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02A1 -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02A1
WO2019088402A1 PCT/KR2018/008224 KR2018008224W WO2019088402A1 WO 2019088402 A1 WO2019088402 A1 WO 2019088402A1 KR 2018008224 W KR2018008224 W KR 2018008224W WO 2019088402 A1 WO2019088402 A1 WO 20190884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vericin
composition
skin whitening
agent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2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성
이승은
이학성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59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093612B/zh
Publication of WO20190884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5Depsipept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b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 human eyes, hair, and skin color are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skin. In addition, they ar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or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ultraviolet rays, stress, and hormones.
  • Melanin is a type of melanocyte melanocyte melanocyte present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starting from the conversion of tyrosine, an amino acid, tyrosinase, into wave doping and dopachrome, Process and non-enzymatic oxidation process.
  • melanin has a pure function to maintain the body temperature while absorbing a certain amount of ultraviolet rays, but melanin which is synthesized excessively darkens the skin tone and causes skin hypercholesterolemia such as spots, freckles and skin spots , And is known to promote skin aging.
  • a substance exhibit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such as hydroquinone, ascorbic acid, glutathione, and cysteine has been applied to skin whitening or skin hypercholesterolemia.
  • hydroquinone has a high degree of skin irrita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imiting the formulation to a very small amount.
  •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against external stimuli such as heat, light, and oxygen is low, There was a problem.
  • thiol-based compounds such as glutathione and cysteine not only lower the consumer's preference due to the unpleasant odor, but also have low transdermal absorption rate and low long-term stability.
  • Korean Patent No. 10-1776692 disclose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extract of Artemisia sp. Having an effect of skin whitening by inhibiting activity of tyrosinase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No. 10-1069907 discloses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a melanin inhibitory activity higher than that of arbutin by containing an extract from alfalfa, a fraction thereof, or a cyclopentadione compound obtained by refining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conventional natural substances or compounds derived from natural substance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atents have a problem that the whitening effec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of stability, discoloration or removal.
  • Beauvericin is a cyclic depsipeptide of enniatin, one of the antibiotic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whitening uses of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s are not well known.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exhibits melanin formation inhibitory activity without being irritating to the skin, and that it can be used for skin whitening purposes, so that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beauv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capable of realizing a superior whitening effect without being irritating to the skin.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Beauv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inhibit the production of melanin pigment.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contain 0.0001 to 15% by weight of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ftening water, nutritional lotion, convergent lotion, skin, lotion, essence, cream, massage cream, pack, makeup base, babe cream, foundation, powder, cleansing foam, cleansing cream and cleansing water Or mor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granules, lemonades, powders, syrups, solutions, exfoliants, elixirs, fluid extracts, emulsions, suspensions, And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otion, a liniment, an aerosol, an ointment, a patch, a pasta, a cataplasma, a cream, a paste, a non-water-soluble agent, a freeze-dried agent, a suppository and an injection.
  • the bericin may have been extracted from Cordyceps.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beau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have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without being irritating to the skin.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inhibit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s, enzymes, signal transduction substances, and the like associated with melanin production, Lt; / RTI >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1.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1) in Experimental Example 4.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1) in Experimental Example 4.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2) in Experimental Example 4.
  • a and / or B means A or B, or A and B.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b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 the composition for whitening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kin whitening effect as it contains beauv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chieve a skin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melanin pig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at can inhibit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s, enzymes, By inhibiting 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it can have a whitening effect.
  • Beauvericin is a cyclic depsipeptide belonging to the Enniatin family of antibiotic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cholesterol effects.
  • bericin has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apoptosis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in biochemical processes (Shivani et al., J Proteomics Bioinform 2017, 10: 1, pp18-23).
  • the IUPAC name of bericin is (3S, 6R, 9S, 12R, 15S, 18R) -3,9,15-Tribenzyl-6,12,18-triisopropyl-4,10,16-trimethyl-1,7,13-trioxa -4,10,16-triazacyclooctadecane-2,5,8,11,14,17-hexone, and has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the bericin of this embodiment may be one which is isolated, extracted, purified or produced from Cordyceps or endophytic fungi of medicinal plants.
  • the bericin of this embodiment may be one derived from Cordyceps.
  • the Cordyceps speci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ecilomyces japonica, Paecilomyces tenuipes, Isaria japonica, Cordyceps militaris, Ophiocordyceps sinensis, Cordyceps sinensis, Cordyceps bassiana, Cordyceps pruinosa, , Cordyceps sobolifera, Cordyceps martialis, Cordyceps nutans , and Elaphocordyceps ophioglossoides may be used.
  • the Cordyceps sinensi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Cordyceps militaris.
  • the fungi that produce bericin include Beauveria, Paecilomyces, Polyporus, Isaria, and Fusarium .
  • Examples of the Fusarium include Fusarium Proliferatum, Fusarium Semitectum, Fusarium Subglutinans, and Fusarium Begoniae .
  •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Beauveria include Beauveria Bassiana .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0.0001 to 15%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less than 0.0001% by weight of beric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hitening effect due to bericin is insufficient.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bericin in an amount of more than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e increase in whitening effect due to bericin is insignificant and not economical,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is lowered.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 bericin derivative.
  • the bericin derivative may mean that the bericin is obtained by addition or substitution reaction of a substituent which is ordinarily practiced in the 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of the bericin derivatives obtained by chemically changing a part of bericin ≪ / RTI > compounds.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0.0001 to 15%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bericin derivative have.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less than 0.0001% by weight of the bericin derivativ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hitening effect by the bericin derivative is insufficient .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more than 15% by weight of the bericin derivativ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e whitening effect due to the bericin derivative is insignifican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is lowered.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example may contain both bericin and bericin derivatives.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0.0001 to 15%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bericin and bericin derivative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ixing ratio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an additiv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an additiv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a lubricant such as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an emulsifier, but are not limited to, vitamins, blockers, wetting agents,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oftening skin, such as softening longevity, nutritional lotion, convergent lotion, skin, lotion, essence, cream, massage cream, pack, makeup base, babe cream, foundation, powder, Water, or the lik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to all known formulations.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ormulation when formed into a paste, a cream or a gel state, it may be an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gacanth gum,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 , Silicon,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solvent, a dissolving agent, a emulsifying agent and the like.
  • a solvent examples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spension,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sion of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or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tragacanth gum,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cream or a cleansing wat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alcohol sulfates,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s, sulfosuccinic acid monoesters, isethionates, imidazolinium derivatives, A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n alkylamidobetaine, an aliphatic alcohol, a fatty acid glyceride, a fatty acid diethanolamide, a vegetable oil, a lanolin derivative, an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and the like.
  • the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ll the compositions of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includ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dosage form of the skin white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
  • the sal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 long as it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d includes,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fluoric acid, hydrobrom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artar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toluenesulfonic acid, and naphthalenesulfonic aci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granules, lemonades, powders, syrups, solutions, exfoliants, elixirs, fluid extracts, emulsions, suspensions, And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otion, a liniment, an aerosol, an ointment, a patch, a pasta, a cataplasma, a cream, a paste, a non-water-soluble agent, a freeze-dried agent, a suppository and an injec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diluent, an excipient, and a carrier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nd a surfacta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a carrier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nd a surfacta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the solid prepara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in addition to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the excipient may includ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rhamnates, elixir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nd the lik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example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and humans in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may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intraperitone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or intracerebral injection. At this time, transdermal administration is preferable for the parenteral route, and local application is most preferable.
  • the preferred dose of the skin white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body weight, the degree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administration route and the perio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0.1 to 100 mg / kg per day,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parenteral route administration dose of the skin white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body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of administration, but 1.0 to 3.0 ml /
  • the circuit can be applied in divided w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ll the constitutions of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includ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 murine melanoma (B16 F10) were inoculated the cells 6-well plate (10% of FBS (fetal bovine serum) containing a DMEM medium used) in 1 ⁇ 10 5 pieces for each well, 5% CO 2, and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FBS fetal bovine serum
  •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at concentrations of 1 ⁇ M, 10 ⁇ M and 100 ⁇ M , For about 1 day. Then, cytotoxicity was measured using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method. For comparison, the cell survival rat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MTT is a pale yellow substrate, which is cleaved by respiratory chain enzymes in mitochondria of living cells to produce dark blue formazan, which does not react in dead cells. Therefore, the number of viable cells is measured using the amount of formazan .
  • murine melanoma (B16 F10) were inoculated the cells 6-well plate (10% of FBS (fetal bovine serum) containing a DMEM medium used) in 1 ⁇ 10 5 pieces for each well, 5% CO 2, and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FBS fetal bovine serum
  •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at concentrations of 1 ⁇ M, 5 ⁇ M and 10 ⁇ M, respectively, (P-bromocinnamylamino) ethyl] -5-isoquinolinesulfonamide (H89), which is known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cells, was cultured in a diluted medium at 5% CO 2 and 37 ° C for about 1 day .
  •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 Cells from which the medium was removed were washed with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 and treated with trypsin to recover the cells. After the cell counts of the recovered cells were measured using a hematocytometer, the cell numbers of each treatment group were divided into 2-mL tubes in equal numbers, centrifuged at 5,000 to 10,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o obtain pellet cells (Cell precipitate).
  •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
  • the obtained cell precipitate was added to 300 ⁇ l of a 1 M sodium hydroxide solution containing 10% DMSO, and the resulting melanin pigment was dissolved in a 65 ° C thermostatic cha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n, the amount of melanin per cell constant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40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in which the melanin dye was dissolved,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 murine melanoma (B16 F10) were inoculated the cells with 60 ⁇ dish on DMEM medium containing FBS (fetal bovine serum) of 10%, 5% CO 2, and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FBS fetal bovine serum
  •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at concentrations of 1 ⁇ M, 5 ⁇ M and 10 ⁇ M , For about 1 day.
  •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TBS (tris-buffered saline) containing Tween 20, and the secondary antibody wa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protein of the finally obtained membrane was detected by ECL (Enchanced Chemiluminescenc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which are enzymes involved in the melanin production step or transcription factors, is suppressed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bericin.
  •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was suppres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reatment with bericin, an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was remarkably suppressed at 10 ⁇ M concentration of bericin Respectively.
  • murine melanoma (B16 F10) were inoculated the cells in 6-well plate (10% of FBS (fetal bovine serum) culture medium is DMEM containing) 1 ⁇ 10 5 dogs each per well, 5% CO 2, and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FBS fetal bovine serum
  •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at concentrations of 1 ⁇ M, 5 ⁇ M and 10 ⁇ M, respectively, At 5% CO 2 and 37 ° C for about 1 day.
  • bericin purchased from Sigma-Aldrich, ⁇ 97% (HPLC)
  • Cells from which the medium was removed were washed with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 and cells were recovered using a scraper. The recovered cells were then lysed by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approximately 30 minutes with 0.1 M hydrogen chloride, and the supernatant was added to a 96-well plate with rabbit polyclonal antibody.
  •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
  • B16 F10 murine melanoma
  • FBS fetal bovine serum
  •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the B16 F10 cell Baden berry Shin [buy: Sigma-Aldrich, ⁇ 97% ( HPLC)] as a treatment 10 ⁇ M, and in a 5% CO 2, 37 °C conditions for 0 to 90 min, about 30 min And the degree of phosphorylation of CREB protein was measured.
  • the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and the B16 F10 cells and the bericin mixture were partially separated at about 0, 30, 60, and 90 minutes, and CREB Was evaluated.
  •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TBS (tris-buffered saline) containing Tween 20, and the secondary antibody wa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protein of the finally obtained membrane was detected by ECL (Enchanced Chemiluminescence)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 murine melanoma (B16 F10) were inoculated the cells with 60 ⁇ dish on DMEM medium containing FBS (fetal bovine serum) of 10%, 5% CO 2, and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until approximately 80% of cell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 plate.
  • FBS fetal bovine serum
  • the B16 F10 cell Baden berry Shin [buy: Sigma-Aldrich, ⁇ 97% ( HPLC)] as a treatment 10 ⁇ M, and in a 5% CO 2, 37 °C conditions for 0 to 90 min, about 30 min And the degree of phosphorylation of MAPK protein and NF-kB protein was measured.
  • the B16 F10 cells were treated with bericin, and the respective B16 F10 cells and the bericin mixture were partially separated at about 0, 30, 60, and 90 minutes, and MAPK And the degree of phosphorylation of NF-kB were evaluated.
  •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TBS (tris-buffered saline) containing Tween 20, and the secondary antibody wa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protein of the finally obtained membrane was detected by ECL (Enchanced Chemiluminescence),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 Phosphorylation of p38 MAPK is known to increase the melanin biosynthesis (Kor. J. Aesthet. Cosmetol., Vol. 11, No. 3, 417-426, June 2013).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ericin inhibits phosphorylation of p38 MAPK protein and suppresses phosphorylation of CREB protein, thereby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hitening effect can be obtained.
  • composition of the softening water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1 below.
  • sodium hyaluronate was dispersed in purified water with a propeller mixer (3000 rpm) to prepare a 1% solution.
  • Ingredients 1 to 8, except for sodium hyaluronate were homogenized at 500 rpm in a water-dissolving tank using a propeller mixer,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t 75 ° C,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reafter, the raw materials 9 to 11 were completely dissolved in a separate dissolution tank, and the mixture was added to the above-mentioned water dissolution tank and mixed with stirring. Vivericin or a derivative of bericin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thoroughly stirred and mixed to prepare a softening agent.
  • composition of the nutritional lotio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 the carbomer was dispersed at 4000 rpm using a propeller mixer to prepare a 2% solution.
  • Raw materials 1 to 6 were fed into an aqua yard, stirred and dispersed with a homomixer (2000 rpm), and then heated to 75 ⁇ .
  • the raw material 7-14 was added to the oily melting tank and dissolved by heating to 75 ° C.
  • the oil phase dissolved in the water dissolution tank was charged and emulsified (3000 rpm / 5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Vivericin or a derivative of bericin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sufficiently to prepare a nutrition lotion.
  • Nutritional lotion manufacturing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One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0.01 2 glycerin 7.0 3 Sorbitan stearate sucrose cocoate 2.0 4 Mineral oil 4.0 5 Trioctanoin 1.0 6 Stearic Acid 1.0 7 Glyceryl stearate 0.5 8 Sorbitan monostearate 1.0 9 Dimethicone 0.5 10 Antioxidant 0.3 11 Triethanolamine 0.1 12 Carbomer 0.2 13 EDTA 0.1 14 antiseptic Suitable amount 15 Purified water Balance
  • composition of the essence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3 below.
  • sodium hyaluronate and hydroxyethylcellulose were each dispersed in purified water in a propeller mixer (2000 rpm) to prepare a solution containing 1% by weight.
  • the carbomer was also dispersed in purified water with a propeller mixer (4000 rpm) to prepare a solution containing 2% by weight.
  • raw materials 1 to 12 were added to an aqueous dissolution tank, stirred and dispersed with a homomixer (2000 rpm), and then heated to 75 ⁇ , and the warmed water phase was further cooled to room temperature.
  • the ingredients 13 to 15 were completely dissolved in a separate dissolution tank, and the mixture was added to the above-mentioned water dissolution tank and mixed by stirring.
  • an essence containing a bericin or a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 composition of the cream contain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4 below.
  • raw materials 1 to 8 were fed into an aeration dissolving tank, stirred and dispersed with a homomixer (2000 rpm), and then heated to 75 ⁇ .
  • the raw materials 9 to 16 were added to a separate oily melting tank and heated to 80 DEG C to dissolve the oil, and the oil phase dissolved in the water-dissolving tank was introduced to emulsify (3000 rpm / 1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Vivericin or a derivative of bericin was added thereto and thoroughly stirred and mixed to prepare a cream.
  • Cream composition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One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0.01 2 1,3-butylene glycol 3.0 3 glycerin 3.0 4 Hydrogenated lecithin 1.0 5 Octyldodecanol 3.0 6 Trioctanoin 2.0 7 Stearic Acid 1.5 8 Cetostearyl alcohol 2.0 9 Polysorbate 60 1.5 10 Sorbitan sesquioleate 2.0 11 Dimethicone 3.0 12 Antioxidant 0.3 13 Xanthan gum 0.2 14 Triethanolamine 0.1 15 EDTA 0.1 16 antiseptic Suitable amount 17 Purified water Balance
  • the composition of the pack containing the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5 below. Specifically, raw materials 1 to 8 were completely dissolved in a separate dissolving tank and stirred and mixed.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s were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thoroughly stirred and mixed to prepare a pack.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table for the above-mentioned prepa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known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tion.
  • composition of pack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 One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0.01 2 glycerin 7.0 3 1,3-butylene glycol 3.0 4 Squalene 3.0 5 Dimethicone 3.0 6 Sodium hyaluronate 0.1 7 Glycine 2.0 8 Polyacrylamide 5.0 9 Antioxidant 0.3 10 Triethanolamine 0.1 11 EDTA 0.1 12 antiseptic Suitable amount 13 Purified water Balance
  • the composition of the cleansing foam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6 below.
  • the water phase and the oil phase were dispersed and dissolved, respectively, followed by cooling to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cleansing foam.
  • composition of Cleansing Foam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One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0.01 2 Stearic acid 6.5 3 Myristic acid 28.0 4 Self-emulsifying glycerin monostearate 3.0 5 Propylene glycol 5.0 6 Concentrated glycerin 10.0 7 Sodium hydroxide 7.0 8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0.1 9 Spices Suitable amount 10 Purified water Balance
  • a powder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by mix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in an amount of 50 mg and 2 g of crystalline cellulose, followed by a conventional method.
  • it may further include known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tion.
  • the tablets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were prepared by mixing 50 mg of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400 mg of crystalline cellulose and 5 mg of magnesium stearate, .
  • it may further include known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tion.
  • the capsules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are prepared by mixing 30 mg of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100 mg of whey protein, 400 mg of crystalline cellulose and 6 mg of magnesium stearate, Was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 it may further include known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tion.
  • An injectio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epared by mixing 100 mg of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with distilled water for administration and pH adjusting agent, filling the vial with a volume of 2 ml and sterilizing ≪ / RTI >
  • it may further include known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tion.
  • composition of the ointment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is shown in Table 7 below.
  • Table 7 The composition of the ointment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bericin or bericin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of Ointment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 One Vivericin or bericin derivative 0.01 2 glycerin 8.0 3 1,3-butylene glycol 4.0 4 Liquid paraffin 15.0 5 Beta Glucan 7.0 6 Carbomer 0.1 7
  • Squalane 1.0 9
  • Cetylaryl glucoside 1.5 10
  • Cetearyl alcohol 1.0 antiseptic Suitable amount
  • incense Suitable amount 14 Pigment Suitable amount 1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동자, 머리, 피부색 등은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며, 이외에도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등 다양한 환경적 또는 생리적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의 멜라노좀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도파로 산화되어 도파크롬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일련의 효소적 산화과정 및 비효소적 산화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이와 같은 멜라닌은 일정량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체온을 유지해주는 순기능을 가지나, 과도하게 합성된 멜라닌은 피부 톤을 어둡게 하며, 기미, 주근깨, 피부 반점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 등을 발생시키며,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시스테인(Cystein) 등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피부 미백 또는 피부 과색소 침착증 개선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도가 높아 배합을 극소량으로 제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스코르브산은 열, 빛, 산소 등 외부의 자극에 대한 안정성이 낮아 이를 적용한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의 경우 변색 또는 변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로 인해 소비자 선호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경피 흡수율이 낮으며, 장기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미백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천연 소재 또는 천연 소재 유래 화합물 등을 이용한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6692호에서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9907호에서는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를 정제한 사이클펜타디온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알부틴 보다 더욱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이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을 포함하는 종래의 천연 물질 또는 천연 물질 유래 화합물 등은 미백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안정성, 변색 또는 변취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뷔베리신(Beauvericin)은 항생 물질의 하나인 에니아틴(Enniatin) 계열의 고리형 뎁시펩타이드(Depsipeptide)로, 항암, 항균, 항염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의 미백 용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가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보이는바, 이를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뷔베리신이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 색소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0.0001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뷔베리신은 동충하초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 효소, 신호전달물질 등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험예 3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험예 4에서 (1)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험예 4에서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험예 5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 색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 효소, 신호전달물질 등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뷔베리신(Beauvericin)은 고리형 뎁시펩타이드(Depsipeptide)로, 항생 물질의 하나인 에니아틴(Enniatin) 계열에 속하며, 항암, 항균, 항염, 항콜레스테롤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뷔베리신은 생화학 프로세스에서 세포 사멸(Apoptosis), 항혈소판 응집 등에 관여함이 보고되어 있다(Shivani et al., J Proteomics Bioinform 2017, 10:1, pp18-23).
뷔베리신의 IUPAC명은 (3S,6R,9S,12R,15S,18R)-3,9,15-Tribenzyl-6,12,18-triisopropyl-4,10,16-trimethyl-1,7,13-trioxa-4,10,16-triazacyclooctadecane-2,5,8,11,14,17-hexone 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8224-appb-I000001
본 실시예의 뷔베리신은 동충하초(Cordyceps) 또는 약용식물의 내장성 균류(Endophytic fungi)로부터 분리, 추출, 정제 또는 생산된 것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뷔베리신은 동충하초에서 추출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는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Paecilomyces tenuipes, Isaria japonica), 큰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박쥐나방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 Cordyceps sinensis), 노랑다발동충하초(Cordyceps bassiana), 붉은자루동충하초(Cordyceps pruinosa), 매미다발동충하초(Cordyceps sobolifera), 유충흙색다발동충하초(Cordyceps martialis), 노린재동충하초(Cordyceps nutans) 및 균핵동충하초(Elaphocordyceps ophioglossoid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충하초는 큰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뷔베리신을 생성하는 균류로는 Beauveria, Paecilomyces, Polyporus, Isaria, Fusarium 등이 있다. 상기 Fusarium 으로는 Fusarium Proliferatum, Fusarium Semitectum, Fusarium Subglutinans, Fusarium Begoniae 등이 있으며, 상기 Beauveria 으로는 Beauveria Bassiana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뷔베리신을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뷔베리신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뷔베리신에 의한 미백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뷔베리신을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뷔베리신에 의한 미백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뷔베리신 유도체는 뷔베리신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뷔베리신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얻어지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뷔베리신 유도체를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뷔베리신 유도체를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뷔베리신 유도체에 의한 미백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뷔베리신 유도체를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뷔베리신 유도체에 의한 미백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뷔베리신 및 뷔베리신 유도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뷔베리신 및 뷔베리신 유도체를 0.0001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 들의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이외에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형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상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또는 클렌징 워터일 경우에는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칠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타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이외에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부형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상기 고형제제는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레모네이트제, 엘릭서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강내,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때, 비경구 경로로는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의 비경구 경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외용제의 경우 1 일당 1.0 ~ 3.0 ml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도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험예
실험예 1 : 세포 독성 시험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6-well plate(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 이용)에 각 well당 1 Х 105 개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농도 별(1 μM, 10 μM, 100 μM)로 각각 처리하고, 5% CO2, 37 ℃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MTT (3-(4,5-dimet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비교를 위해 무처리군(control)의 세포 생존율을 함께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한편, MTT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 효소에 의해 개열하여 암청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는데,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하지 않으므로, 포르마잔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생세포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MTT 검정 방법에 따르면, 뷔베리신은 약 1 ~ 100 μM 처리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뷔베리신은 피부에 저자극성임을 의미한다.
실험예 2 : 멜라닌 생성 저해능 평가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6-well plate(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 이용)에 각 well당 1 Х 105 개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농도별(1 μM, 5 μM, 10 μM)로 각각 처리하고, 이의 대조군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H89 (N-[2-(p-bromocinnamylamino)ethyl]-5-isoquinolinesulfonamide)를 10 μM 처리하여, 희석된 배지에서 5% CO2, 37 ℃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회수된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한 후, 각 처리 그룹별 세포수를 동수로 맞추어 2 mL 튜브에 나눠 담은 뒤,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여 pellet cell(세포 침전물)을 얻었다.
수득된 세포 침전물을 10 %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300 ㎕에 넣고, 이를 65 ℃ 항온조에서 일정시간 방치하면서 멜라닌 색소를 녹였다. 이 후, 상기 멜라닌 색소가 녹아 있는 용액을 microplate reader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뷔베리신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대조군인 H89 와 뷔베리신을 동일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뷔베리신이 H89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저해능 평가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에 60φ dish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농도별(1 μM, 5 μM, 10 μM)로 각각 처리하고, 5% CO2, 37 ℃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회수된 세포를 용해시켜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단백질을 8 % ~ 10 % 황산 도데실 나트륨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크기 별로 분리한 다음,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이 후, 상기 멤브레인을 5 % 탈지유를 이용하여 1시간 블로킹하고, 1차 항체를 4 ℃에서 오버나잇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Tween20이 포함된 TBS(tris-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멤브레인의 단백질을 ECL(Enchanced chemiluminescence)으로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보면, 뷔베리신을 처리한 결과, 멜라닌 생성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 또는 전달인자인 티로시나아제, TRP1, TRP2, MITF 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뷔베리신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티로시나아제, TRP1, TRP2, MITF 의 발현이 억제되며, 그 중에서도 뷔베리신 10 μM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 TRP1, TRP2, MITF 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결과를 통해, 뷔베리신을 처리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1)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의 생성 억제 측정 시험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6-well plate(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에 각 well당 1 Х 105 개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농도별(1 μM, 5 μM, 10 μM)로 각각 처리하고, 이를 희석된 배지에서 5 % CO2, 37 ℃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회수된 세포를 0.1M의 염화수소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약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을 통해 용해시킨 다음, 상층액을 토끼 다클론성 항체가 붙어있는 96-well plate에 추가했다.
이어서, 이를 4 ℃에서 18 시간동안 인큐베이션 한 다음, Ellman's 용액을 이용해서 cAMP의 양을 확인하였고,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H89(10 μM) 및 Fk(Forskolin, 20 μM)를 처리하였다.
도 4를 보면, 뷔베리신은 MITF 및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유도하는 cAMP 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뷔베리신과 H89를 동일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뷔베리신의 cAMP 생성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뷔베리신은 cAMP 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MITF 및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CREB(Cycli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 억제 측정 시험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에 60φ dish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10 μM로 처리하고, 5% CO2, 37 ℃ 조건에서 0 ~ 90 분 동안, 약 30 분 간격으로 CREB 단백질의 인산화(phosphorylation) 정도를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을 처리하고, 약 0 분, 30 분, 60 분, 90 분 일 때 각각의 B16 F10 세포와 뷔베리신 혼합물을 일부 분리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CREB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회수된 세포를 용해시켜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단백질을 8 % ~ 10 % 황산 도데실 나트륨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에 따라 크기 별로 분리한 다음,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이 후, 단백질이 이동한 멤브레인을 5 % 탈지유를 이용하여 1시간 블로킹 시켰고, 1 차 항체를 4 ℃에서 오버나잇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Tween20이 포함된 TBS(tris-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한 다음 2 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멤브레인의 단백질을 ECL(Enchanced chemiluminescence)으로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보면, 뷔베리신을 10 μM로 처리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CREB의 인산화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뷔베리신은 CRE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 4 및 5에 따르면, 뷔베리신은 cAMP 생성 또는 CREB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5 : 멜라닌 합성 억제 과정에서 MAPK 및 NF-kB의 연관성 평가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에 60φ dish로 접종한 후, 5 % CO2 37 ℃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구입 : Sigma-Aldrich, ≥97% (HPLC)]을 10 μM로 처리하고, 5% CO2, 37 ℃ 조건에서 0 ~ 90 분 동안, 약 30 분 간격으로 MAPK 단백질과 NF-kB 단백질의 인산화(phosphorylation) 정도를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배양 후, B16 F10 세포에 뷔베리신을 처리하고, 약 0 분, 30 분, 60 분, 90 분 일 때 각각의 B16 F10 세포와 뷔베리신 혼합물을 일부 분리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MAPK 및 NF-kB의 인산화(phosphorylation)정도를 평가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회수된 세포를 용해시켜,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단백질을 8 % ~ 10 % 황산 도데실 나트륨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크기 별로 분리한 다음,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이 후, 단백질이 이동한 멤브레인을 5 % 탈지유를 이용하여 1시간 블로킹 시켰고, 1 차 항체를 4 ℃에서 오버나잇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Tween20이 포함된 TBS(tris-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멤브레인의 단백질을 ECL(Enchanced chemiluminescence)으로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보면, 뷔베리신은 ERK, JNK 및 NF-kB 단백질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p38 MAPK 단백질의 인산화는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p38 MAPK의 인산화는 멜라닌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기전이다(Kor. J. Aesthet. Cosmetol., Vol. 11 No. 3, 417-426, June 2013 참고). 즉, 본 발명에서 뷔베리신은 p38 MAPK 단백질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CREB 단백질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 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 ℃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 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연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3 글리신 3.3
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5 1,3-부틸렌 글리콜 3.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7 에탄올 5.0
8 항산화제 0.1
9 트리에탄올아민 0.1
10 EDTA 0.1
11 방부제 적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 rpm으로 분산하여 2 % 용액 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을 투입하여 75 ℃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5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양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글리세린 7.0
3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4 미네랄 오일 4.0
5 트리옥타노인 1.0
6 스테아릭에씨드 1.0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9 디메치콘 0.5
10 항산화제 0.3
11 트리에탄올아민 0.1
12 카보머 0.2
13 EDTA 0.1
14 방부제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에센스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에센스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2000 rpm)로 분산하여 1 중량% 함유용액으로 준비하였다. 또한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4000 rpm)로 분산하여 2 중량% 함유용액으로 준비하였다. 한편,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12를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고, 가온된 수상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 내지 15를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이에,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센스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글리세린 5.0
3 1,3-부틸렌 글리콜 2.0
4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5 카보머 1.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7 글리신 3.0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10 에탄올 3.0
11 항산화제 0.3
12 트리에탄올아민 0.1
1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4 EDTA 0.1
15 방부제 적량
16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크림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6을 투입하여 80 ℃까지 가온 용해한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림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1,3-부틸렌글리콜 3.0
3 글리세린 3.0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0
5 옥틸도데카놀 3.0
6 트리옥타노인 2.0
7 스테아릭에씨드 1.5
8 세토스테아릴알콜 2.0
9 폴리솔베이트60 1.5
1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11 디메치콘 3.0
12 항산화제 0.3
13 산탄검 0.2
14 트리에탄올아민 0.1
15 EDTA 0.1
16 방부제 적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팩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팩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글리세린 7.0
3 1,3-부틸렌글리콜 3.0
4 스쿠알렌 3.0
5 디메치콘 3.0
6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1
7 글리신 2.0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9 항산화제 0.3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EDTA 0.1
12 방부제 적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클렌징 폼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클렌징 폼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클렌징 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렌징 폼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스테아린산 6.5
3 미리스틴산 28.0
4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5 프로필렌 글리콜 5.0
6 농글리세린 10.0
7 수산화나트륨 7.0
8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산제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제는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8. 정제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는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9. 캡슐제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캡슐제는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10. 주사제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는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100 mg, 주사용 증류수,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11. 연고제의 제조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연고제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고제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 0.01
2 글리세린 8.0
3 1,3-부틸렌글리콜 4.0
4 유동 파라핀 1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8 스쿠알란 1.0
9 세틸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1 세테아릴 알코올 1.0
12 방부제 적량
13 적량
14 색소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뷔베리신(Beauvericin)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 색소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0.0001 ~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뷔베리신은 동충하초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CT/KR2018/008224 2017-11-02 2018-07-20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90884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59641.0A CN111093612B (zh) 2017-11-02 2018-07-20 包含白僵菌素或白僵菌素衍生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美白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79A KR102096788B1 (ko) 2017-11-02 2017-11-02 뷔베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7-0145179 2017-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02A1 true WO2019088402A1 (ko) 2019-05-09

Family

ID=6633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224 WO2019088402A1 (ko) 2017-11-02 2018-07-20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6788B1 (ko)
CN (1) CN111093612B (ko)
WO (1) WO20190884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9341A (zh) * 2020-11-26 2021-03-30 福州大学 白僵菌素类似物作为apc/c的小分子激动剂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44B1 (ko) 2019-06-19 2022-02-07 대한민국 컬러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65435B1 (ko) 2019-08-20 2021-06-15 주식회사 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497A (ko) * 2011-04-29 2012-1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멜라닌 생성억제물질 에스-디하이드록시팔네식산 메틸 에스터의 대량생산방법
CN103751030A (zh) * 2013-12-12 2014-04-30 安徽农业大学 具有抑制酪氨酸酶活性的白僵菌提取物的应用及制备方法
US20140371158A1 (en) * 2013-06-14 2014-12-18 Georgia Regents University Beauvericin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for inhibiting the hsp90 chaperone pathway
US20150297723A1 (en) * 2006-03-06 2015-10-22 Nuvo Research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07B1 (ko) 2008-09-04 2011-10-05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85059B1 (ko) 2009-12-21 2011-11-21 박문규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76692B1 (ko) 2015-11-03 2017-09-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7714597A (zh) * 2017-09-26 2018-02-23 孟庆云 一种美白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97723A1 (en) * 2006-03-06 2015-10-22 Nuvo Research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20120122497A (ko) * 2011-04-29 2012-1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멜라닌 생성억제물질 에스-디하이드록시팔네식산 메틸 에스터의 대량생산방법
US20140371158A1 (en) * 2013-06-14 2014-12-18 Georgia Regents University Beauvericin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for inhibiting the hsp90 chaperone pathway
CN103751030A (zh) * 2013-12-12 2014-04-30 安徽农业大学 具有抑制酪氨酸酶活性的白僵菌提取物的应用及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TOCKA ET AL.: "Bioactive metabolites of entomopathogenic fungi Beauveria bassiana", MILITARY MEDICAL SCIENCE LETTERS, 2016, pages 80 - 88, XP05561495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9341A (zh) * 2020-11-26 2021-03-30 福州大学 白僵菌素类似物作为apc/c的小分子激动剂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3612A (zh) 2020-05-01
KR102096788B1 (ko) 2020-04-03
KR20190050058A (ko) 2019-05-10
CN111093612B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8402A1 (ko)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0076101A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WO2015037891A1 (ko) 신규 고리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WO2014163219A1 (ko) 신규한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
WO2022260454A1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노화 방지용 조성물
WO2020246766A1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0123184A1 (ko) 노르갈란타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077621A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WO2016159580A1 (ko)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119756A1 (ko) 주름개선, 노화방지, 미백, 항염증 기능성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19031790A1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1251790A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디옥시콜산-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WO2022031044A1 (ko)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142368A2 (ko)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6380A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4080398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80401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80400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80399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80402A1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9088648A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172666A1 (ko) Ll37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106821A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106820A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3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3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