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80137A1 -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80137A1
WO2021080137A1 PCT/KR2020/010615 KR2020010615W WO2021080137A1 WO 2021080137 A1 WO2021080137 A1 WO 2021080137A1 KR 2020010615 W KR2020010615 W KR 2020010615W WO 2021080137 A1 WO2021080137 A1 WO 20210801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condary battery
unit cell
current collecto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06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요한
이정노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0878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16865A4/en
Priority to CN202080030235.9A priority patent/CN113728501A/zh
Priority to US17/435,353 priority patent/US20220140382A1/en
Priority to JP2021552662A priority patent/JP7293382B2/ja
Publication of WO20210801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01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5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one direction are radially aggregated, and a device including the same.
  • lithium ions in an electrolyte generally exhibit high ionic conductivity in a specific concentration range,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thinner or thicker than this,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s.
  •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or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ions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not constant, and the concentrations of lithium ions near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behave in opposit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batter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one direction are radially aggregated, and a device for the same.
  • n unit cells (n is an integer of 5 or more) are radially assembled around a central axis to form a battery, each unit cell .
  • the cell thickness de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 the k-th (k is an integer between 1 and n-1) unit cell and the k+1-th unit cell are adjacent to and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unit cell and the n-th unit cell (n is Integer between 5 and 10000)
  • the unit cells are also adjacent to and facing each other.
  • the value of n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vice to be applied.In the case of a mobile or small device, n can be manufactured within 1000, and when a large cell such as a car is used, the n value is in the range of 1000 or more to 10000. Unit cells may be aggregated.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n unit cells (n is an integer of 5 or more) are radially assembled around a central axis to form a hollow,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diameter ratio ranges from 1:1.1 to 100.
  • each unit cell forming a battery is,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a thickness (D in ) of the inn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and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 the ratio of the thickness (D out ) (D out : D in) is in the range of 1:1.1 to 100.
  •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reduced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It is a structure to do.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Based on the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mixture layer applied on the metal current collector de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Based on the structure, the density of the mixture layer applied on the metal current collector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 each unit cell includes an anode and a cathode, a first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 second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separator.
  • a metal current collector forming at least one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through-thick hole is formed.
  • the metal current collector form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thickness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area fra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10 to 80 % Range.
  • a metal current collector having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through-thick hole is formed has a mesh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 the device is a mobile device, a wearable device, a power tool, a drone, or an electric vehicle that is powered by a battery-based motor.
  • EV Hybrid Electric Vehicle
  •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E-bike E-scooter
  • Electric Golf It may be an electric golf cart or a power storage system.
  •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same propose a new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one direction are radially assembled, and when a current collector wit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applied,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by reducing the valu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showing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are graphs showing results of comparing and evaluating voltage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cylindrical or “circular” includes not only a case of a physical cylinder or a circle, but also a case in which the overall shape is close to a cylinder or a circle.
  • n is 5 or more, or 10 or mo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circular category.
  • n unit cells (n is an integer of 5 or more) are radially assembled around a central axis to form a battery, and each unit cell is,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attery.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ell thickness decreases in a direction of a central axis from an outer end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radially assembled to form a battery.
  •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a shape close to it, or an n-gonal shape, or a sector shape,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number n of unit cells collected in the secondary battery is an integer of 5 or more, and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5 to 10000, 5 to 100, 100 to 1000, 1000 to 10000, 500 to 5000, or 3000 to 10000.
  • the number n of the unit cells can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structure, or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battery.
  • the k-th unit cell (k is an integer between 1 and n-1) and the k+1-th unit cell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 the first unit cell and the n-th unit cell (n is an integer between 5 and 10000) are also adjacent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 a plurality of unit cells may be radially assembled to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unit cells, and a circular or n-shaped shape may be formed based on a cross section.
  •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llow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ary battery as a whol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n unit cells (n is an integer of 5 or more) are radially aggregated around a central axis to form a hollow,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diameter ratio of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in the range of 1:1.1 to 100.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battery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ary battery is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respectively.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diameter ratio of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attery in the range of 1:1.1 to 100, 1:1.5 to 80, 1:2 to 50, 1:10 to 100, or 1:30 to 100 to be.
  • each unit cell forming a battery is,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a thickness (D in ) of the inn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D in) and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 the ratio of the thickness (D out ) of (D out : D in) is in the range of 1:1.5 to 10. In a specific example, the ratio (D out : D in) is in the range of 1:1.1 to 100, 1:1.5 to 80, 1:2 to 50, 1:10 to 100, or 1:30 to 100.
  • the unit cell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decreases in one direction.
  • This is a form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rismatic batteries, pouch-type batteries, or cylindrical batteries.
  • Existing secondary batteries have a difference in external shape, but unit cells constituting each battery are manufactured with a uniform overall thickness, but are merely different in a stacked form or a wound form.
  •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in the center direction at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This is a decreasing structure.
  • a secondary battery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devices can be manufactured.
  •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a watch band may be applied, and the watch band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straight section area and a curved section area are combined.
  •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having a uniform thickness are collected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watch band and unit cells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one direction are collected in the curved section a secondary battery of a desired shape can be easily obtained. Can be manufactured.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Based on the structure, the density of the mixture layer applied on the metal current collector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end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mixture layer loaded in the current collector in one direction, capacity non-uniformity may occur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direction of the unit cells.
  • the density of the mixture layer may be set to be high.
  • the density orientation of the mixture layer can be realized by pressing or depressurizing in one direction when pressing with a 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mixture layer is uniformly loaded on the current collector.
  • each unit cell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 first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is formed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ixture layer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separator.
  • a metal current collector forming at least one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through-thick hole is formed.
  • a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a unit cel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by reducing the width of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or lithium ions in the battery.
  • the current collector in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the unit cell, the lithium ion concentration in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uniformly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by reducing the overvoltage factor related to the electrolyte, among the overvoltage factors of the battery.
  • a metal current collector forming at least one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thickness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area fra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10 To 80% range. Specifically, the area fra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in the range of 10 to 80%, 10 to 70%, 10 to 50%, 20 to 90%, 30 to 90%, or 30 to 60%.
  • the through hole has a structure in which 10 to 500 are formed per unit area of 10 cm x 10 cm.
  • the through-holes per unit area are 10 to 300, 10 to 200, 10 to 100, 10 to 70, 30 to 50, 50 to 500, 100 to 200, 50 to 300, 100 to It is a structure formed by 500, 30 to 200, or 10 to 200.
  • the metal current collector has a mesh shape.
  • the secondary battery is, for exampl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fo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bed above; A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impregn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battery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non-aqueous electrolyte.
  • the positive electrod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is lamin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may each independently be a lithium-containing oxide,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As the lithium-containing oxide a lithium-containing transition metal oxide may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polymer in addi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if necessary, may further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dditive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etal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can be easily adhered, and has no reactivity in the voltage rang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positive electrode include a foil manufactured by aluminum, nicke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positive electrode is formed of the metal component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metal plate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ion conductive porous reinforcing material fil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metal plate.
  •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carbon material, lithium metal, silicon or tin as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 a carbon material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both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may be used.
  • Typical low crystalline carbons include soft carbon and hard carbon
  • high crystalline carbons include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and liquid crystal pitch-based carbon fiber.
  • High-temperature calcined carbons such a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coal tar pitch derived cokes are typical.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e copper, gold, nickel, or a foil manufactured by a copper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urrent collector may be used by stacking substrates made of the above materials.
  •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es a metal plate formed of the described metal component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ion conductive porous reinforcing material fil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metal plate.
  •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may be any porous substrate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or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include polyolefin-based polymers such as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ow-density polyethylene, an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olefin-based polymers such as polypropylene, polybutylene, and polypentene, respectively, alone or as a mixture of them. There is one membrane.
  • the electrolyte may be a non-aqueous electrolyte including a non-aqueous electrolyte.
  •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include N-methyl-2-pyrrolidinon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gamma-butyl.
  • Lactone 1,2-dimethoxyethane, tetrahydroxy franc (franc), 2-methyl tetrahydrofuran, dimethyl sulfoxide, 1,3-dioxolone, formamide, dimethylformamide, dioxolone, acetonitrile , Nitromethane, methyl formate, methyl acetate, phosphate tryester, trimethoxy methane, dioxolone derivative, sulfolane, methyl sulfolane, 1,3-dimethyl-2-imidazolidinone, propylene carbonate derivative, Aprotic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derivatives, ethers, methyl pyropionate, and ethyl propionate may be used.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a number of electrolyt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y be added or subtrac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 the device may be a mobile device, a wearable device, a power tool, a drone, or an electric vehicle that is powered by a battery-based motor.
  • EV Hybrid Electric Vehicle
  •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E-bike Electric Bike
  • E-scooter Electric Golf Cart
  • Electric Golf Cart electric golf cart or power storage system.
  • the conventional pouch-type battery requires stacking several thin electrodes on a flat surface, whereas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self hollow.
  •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type structure, it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band of a watch.
  • it can be applied to ultra-small devices such as wireless earphones because it can achieve high capacity compared to its size.
  • it since it is easy to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 cells assembled, it can be applied to large-sized cylindrical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 NCM LiNi 0.8 Co 0.1 Mn 0.1 O 2
  • FX35 carbon black
  • KF9700 polyvinylidene fluoride
  •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slurry was coated on one side of an aluminum current collector having through-hole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loading amount of 640 mg/25cm 2 and then vacuum-dried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 the through-holes are formed with an area fraction of about 40%, and about 50 per unit area of 10 cm x 10 cm are formed.
  •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was pressed so as to be sequentially reduced to a thickness of about 40% in one direction.
  • the negative electrode is 100 parts by weight of artificial graphite (GT, Zichen (China)) as an anode active material, 1.1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Super-P) as a conductive material, 2.2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 rubber, 0.7 parts by weight of carboxy methyl cellulose, water as a solvent
  • GT artificial graphite
  • Super-P carbon black
  • carboxy methyl cellulose water as a solvent
  • polypropylene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dry method to prepare a separator having a microporous structure having a melting point of 165° C. and a width of 200 mm on one side.
  • the first separator wa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eparator was positioned outsi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ere repeatedly assembled to prepare an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50 unit cells are radially assembled around a central axis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FIG. 1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anufactured secondary battery.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 a secondary batter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50 unit cells are radially assembled around a central axis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each unit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ll thickness de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an outer end that form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unit cells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11, a first separator 131,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21,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0, and a second battery. 2
  • the separation membranes 132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11 and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21 have the thickness of the mixture layers 111 and 121 applied on the metal current collectors 110 and 120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from the outer ends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respectively Is a structure that decreases, but increases the density.
  • the unit cells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11, a first separator 131,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layer 121,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0, and a second battery. 2
  •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or 132 is sequentially stacked is continuously repeated.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0, and these through holes promote smooth flow of lithium ions.
  • a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current collector having a mesh structure was used for each of the aluminum and copper current collectors.
  •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through-thick hole was not formed i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thickness gradient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was not formed.
  • polypropylene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dry method to prepare a separator having a microporous structure having a melting point of 165° C. and a width of 200 mm on one side.
  • the first separator wa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eparator was positioned outsi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ere repeatedly assembled to prepare an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50 unit cells are sequentially assembled.
  • Example 1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each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Specifically, charging and discharging were performed for each secondary battery, and voltage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ere measured, respectively.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were performed at 20°C and 1C.
  • FIG. 4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voltage chang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s shown in FIG. 4, and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s shown in FIG. 5.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has a high discharge voltage and a low charging voltag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provides higher power when applied to a product, and requires lower charging power when charging.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has a lower temperatur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 remarkably small variation. 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lower required cooling performance, and a more compact design is possible.
  • EV electric vehicles
  • HEV hybrid electric vehicles
  •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 E-bikes electric bicycles
  • E-scooter electric scooters
  • electric golf carts etc. It is suitable not only for transportation that uses high-power electricity, but also for application to electricity storage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새로운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두께 방향 관통형 홀이 형성된 집전체를 적용할 경우 전지 내 전해액의 농도 변화폭을 감소시켜 전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 10. 25.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9-013356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이 상승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해액 내의 리튬 이온은 특정 농도 범위에서 높은 이온 전도도를 보이고, 이 보다 농도가 묽거나 진하면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게 된다. 리튬 이차전지 내부의 전해액 농도 혹은 리튬 이온의 농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전지의 작동 조건에 따라 양극과 음극 인근의 리튬 이온의 농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새로운 형태의 이차전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이차전지 및 이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전지를 형성하되,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셀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이차전지에서, k 번째(k는 1 내지 n-1 사이의 정수) 단위 셀과 k+1 번째 단위 셀은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이고, 첫번째 단위 셀과 n 번째(n은 5 내지 10000 사이의 정수) 단위 셀도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이다.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n값을 달라질 수 있으며, 모바일 또는 소형 기기의 경우 n은 1000 이내로 제조가 가능하며, 자동차 등 대형셀이 사용되는 경우 n 값이 1000 이상에서 10000을 만족하는 범위까지 단위셀이 집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전지 내경과 외경의 직경 비율은 1:1.1 내지 100 범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중심 방향의 내측 단부의 두께(D in)와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의 두께(D out)의 비율(D out : D in)은, 1:1.1 내지 100 범위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전극과 전극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구조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밀도가 증가하는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각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제1 분리막이 개재되고,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는 제2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집전체의 일면에 제1 분리막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합지된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관통형 홀이 형성된 면적 분율은 10 내지 80% 범위이다. 예를 들어,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의 금속 집전체는 메쉬 형태이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드론(dron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며, 두께 방향 관통형 홀이 형성된 집전체를 적용할 경우 전지 내 전해액의 농도 변화폭을 감소시켜 전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시 전압과 온도 변화를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통형" 또는 "원형"의 의미는 물리적인 원통형 또는 원형인 경우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지의 단면 형상이 n 각형인 경우, n이 5 이상인 경우 혹은 10 이상인 경우는 원형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전지를 형성하되,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셀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다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전지를 형성한다. 상기 이차전지의 형상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외주면이 원형 또는 그에 가까운 형태이거나 n 각형일 수 있고, 혹은 부채꼴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이차전지에서 집합된 단위 셀의 개수 n은 5 이상의 정수이며,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000, 5 내지 100, 100 내지 1000, 1000 내지 10000, 500 내지 5000 또는 3000 내지 10000 범위이다. 상기 단위 셀의 개수 n은 전지의 형태, 구조 내지 요구 물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전지에서 k 번째(k는 1 내지 n-1 사이의 정수) 단위 셀과 k+1 번째 단위 셀은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이다. 또한, 첫번째 단위 셀과 n 번째(n은 5 내지 10000 사이의 정수) 단위 셀도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다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통형 구조는 외주면은 단위 셀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며, 단면을 기준으로 원형 또는 n 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전체적으로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관은 원통형 형상을 가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는 전지 내경과 외경의 직경 비율은 1:1.1 내지 100 범위이다. 상기 이차전지의 전지 내경과 외경의 직경 비율은, 각각 내경과 외경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전지 내경과 외경의 직경 비율은 1:1.1 내지 100 범위, 1:1.5 내지 80 범위, 1:2 내지 50 범위, 1:10 내지 100 범위 또는 1:30 내지 100 범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중심 방향의 내측 단부의 두께(D in)와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의 두께(D out)의 비율(D out : D in)은, 1:1.5~10 범위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비율(D out : D in)은 1:1.1 내지 100 범위, 1:1.5 내지 80 범위, 1:2 내지 50 범위, 1:10 내지 100 범위 또는 1:30 내지 100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단위 셀은,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이다. 이는 기존의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와는 차별화된 형태이다. 기존의 이차전지는 외부 형상의 차이가 있으나, 각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게 제조하되, 적층 형태 혹은 권취 형태를 달리한 것에 불과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전극과 전극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구조이다.
또한,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의 상기 단위 셀과 두께가 균일한 단위 셀이 함께 집합된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스마트 워치의 경우, 워치 밴드 내부에 수납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 워치 밴드는 직선 구간 영역과 곡선 구간 영역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워치 밴드의 직선 구간 영역에서는 두께가 균일한 단위 셀이 집합되고, 곡선 구간 영역에서는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집합되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형태의 이차전지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은 집전체에 로딩되는 합제층의 두께를 일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단위 셀에 두께 배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밀도가 증가하는 구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전체에 로딩되는 합제층의 두께를 일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설계할 경우, 단위 셀의 위치 혹은 방향성에 따라 용량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전체에 로딩되는 합제층의 밀도를 일방향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단위 셀에 두께 배향성에 따른 용량 불균일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전체에 합지된 합제층의 두께가 얇은 영역은 합제층의 밀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합제층의 밀도 배향성은, 집전체 상에 합제층을 균일하게 로딩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한 가압시 일방향으로 가압 혹은 감압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각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제1 분리막이 개재되고,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는 제2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집전체의 일면에 제1 분리막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합지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두께 방향 관통형 홀이 형성된 집전체를 단위 셀에 적용함으로써, 전지 내 전해액 또는 리튬 이온의 농도 변화폭을 감소시켜 전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방향 관통형 홀이 형성된 집전체를 단위 셀에 적용함으로써, 전해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를 일정 범위에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지의 과전압 요소들 중에서, 전해액 관련된 과전압 요인을 감소시켜 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관통형 홀이 형성된 면적 분율은 10 내지 80%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면적 분율은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50%, 20 내지 90%, 30 내지 90% 또는 30 내지 60% 범위이다. 관통홀의 단위 면적당 수 내지 면적 분율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의 큰 저하 없이 집전체의 변형율을 줄이고 전지 내 전해액 농도 내지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폭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관통홀은 10 cm x 10 cm의 단위 면적당 10 내지 500개 형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은 단위 면적당 10 내지 300개, 10 내지 200개, 10 내지 100개, 10 내지 70개, 30 내지 50개, 50 내지 500개, 100 내지 200개, 50 내지 300개, 100 내지 500개, 30 내지 200개 또는 10 내지 200개 형성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집전체는 메쉬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이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함침시키는 비수 전해액;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비수 전해액을 내장하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한다.
양극은, 양극 집전제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합제층이 적층된 구조이다. 양극 활물질은 각각 독립적으로, 리튬 함유 산화물일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리튬 함유 산화물로는,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양극 합제층은 양극 활물질 외에 도전재 및 바인더 고분자 등을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에 사용되는 집전체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양극 활물질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이면서, 이차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극용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용 집전체는, 설명한 금속 성분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충진된 이온전도성 다공성 보강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음극은 음극 합제층으로 탄소재, 리튬 금속, 규소 또는 주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재가 사용되는 경우,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 (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 (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 (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 (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 (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 (petroleum or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상기 물질들로 이루어진 기재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용 집전체는, 설명한 금속 성분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충진된 이온전도성 다공성 보강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음극은 당해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분리막은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membrane)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고분자로 형성한 막(membrane)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전해액 성분들이 적절한 범위 내에서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드론(dron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기기인 스마트 시계에 본 발명의 이차전지가 포함되는 경우, 기존의 파우치형 전지는 평면으로 두께가 얇은 전극들을 여러 개 쌓아야 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그 자체로 중공형 구조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시계의 밴드 형태에 대응하여 제조하기 적합하다. 또한, 크기 대비 고용량 달성이 가능하므로 무선 이어폰과 같은 초소형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집합된 단위셀 개수에 따라 크기 조절이 용이하므로, 전기차용 대형 원통형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도면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과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 NCM(LiNi 0.8Co 0.1Mn 0.1O 2) 100 중량부, 도전재로 카본 블랙(FX35, Denka) 1.5 중량부 및 바인더 고분자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KF9700, Kureha) 2.3 중량부를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합제층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합제층 슬러리를 640 mg/25cm 2의 로딩양으로 두께 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알루미늄 집전체 일면에 코팅 한 뒤 진공 건조하여, 양극을 수득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집전체에서, 관통형 홀이 면적 분율 약 40% 수준으로 형성되고, 10 cm x 10 cm의 단위 면적당 약 50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양극 합제층은 일방향으로 두께 약 40% 수준까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가압하였다.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서 인조흑연(GT, Zichen(China)) 100 중량부, 도전재로서 카본블랙(Super-P) 1.1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2.2 중량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 0.7 중량부를 용제인 물에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두께 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구리 집전체 일면에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구리 집전체에서, 관통형 홀이 면적 분율 약 40% 수준으로 형성되고, 10 cm x 10 cm의 단위 면적당 약 50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양극 합제층은 일방향으로 두께 약 40% 수준까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가압하였다.
한편, 폴리프로필렌을 건식 방법을 사용하여 일축 연신하여, 융점이 165℃이고, 일측의 너비가 200 mm인 미세 다공성 구조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1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하고, 양극과 음극의 외측에는 제2 분리막이 위치하는 구조의 단위 셀이 반복되도록 집합하여 전극 조립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50 개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이다.
상기 전극조립체를 중공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후, 1M LiPF 6 카보네이트계 용액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도 1에는 제조된 이차전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2는 이차전지에 포함된 전극 조립체의 수평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였고, 도 3에는 이차전지에 포함된 전극 조립체의 수직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50 개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이다. 또한,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셀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음극 집전체(110), 음극 합제층(111), 제1 분리막(131), 양극 합제층(121), 양극 집전체(120) 및 제2 분리막(132)가 순차 적층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110)와 양극 집전체(12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 홀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음극 합제층(111)과 양극 합제층(121)은 각각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110, 120) 상에 도포된 합제층(111, 121)의 두께가 감소하되, 밀도는 증가하는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음극 집전체(110), 음극 합제층(111), 제1 분리막(131), 양극 합제층(121), 양극 집전체(120) 및 제2 분리막(132)가 순차 적층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반복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110)와 양극 집전체(12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 홀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음극 집전체(110)와 양극 집전체(120)에는 다수의 관통형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들은 리튬 이온의 원활한 유동을 촉진한다.
실시예 2
알루미늄 및 구리 집전체를 각각 메쉬 구조의 집전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양극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두께 관통형 홀을 형성하지 않고, 양극 및 음극 합제층의 두께 구배를 형성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였다.
한편, 폴리프로필렌을 건식 방법을 사용하여 일축 연신하여, 융점이 165℃이고, 일측의 너비가 200 mm인 미세 다공성 구조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1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하고, 양극과 음극의 외측에는 제2 분리막이 위치하는 구조의 단위 셀이 반복되도록 집합하여 전극 조립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50 개의 단위 셀이 순차 집합된 구조이다.
상기 전극조립체를 중공 각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후, 1M LiPF 6 카보네이트계 용액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1: 이차전지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각 이차전지에 대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이차전지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고, 충전 및 방전시 전압과 온도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차전지에 대한 충전과 방전은 20℃, 1C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시 전압 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고,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시 온도 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는 비교예 1과 대비하여 방전 전압이 높고, 충전 전압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품에 적용시 보다 높은 파워를 제공하며, 충전시에는 보다 낮은 충전 파워를 요구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는,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충방전시 온도가 낮고 그 변화폭이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다른 이차전지는 요구되는 냉각 성능이 더 낮고, 보다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각종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이어폰이나 스마트워치와 같은 소형기기, 특히 이차전지의 중량 및 부피에 제약을 받으면서도 장기간 사용을 요하는 디바이스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출력이 우수하여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드론(dron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등 고출력의 전기를 이용하는 수송 수단뿐만 아니라 전기 저장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부호의 설명>
100: 이차전지
110: 음극 집전체
111: 음극 합제층
120: 양극 집전체
121: 양극 합제층
131: 제1 분리막
132: 제2 분리막

Claims (14)

  1.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전지를 형성하되,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셀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인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k 번째(k는 1 내지 n-1 사이의 정수) 단위 셀과 k+1 번째 단위 셀은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이고,
    첫번째 단위 셀과 n 번째(n은 5 내지 10000 사이의 정수) 단위 셀도 서로 이웃하며 대면하는 구조인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n 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되어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전지 내경과 외경의 직경 비율은 1:1.1 내지 100 범위인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중심 방향의 내측 단부의 두께(D in)와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의 두께(D out)의 비율(D out : D in)은, 1:1.1~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전극과 전극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구조인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인 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은 각각 금속 집전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도포된 구조이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은, 수평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전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금속 집전체 상에 도포된 합제층의 밀도가 증가하는 구조인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제1 분리막이 개재되고,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는 제2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인 이차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집전체의 일면에 제1 분리막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이 합지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는 각 단위 셀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집전체는 두께 관통형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관통형 홀이 형성된 면적 분율은 10 내지 8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다공성 구조의 금속 집전체는 메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드론(dron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20/010615 2019-10-25 2020-08-11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0801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78093.2A EP3916865A4 (en) 2019-10-25 2020-08-11 SECONDARY BATTERY WITH STRUCTURE IN ONE DIRECTION THINNING UNIT CELLS ARE RADIALLY ARRANGED, AND DEVICE THEREOF
CN202080030235.9A CN113728501A (zh) 2019-10-25 2020-08-11 具有沿一个方向变薄的单元电芯径向组装的结构的二次电池以及包含该二次电池的设备
US17/435,353 US20220140382A1 (en) 2019-10-25 2020-08-11 Secondary battery having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which become thinner in one direction are radially assembled, and device comprising same
JP2021552662A JP7293382B2 (ja) 2019-10-25 2020-08-11 一方向に厚さが減少する単位セルが放射状に集合された構造を含む二次電池及びそれを含むデバイ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61 2019-10-25
KR1020190133561A KR20210049353A (ko) 2019-10-25 2019-10-25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137A1 true WO2021080137A1 (ko) 2021-04-29

Family

ID=7561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0615 WO2021080137A1 (ko) 2019-10-25 2020-08-11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0382A1 (ko)
EP (1) EP3916865A4 (ko)
JP (1) JP7293382B2 (ko)
KR (1) KR20210049353A (ko)
CN (1) CN113728501A (ko)
WO (1) WO202108013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344A (ja) * 1993-10-29 1995-05-19 Sanyo Electric Co Ltd 集合電池
JP2000311693A (ja) * 1999-04-16 2000-11-07 Samsung Sdi Co Ltd 集電体および電極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2次電池
JP2003208917A (ja) * 2002-01-10 2003-07-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6001506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전극판
KR20070105114A (ko) * 2006-04-25 2007-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90133561A (ko) 2018-05-23 2019-12-03 (주)에스디생명공학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631U (ko) * 1974-04-19 1975-11-06
JPS5165331A (ko) * 1974-11-30 1976-06-05 Shin Kobe Electric Machinery
JPS5629891Y2 (ko) * 1975-01-20 1981-07-16
JP5347428B2 (ja) * 2008-10-23 2013-11-20 マツダ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14007108A (ja) * 2012-06-26 2014-01-16 Mitsubishi Motors Corp 二次電池
KR101621591B1 (ko) * 2013-01-03 2016-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전극판, 비대칭 전극판을 구비한 비대칭 전극 조립체, 및 비대칭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 비대칭 이차전지
CN105186006B (zh) * 2014-06-17 2017-08-11 北京好风光储能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多孔集流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26292B1 (ko) * 2015-08-20 201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물질 로딩량의 구배를 가진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859872B1 (ko) 2017-04-28 2018-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 형성방법, 그에 의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방법
CN109830690A (zh) * 2019-01-30 2019-05-31 深圳鸿鹏新能源科技有限公司 集流体以及具有该集流体的极片和锂电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344A (ja) * 1993-10-29 1995-05-19 Sanyo Electric Co Ltd 集合電池
JP2000311693A (ja) * 1999-04-16 2000-11-07 Samsung Sdi Co Ltd 集電体および電極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2次電池
JP2003208917A (ja) * 2002-01-10 2003-07-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6001506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전극판
KR20070105114A (ko) * 2006-04-25 2007-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90133561A (ko) 2018-05-23 2019-12-03 (주)에스디생명공학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1686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0382A1 (en) 2022-05-05
JP7293382B2 (ja) 2023-06-19
CN113728501A (zh) 2021-11-30
EP3916865A4 (en) 2022-06-01
EP3916865A1 (en) 2021-12-01
JP2022523556A (ja) 2022-04-25
KR20210049353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8953A1 (en)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WO2012165758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1159083A2 (ko)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20149622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061830A1 (ko) 전극 내 바인더 분포 측정방법
WO2018217071A1 (ko)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와 같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097455A1 (ko)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WO2019164343A1 (ko) 이차 전지
WO2019004655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157862A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17950A1 (ko) 출력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차전지
WO2019050216A2 (ko)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142261A1 (ko) 음극 제조방법 및 음극
WO2020242257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0149618A1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WO2019221450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2111935A2 (ko)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19093735A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 향상 방법
WO2021080137A1 (ko) 일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단위 셀이 방사형으로 집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18008954A1 (ko)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3100652A1 (ko) 활물질이 충진된 필름 형태의 음극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084610A1 (ko) 음극 활물질용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32210A1 (ko) 탄소-실리콘 복합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53255A1 (ko)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51595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80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780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823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5266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