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748A1 -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748A1
WO2018101748A1 PCT/KR2017/013850 KR2017013850W WO2018101748A1 WO 2018101748 A1 WO2018101748 A1 WO 2018101748A1 KR 2017013850 W KR2017013850 W KR 2017013850W WO 2018101748 A1 WO2018101748 A1 WO 20181017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harge
moving
charging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8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윤영
박종석
정재후
한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6132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4787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613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0479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45,41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267758A1/en
Publication of WO20181017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7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n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 electric charge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 Electric vehicl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that they are the most likely alternatives to solve automobile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 electric vehicles are mainly powered by an AC or DC motor using a battery power, and are mainly classified into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 the motor can be driven and recharged when the power is exhausted, an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can run the engine to generate electricity to charge the battery and drive the electric motor using the electricity to drive the vehicle.
  • a charging means capable of receiving power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toring it in an internal battery is required.
  • th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achieved by interconnecting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and a vehicle battery using a physical cabl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stat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vehicle connector 1 and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6).
  • the vehicle connector 1 is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provided at an end of a cable extending from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 the vehicle connector 1 has an accommodating groove 3 into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fitt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2, and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 ) Is provided.
  • the charging plug 5 in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4 is inserted when the charging plug device 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is formed.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end portion partial region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by coupling to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Can be done.
  •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connector 1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figuration,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6 to the receiving groove (3).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6 and the vehicle connector (1).
  • the user has to use excessive force when insert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nto the receiving groove (3) or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3), the inconvenience of use There is this.
  •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and the vehicle connector 1 made of plastic are easily damaged due to repeated charging, which may destroy the watertightness of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Can be.
  •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safety of charg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n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 electric charge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charging and improve the ease of us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comprises a housing; An operation unit which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engaging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to be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having an inclin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moving toward the vehicle connector 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wherein the pressing par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to press the vehicle connector.
  • the operation part, the locking part and the moving part may be connected by a first shaft.
  • the mov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may be connected by a second shaft.
  •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button unit pressed by the user and a forc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to the locking unit and the moving unit.
  • the lo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portion.
  •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vehicle connector.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hav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an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moving frame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wherein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and the moving frame includes a guide gea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 the moving frame may have a moving frame body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 stopp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 the coupling groove of the base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er.
  •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the other e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of the fixed frame.
  • the guide gea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trusion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 the guide groove may include an inlet passage through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drawn in and a drawout passage through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drawn out, and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between the inlet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inlet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as a guide protrusion inlet passage.
  • the mov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gear.
  • the moving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harging terminal passes.
  • the base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tted.
  • the electric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the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hav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an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moving frame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wherein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and the moving frame includes a guide gea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In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the joining shaft presses the bottom surface, and thus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 the user can operate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without a separate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use is increased.
  • the user since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less forc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vehicle connector and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v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mov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e except the remov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mounted to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n a mutually separated state.
  •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gear and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guide path in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hybrid car, a hydrogen fuel cell car, a metal fuel cell car, a lithium ion battery car, a nickel ion battery car, such as a variety of vehicles that charge the battery and use it as a driving power source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is coupled
  • the rear of the vehicle connector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 the front of the charging plug device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connector is coupled
  • the rear of the charging plug device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charging plug device,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coupled.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vehicle connector and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mounted to the vehicl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mounted to the cable tip of the charging station ( 100).
  • the charging station stores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electric energy supplies electric energy required by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mounted to a vehicle.
  •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and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 the vehicle connector 200 may be disposed in a state exposed to an external area of the vehicle, or installed inside and selectively exposed to an external area, so that the vehicle connector 200 may be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 An electric charge plug device mounting unit 220 on which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is mounted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 the mounting hole 222 to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coupled is formed i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unit 2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10.
  • the mounting part 120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and the moun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hole 222.
  • the charging terminal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4 (see FIG. 4)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30 and the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 the housing 130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cable (L) extending from the charging station, it can be held in the user's hand.
  • the mounting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ase 201, that is, the front surface 130a of the housing 130.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art 12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130.
  •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22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20.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120 is understood to form a boundary of the formation reg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3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 the mounting unit 120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he mounting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and thus, the charging terminal 13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art 120 may correspond to or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hole 222.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unit 120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hole 222, the user can more easily insert the mounting unit 120 into the mounting hole 222 or the mounting hole 222. ) May be detached from the mounting part 120.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the engaging portion 110 for fix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provided.
  • the locking portion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30, and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130 is exposed through an exposure hole 136 (see FIG. 5) formed at the front surface 130a of the housing 130. It extends to the outside. At 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110 extending to the outside, a locking protrusion 112 protruding to the lower surface is formed.
  • a locking rib 240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12 is also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unit 22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refore,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selectively catching and releasing each other. Can be done.
  • the number of the locking portion 110 and the locking ribs 2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 inclined surfaces 242 and 11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facing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locking protrusion 112 easily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rib 240 by the inclined surfaces 242 and 113. can do.
  •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are engaged, so that the coupling state is coupled. Can be maintained firmly. That is, since the back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rib 240, the locking is performed.
  • the vehicle connector 200 may be firmly fix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
  • the charging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odule 300.
  • the detachable module 300 may fix a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or separate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 the detachable module 3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140 in which a part of the detachment module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and an operation unit 1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40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 the mov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40 and having a change in slo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140 and the mov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50. It includes a pressing unit 160 to move to the connector 200 side.
  • the operation unit 14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to the moving unit 150 and the locking unit 110.
  • the operation unit 140 transmits a force received inside the housing 130 b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14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41.
  • the button unit 141 and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button unit 141 may be pushed by the user's body including a finger when the user grips the housing 130.
  • An operation hole 133 (FIG. 8) for exposing the button unit 141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30.
  •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41.
  •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 is closer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30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force transmission part 142 transmit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part 141 to the locking part 110 and the moving part 150.
  • the force transmission part 142 may be accommodated on the first space part 135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operation hole 133 in the housing 130. .
  • the first space 135 may form a movement path of the force transmission part 142 in the housing 130.
  • the pressing shaft 190 includes the moving part 150 and the pressing part 160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50.
  • One end of the pressing shaft 19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unit 140, and joins a wall surface o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230 of the charging plug 200 is 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40.
  • the pressing shaft 190 has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art 150 and the moving part 150 through the force transmission part 142 and the first shaft 182. And a pressurizing part 160 for pressing the bottom surface 252 (see FIG. 10) o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230 is formed.
  • the first shaft 182 simultaneously penetrates an area overlapping each other among the lower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and the upper end of the moving unit 150, and thus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and the moving unit 150. To form the center of rotation. That is, when the manipulation unit 140 moves downward through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 movement unit 150 may also be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182.
  • One end of the pressing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150 through the second shaft 184, and the other end thereof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ccordingly, the pressing unit 160 may be substantially positioned horizontal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side the housing 130.
  • the pressing unit 160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using 130 through the joining force transmitted by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and the moving unit 150.
  • the pressing unit 160 linearly reciprocates within the housing 130.
  • a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160 may mov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That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6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in a state where one end is coupled to the moving portion 150.
  • a through hole 138 (FIG. 5) for moving the moving part 15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 the through hole 138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groove 122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accommodated among the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130. Therefore, when the mounting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unit 22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pressing unit 160 may press the bottom surface 252 by moving. . The operation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ressing shaft 19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7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30.
  • the second space 137 may form a movement path of the pressing shaft 190 in the housing 130.
  •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182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136 formed in the housing 130. Therefore, when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is moved downwa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40, the locking unit 110 may be rotated around the first shaft 182.
  • the support shaft 134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30.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34 may b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inner region of the housing 13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support shaft 13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shaft 182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ocking portion 110. Therefore, since the low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34 when the engaging portion 110 is rotated by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182 is moved downward and the opposite side The other end can be moved upwards. That is, the support shaft 134 may be understood to serve as a supporting point of the locking portion 110.
  • the elastic member 1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0.
  • the elastic member 170 may have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0, and an upper end coupled to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 An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132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170 may protrude downwar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 the elastic member 170 may include a spring.
  • the elastic member 17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locking portion 110 as the locking portion 110 moves.
  • the locking unit 110 may be moved upward by the contact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connector 200. have.
  • the elastic member 170 is compress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110, the elastic force acts downward, the locking projection (
  • the 112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ib 240, the locking protrusion 11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ove downward again.
  • the operation unit 140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member 170, that is,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restored.
  • the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182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disposed outside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and the moving unit 150, the movement of the locking unit 110 It does not affect the other driving force transmission shaft (142, 150).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for the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25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4.
  • the mount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formed in the mounting hole 120.
  • the locking portion 110 is mov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30. .
  • the locking protrusion 112 passes through the locking rib 240 and is dispos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rib 240, the locking portion 110 moves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0.
  • a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is formed. Therefore, even when a high voltage is generated during charg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may be firmly coupled.
  • the user pushes the button unit 141 of the operation unit 140. Due to the push of the button part 141, the force transmission part 142 is moved downward,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art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34. Is moved upwards. That is,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110 may be understood to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112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rib 240.
  •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unit 150 and the pressing unit 160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the pressing unit 160 is moved forward.
  • the pressing unit 160 As a result of the front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160, a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160 i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Thus, as shown in FIG. 10,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160 presses the bottom surface 252 of the mounting hole 222.
  • the mounting unit 120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222 by the pressing force that the pressing unit 160 pushes the bottom surface 252.
  • the pressing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52. Since the pressure in the contact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can be easily separated. That is, the user may separate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100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40 without applying a separate force.
  •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s coupled
  • the rear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is coupled
  • the rear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n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mounted on a vehicle and an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mounted on a cable tip of a charging station. ).
  • the charging station stores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and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ic energy supplies electric energy required by a battery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vehicle.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may be disposed in a state exposed to an external area of the vehicle, or installed inside and selectively exposed to an external area, thereby being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has a mounting portion 412 on which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mounted.
  • the mounting portion 412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414 (see FIG. 14) into which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412 is fitted.
  •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formed at the tip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412 so that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Can be connected.
  •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ncludes a body 601 gripped by the user, and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601.
  • the body 601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charging station, it can be held in the user's hand.
  •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601, that is, the end surface 601 of the body 601.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601. In addition, a plug receiving groove 6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to accommodate the charging plug 614. Accordingly,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forms a boundary of the charging terminal 442 o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601.
  • the charging plug 614 is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442 of the electrical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ical charge coupling device 600 and the electrical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This is done.
  • one of the end face 601 of the body 601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the engaging portion 620 protruding from the end face 601 is formed.
  • the engaging portion 412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500 that is, the engaging projection 413,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620,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locking portion 6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3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and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utually selective locking and locking release can be made. Can be.
  • a locking rib 62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t an end of the locking portion 620.
  • inclined surfaces 413a and 622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a surface where the locking rib 6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3 face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the locking ribs 622 easily pass through the locking projections 413 by the inclined surfaces 413a and 622a. can do.
  • the locking protrusion 413 and the locking rib 622 are engaged. The bonding state can be kept tight.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n a mutually separated state.
  •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includes a base 410 including a coupling groove 414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614 is inserted. And a fixed frame 440 having a charging terminal 4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614 and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440 and the base 410.
  • the combination of 600 includes a moving frame 420 moved forward, backward and the elastic member 460 in contact with the moving frame 420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420.
  • the mounting portion 4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410.
  • the base 410 includes a plate 411 in the form of a plate, and a mounting portion 412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411 protrudes forward.
  • the mounting portion 412 has a coupling groove 414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inserted.
  • the coupling groove 414 is formed to penetrate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411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412, the charging terminal 442 of the fixed frame 440 by the coupling groove 414 is external May be exposed.
  •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412.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may correspond to or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groove 414.
  • connection part 415 connecting the plate 411 and the mounting part 4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ate 411 and the mounting part 412.
  • the connecting portion 415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411 and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412, and the movement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41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body 423 of the frame moving frame 420 is seated.
  • the fixed frame 44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se 410.
  •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44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44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base 410.
  • the charging terminal 442 may be arranged fi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xed frame 440 has a fixed frame body 441 and a receiving groove 445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fixed frame body 441 to the rear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460 to be described later.
  • An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444 and a guide part 450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fixed frame body 441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444 to guide the guide gear 480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 the fixed frame body 441 may have an edge region screwed with an edge region of the base 410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base 410.
  • a screw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470 penetrates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fixing frame body 441, and the screw 470 may be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to be coupled to the base 410. have.
  •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4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41.
  • a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41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445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4 so that the elastic member 460 is accommodated.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445 may be understoo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4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41.
  • the guide portion 450 is also disposed in any one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41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4.
  • the fixing frame 440 includes a guide groove 451.
  • the guide part 4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450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41 so that the guide gear 480 is selectively inse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420.
  • the guide groove 451 is formed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In other words, the guide groove 451 is understood to be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body 441 toward the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450.
  •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42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410 and the fixed frame 440.
  • the moving frame 420 includes a moving frame body 423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414 and a stopper 42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moving frame body 423.
  • the guide coupling part 4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body 423.
  • the stopper 421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415.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421 may correspond to or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portion 415.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groove 414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421. This may be understood that when the coupling groove 414 is circular,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41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er 421.
  • An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424 protruding rearwar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421.
  •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60 is fitted to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424 to selectively compress the elastic member 460 as the moving frame 420 moves.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60 is fitted into on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420, that is,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424,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art 444 is provid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445. ) Can be accommodated.
  •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424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body 423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elastic member 460.
  • the elastic member 460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420.
  • the elastic member 460 may be a spring. That is, when the elastic member 460 is moved to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420, the elastic member 460 is compress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4, and when moving to the front of the moving frame 420 toward the front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oving frame 420 can be easily moved.
  • the moving frame body 423 is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stopper 421 forward. That is, the movable frame body 423 is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421 forwar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topper 421. In this case, a hollow is formed in the moving frame body 423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charging terminal 442.
  • the moving frame body 423 Before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the moving frame body 423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frame body 423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mounted in the coupling groove 414, the connector coupling part 610 rears the movable frame body 423 by a user's pressing force. Push it out.
  • a through hole 422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oving frame body 423 to selectively pass the charging terminal 442 as the moving frame 420 moves.
  • the through hole 422 is formed in the charging terminal 44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numb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mounted and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backward, the charging terminal 44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 and the charging terminal 442 and the charging.
  • the plugs 614 (FIG. 13)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guide coupling portion 43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body 423. Similarly, the guide coupling part 4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30 in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442 is fitted. And, as shown in Figure 15, the guide gear 480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430. The guide gear 480 is configured to fix or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ing frame 4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420. Extend in the direction.
  • a guide protrusion 481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guide gear 480.
  • the guide protrusion 481 moves on a path formed in the guide part 4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420, and fixes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frame 420 or easil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be restored. The operation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gear and the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gear 480 and the guide part 450 ar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440 and the moving frame 420 so as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16, a guide protrusion 481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gear 480 is formed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451 to be described later.
  • the guide portion 45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451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guide projection 481 is moved.
  • the guide groove 451 is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guide portion 450 toward the rear, and sets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rotrusion 48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uide gear 480. That is, when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backward, the guide protrusion 481 moves on the path set along the guide groove 451 and fixes the moved arrangement state of the moving frame 420. Then, the movement path is set to be moved in the set direction when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forward.
  • the guide groove 451 includes an inlet passage 453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481 is introduced, starting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452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side, and the guide protrusion 481.
  • Each withdrawal path 457 is drawn out.
  • a boundary wall 459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passage 453 and the outlet passage 457. 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452 formed on the inlet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uides the guide protrusion 481 to the inlet path 453.
  • the guide protrusion 481 may be mov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backward, the guide gear 480 with the guide protrusion 481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450.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481 is guided to the inlet path (453)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452).
  • a second inclined surface 454 is similar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et passage 453,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451 on the side of the inlet passage 453.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54 is for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481 to a seating groove 455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boundary wall 459, and the guide protrusion 481 contacts the seating groove 455.
  • the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481 may be fixed.
  • the seating groove 455 is formed between the inlet passage 453 and the outlet passage 457, and the guide protrusion 481 is seated.
  • the guide protrusion 481 is guided to the lead-out path 457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45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451.
  • the guide projection 481 is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450 along the lead-out path 457,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to the front again, that is,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600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500.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481 may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451 along the drawing path 457, and may be moved forward so that the moving frame 420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414. .
  •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ath in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s first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4 for charging.
  • the movable frame 420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414 is moved backward.
  • the charging terminal 442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plug 614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through-hole 422 formed in the moving frame body 423,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done.
  • the elastic member 460 is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445 and compres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420, thereby causing the elastic member 460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front.
  • the guide protrusions 481 ar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s 455 of the guide grooves 451, so that the movable frame 420 moves backward, that is, the electric charge connecting device 500 and the electric charges.
  •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device 600 is fixed. Therefor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is smaller than the coupling groove 414, the coupling state of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i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 451 and the seating groove 455.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intained firmly.
  • the user applies a force applied to the rear so that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10 pressurizes the movable frame 420 while holding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600. do.
  • the guide protrusion 481 being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455 is guided to the lead-out path 458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the moving frame 420 is moved forward. That is, the force from which the guide protrusion 481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451 along the lead-out path 458 i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60.
  • the moving frame 420 can be easily moved forward.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420 is located at an initial position, that is, inside the coupling groove 414.
  • the electric charge coupl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harged with less forc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bove-described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electric charge plug device.
  •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as the electric charging device the electric charge plug device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e connec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vehicle necessary for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Description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본 발명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력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장된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충전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외부의 충전스테이션과 차량의 배터리를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차량 커넥터(1)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차량 커넥터(1)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는 외부의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하우징(2)의 일면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가 끼워지는 수용홈(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에는, 상기 수용홈(3)에 삽입 시 상기 충전단자(4)가 끼워지는 충전 플러그(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부 측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에 결합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 접속장치에 의할 때, 상기 차량 커넥터(1)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전기자동차에는 고압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이 견고해야만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외면과 상기 차량 커넥터(1)의 외면에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면적을 상기 수용홈(3)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결합력 강화 수단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를 상기 수용홈(3)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홈(3)으로부터 분리 시에 과도한 힘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반복되는 충전으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파손되기 쉽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와 충전의 안전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상기 조작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는 제1축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와 상기 가압부는 제2축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결합홈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결합홈은 상기 스토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탄성부재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기어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인입로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출되는 인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로와 상기 인출로 사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측 내주면에는 가이드돌기 인입로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와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충전단자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결합홈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탄성부재 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기자동차는 충전을 위한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는 2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 시, 가입축이 바닥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를 멈춤홈에 안착시켜 이동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충전 시 전기충전 결합장치와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결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충전 결합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충전 접속장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이 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상호 분리 상태에서의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홈에서 가이드 경로의 이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전기자동차란,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금속연료전지 자동차, 리튬 이온 배터리 자동차, 니켈 이온 배터리 자동차 등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이를 구동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차량 커넥터의 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차량 커넥터의 후방은 상기 차량 커넥터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전방은 차량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케이블이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커넥터(200)와, 충전 스테이션의 케이블 선단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로 전달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 전면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가 구비된다. 상세히, 베이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가 결합되는 장착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22)에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홀(222)의 내측에 상기 장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222)의 내부에는 차량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23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단자(230)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접속단자(124, 도 4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은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L)의 선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케이스(201)의 선단, 즉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하우징(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0)의 전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접속단자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상기 접속단자(124)의 형성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24)는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충전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130)와 상기 접속단자(1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을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장착부(120)를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하거나,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상기 장착부(120)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에 형성된 노출홀(136, 도 5 참조)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연장된다. 외부로 연장된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 외주면에도 상기 걸림돌기(112)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리브(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결합 시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선택적인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리브(240)에 개수는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가 마주하는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242, 113)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경사면(242, 113)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면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측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돌기(112)의 배면이 상기 걸림리브(240)의 배면에 접촉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해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탈착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세히,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150) 및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200)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150)과 상기 걸림부(110)에 전달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141)와,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힘 전달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41)와 상기 힘 전달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41)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30)을 파지 시, 손가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푸쉬(push)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에는 상기 버튼부(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홀(133, 도 8)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41)가 눌러지면, 상기 버튼부(141)에 작용된 가압력이 상기 힘 전달부(142) 로 전달되어, 상기 힘 전달부(142)도 하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110) 및 상기 이동부(150)에 전달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홀(133)에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공간부(135)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135)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힘 전달부(14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축(190)은,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조작부(1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플러그(200) 중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벽면을 가입한다.
상세히,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제1축(182)을 통해 결합되는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바닥면(252, 도 10참조)을 가압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축(182)은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단과 상기 이동부(150)의 상단 중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힘 전달부(142)과 상기 이동부(1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상기 조작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150)도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60)는 일단이 제2축(184)을 통해 상기 이동부(15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에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상기 힘 전달부(142) 및 상기 이동부(150)에 의해 전달된 가입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부(160)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60)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측 단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부(150)이 이동되기 위한 관통홀(138, 도 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8)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중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상기 접속단자 수용홈(12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삽입될 때, 상기 가압부(160)은 이동에 의해 상기 바닥면(25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축(19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 중 하면의 인접한 제 2 공간부(13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37)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축(19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는 일단이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30)에 형성된 상기 노출홀(136)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부(110)도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축(13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영역 중 양 측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1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제1축(18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전달부(142)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의 회전 시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므로,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된 일단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하단이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결합을 위한 탄성부재 결합부(13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7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110)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걸림부(11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장착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접촉에 의해 상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70)는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과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압축되게 되고, 하방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측을 통과 시 상기 걸림돌기(112)가 다시 하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40)의 푸시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상기 걸림부(110)가 상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조작부(140)는 하방, 즉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는 단부는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이동부(15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은 타 구동력 전달축(142, 15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은, 상기 충전단자(250)와 상기 접속단자(124)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형성된 장착홀(222)에 상기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걸림돌기(112)의 경사면(113)과 상기 걸림리브(240)의 경사면(242)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리브(240)의 후면에 배치되면,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 상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충전 시 고전압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이탈 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0)의 버튼부(141)을 푸쉬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141) 푸쉬로 인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0)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상방 이동은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가압부(160)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 영역은 상기 관통홀(138)을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222)의 바닥면(252)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을 밀어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후방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해야 했으므로, 보다 많은 힘이 들고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상기 차량 커넥터(200)으로부터 분리 시에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전방은 전기충전 결합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후방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전방은 전기충전 접속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후방은 전기충전 결합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11 내지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와, 충전 스테이션의 케이블 선단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결합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는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로 전달된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는, 일면 상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가 장착되는 장착부(412)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412)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412)의 커넥터 결합부(610)가 끼워지는 결합홈(414, 도 14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가 상기 장착부(412)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몸체(601)와, 상기 몸체(601)의 선단에 구비되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601)는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선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는 상기 몸체(601)의 선단, 즉 상기 몸체(601) 단면(60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60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전면에는 충전 플러그(614)가 수용되는 플러그 수용홈(6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는 상기 몸체(601)의 단면 상에서 상기 충전단자(442)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충전 플러그(614)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의 충전단자(442)와 접촉 또는 결합되어,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601)의 단면(601) 중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와 이격되는 어느 일측에는, 상기 단면(601)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의 장착부(412), 즉 상기 결합홈(414)의 외주면에도 상기 걸림부(62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돌기(4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20)와 상기 걸림 돌기(413)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가 결합 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선택적인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부(620)의 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리브(6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리브(622)와 상기 걸림 돌기(413)가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413a, 622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경사면(413a, 622a)에 의해 상기 걸림 리브(622)가 상기 걸림 돌기(413)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413)와 상기 걸림 리브(622)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충전 접속을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5는 상호 분리 상태에서의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1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는, 상기 충전 플러그(614)가 삽입되는 결합홈(414)을 포함하는 베이스(410)와, 상기 충전 플러그(6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442)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440)과, 상기 고정프레임(440)과 상기 베이스(4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결합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420) 및 상기 이동프레임(420)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4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410)는 전면에 상기 장착부(41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410)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411)와, 상기 플레이트(411)의 전면 중 일부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412)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커넥터 결합부(610)가 삽입되도록 결합홈(4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14)은 상기 장착부(412)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411)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14)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440)의 충전단자(4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커넥터 결합부(610)는 상기 상기 장착부(412)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와 결합 시,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홈(414)의 내주면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단면적은 상기 결합홈(414)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중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단면적을 상기 결합홈(414)에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가 상기 결합홈(4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411)와 상기 장착부(412)의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411)와 상기 장착부(412)를 연결하는 연결부(4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15)는 단면적이 상기 플레이트(411)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장착부(412)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14)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415)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420)의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 몸체(423)가 안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40)은, 상기 베이스(4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40)의 전면, 즉 상기 베이스(410)와 마주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충전단자(442)가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충전단자(442)는 5개의 단자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프레임(440)은, 고정프레임 몸체(441)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탄성부재(460)가 수용되는 수용홈(445)을 구비하는 탄성부재 수용부(444)와,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와 이격되는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가이드기어(48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는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베이스(410)의 가장 자리 영역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41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네 모서리에는 나사(470)가 관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사홀에 상기 나사(470)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4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는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460)가 수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홈(44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445)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50)도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배면 중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와 이격되는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440)에는 가이드홈(45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450)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기어(48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45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451)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홈(451)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4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420)은,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고정프레임(4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프레임(420)은, 상기 결합홈(414)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몸체(423)와,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42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후면에는 가이드 결합부(4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 몸체(423)상기 스토퍼(421)는 상기 연결부(415)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421)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415)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414)의 단면적은 상기 스토퍼(421)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홈(414)이 원형 일 경우, 상기 결합홈(414)의 직경이 상기 스토퍼(42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2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탄성부재 결합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424)에는 상기 탄성부재(460)의 일단이 끼워져, 상기 이동프레임(420)에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60)를 선택적으로 압축 시킨다. 즉, 상기 탄성부재(460)는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일면, 즉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424)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445)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부재(460)가 압축되면서, 인장되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424)는 상기 탄성부재(46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60)는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46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60)는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후방으로 이동 시에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4)에 수용된 상태로 압축되고 이동프레임(420)의 전방으로 이동 시에는 전방을 향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는 상기 스토퍼(421)의 일부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는, 상기 스토퍼(421)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스토퍼(421)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단자(442)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가 상기 결합홈(414)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단면 형상은 상기 결합홈(41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커넥터 결합부(610)가 상기 결합홈(414)에 장착 시,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프레임(420)에 이동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442)가 선택적으로 통과되기 위한 관통홀(4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22)은 상기 충전단자(442)에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이 장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충전단자(442)는 상기 관통홀(22)을 통과하면서 상기 충전단자(442)와 상기 충전플러그(614, 도 13)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430)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430)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충전단자(442)가 끼워지는 통과홀(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결합부(430)의 배면에는 가이드기어(48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기어(480)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위치를 고정 또는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결합부(43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기어(480)의 선단에는 가이드돌기(48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81)는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50)의 내부에 형성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부의 단면도 이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기어(480)와 상기 가이드부(450)는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440) 및 이동프레임(420)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기어(480)의 선단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가이드홈(451)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8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45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이동되는 경로인 가이드홈(4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51)은 상기 가이드부(45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기어(48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481)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설정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이동된 배치 상태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420) 전방으로 이동될 시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홈(451)은 입구 및 출구 측에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452)을 시작으로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인입되는 인입로(453)와,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인출되는 인출로(457)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로(453)와 상기 인출로(457) 사이에는 경계벽(45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경사면(452)은, 상기 가이드돌기(481)를 상기 인입로(453)로 안내되도록 한다.
도 17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481)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구비된 상기 가이드기어(480)가 상기 가이드부(450)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481)는 상기 제 1 경사면(452)에 의해 인입로(453)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로(453)의 바닥면, 즉 상기 인입로(453) 측 상기 가이드홈(451)의 바닥면에는 제 2 경사면(454)이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경사면(454)은 상기 가이드돌기(481)를 상기 경계벽(459)의 후면에 형성된 안착홈(455)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안착홈(455)에 접촉 시 상기 가이드돌기(48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55)은, 상기 인입로(453)와 상기 인출로(457)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안착된다. 이는,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이 상호 결합된 상태, 즉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인 상태로서,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프레임(420)에 후방을 향한 가압력이 다시 작용되면, 상기 가이드홈(451) 중 상기 안착홈(455)과 마주하는 바닥면, 즉 상기 인출로(457) 측 상기 가이드홈(451)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3 경사면(456)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인출로(457)로 가이드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인출로(457)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450)에서 이탈되는 상태는,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전방으로 다시 이동되는 상태 즉,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481)는 상기 인출로(457)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451)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상기 결합홈(41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4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홈에서 가이드 경로의 이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5,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커넥터 결합부(610)가 충전을 위해 상기 결합홈(414)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홈(414)에 수용 중이던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442)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423)에 형성된 관통홀(42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충전 플러그(614)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60)가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445)에 수용되어 압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460)에는 전방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가이드홈(451) 중 상기 안착홈(455)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420)의 후방 이동 상태, 즉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5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의 단면적을 상기 결합홈(414) 보다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가이드홈(451) 및 안착홈(455)의 지지 구조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610)가 상기 이동프레임(420)을 가압하도록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홈(455)에 안착 중이던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제 3 경사면에 의해 상기 인출로(458)로 가이드 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42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481)가 상기 인출로(458)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451)으로부터 이탈되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한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460)이 신장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420)은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420)은 최초 위치, 즉 상기 결합홈(414)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가이드돌기를 멈춤홈에 안착시켜 이동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충전 시 전기충전 결합장치와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결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충전 결합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충전 접속장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충전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와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별도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에 후술한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전기 충전장치로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전기충전 접속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동에 필요한 전기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1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는 제1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가압부는 제2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7.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결합홈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를 가지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결합홈은 상기 스토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탄성부재 수용홈에 수용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어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인입로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출되는 인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로와 상기 인출로 사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측 내주면에는 가이드돌기 인입로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와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충전단자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결합홈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탄성부재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18.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결합 시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하는 전기 충전장치.
  19. 충전을 위한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PCT/KR2017/013850 2016-11-30 2017-11-29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WO20181017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45,412 US2019026775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3 2016-11-30
KR10-2016-0161322 2016-11-30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ko)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KR1020160161322A KR102604797B1 (ko)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748A1 true WO2018101748A1 (ko) 2018-06-07

Family

ID=6224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850 WO2018101748A1 (ko) 2016-11-30 2017-11-29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267758A1 (ko)
WO (1) WO201810174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8054A (zh) * 2019-11-05 2020-02-07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杠杆原理的新能源汽车充电枪
CN110829093A (zh) * 2019-10-17 2020-02-2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口组件
CN114516273A (zh) * 2022-01-07 2022-05-20 征博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枪应急用自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9988B4 (de) * 2017-05-09 2019-08-01 Conductix-Wampfler Gmbh Energieversor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Leitungskabels mit einer Verbindungvorrichtung
CN111619379A (zh) * 2020-06-06 2020-09-04 李夕林 锥壳导向式电动汽车充电桩
JP7095161B2 (ja) * 2020-06-30 2022-07-04 典型工場有限公司 車両用電池のための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CN111959318A (zh) * 2020-08-24 2020-11-20 湖北省电力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新能源汽车动力电池检测及充电装置
CN112498162B (zh) * 2020-12-04 2022-07-19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可充电车辆及车辆充电系统
CN114628956B (zh) * 2022-03-31 2022-11-18 苏州冠韵威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防脱功能的半导体设备线缆连接组件及其连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00A (ko) * 2011-08-16 2013-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배터리 충전용 인터페이스장치
KR20130023466A (ko) * 2011-08-29 2013-03-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
KR2014006006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14216143A (ja)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
KR20160022462A (ko) * 2014-08-19 2016-03-02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9810B2 (ja) * 1993-12-28 1999-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92278B2 (ja) * 1995-12-06 2002-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JP5471890B2 (ja) * 2010-06-28 2014-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JP5197699B2 (ja) * 2010-09-09 2013-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US20120126747A1 (en) * 2010-11-19 2012-05-24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charger having non-contact electrical switch
US8197277B1 (en) * 2010-12-23 2012-06-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harger connector
USD707179S1 (en) * 2010-12-30 2014-06-17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D675989S1 (en) * 2010-12-30 2013-02-12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8562365B2 (en) * 2010-12-30 2013-10-22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Laminous multi-polymeric high amperage over-molded connector assembly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ing
US8568155B2 (en) * 2010-12-30 2013-10-29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Laminous multi-polymeric high amperage over-molded connector assembly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ing
JP5645077B2 (ja) * 2011-03-17 2014-12-24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JP5939927B2 (ja) * 2012-08-06 2016-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JP6055260B2 (ja) * 2012-10-05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JP5945067B2 (ja) * 2013-03-28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DE102015113875A1 (de) * 2015-08-21 2017-02-23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Verriegelungselement
JP6122094B1 (ja) * 2015-12-25 2017-04-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充電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US10014615B2 (en) * 2016-09-19 2018-07-03 Lea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vehicle charg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00A (ko) * 2011-08-16 2013-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배터리 충전용 인터페이스장치
KR20130023466A (ko) * 2011-08-29 2013-03-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
KR2014006006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14216143A (ja)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
KR20160022462A (ko) * 2014-08-19 2016-03-02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충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9093A (zh) * 2019-10-17 2020-02-2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口组件
CN110829093B (zh) * 2019-10-17 2021-06-0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口组件
CN110768054A (zh) * 2019-11-05 2020-02-07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杠杆原理的新能源汽车充电枪
CN110768054B (zh) * 2019-11-05 2021-09-17 杭州揽廉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杠杆原理的新能源汽车充电枪
CN114516273A (zh) * 2022-01-07 2022-05-20 征博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枪应急用自拔装置
CN114516273B (zh) * 2022-01-07 2024-02-23 征博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枪应急用自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7758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748A1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WO2017196005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27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0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4046508A1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WO2010041823A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O2015160037A1 (ko) 서비스 플러그 유닛, 디바이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WO2021162190A1 (ko)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86513A1 (ko)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WO2017213323A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15137568A1 (ko) 고전압 수형 커넥터
WO2019151581A1 (ko)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WO2022065611A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충전장치
WO2016043418A1 (ko)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WO2016140397A1 (ko) 배터리 장착 조립체 및 배터리 교체 시스템
WO2012124902A2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WO202009111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36352A1 (en) Adapter
WO2014073784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supply having the connectors
WO2020105827A1 (ko) 전기 자동차의 동력 장치
EP3841640A1 (en) Adapter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KR102647877B1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WO2021045449A1 (ko) 커넥터 및 배터리 관리 유닛 및 배터리 팩
WO2021033920A1 (ko) 커넥터
WO2015002405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72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72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