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59580A1 -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59580A1
WO2016159580A1 PCT/KR2016/003038 KR2016003038W WO2016159580A1 WO 2016159580 A1 WO2016159580 A1 WO 2016159580A1 KR 2016003038 W KR2016003038 W KR 2016003038W WO 2016159580 A1 WO2016159580 A1 WO 20161595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sition
formula
thiasapogenol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3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용덕
고재영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680025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635561B/zh
Priority to US15/561,560 priority patent/US20180078482A1/en
Publication of WO20161595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59580A1/ko
Priority to HK18103415.1A priority patent/HK1243927A1/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5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75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Definitions

  • Skin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dry, neutral, oily or complex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kin surface, which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 and sebum.
  • NMF natural moisturing factor
  • sebum When the amount of NMF and sebum is well balanced, the skin remains moist and soft, while too much sebum is likely to be oily or acne-prone skin. Oily skin, because the pores of the skin comes to the surface of the skin surface with a lot of sebum secretion and pores are present, the face looks dirty and makeup is easily erased.
  • the keratin of the thickened pores thickened by abnormal keratinization process should be removed to promote cell metabolism and to promote collagen production from the dermal tissue to restore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or sagging pores.
  •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shrinking pores, suppressing or improving wrinkles, and enhancing skin elasticity by promoting collagen biosynthesis.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fogenol derivative having excellent sebum control,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effect as an active ingredient by inhibiting 5 ⁇ -reductase activity.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 C 1-6 alkyl, —OH, —R 6 OH, or —CHO,
  • R 3 is —H, C 1-6 alkyl, —OH, or —OOCR 7 ,
  • R 4 is -H or -COR 8 ,
  • R 5 is —H or C 1-6 alkyl
  • R 6 is C 1-6 alkyl
  • R 7 is C 2-6 alkenyl
  • R 8 is C 1-6 alkyl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ore reduc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or improving wrinkles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sebum control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cne ski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formula 1, for use in one or more u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re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sebum control, and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 a thiasapogenol derivative for use in one or more u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re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sebum control, and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 a thiasapogenol derivative is provided.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a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pores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sebum control, and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a method for reducing pores, a method for inhibiting or improving por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a method for controlling sebum, and preventing or improving acne ski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composition having at least one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ods are provided.
  • the administra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method and administration dose described herein.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intend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use in one or more u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re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sebum control, and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It provides a use of a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may be 21-O-angeloyltheasapogenol E3.
  • the 21-O-angeloylthiasapogenol E3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may be derived from green tea saponin.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included in 0.0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to promote collagen biosynthesis.
  • the composition may be to inhibit 5 ⁇ -reductase activity.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having excellent pore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promoting effect by promoting collagen biosynthesis.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having excellent sebum control,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5 ⁇ -reductase activity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ncludes a thiasapogenol derivative derived from a plant natural material as an active ingredient has no side effects and excellent stability for pore reduction, wrinkle suppression or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sebum control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cne skin.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 C 1-6 alkyl, —OH, —R 6 OH, or —CHO,
  • R 3 is —H, C 1-6 alkyl, —OH, or —OOCR 7 ,
  • R 4 is -H or -COR 8 ,
  • R 5 is —H or C 1-6 alkyl
  • R 6 is C 1-6 alkyl
  • R 7 is C 2-6 alkenyl
  • R 8 is C 1-6 alkyl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ore reduc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or improving wrinkles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sebum control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cne skin comprising a thiasapogenol derivative (the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may be 21-O-angeloyltheasapogenol E3.
  • the 21-O-angeloylthiasapogenol E3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 R 1 is -CHO
  • R 2 is -CH 3
  • R 4 is -COCH 3 and R 5 is -CH 3 .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may be derived from green tea saponin, more specifically green tea seed saponin.
  • the thiaspapogenol derivative derived from green tea seed saponin may be prepared by obtaining an extract containing saponin from green tea seed using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separating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more specifically 21-O-angeloylthiasapogenol E3, by hydrolyzing the extract using an acid, a base, an enzyme, or a microorganism producing the enzyme. It can be prepared by.
  • the organic solvent may be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ether,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or a mixture of water and 50% ethanol in one aspect.
  • the acid may be one or more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or a mixed solvent of the acid with one or more alcoho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and butanol.
  • the base may be one or more b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or a mixed solvent of the base and one or more alcoho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and butanol.
  • the enzyme or microorganism producing the enzyme is an enzyme that breaks down the sugar bonds of the green tea saponin contained in the extract or an enzyme that breaks down the sugar bonds. More specifically, 21-O-angeloylthiasapogenol E3 can be produced.
  • the enzyme is glucosidase, arabinosidase, arachnosidase, rhamnosidase, xylosidase, cellulase, hesperidinase, naringininas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ringinase, glucuronidase, pectinase, galactosidase and amyloglucosidase.
  • microorganisms producing the enzyme are aspergillus genus, Bacillus genus, penicillium genus, rhizopus genus, rhizomucor genus, talaomyces (talaromyces), bifidobacterium (genus), mortierella (mortierella), genus Cryptococcus (cryptococcus) and microbacterium (microbacterium)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reaction solution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a solvent, and alcohol is added to the residue, followed by stirring 1 to 5 times.
  • the method for producing thiasapogenol derived from the green tea saponin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entirety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88127.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included in 0.0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included in 0.01 to 15% by weight, 0.01 to 10% by weight, or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represented by Formula 1 included in th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is 0.001% by weight, 0.01% by weight, or 0.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be included in the wt% or more, or 1.0 wt% or more, in another aspect may be included in 20% by weight, 15% by weight, 10% by weight or less, or 5% by weight or less.
  • the content is contained 0.001% by weight or more to reduce the pores of the composition, improve wrinkles, improve skin elasticity, sebum control and acne improving effect, it is contained in 20% by weight or less to ensure safety or formula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exhibit good efficacy without side effects.
  • the composition may be to promote collagen biosynthesis. 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be to increase the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of fibroblasts.
  • the composition may be to inhibit 5 ⁇ -reductase activity.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adjuvant such as a preservative, a stabilizer, a wetting agent or an emulsifier, a salt and / or a buffer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in addition to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and It may further contain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and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methods.
  • a pharmaceutical adjuvant such as a preservative, a stabilizer, a wetting agent or an emulsifier, a salt and / or a buffer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may further contain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and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methods.
  • the oral dosage forms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hard and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fiers, syrups, powders, powders, fine granules, granules, pellets, and the like, and these formulations include surfactants in addition to active ingredients. ,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glid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 glid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Tablets may also contain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polyvinylpyrrolidine, optionally starch, agar,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Pharmaceutical additives such as disintegrant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and sweeteners.
  •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polyvinylpyrrolidine, optionally starch, agar,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 Pharmaceutical additives such as disintegrant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and sweeteners.
  • the tablets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ing, granulating or coating methods.
  • parenteral dosage form may be a transdermal dosage form, for example, an injection, drop, ointment, lotion, gel, cream, spray, suspension, emulsion, suppository, patch, or the lik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pically to the scalp, for example.
  • the daily dosage of the drug depends on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the progress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the onset, age, health status, complications, etc. On the basis of one side may be administered by dividing the composition 1 ⁇ g / kg to 200 mg / kg, in another aspect 50 ⁇ g / kg to 50 mg / kg 1 to 3 times a day, the dosage is any The metho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included herein as a generic term that may include anything applied outside the ski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additives and components included in a general cosmetic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 oils and fats In addition to the other components included, oils and fa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ings, blood circulation And accelerators, cooling agents, limiting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izing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soap, cleansing It may be prepared in any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 animal carriers vegetable fiber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ante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etc.
  • carrier components can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lactose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 a liquid or solid dosage form,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dietary supplements,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or beverages. Can be.
  •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synergistic effects may occur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other raw materials.
  • liquid component that can be contained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disclosed herein, and may include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monosaccharides, glucose and fructose, poly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dextrins and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tc.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for example,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natural carbohydrates may generally be about 1-20 g, in one aspect about 5-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 the food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flavoring agents such a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 it may include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and vegetable drinks.
  • th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ratio of the additive may vary, bu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 the total 1-butanol layer thus obtained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1-butanol extract, which was dissolved in a small amount of methanol and then added to a large amount of ethyl acetate to dry the resulting precipitate, thereby obtaining 300 g of green tea seed extract.
  • Collagen biosynthesis promoting effect of the thiasapogenol derivative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measured in comparison with the positive control group TGF-beta.
  • Fibroblasts were seeded by 10 5 cells in each well of a 24-well plate and cultured until 90% growth. This was incubated in serum-free DMEM medium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2 ⁇ g / ml of thiasapogenol derivative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GF-beta, respectively, and incubated in a CO 2 incubator for 24 hours. Subsequently,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procollagen (procollagen) was observed using a procollagen type (I) ELISA kit (procollagen type (I)).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the collagen synthesis ability was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group as 100.
  • the inhibitory effect of 5 ⁇ -reductase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rate at which [ 14 C] testosterone is converted to [ 14 C] dihydrotestosterone in HEK293-5 ⁇ R2 cells.
  • HEK293 cells were transfected with p3 ⁇ FLAG-CMV-5 ⁇ R2 and cultured at 2.5 ⁇ 10 5 cells per well in 24-well plates (Park et al., 2003, JDS. Vol. 31, pp 1 91-98). The next day, the enzyme substrate and inhibitor were replaced with fresh medium, and 0.05 ⁇ Ci [ 14 C] testosterone (Amersham Pharmacia biotech, UK) was used as the substrate. To confirm the degree of inhibition, 2 ⁇ g / ml of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added as a test substance and incubated in a 37 ° C. and 5% CO 2 incubator for 2 hours. No one was used, and 2 ⁇ g / ml of finasteride was added to the medium as a positive control and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 the thiazapogenol derivatives disclosed herein showed an excellent effect of inhibiting 5 ⁇ -reductase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result, showing that it has excellent sebum control, acne skin prevention or improvement effect.
  • the thiasapogenol derivative converts testosterone to dihydrotestosterone, binds to a receptor protein in the cytoplasm, enters the nucleus, activates sebaceous gland cells, promotes differentiation, and hypersecretes sebum in sebaceous glands. It can be seen that blocking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dihydrotestosterone by effectively inhibiting the activity of reductas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thiasapogenol derivatives disclosed herein have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5 ⁇ -reductase to inhibit sebum hypersecretion, control sebum, and prevent or improve acne.
  •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a lotion formulation were prepared as follows (unit; wt%).
  • the lotion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prepared above were selected from 10 subjects and men with wide pore sizes, and applied to the face daily for 4 weeks.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pore reduction was made by visual evaluation by experts, taking pictures before and after 4 week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rating rating: 0. not reduced at all-5. very reduced).
  • the comparative example does not contain a thiasapogenol derivative showed that the evaluation grade is 0.8 to have no pore reduction effec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hiasapogenol derivatives disclosed herein have an excellent pore reduction effect.
  • the ointment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7.
  • Hair tonic was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8.
  • the lotion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1 below.
  • thiasapogenol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80-140 mg of L-carnitine, 180 mg of soybean oil, 2 mg of palm oil, 8 mg of vegetable hardened oil, 4 mg of lead wax, and 6 mg of lecithin are mixed. According to the method was filled 400mg per capsule to prepare a soft capsule.
  • thiasapogenol derivatives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50 mg of thiasapogenol derivatives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200 mg of galactooligosaccharide, 60 mg of lactose and 140 mg of maltose were mixed and granulated using a fluidized bed dryer, followed by sugar ester. Tablets were prepared by adding 6 mg and tableting with a tablet press.
  • thiasapogenol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250 mg of anhydrous glucose, and 550 mg of starch were mixed, molded into granules using a fluidized bed granulator, and then filled into fabrics to prepare granules. It was.
  • a thio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50 mg of a thiosapogenol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10 g of glucose, 0.6 g of citric acid, and 25 g of liquid oligosaccharides were mixed, and 3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hereto, and 200 ml were filled in each bottle. After filling the bottle sterilized for 4-5 seconds at 130 °C to prepare a beverage drink.
  • Formula 1 or 21-O-angeloylthiasapogenol E3 10 g of glucose, 0.6 g of citric acid, and 25 g of liquid oligosaccharides were mixed, and 3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hereto, and 200 ml were filled in each bottle. After filling the bottle sterilized for 4-5 seconds at 130 °C to prepare a beverage dri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일 구현예로서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지 조절용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본 명세서에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지 조절용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는 피부 표면의 상태에 따라 건성, 중성, 지성 또는 복합성 등의 여러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NMF(Natural Moisturing Factor; 천연보습인자)와 피지(Sebum)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NMF와 피지의 양이 균형을 잘 이루면 피부는 촉촉함과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피지가 너무 많이 분비되면 지성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가 되기 쉽다. 지성 피부는 피부의 모공이 표면으로 나오게 되므로 피부 표면에 많은 피지 분비와 함께 모공이 존재하여 얼굴이 지저분해 보이고 화장이 쉽게 지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피지 분비로 인한 피부 불쾌감을 완화시켜 주고 피부를 산뜻하게 해주며 피부 자극을 감소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세포외 메트릭스라고 불리는 거대분자의 망상구조로 차있다. 세포외 메트릭스를 구성하는 부분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혹은 뮤코 다당류 (Mucopolysaccharide)라고 불리는 다당류와 콜라겐, 엘라스틴의 섬유상 단백질이다. 이 중 콜라겐은 세포외 메트릭스의 주요 단백질로서 조직의 형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여 진피는 피부의 탄력성, 장력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외부 또는 내부의 영향으로 콜라겐이 손상을 입게 되면 주름이 생기거나 피부 탄력이 저하되어 피부가 늘어지게 된다. 최근 주름개선 화장품에 레티놀과 같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도 그 이유이다.
또한, 모공의 크기가 커지는 것도 진피의 메트릭스 구조가 이완되어 모공 주위의 피부가 늘어지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진피에는 혈관, 신경, 털, 입모근(기모근이라고도 함), 땀샘, 피지선이 존재한다. 피지선은 끊임없이 피지를 생산하고 피지선 배출관으로부터 모공을 통하여 피부 표면에 피지를 분비하게 된다. 이때 모공에서는 각화항진(각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탈이 늦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두꺼워진 각질층이 모낭 내에 박리하여 모공이 막혀 모낭 내에 피지가 남아 발진, 염증 등을 일으키고 육아종을 형성하여 흔적을 남기게 된다.
그러므로, 늘어난 모공을 효과적으로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인 각화과정에 의해 두꺼워진 모공의 각질을 제거하여 세포대사를 활발히 하는 동시에 진피 조직으로부터 콜라겐 생성을 증진시켜 함몰되거나 늘어진 모공의 구조를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한편, 5α-리덕테이즈(5α-reductase)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 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서 존재하며, 남성 호르몬들 중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환원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그 전환에는 엔에이디피에치(NADPH)를 필요로 한다. 남성 성충동, 골격근 증가, 남성외부생식기, 음낭성장, 정자형성 등에는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여드름, 피지증가 및 전립선비대증 등에는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서 관여한다(Diane et al; J.I.D. 775-778, 1995. Bruchovsky,N et al; J.B.C. 243, 2112-2121, 1968).
따라서, 5α-리덕테이즈에 의해 생성되는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인한 부작용을 억제하고자 5α-리덕테이즈 효소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여드름 치료제 및 피지분비 억제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관련 종래 기술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15995호가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모공 축소,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 조절,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모공 축소,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지조절,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지 조절,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방법, 주름 억제 또는 개선 방법, 피부 탄력 증진 방법, 피지 조절 방법,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투여 방법 및 투여 용량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모공 축소,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지 조절, 및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도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21-O-angeloyltheasapogenol) E3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2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녹차 사포닌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모공 축소,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 조절,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식물성 천연물질에서 유래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우수한 모공 축소용,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지 조절용,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21-O-angeloyltheasapogenol) E3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HO, R2는 -CH3, R3는 -OCOC(CH3)=CHCH3, R4는 -COCH3 및 R5는 -CH3인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에 해당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4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녹차 사포닌, 더욱 구체적으로 녹차 종자 사포닌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녹차 종자 사포닌으로부터 유래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녹차 종자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사포닌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더욱 구체적으로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과 물의 혼합물, 일 측면에서 5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염산, 황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 또는 상기 산과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기, 또는 상기 염기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추출물에 함유된 녹차 사포닌의 당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 또는 상기 당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로서, 녹차 사포닌의 당 부분을 제거하여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더욱 구체적으로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효소는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아라비노시다아제(arabinosidase), 람노시다아제(rhamn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헤스페리디나아제(hesperidinase),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 글루쿠로니다아제(glucuron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갈락토시다아제(galactosidase) 및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속, 바실러스(bacillus)속,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 리조푸스(rhizopus)속, 리조무코르(rhizomucor)속, 탈라로마이세스(talaromyce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속 및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를 한 다음,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알코올을 가하여 1 내지 5회 교반시킨 후, 침전된 염들을 여과를 통하여 제거하고,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수득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8:1~4:1)로 분리하여,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를 수득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녹차 사포닌으로부터 유래된 티아사포제놀의 제조방법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088127호의 명세서 전체가 본 발명의 참조로서 포함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측면에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함유량이 0.001 중량% 이상 포함됨으로써 조성물의 모공 축소,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지 조절 및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20 중량% 이하로 포함됨으로써 안전성 또는 제형상 제조가 용이하고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타입 I 프로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일측면에서 약 5 내지 12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의 제조
녹차 종자 2kg에 헥산 6L를 넣고, 상온에서 교반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녹차 종자 1kg에 50% 에탄올 4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L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 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녹차 종자 추출물 300g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녹차 종자 추출물 10g에 20배(v/w)의 1N HCl-50% 메탄올 용액(v/v)을 가하고, 80℃ 수욕조에서 8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녹차 종자 조 사포닌에 결합된 당들을 가수분해시켰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에탄올(200ml)을 가해 교반시킨 후(3회), 침전된 염들을 여과를 통해 제거한 다음,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수득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7:1~3:1)로 분리하여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인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0.55g을 수득하였다.
Varian Gemini 2000 300MHz(Varian 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득물이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인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특허출원 제10-2008-0088127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실험예 1과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시험예 1. 콜라겐 생합성 촉진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양성대조군인 TGF-베타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여기에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와 TGF-베타를 각각 2μg/ml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콜라겐의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5
상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모공 주변의 콜라겐 생성량을 증가시켜 넓어진 모공을 축소하고, 주름을 억제 또는 개선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는 HEK293-5αR2 세포에서 [14C]테스토스테론이 [14C]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변환되는 비율로 측정하였다.
HEK293 세포는 p3 × FLAG-CMV-5αR2를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켜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2.5 × 105 세포로 배양하였다(Park et al., 2003, JDS. Vol. 31, pp1 91-98). 다음날 효소 기질과 저해제가 들은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고, 배지의 기질로는 0.05μCi [14C]테스토스테론(Amersham Pharmacia biotech, UK)을 사용하였다. 저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험물질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2μg/ml 넣고 2시간 동안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비교를 위해서 음성대조군으로 시험물질 중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배지에 2μg/ml 넣고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수거하여 테스토스테론을 800㎕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부의 유기용매층을 분리하여 말린 후, 남은 잔유물을 다시 50㎕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여 실리카 플라스틱 시트 카이젤겔 60 에프 254(Silica plastic sheet kieselgel F254) 상에서 전개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플라스틱 시료를 공기 중에서 건조한 후, 동위원소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바스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건조된 플라스틱 시트와 엑스레이 필름을 함께 바스 카셋트에 넣고 1주일 후에 필름에 남아 있는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동위원소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6
(1) 전환율: DHT영역에의 방사능/총 방사능
(2) 저해율: 100×(대조군의 전환율-시료의 전환율)/대조군의 전환율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유효성 평가 결과 대조군 대비 탁월한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보여 우수한 피지 조절,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켜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해 핵 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고 분화를 촉진시켜 피지 억제선 내의 피지를 과분비시키는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을 차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지 과분비를 억제하고 피지를 조절하며 여드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모공 축소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로션 제형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표 3]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7
1) 상기 11~14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2) 상기 1~10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 파트에 상기 2)의 유상 파트를 투입하고 7,200rpm에서 6분간 호모믹싱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로션을 모공 크기가 넓은 피험자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얼굴에 4주간 매일 바르게 하였다. 모공 축소 효과에 대한 판정은 실험 전과 4주 후의 사진을 찍어서 전문가들의 육안 평가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서 나타내었다(평가 등급 : 0. 전혀 축소되지 않았다 - 5. 매우 축소되었다).
[표 4]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8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가 함유된 실시예의 경우 모공 축소 효과를 나타낸 반면, 티아사포제놀 유도체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평가 등급이 0.8로 모공 축소 효과가 없음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우수한 모공 축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샴푸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09
[제형예 2] 린스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린스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0
[제형예 3] 연고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1
[제형예 4] 헤어토닉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2
[제형예 5] 헤어로션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헤어로션을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3
[제형예 6] 비누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4
[제형예 7] 로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표 1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5
[제형예 8] 크림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2]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6
[제형예 9] 팩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13]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7
[제형예 10] 미용액형 제제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용액형 제제를 제조하였다.
[표 14]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8
[제형예 11] 연질캅셀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50mg, L-카르니틴 80~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2] 정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5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를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3] 과립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4] 드링크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티아사포제놀 유도체 또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 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1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20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2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조절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2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사포제놀(theasapogenol)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2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OH, -R6OH 또는 -CHO이고,
    R3는 -H, C1-6 알킬, -OH, 또는 -OOCR7이고,
    R4는 -H 또는 -COR8이고,
    R5는 -H 또는 C1-6 알킬이고,
    여기서, R6는 C1-6 알킬, R7은 C2-6 알켄일, 및 R8은 C1-6 알킬이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21-O-angeloyltheasapogenol) E3인,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3038-appb-I000024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는 녹차 사포닌으로부터 유래된,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11.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PCT/KR2016/003038 2015-03-31 2016-03-25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15958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25742.7A CN107635561B (zh) 2015-03-31 2016-03-25 含有茶皂醇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US15/561,560 US20180078482A1 (en) 2015-03-31 2016-03-25 Composition containing theasapogenol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HK18103415.1A HK1243927A1 (zh) 2015-03-31 2018-03-12 含有茶皂醇衍生物作爲活性成分的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33A KR102429834B1 (ko) 2015-03-31 2015-03-31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5-0045133 2015-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80A1 true WO2016159580A1 (ko) 2016-10-06

Family

ID=5700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3038 WO2016159580A1 (ko) 2015-03-31 2016-03-25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78482A1 (ko)
KR (1) KR102429834B1 (ko)
CN (1) CN107635561B (ko)
HK (1) HK1243927A1 (ko)
WO (1) WO20161595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979A (zh) * 2021-05-10 2021-08-06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裂隙岩体的微生物加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0964B (zh) * 2018-05-24 2021-02-19 华南理工大学 一种茶皂苷锗配合物、茶皂苷锗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743607B (zh) * 2018-05-24 2021-02-12 华南理工大学 一种茶皂苷硒配合物、茶皂苷硒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694547A (zh) * 2019-10-31 2020-01-17 宁夏回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甘草表面活性剂及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27B1 (ko) * 2006-03-20 2007-09-04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112916A (ko) * 2010-04-08 2011-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5325A (ko) * 2011-09-30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8507A (ko) * 2012-04-20 2013-10-3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9212A (ko) * 2012-04-23 2013-10-31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95B1 (ko) 2008-09-08 2014-07-08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사포닌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27B1 (ko) * 2006-03-20 2007-09-04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112916A (ko) * 2010-04-08 2011-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5325A (ko) * 2011-09-30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8507A (ko) * 2012-04-20 2013-10-3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9212A (ko) * 2012-04-23 2013-10-31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979A (zh) * 2021-05-10 2021-08-06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裂隙岩体的微生物加固方法
CN113216979B (zh) * 2021-05-10 2024-03-08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裂隙岩体的微生物加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8482A1 (en) 2018-03-22
HK1243927A1 (zh) 2018-07-27
CN107635561B (zh) 2020-08-04
KR102429834B1 (ko) 2022-08-05
KR20160116833A (ko) 2016-10-10
CN107635561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45259A2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580A1 (ko) 티아사포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218781A1 (ko)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장미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WO2016159567A2 (ko)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및 항염용 조성물
WO2018164369A1 (ko) 효소 처리된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4049120A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246766A1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093515A1 (ko) 장수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0096379A1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WO2014157910A1 (ko)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7142368A2 (ko)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38425A1 (ko) 사이토칼라신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7057851A1 (ko)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173383A2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8038465A1 (ko) 3-클로로-N-[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N-[[3-(4-피리디닐)페닐]메틸]벤조[b]티오펜-2-카복사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16117762A1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261844A1 (ko) 흥안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항이상지질혈증, 항산화 또는 항염 조성물
WO2015005700A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057852A1 (ko)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030422A9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9225891A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조성물
WO2019088648A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143197A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733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6156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733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