)의 일측과 제4코어(24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제3정자장 발생기(230) 사이에도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2코어(222)의 일측과 제3코어(232)의 일측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제2정자장 발생기(220)의 사이, 제3정자장 발생기(230)와 제4정자장 발생기(240) 사이에도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정자장 발생기(210), 제2정자장 발생기(220), 제3정자장 발생기(230) 및 제4정자장 발생기(240)에서 각각 발생되는 정자장 사이, 예컨대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심부 및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중심부에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거나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한 구간, 즉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코어(212)와 제2코어(222)를 연결하는 제1연결 코어(272)에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에서 제2정자기 발생기(220)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는 정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연결 코어(274)에는 제3정자기 발생기(230)에서 제4정자기 발생기(240) 쪽으로 향하는 자기장 방향을 갖는 정자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 코어(272)와 제2연결 코어(274)에 형성되는 정자장의 자기장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자장의 자기장 방향은 몰드(100)의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에 형성되는 정자장 사이에는 몰드(100)의 폭방향을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하거나 자기장이 없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양쪽에 형성되는 자기장 사이에는 몰드(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하거나 자기장이 없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몰드(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기장이 접하는 영역과, 폭 방향을 따라 자기장이 접하는 영역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 예컨대 몰드(100)의 중심부에 자기장 세기가 매우 약하거나 자기장이 없는 영역, 즉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하향류와 2차 상승류의 유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몰드(100) 내에서 용융물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몰드(100)의 폭방향 전체를 따라 정자장을 인가한 경우 용융물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의 (c)는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한 경우 용융물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노즐(130)의 토출구(134)를 통해 토출된 용융물(M)의 토출류는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몰드(100)의 양쪽 내면에 충돌한 후 상승류와 하향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MF는 몰드 플럭스를 의미하고, MS는 몰드 플럭스가 용해된 몰드 슬래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지 않은 경우, 하향류의 유속이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개재물의 이동 거리, 즉 침투 깊이가 매우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지 않기 때문에 2차 상승류가 원활하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용융물에 함유된 개재물이 하향류에 의해 몰드(100)의 길이 방향, 즉 주편의 인발 방향을 따라 멀리 이동하여 2차 상승류에 의해 상측으로 충분하게 부상되지 못해 다량의 개재물이 용융물에 그대로 잔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몰드(100)의 폭방향 전체를 따라 자기장을 인가하는 경우, 자기장에 의해 하향류의 유속이 저감되어 하측으로 개재물의 이동 거리가 짧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장에 의해 2차 상승류의 형성이 억제되어 2차 상승류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 하향류에 의해 몰드(100)의 길이 방향, 즉 주편의 인발 방향으로 이동한 개재물이 상측으로 부상되지 못하고 용융물 중에 그대로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정자장 발생부(200)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한 경우, 정자장 인가 영역인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양쪽에서는 하향류의 유속이 저감되어 하측으로 개재물의 이동 거리가 짧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자장 미인가 영역인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는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되어 2차 상승류가 충분하게 형성됨으로써 용융물에 함유된 개재물이 원활하게 상측으로 부상되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미인가 영역 형성 여부에 따른 몰드 내 2차 상승류의 유동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몰드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정자장을 인가한 경우 용융물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한 경우 용융물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몰드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정자장을 인가한 경우, 2차 상승류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b)를 참조하면,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한 경우, 정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2차 상승류가 원활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의 폭방향을 따라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몰드 내에서 용융물의 유동을 국부적으로 제어하여 용융물의 청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융물을 이용하여 주조된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는 정자장 발생부(200)의 상부에서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몰드(100)의 외측에서 정자장 발생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 자장 발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이동 자장의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이동 자장 발생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노즐(130)에서 토출되는 용융물의 일부는 단변 플레이트(120)에 충돌한 후 상향 이동하는 상승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승류는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 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몰드(100)의 폭방향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는 용융물의 흐름, 예컨대 수평 방향 흐름은 노즐(130) 및 그 반대 방향에서 이동해 오는 용융물의 흐름과 충돌하여 노즐(130) 부근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이 지나치게 빠른 경우, 용융물 상부의 몰드 플럭스나 몰드 슬래그 등과 같은 이종의 물질이 용융물에 혼입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이 지나치게 느린 경우에는 몰드(100) 내에서 용융물의 온도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자장 발생부(300)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용융물의 수평 방향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용융물 내부로 몰드 플럭스나 몰드 슬래그 등의 이종 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몰드(100) 내 용융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융물의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은 노즐(130)의 토출구(134)에 토출되는 용융물의 유속, 즉 토출류의 유속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동 자장 발생부(300)를 이용하여 토출류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 형성되는 용융물의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주조 설비의 단면도이다.
이동 자장 발생부(300)는 정자장 발생부(200)의 상부, 예컨대 용융물의 탕면과 노즐(13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정자장 발생부(200)와는 용융물의 유동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자장 발생부(300)는 적어도 장변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 330, 340)와, 복수의 이동 자장 발생기에 교류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전류 공급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 330, 340)는 제1정자장 발생기(210)의 상부에 제1정자장 발생기(21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정자장 발생기의 상부에 제2정자장 발생기(22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와,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정자장 발생기(230)의 상부에 제2정자장 발생기(23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와 사이에 노즐(130)이 배치되도록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4정자장 발생기(240)의 상부에 제4정자장 발생기(24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외측에 구비되어,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 인가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와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는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외측에 구비되어,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 인가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 각각은 복수 개의 코어와, 코어의 외측에 감겨지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 330, 340)는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각각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 330, 340)가 4개의 코어를 포함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는 몰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1번 코어(312a), 2번 코어(312b), 3번 코어(312c) 및 4번 코어(312d)와, 각각의 코어(312a, 312b, 312c, 312d)의 외측에 감겨지는 1번 코일(314a), 2번 코일(314b), 3번 코일(314c) 및 4번 코일(314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류 공급기(350)는 1번 코일(314a), 2번 코일(314b), 3번 코일(314c) 및 4번 코일(31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코일(314a, 314b, 314c, 314d)에 교류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류 공급기(350)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90°, 180° 및 270°도의 위상차에서 각각의 코일(314a, 314b, 314c, 314d)이 S극과 N극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의 코일(314a, 314b, 314c, 314d)에 코사인(cosine) 형태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1번 코일 2번 코일 3번 코일 4번 코일
S - N -
90° - S - N
180° N - S -
270° - N - S
표 1을 참조하면, 위상이 0°인 교류 전원이 1번 코일(314a)과 3번 코일(314c)에 공급되면, 1번 코일(314a)은 S극을 가지고, 3번 코일(314c)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위상이 90°인 교류 전원이 2번 코일(314b)과 4번 코일(314d)에 공급되면, 2번 코일(314b)은 S극을 가지고, 4번 코일(314d)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위상이 180°인 교류 전원이 1번 코일(314b)과 3번 코일(314d)에 공급되면, 1번 코일(314b)은 N극을 가지고, 3번 코일(314d)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상이 270°인 교류 전원이 2번 코일(314b)과 4번 코일(314d)에 공급되면, 2번 코일(314b)은 N극을 가지고, 4번 코일(314d)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코일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각각의 코일의 극성이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위상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에는 코일들이 배열된 방향, 다시 말해서 몰드(100)의 폭방향으로 자기장이 이동하는, 즉 이동 자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는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자장 인가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322a 내지 322d와 324a 내지 324d는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의 코어와 코일을 의미하고, 332a 내지 332d와 334a 내지 334d는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의 코어와 코일을 의미하며, 342a 내지 342d와 344a 내지 344d는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의 코어와 코일을 의미한다.
제2전류 공급기(350)는 자기장 방향이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도록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전류 공급기(350)는 몰드(100) 내에서 토출류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상승류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전류 공급기(350)는 자기장 방향이 토출류의 이동 방향과 유사한 수평 방향, 즉 몰드(1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류 공급기(350)는 각각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330, 340)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자장이 형성되도록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전류 공급기(350)는 제1장변 플레이트(111)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에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3방향의 이동 자장이 형성되고, 제2장변 플레이트(113)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와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4방향의 이동 자장이 형성되도록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3방향과 제4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제2전류 공급기(35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와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서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3방향의 이동 자장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와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에서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4방향의 이동 자장이 형성되도록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은 노즐(130)의 토출구(134)에서 토출되는 토출류의 유속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이동 자장 발생부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류의 유속이 지나치게 빠른 경우에는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 경우, 제2전류 공급기(350)는 토출류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자장이 형성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전류 공급기(350)는 이동 자장의 방향이 몰드(10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쪽으로 형성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130)의 토출구(134)에서 토출되서 형성되는 토출류의 유속이 감속되어 용융물의 탕면이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류의 유속이 지나치게 느린 경우에는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수평 방향 흐름의 유속이 저감될 수 된다. 이 경우, 제2전류 공급기(350)는 토출류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자장이 형성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전류 공급기(350)는 이동 자장의 방향이 몰드(100)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형성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130)의 토출구(134)에서 토출되서 형성되는 토출류의 유속이 가속되어 하향류, 상승류 및 2차 상승류 등과 같은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됨으로써 몰드(100) 내 용융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전류 공급기(350)는 몰드(1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이동 자장을 형성하도록 제1이동 자장 발생기(310), 제2이동 자장 발생기(320), 제3이동 자장 발생기(330) 및 제4이동 자장 발생기(34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동 자장을 형성하면, 용융물의 탕면 부근에서 용융물의 온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낮아진 경우, 용융물을 교반시켜 용융물 부근에서 용융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자기장의 방향, 즉 이동 자장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의 토출류 및 수평 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자기장 방향과 자기장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세기는 각각의 이동 자장 발생기(310, 320, 330, 340)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전류량 조절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 자장 발생부(300)를 이용하여 몰드(100) 내에서 용융물의 토출류 및 수평방향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의 탕면을 안정화시켜 용융물의 탕면 상부에 배치되는 몰드 슬래그나 몰드 플럭스 등과 같은 이종의 물질이 용융물로 혼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용융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융물에 몰드 플럭스나 몰드 슬래그 등과 같은 이종의 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융물의 청정도를 확보하여 용융물의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설비로서,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몰드;
    상기 몰드에 상기 용융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몰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즐;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몰드의 폭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정자장 발생부; 및
    상기 정자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장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장변 플레이트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장 발생부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제1전류 공급기;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 각각은,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측에 감겨지는 코일을 포함하는 주조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자장 발생기는,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사이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사이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4정자장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류 공급기는,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서로 반대 극성을 형성하고,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서로 반대 극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주조 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는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는 제2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주조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전체 폭을 100이라 할 때,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는 4 내지 36인 주조 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 및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조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2정자장 발생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 코어; 및
    상기 제3정자장 발생기와 상기 제4정자장 발생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코어;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9. 청구항 8 있어서,
    상기 정자장 발생부는 상기 몰드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주조 설비.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자장 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 자장을 형성할 수 있는 이동 자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 자장의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동 자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주조 설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장 발생부는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이동 자장 발생기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장 발생기는 정자장 발생기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상기 정자장 발생기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주조 설비.
  13. 노즐을 이용하여 몰드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정자장 인가 영역과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 및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을 주입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의 양쪽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보다 하부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과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정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자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정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이 배치되는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의 일부에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이 0 내지 100Gauss의 자기장을 갖도록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의 범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의 폭에 따라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부에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용융물의 하향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상기 정자장 인가 영역 사이에 상기 정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용융물의 상승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 인가 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주조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상기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의 탕면과 상기 노즐의 하단 사이에 이동 자장 인가 영역과 이동 자장 미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의 양쪽에서 상기 몰드의 폭방향으로 이동 자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장 인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자장의 자기장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PCT/KR2020/008597 2019-12-27 2020-07-01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WO20211328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60137.XA CN114286728A (zh) 2019-12-27 2020-07-01 铸造设备和铸造方法
JP2022513839A JP7305881B2 (ja) 2019-12-27 2020-07-01 鋳造設備及び鋳造方法
US17/628,463 US20220258227A1 (en) 2019-12-27 2020-07-01 Casting equipment and casting method
EP20904328.0A EP4082690A4 (en) 2019-12-27 2020-07-01 CASTING EQUIPMENT AND CASTING PROCE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35A KR102310701B1 (ko) 2019-12-27 2019-12-27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2019-0175835 2019-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821A1 true WO2021132821A1 (ko) 2021-07-01

Family

ID=7657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597 WO2021132821A1 (ko) 2019-12-27 2020-07-01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8227A1 (ko)
EP (1) EP4082690A4 (ko)
JP (1) JP7305881B2 (ko)
KR (1) KR102310701B1 (ko)
CN (1) CN114286728A (ko)
WO (1) WO20211328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146A1 (de) 2022-03-21 2023-09-27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Elektromagnetische rühr- und bremseinrichtung für eine kokille zur erzeugung von metallbramm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949A (ko) * 2000-07-10 2002-01-18 에모또 간지 금속의 연속 주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08055431A (ja) * 2006-08-29 2008-03-13 Jfe Steel Kk 鋼の連続鋳造方法
JP4411945B2 (ja) 2003-11-26 2010-0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極低炭素鋼のスラブ連続鋳造方法
KR101143827B1 (ko) * 2005-11-28 2012-05-09 로뗄렉 연속 주조 주형의 높이에 대해 전자기 교반 모드를조절하는 방법
KR101176816B1 (ko) 2009-11-10 2012-08-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1396734B1 (ko) * 2006-07-06 2014-05-19 에이비비 에이비 몰드안의 용융 강의 유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8144107A (ja) * 2017-03-03 2018-09-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連続鋳造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2458A (ja) * 1985-09-26 1987-04-03 Toshiba Corp 電磁撹拌方法
SE465306B (sv) * 1987-11-02 1991-08-26 Asea Ab Saett och anordning foer omroering i gjutstraeng
SE500745C2 (sv) * 1991-01-21 1994-08-22 Asea Brown Boveri Sätt och anordning vid gjutning i kokill
SE523157C2 (sv) * 1997-09-03 2004-03-30 Abb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styra metallflödet vid stränggjutning medelst elektromagnetiska fält
SE9703170D0 (sv) * 1997-09-03 1997-09-03 Asea Brown Boveri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styra metallflödet i en kokill för stränggjutning genom att applicera elektromagnetiska fält i ett flertal nivåer
FR2794042B1 (fr) * 1999-05-31 2001-08-24 Centre Nat Rech Scient Mesure de vitesse d'une coulee metallurgique
SE523881C2 (sv) * 2001-09-27 2004-05-25 Abb Ab Anordning samt förfarande för kontinuerlig gjutning
CN101259523B (zh) * 2008-04-18 2011-01-19 东北大学 控制连续铸造结晶器内金属液流动的电磁制动装置
JP5413277B2 (ja) * 2010-03-31 2014-0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CN106475537A (zh) * 2015-08-25 2017-03-0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搅拌区域可调的电磁搅拌装置及方法
CN108500228B (zh) * 2017-02-27 2020-09-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板坯连铸结晶器流场控制方法
EP3415251A1 (en) * 2017-06-16 2018-12-19 ABB Schweiz AG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JP7159630B2 (ja) * 2018-06-11 2022-10-25 日本製鉄株式会社 電磁撹拌方法、電磁撹拌装置及び鋳型設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949A (ko) * 2000-07-10 2002-01-18 에모또 간지 금속의 연속 주조 방법 및 그 장치
JP4411945B2 (ja) 2003-11-26 2010-0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極低炭素鋼のスラブ連続鋳造方法
KR101143827B1 (ko) * 2005-11-28 2012-05-09 로뗄렉 연속 주조 주형의 높이에 대해 전자기 교반 모드를조절하는 방법
KR101396734B1 (ko) * 2006-07-06 2014-05-19 에이비비 에이비 몰드안의 용융 강의 유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8055431A (ja) * 2006-08-29 2008-03-13 Jfe Steel Kk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176816B1 (ko) 2009-11-10 2012-08-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2018144107A (ja) * 2017-03-03 2018-09-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連続鋳造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82690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146A1 (de) 2022-03-21 2023-09-27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Elektromagnetische rühr- und bremseinrichtung für eine kokille zur erzeugung von metallbram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5965A (ja) 2022-11-01
JP7305881B2 (ja) 2023-07-10
CN114286728A (zh) 2022-04-05
KR20210083506A (ko) 2021-07-07
EP4082690A1 (en) 2022-11-02
US20220258227A1 (en) 2022-08-18
EP4082690A4 (en) 2023-01-11
KR102310701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42597A1 (ko)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WO2021132821A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EP0401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KR100571990B1 (ko) 금속스트립주조장치및방법
WO2017213311A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WO2017047863A1 (ko)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주조 방법
WO2020242024A1 (ko) 반응고 고압 주조설비의 전자기 진동 교반장치
US20020005267A1 (en) Electromagnetic brak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mold and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by using the same
EP0568699B1 (en)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steel slabs by use of electromagnetic field
JPH0318538B2 (ko)
EP0489202B1 (en) Method of controlling flow of molten steel in mold
KR102326865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0533132B1 (ko) 전자기교반기의 냉각장치
CN206732073U (zh) 一种合金冶炼浇注扁锭装置
WO2020027583A1 (ko) 주형
WO2019124858A1 (ko) 유동 제어장치 및 유동 제어방법
WO2020091288A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WO2011093561A1 (ko) 몰드 플레이트, 몰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주조용 몰드
WO2011093562A1 (ko) 주조용 몰드 플레이트, 몰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WO2020096391A1 (ko) 압하 장치
JP2009226463A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19980052158A (ko) 슬라브 연속 주조에서의 용강 유동 균일화 유도 장치
WO2018012950A1 (ko) 도금강판 선행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JPH03210948A (ja) タンディッシュ
WO2011093563A1 (ko) 주조용 몰드플레이트, 주조용 몰드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용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43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383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43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