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64202A1 -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64202A1
WO2019164202A1 PCT/KR2019/001924 KR2019001924W WO2019164202A1 WO 2019164202 A1 WO2019164202 A1 WO 2019164202A1 KR 2019001924 W KR2019001924 W KR 2019001924W WO 2019164202 A1 WO2019164202 A1 WO 20191642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deteriorated
capacity recovery
negative electrode
battery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9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준혁
김제영
이주성
노석인
이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6/958,95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81702A1/en
Priority to CN201980006820.2A priority patent/CN111527642B/zh
Priority to EP19757407.2A priority patent/EP3726638B1/en
Publication of WO20191642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642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whose life characteristics have been deteriorated and a secondary battery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whose life characteristics have been deteriorated.
  • a capacity recovery device a capacity recovery devic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lose their function due to abnormal use such as overdischarge or overcharge, but even when used normally, their capacity to store electrical ener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acity') gradually decreases with the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The property will be degraded.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until the minimum function is lost, and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that has lost the minimum function is inevitable.
  • the secondary battery to be discarded is separated into industrial waste, so a large treatment cost is generated, and in particular, when frequent replacement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burden may be placed on the purchase cost.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whos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secondary battery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2) pressing the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to heat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nd compressing the heated secondary battery; And (3)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ressing and heating are per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device to pressurized and heated to fix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And a clamping par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is fix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n pressurized and heated to degenerate the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in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on a secondary battery.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an effect of restoring the capacity of the deteriorated secondary battery by charging and discharging while depressing and heating the degenerate secondary battery.
  • FIG. 1 is a sid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lamping device included in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capacity according to a cyc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capable of restor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2) pressurizing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and heating the cathode, negative electrode, or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and compressing them; And (3)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ressurization and heating are performed.
  • step (1)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reduced capacity due to deterioration of life characteristics is prepared.
  •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a reduced capacity due to deterioration of the life characteristics means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pacity to store electrical energy, that is, a capacity gra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ges and discharges, for example, 90% or less based on the initial capacity. To 85% or less, more specifically,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pacity of 5% to 80%.
  • heating may be performed while pressing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is compressed.
  • the rechargeable battery continuously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ycles, ca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to be broken or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themselves to be broke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be broken,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and deteriorating the life characteristics. do.
  • the coating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during the initial activation process is destroyed and the electrode structure matrix collapses.
  • the active material when pressing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and compressing the cathode, the anode, and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the active material includes the cathode and the anode of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 the layer is also compressed, 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such as th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are compres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ycl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repea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ycles,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or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 or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restored.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such as th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 fluidity may be imparted to a gas that may exis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by heating, that is, may be generated and accumulat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ycles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gas becomes fluid by heating, it may escape out between the anode and the separator an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by the pressurization. The gas exited by the pressurization may move to an out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 the pressurization may be at a positive position or a positive pressure, more preferably at a positive pressure.
  • the pressurization may be performed at a constant pressure to measure the pressur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so that the pressure is kept constant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essurizing member.
  • the pressure at the press may be in the range of 100 g / cm 2 to 100 kg / cm 2 , specifically 500 g / cm 2 to 5 kg / cm 2 , more specifically 1 kg / cm 2 to 3 kg / cm Can be 2
  •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is effectively compressed to compress th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o compress the active material layer. Whil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onstituent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can be effectively restored, deform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may not occur.
  • the heating may be made in a temperature range of 25 °C to 80 °C, specifically may be made of a temperature range of 30 °C to 70 °C, more specifically 45 °C to 60 °C.
  • the organic coating layer peeled off from th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appropriately reduced to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act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active material layer by the pressure by imparting proper fluidity to the binder contain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y allow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to move properly, the contact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and / or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may be improved.
  • step (3) the secondary battery, which is depleted of the life characteristics under pressure and heating, is charged and discharged, and the charge / discharge rate is 0.5 C or less, specifically 0.1 C to 0.5 C, and more specifically, 0.1 C to 0.2 C Can be done at speed.
  • the charge / discharge rate is 0.5 C or less, uniform charge and dischar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xis dir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chieved under a condition in which polarization is minimized. Accordingly, the negative electrode in which the particle-particle connection is substantially lost is partially lost.
  • the active material portion may be sufficiently charged, and thus may be re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 conductive network through the film regeneration due to the pressurization and the high temperature after expansion.
  •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may be performed 1 to 10 times, and specifically 5 to 8 times.
  •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 characteristic is deteriorated may be restored.
  •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use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secondary battery, and the charging method and the type thereof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thod of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is used.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whos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gra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whose lifespan characteristics have been deteriorated.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includes a clamping unit for fixing and pressurizing and heating a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and a charge / discharge uni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secondary battery having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After fixing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to a clamping unit,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is performed throug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while pressing and heating.
  • the process for recover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device is a process of fixing and pressing and heating a secondary battery whose capacity is reduced due to deterioration of life characteristics and a charge and discharge process for the pressurized and heated secondary battery. It includes.
  • the pressurizing and heating are performed through the clamping part, and the clamping part includes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com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And a heating member for applying heat to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athode, an anode, and a separator included therebetween, and the pressing member is parallel to the cathode, the cathode, or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degraded.
  •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one or more pairs of pressure surfaces facing each other.
  •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means that the pressing surface i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separator, and thu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the pressing surface
  • the secondary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quare or pouch type case, a wide surface of the square or pouch type case may be pressed. have.
  • the pressing surface included in the pressing member may include an upper press and a lower press fac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upper press is lowered toward the lower press, or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are moved toward each other. While pressing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applied to the pressure.
  •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pairs.
  • the upper press, or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may be connected with a cylinder for moving the upper press, or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the movement distance and / or pressure of the cylinder is a pressure connected with the cylinder It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 the moving distance of the cylinder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ressure adjusting part, and thus, the moving distance of the upper press, or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may be adjusted, and the pressure received by the secondary battery located therebetween. You can adjust the intensity.
  • the heat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ress, the lower press, or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and the heating unit included in the heating member may heat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 a portion of the upper press and the lower press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easured to properly adjust the heating temperature.
  •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normal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use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secondary battery. I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thod is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a charging method and a type are also not limited.
  • FIG. 1 is a sid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may charge and discharge a clamping unit 100 and a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10 to fix and pressurize and heat a degraded secondary battery 10. It includes a charge and discharge unit 200 for.
  • the clamping part 100 includes a pressing member including an upper press 110 and a lower press 120 for pressing and com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10.
  • the upper press 110 and the lower press 120 are connected to a heating member (not shown) for heating the plates constituting the upper press 110 and the lower press 120 to the upper press 110 and the lower press 120.
  •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10 can be heated to an appropriate heating temperature.
  •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where the upper press 110 and the lower press 120 contact the secondary battery 10.
  • the pressurizing member faces the upper press 110 and the lower press 120 with the deteriorated secondary battery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upper press 11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30 for moving the press.
  • the upper press 110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10 while descending toward the lower press 120.
  • the lower press 120 may also be configured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iorated secondary battery 10 while rising toward the upper press 110 as connected to a separate cylinder as the upper press 110 as necessary. have.
  •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200 includes a + terminal 210 and a-terminal 220,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lead (shown as 11 and 12 in FIG. 2) of the degenerated secondary battery 10, respectively, to charge and discharge the battery. Do this.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lamping unit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ressure adjusting unit 140 connected to the cylinder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unit 100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and / or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130 of FIG. 1).
  • the degenerate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econdary battery is capable of charge / discharge with reduced capacity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s.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clu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s the cycl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due to the large volume change of the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charge and discharge Since more damage occurs in contact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the effect of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exhibited.
  • the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econdary battery In one example of the reu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deteriorated lif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a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pressurized and In the proces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that has been hea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s of the degraded secondary battery may be restored.
  •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 silicon oxide particles (SiO x , 0 ⁇ x ⁇ 2), Si-metal alloys, and an alloy of Si and silicon oxide particles (SiO x , 0 ⁇ x ⁇ 2) It may be one containing one or more.
  • the external shap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cylindrical, square, pouch type or coin type using a can, and specifically, a square type, a pouch type or a coin type. It may be a brother.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of a small device, or a unit battery used in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a negative electrode slurry consisting of 70% by weight of silicon, 20% by weight of graphite-based conductive material, and 10% by weight of polyacrylic acid (PAA) binder was applied onto a 10 ⁇ m thick copper foil, dried at 60 ° C., rolled to 1.5 g / cc, and then 130 The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by vacuum drying at ⁇ ⁇ .
  •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mposed of 95% by weight of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NCM622), 2% by weight of carbon black, and 3% by weight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was applied onto a 15 ⁇ m thick aluminum foil and dried at 60 ° C.
  • NCM622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the prepar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ere bonded together with a separator having a thickness of 12 ⁇ m and laminated to produce a plurality of bicells.
  • the prepared pouch-type batteries A to J were charged and discharged in the range of 4.2 V to 3.0 V through the chemical conversion process after the wetting time after the electrolyte injection, and then the 0.5 C / 0.5 C cycle was performed up to 80 cycles. .
  • the pressure is set to 1 kg / cm 2
  • the static pressure and the heating temperature to 60 °C was set to pressurize and he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 charge and discharge were performed five times at a rate of 0.1 C of the battery rated capacity.
  • the pouch-type battery was removed from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t room temperature.
  • the pouch battery B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ortion,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 was set to 3 kg / cm 2 at a constant pressure.
  • the pouch battery C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 was set at 100 g / cm 2 .
  • the pouch battery D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 was set to 30 kg / cm 2 at a constant pressure.
  • the pouch battery 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was set to 30 ° C.
  • the pouch battery F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was set to 80 ° C.
  • the pouch battery G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attery was charged and discharged five times with 1.0 C.
  • Example 1 A 3740 mAh 750 mAh 3710 mAh 3730 mAh 3685 mAh
  • Example 2 B 3745 mAh 730 mAh 3715 mAh 3735 mAh 3690 mAh
  • Example 3 C 3755 mAh 725 mAh 3145 mAh 2885 mAh 2730 mAh
  • Example 6 F 3755 mAh 745 mAh 3830 mAh 3420 mAh 3395 mAh
  • Example 7 G 3745 mAh 755 mAh 3550 mAh 3600 mAh 385 mAh Comparative Example 1 H 3735 mAh 715 mAh 2875 mAh 2285 mAh 1535 mAh Comparative Example 2
  • I 37
  • pressure regulator 200 charge and discharge un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은 (1)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이 압착되도록 하며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 및 가열하면서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관련출원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8년 02월 23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21893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방법 및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과방전 또는 과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으로 인해 기능을 상실하기도 하지만,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이하 '용량'이라 함)이 충전 및 방전 횟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수명 특성이 퇴화되게 된다. 이차전지는 최소한의 기능을 상실하기 전까지 사용되고, 최소한의 기능을 상실한 퇴화된 이차전지는 교체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폐기되는 이차전지는 산업폐기물로 분리되어 처리비용이 크게 발생하며, 특히 잦은 교체가 필요할 경우 구입 비용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이 압착되도록 하며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로서, 상기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는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하여 가압 및 가열하기 위한 클램핑(clamping) 부, 및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충방전 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clamping) 부에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한 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충방전 부를 통하여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는,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 및 가열하면서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포함된 클램핑(clamping)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이클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은 (1)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이 압착되도록 하며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에서는 수명 특성이 퇴화되어 용량이 감소한 이차전지를 준비한다.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되어 용량이 감소한 이차전지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 즉 용량이 충전 및 방전 횟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 이차전지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초기 용량을 기준으로 90% 이하, 구체적으로 8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80%의 용량을 가지는 이차전지를 의미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이 압착되도록 하면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을 통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의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차전지는 사이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충방전에 의해 활물질이 부피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면서 활물질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되거나 활물질 입자 자체가 파괴되며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되어 용량이 줄어들며 수명 특성이 퇴화된다. 또한, 초기 활성화 공정 시 형성된 음극 활물질 표면의 피막 구조가 파괴되며 전극 구조 매트릭스의 붕괴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및 분리막 간의 압착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양극 및 음극이 포함하는 활물질 층 역시 압착되고, 상기 활물질 층을 구성하는 성분, 예컨대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압착됨으로써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이차전지의 사이클이 반복되어 사이클 수가 증가하며 끊어진 활물질들 간, 또는 활물질과 양극 및/또는 음극 집전체와의 접촉이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유동성이 증가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붕괴된 피막 성분 중 유기 성분에 해당되는 부분을 전해액에 다시 녹여내어 음극 활물질 층에 안정적인 피막 재형성을 꾀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열에 의해 상기 양극과 분리막 및 상기 음극과 분리막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즉 상기 이차전지의 사이클 수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여 축적되어 있을 수 있는 가스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스가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될 경우,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양극과 분리막, 및 상기 음극과 분리막 사이로부터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가압에 의해 빠져나간 가스는 상기 이차전지에 포함된 전극 조립체의 외각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은 정위 또는 정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이 정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전지의 스웰링에 따라 실시간으로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압시의 압력은 100 g/cm2 내지 100 kg/cm2의 범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0 g/cm2 내지 5 kg/cm2, 더욱 구체적으로 1 kg/cm2 내지 3 kg/cm2일 수 있다. 상기 가압이 상기 압력 범위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전극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압착하여 양극, 음극 및 분리막간의 압착 및 상기 양극 및 음극이 포함하는 활물질 층이 압착되면서 상기 활물질 층을 구성하는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전기적 접촉이 효과적으로 회복될 수 있으면서도 양극, 음극, 및 분리막에 대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열은 25℃ 내지 80℃의 온도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 45℃ 내지 60℃의 온도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이 상기 온도 범위로 이루어질 경우, 활물질층으로부터 박리된 유기 피막층을 적절히 전해액으로 환원시킬 수 있으며, 음극 활물질층에 포함된 바인더에 적절한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가압에 의해 활물질 층 내에 포함된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적절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활물질들간 및/또는 활물질과 집전체간의 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
단계 (3)에서는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게 되며, 충방전 속도는 0.5 C 이하, 구체적으로 0.1 C 내지 0.5 C, 더욱 구체적으로 0.1 C 내지 0.2 C의 충방전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속도가 0.5 C 이하일 경우, 분극 현상이 최소화된 조건에서 음극의 두께 방향(c축 방향)으로의 균일한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자-입자간 연결이 상당 부분 소실된 음극 활물질 부분에도 충분히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팽창 후 가압과 고온으로 인한 피막 재생성을 통해 주변의 도전 네트워크와 다시 재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은 1회 내지 10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5회 내지 8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한 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상기 회수 범위로 충방전할 경우,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전기적 연결이 회복될 수 있다.
상기 충방전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충방전 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통상적인 이차전지의 충방전 방법이라면 충전 방법이나 형식 역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은,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하여 가압 및 가열하기 위한 클램핑(clamping) 부, 및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충방전 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clamping) 부에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한 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충방전 부를 통하여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를 통한 이차전지의 용량 회복을 위한 처리 과정은 수명 특성이 퇴화되어 용량이 감소된 이차전지를 고정하여 가압 및 가열하는 과정 및 상기 가압 및 가열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 및 가열은 상기 클램핑 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부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가압부재; 및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포함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과 평행하면서, 상기 이차전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한쌍 이상의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면이 상기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과 평행하다는 것은 상기 가압면이 상기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의 면과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가압면을 통해 상기 이차전지의 외면을 가압할 때에는 상기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의 면과 평행한 이차전지의 외면, 예컨대 상기 이차전지가 각형 또는 파우치형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일 경우, 상기 각형 또는 파우치형 케이스의 넓은 면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포함하는 가압면은 상기 이차전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를 향해 하강하거나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이차전지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는 한 쌍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스, 또는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는 상기 상부 프레스, 또는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이동 거리 및/또는 압력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압력 조절부의 조절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이동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프레스, 또는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의 이동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위치하는 이차전지가 받는 압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스, 하부 프레스, 또는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재가 포함하는 발열부가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스 및 하부 프레스가 상기 이차전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온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열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부는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충방전 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이차전지의 충방전 방법이라면 충전 방법이나 형식 역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클램핑 부에 의해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한 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충방전 부를 통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할 경우,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전기적 연결이 회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해당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는 퇴화된 이차전지(10)를 고정하여 가압 및 가열하기 위한 클램핑 부(100) 및 퇴화된 이차전지(10)를 충방전 하기 위한 충방전 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클램핑 부(100)는 퇴화된 이차전지(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를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에는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를 이루는 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재(미도시)가 연결되어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가 이차전지(10)와 접촉하는 표면부의 온도를 적절한 가열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가 이차전지(10)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퇴화된 이차전지(10)를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가 대면하고 있고, 상부 프레스(110)는 프레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스(110)가 하부 프레스(120)를 향해 하강하면서 퇴화된 이차전지(10)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하부 프레스(120) 역시 상부 프레스(11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스(110)를 향해 상승하면서 역시 퇴화된 이차전지(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충방전 부(200)는 + 단자(210) 및 - 단자(220)를 포함하며, 각각 퇴화된 이차전지(10)의 전극리드(도 2의 11 및 12로 표시)와 연결되어 충방전을 수행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에 포함된 클램핑 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핑 부(100)의 상면에는 실린더(도 1의 130)의 이동 거리 및/또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14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퇴화된 이차전지는 사이클 수의 증가에 따라 용량이 감소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특히 음극 활물질로서 규소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인 경우, 충방전시 규소계 음극 활물질의 큰 부피 변화로 인해 이차전지의 사이클의 증가에 따라 음극의 음극 활물질 층에 포함된 음극 활물질들간 및 음극 활물질과 음극 집전체간의 접촉에 손상이 더욱 크게 발생되므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에 따른 효과가 더욱 극명히 발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또는 이차전지 본 발명의 재사용 방법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는 규소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퇴화된 이차전지의 규소계 음극 활물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의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규소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규소계 음극 활물질은 Si, 실리콘 산화물 입자(SiOx, 0<x≤2), Si-금속합금, 및 Si와 실리콘 산화물 입자(SiOx, 0<x≤2)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 또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사용되는 단위전지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실리콘 70 중량%, 흑연계 도전재 20 중량%, 폴리아크릴산(PAA) 바인더 10 중량%로 구성된 음극 슬러리를 10 ㎛ 두께의 구리 호일 위에 도포 후 60℃에서 건조하여 1.5 g/cc로 압연한 다음 130℃에서 진공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동시에 리튬 니켈코발트망간 산화물(NCM622) 95 중량%와 카본블랙 2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3 중량%로 구성된 양극 슬러리를 15 ㎛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 위에 도포 후 60℃에서 건조하여 3.5 g/cc로 압연한 다음 130℃에서 진공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을 12 ㎛ 두께의 분리막과 함께 접합하고 라미네이션하여 제작된 여러 장의 바이셀을 적층하여 파우치형 전지(A 내지 J)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파우치형 전지 A 내지 J는 각각 전해액 주액 후 웨팅(wetting) 시간을 거쳐 화성 공정을 통하여 4.2 V 내지 3.0 V 범위에서 충방전이 수행되었으며, 이후 80 사이클까지 0.5 C/0.5 C 사이클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A를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의 클램핑(clamping) 부에 체결한 후, 압력을 1 kg/cm2로 정압 설정하고 60℃로 가열온도를 세팅하여 상기 파우치형 전지의 외부면을 가압 및 가열하였다. 상기 가압 및 가열을 약 30분간 유지하여 온도 안정화 이후, 전지 정격 용량의 0.1 C의 속도로 충방전을 5회 진행하였다. 이 후 상기 클램핑 부에서 파우치형 전지를 탈거하여 상온 조건에서 수명 특성 평가를 계속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B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압력을 3 kg/cm2로 정압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C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압력을 100 g/cm2로 정압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D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압력을 30 kg/cm2로 정압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E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가열 온도를 30℃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F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가열 온도를 80℃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G를 클램핑 부에 체결하고, 1.0 C로 5회 충방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H를 가열을 하지 않고 가압만 한 채로 5회 충방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I를 가압을 하지 않고 가열만 한 채로 5회 충방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명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우치 전지 J를 이용하여 이차전지 용량 획복 장치의 도움 없이 수명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명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의 전지의 사이클에 따른 용량 잔존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전지의종류 1 cycle 80 cycle 81 cycle(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체결 후 첫 사이클) 86 cycle<그래프상 82 cycle>(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탈거 후 첫 사이클) 200 cycle
실시예 1 A 3740 mAh 750 mAh 3710 mAh 3730 mAh 3685 mAh
실시예 2 B 3745 mAh 730 mAh 3715 mAh 3735 mAh 3690 mAh
실시예 3 C 3755 mAh 725 mAh 3145 mAh 2885 mAh 2730 mAh
실시예 4 D 3750 mAh 720 mAh 3620 mAh 3580 mAh 3225 mAh
실시예 5 E 3745 mAh 730 mAh 3705 mAh 3435 mAh 3185 mAh
실시예 6 F 3755 mAh 745 mAh 3830 mAh 3420 mAh 3395 mAh
실시예 7 G 3745 mAh 755 mAh 3550 mAh 3600 mAh 385 mAh
비교예 1 H 3735 mAh 715 mAh 2875 mAh 2285 mAh 1535 mAh
비교예 2 I 3745 mAh 735 mAh 455 mAh 435 mAh 315 mAh
비교예 3 J 3760 mAh 720 mAh 380 mAh 350 mAh 150 mAh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 같이 가열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의 클램핑 부 체결 이후 용량이 즉시 회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86 사이클 이후 전지를 장치에서 탈거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수명 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가열 없이 가압만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용량 회복 정도가 부족하였으며, 비교예 2의 경우 가압 없이 가열만이 이루어져 용량 회복 정도가 미미하였다. 한편, 실시예 7의 경우, 충방전 속도를 1.0 C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실시예 1 내지 6과 마찬가지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의 클램핑 부 체결 이후 용량이 즉시 회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86 사이클 이후 전지를 장치에서 탈거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수명 특성이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200 사이클 이후의 용량은 감소하여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 속도를 일정 값 이내로 하여야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호의 설명]
10: 이차전지 11, 12: 전극 리드
100: 클램핑 부 110: 상부 프레스
120: 하부 프레스 130: 실린더
140: 압력조절부 200: 충방전 부
210: + 단자 220: - 단자

Claims (10)

  1. (1)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이 압착되도록 하며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은 100 g/cm2 내지 100 kg/cm2의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25℃ 내지 80℃의 온도 범위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은 0.5 C 이하의 충방전 속도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은 1회 내지 10회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는 규소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진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규소계 음극 활물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의 회복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7.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용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로서,
    상기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하여 가압 및 가열하기 위한 클램핑(clamping) 부, 및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충방전 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clamping) 부에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고정한 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충방전 부를 통하여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가압부재; 및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과 평행하고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한 쌍 이상의 가압면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수명 특성이 퇴화된 이차전지에 포함된 양극, 음극 또는 분리막의 압착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PCT/KR2019/001924 2018-02-23 2019-02-18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WO20191642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58,953 US20200381702A1 (en) 2018-02-23 2019-02-18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CN201980006820.2A CN111527642B (zh) 2018-02-23 2019-02-18 二次电池容量恢复方法和二次电池容量恢复装置
EP19757407.2A EP3726638B1 (en) 2018-02-23 2019-02-18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893A KR102279000B1 (ko) 2018-02-23 2018-02-23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KR10-2018-0021893 2018-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202A1 true WO2019164202A1 (ko) 2019-08-29

Family

ID=6768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924 WO2019164202A1 (ko) 2018-02-23 2019-02-18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81702A1 (ko)
EP (1) EP3726638B1 (ko)
KR (1) KR102279000B1 (ko)
CN (1) CN111527642B (ko)
WO (1) WO2019164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8578A (zh) * 2020-05-20 2023-01-31 日产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的恢复控制方法、二次电池的恢复控制系统以及车辆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1370B (zh) * 2021-01-14 2022-04-08 湖南机动车检测技术有限公司 激活磷酸铁锂梯次电池容量的方法
KR20230081085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7863A (ja) * 2011-08-06 2013-02-21 Denso Corp 組電池
KR20160063278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두께 측정장치 및 방법
JP2017045621A (ja) * 2015-08-26 2017-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JP2017117637A (ja) * 2015-12-24 2017-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20180000605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 가압 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180021893A (ko) 2015-09-11 2018-03-0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수직 방향 협개선 가스 실드 아크 용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512A1 (en) * 2010-03-12 2013-05-09 University Of Delaware Buckled silicon nanostructures on elastomeric substrates for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CN101944592B (zh) * 2010-05-25 2012-11-28 耿世达 一种锂离子电池高容量硅铜/碳复合负极材料及其生产工艺
EP2595235A1 (en) 2010-07-16 2013-05-22 Nissan Motor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vice for recovering battery capacity and method for recovering battery capacity
KR101510981B1 (ko) * 2011-03-14 2015-04-10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의 용량 회복 방법
JP5644602B2 (ja) * 2011-03-16 2014-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車両、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JP5894394B2 (ja) * 2011-08-22 2016-03-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二次電池制御システム
JP5800146B2 (ja) * 2011-11-10 2015-10-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5187938A (ja) * 2014-03-26 2015-10-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容量回復方法および容量回復システム
CN105633493B (zh) * 2014-10-29 2019-02-05 惠州金能电池有限公司 修复过放电受损锂离子电池的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7863A (ja) * 2011-08-06 2013-02-21 Denso Corp 組電池
KR20160063278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두께 측정장치 및 방법
JP2017045621A (ja) * 2015-08-26 2017-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KR20180021893A (ko) 2015-09-11 2018-03-0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수직 방향 협개선 가스 실드 아크 용접 방법
JP2017117637A (ja) * 2015-12-24 2017-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20180000605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 가압 활성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26638A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8578A (zh) * 2020-05-20 2023-01-31 日产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的恢复控制方法、二次电池的恢复控制系统以及车辆控制系统
CN115668578B (zh) * 2020-05-20 2023-10-1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的恢复控制方法、二次电池的恢复控制系统以及车辆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6638A1 (en) 2020-10-21
EP3726638A4 (en) 2021-02-24
CN111527642A (zh) 2020-08-11
KR20190101650A (ko) 2019-09-02
EP3726638B1 (en) 2024-05-22
KR102279000B1 (ko) 2021-07-20
CN111527642B (zh) 2023-12-12
US20200381702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202A1 (ko) 이차전지 용량 회복 방법 및 이차전지 용량 회복 장치
WO202015930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및 이차전지
WO2016208970A1 (ko) 만곡형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WO2020159081A1 (ko) 자석을 포함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8088735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WO2015076573A1 (ko) 이차 전지
WO2019135510A1 (ko)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17668A1 (ko) 전극 조립체, 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WO202012245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9182242A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WO2021118330A1 (ko) 저항이 개선된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0231149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0242257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0138841A1 (ko) 벤딩 현상이 개선된 스택형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403A1 (ko) Eol 셀의 재생방법
WO2019108017A1 (ko) 전극 및 전극조립체
WO2022225380A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WO2022108202A1 (ko) 전극의 압연 장치 및 전극의 압연 방법
WO2018030810A1 (ko) 전극과 분리막이 부분 결착된 전극조립체
WO202117280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WO2023055044A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3096323A1 (ko) 이차전지 활성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 방법
WO2022065810A1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WO2018012940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3106745A1 (ko) 전극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57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757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1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