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2190A1 -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2190A1
WO2021162190A1 PCT/KR2020/011562 KR2020011562W WO2021162190A1 WO 2021162190 A1 WO2021162190 A1 WO 2021162190A1 KR 2020011562 W KR2020011562 W KR 2020011562W WO 2021162190 A1 WO2021162190 A1 WO 20211621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power
electric
electric veh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선영
정경민
이성욱
김명호
김도연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US17/798,98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67233A1/en
Priority to DE112020006391.7T priority patent/DE112020006391T5/de
Publication of WO20211621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21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2Driver interactions by confirmation, e.g. of th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having improved operating efficiency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n electric vehicle is an eco-friendly vehicle that is driven by using electric energy charged in a battery. As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strengthened and energy cost reduction is required, interest and 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 increasing the battery capacity of an electric vehicle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operable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is limited by one full charge.
  • the number of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 should be increased so that electric vehicles can be charged anytime, anywhere during mid- to long-distanc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a high-speed charger rectifies a large-capacity AC power and supplies it to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s DC.
  • the fast charger charges with high power, for example, about 50 kW to 150 kW, when the battery SOC (State of Charge) is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Relatively low power charging.
  • SOC State of Charge
  • the charging method of such a fast charger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rate of the charger is lowered because the battery is charged with less power than the rated capacity of the charger.
  • the electric vehicle quick charger has a large-capacity AC-DC converter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grid, and the DC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car battery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price of the electric vehicle quick charger am.
  • a first object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 plurality of vehicles in one charger,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charger and the operation rate of the charging equipme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charge a plurality of vehicles with one charge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plurality of chargers to charge a plurality of vehicles,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charger.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cludes an A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into DC power; a plurality of DC switches connected in parallel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AC-DC converter to supply or cut off the DC power; a plurality of AC switche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or cut off the AC power; a plurality of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DC switch of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and one AC switch of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extending from the DC switch or the AC switch to the connector, respectively connecting the switch and the connector;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charging batteries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s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both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 the connect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o 1 (Combo 1) or a combo 2 (Combo 2) capable of using both DC and AC at the same time.
  •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port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Accordingly, the charging power charged by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at a preset value.
  • the display panel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having a charging start button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charging start button based on a charging request time for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 the battery of the next electric vehicle may be sequentially charged.
  • the controller may start fast charging from a first charging vehicl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 the SOC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during rapid charging increases to decrease th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 the controller uses the charging power of the vehicle during rapid charging and the remaining power supply unit AC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charging vehicle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to allow AC slow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second charging vehicle.
  • the battery SOC of the fast charging vehicle further increases to further decrease the charging power
  • the controller uses the AC current of the second charging vehicle to the maximum and the remaining AC of the power supply unit.
  • a current may be supplied to a third charging vehicle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to slowly charge the battery of the third charging vehicle in AC.
  • the controller converts the DC fast charging of the first charging vehicle to AC slow charging
  • the battery of the next vehicle that is waiting to be charged can be charged with DC fast charging.
  • the controller charges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based on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starts charging from the vehicle at which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is early, and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is completed.
  • charging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r case accommodating the AC-DC converter,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and the controller therein, and the plurality of A charging cable and the plurality of connectors may be install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s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of the AC-DC converter to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having an AC-DC converter that converts A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into DC powe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nected DC switches to supply or cut off the DC power; supplying or blocking the AC power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AC switche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unit;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through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to charging ports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and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charging batteries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s.
  •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may be implemented as combo 1 or combo 2 supporting both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 the charging of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may include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C and AC switches to constantly set the charging power charg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to a preset value.
  •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having a charging start button for charging the batteries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includes: may be char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charging start button is pressed based on the charging request time, and when the battery of the first charging electr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is fully charged, the batteries of the next electric vehicle may be sequentially charged.
  • the charging of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may start rapid charging from a first charging vehicl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 the battery SOC of the first charging vehicle increases when the first charging vehicle is rapidly charged, and charging power to charge the batteries decreasing step; and by supplying the remaining AC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second charging vehicle after us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vehicle being rapidly charged, the battery of the second charging vehicle may be AC slow-charged.
  • the battery SOC of the first charging vehicle further increases to charge the batteries with charging power is further reduced; and the AC current of the second charging vehicle is maximally used and the remaining AC current of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third charging vehicle to slowly charge the battery of the third charging vehicle.
  • the first charging The vehicle's DC fast charging can be switched to AC slow charging, and the next vehicle's battery waiting to be charged can be charged with DC fast charging.
  • the charging of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includes charging the batteri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based on a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based on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 the charging may include starting charging from the vehicle at which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is early, and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timing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overlap, determining the charging priority according to the ord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 multiple charging cables are installed in on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vehicle that came first completes charging the battery using one charging cable, and then the next vehicle uses another charging cable to charge immediately, so the vehicle that came first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next vehicle even without leaving the charging station, so the convenience of electric vehicle users can be improved and the waiting time for charging can be minimized.
  •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has a connector capable of DC fast charging and AC slow charging, and as the battery SOC of the preceding vehicle increases during DC fast charging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charging power of the charger has room to spare.
  • DC charging is converted to AC charging, and DC rapid charging of the following vehicle is possible, It can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and utilization rate of the charger.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 FIG. 1 .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FIG. 1 .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graph) showing the power of a conventional charger.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ower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in FIG. 1 .
  •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port 19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battery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FIG. 1 .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in one charger.
  • One charger includes a charger case 110 , an AC-DC converter 12 , a plurality of switches, a plurality of connectors 16 ,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 a controller 22 and a display panel 18 . can be configured.
  • the charger case 110 forms the exteri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or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
  • the AC-DC converter 12, a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controller 2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harger case 110 to be accommodated.
  •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 a plurality of connectors 16 , and a display panel 18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harger case 110 .
  • It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is easy for a user to see with the naked eye on the top of the charger case 110 of the display panel.
  • the power supply unit 11 is configured with an input power line 111 to supply three-phase AC power.
  • the input power line 111 connects the power supply unit 11 and the AC-DC converter 12 , and three-phase AC power is supplied to the AC-DC converter 12 through the input power line 111 .
  • the AC-DC converter 12 is configured to convert AC power (AC) into DC power (DC).
  • a plurality of switches ar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ower lines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current,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switch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DC switches 14 and a plurality of AC switches 15 .
  •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1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DC power lines 121 to supply or cut off DC power.
  • a plurality of DC switches 14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AC-DC converter 12 .
  •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14 includes a first DC switch 141 to an n-th DC switch.
  •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 this embodiment, n may be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lurality of DC switches 14 may include a first DC switch 141 to a third DC switch 143 .
  • the plurality of DC power lines 12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power lines may be branched from one power line. In this embodiment, a state in which one power line is branched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wer lines is shown.
  • the first to third DC switches 141 , 142 , and 143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DC power line 121 to the third DC power line 121 to open and close the DC flow.
  •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AC power lines 112 to supply or cut off AC power.
  • One side of the input power lin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 , and the other side of the input power lin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AC-DC converter 12 or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
  • a plurality of AC switches 15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AC-DC converter 12 .
  •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power line 111 (or the AC power line 112 ) of the power supply unit 11 .
  •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may be installed in separate AC power lines 112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C power lines 112 branched from one power line.
  • a plurality of AC switches 15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C power lines 112 branched from one power line.
  •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includes a first AC switch 151 to an m-th AC switch.
  •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 this embodiment, m may be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lurality of AC switches 15 may be composed of a first AC switch 151 to a third AC switch 153 .
  • the first to third AC switches 151 , 152 , and 153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AC power line 112 to the third AC power line 112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AC.
  •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witches.
  •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includes a first charging cable 171 to an L-th charging cable.
  • L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 L is 6.
  •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may be composed of a first charging cable 171 to a sixth charging cable 176 .
  • the first to third charging cables 173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DC switches 141 , 142 , and 143 .
  • the first to third charging cables 171 , 172 , and 173 may be DC charging cables.
  • the fourth to sixth charging cables 174, 175 and 17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AC switches 151, 152, and 153, respectively.
  • the fourth to sixth charging cables 174, 175, and 176 may be AC charging cables.
  • a connector 16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
  •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6 ar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the charging port 19 of the electric vehicle for charging the battery 21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6 includes a first connector 161 to a k-th connector.
  •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6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61 to a third connector 163 .
  •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6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both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 the connector 16 may be implemented as a combo 1 (Combo 1) and a combo 2 (Combo 2) that can use both DC and AC at the same time.
  •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6 is connected to a DC charging cable and an AC charging cable, and rapid charging and slow charging are possible.
  • the first connector 161 is connected to the first DC switch 141 through the first charging cable 171, and the first connector 161 is connected to the first AC switch ( 151) can be connected.
  • the controller 22 controls the switch to turn on the first DC switch 141 and turn the first AC switch 151 off. can do it
  • the controller 22 may control the switch to turn off the first DC switch 141 and turn on the first AC switch 151 .
  • the second connector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C switch 142 through the second charging cable 172, and the second connector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 switch 152 through the fifth charging cable 175.
  • the controller 22 may turn on the second DC switch 142 and turn the second AC switch 152 off.
  • the controller 22 may turn off the second DC switch 142 and turn on the second AC switch 152 .
  • the third connector 163 is connected to the third DC switch 143 through the third charging cable 173 , and the third connector 163 is connected to the third AC switch 153 through the sixth charging cable 176 .
  • the controller 22 may turn on the third DC switch 143 and turn the third AC switch 153 off.
  • the controller 22 may turn off the third DC switch 143 and turn on the third AC switch 153 .
  • One end of the charging cable 17 is connected to the switch inside the charger, and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cable 17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 .
  • the charger's DC power or AC pow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or cut off by a switch.
  • the controller 2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witch.
  • the controller 22 may selectively charge the battery 21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 by opening and closing the switch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21 of the vehicle.
  • controller 22 is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for the operation of the charger, such as control of the switch.
  • the display panel 18 is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ging device).
  • the display panel 18 is configured to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user.
  • the display panel 18 may include a charging start button 181 for charging the battery 21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user may start charging the battery 21 by pressing the charging start button 181 .
  • the display panel 18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OC of the charging battery 21 of the charger to the user.
  • DC fast charging can only charge one connector 16 at a time.
  • DC fast charging uses the AC-DC converter 12 to properly generate and charge an optimal voltage for charging the battery 21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21, so that the battery 21 state (SOC level, Batteries 21 of different temperatures) cannot be charged at the same time.
  • AC slow charging can charge multiple ports at once.
  • the OBC 20 Since AC slow charging is charged using an On Board Charger (OBC 20) inside the vehicle, the OBC 20 generates a voltage suitable for the battery 21 for each vehicle and charges the battery 21, so that several The battery 21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 OBC 20 On Board Charger
  • the connector 16 of the charg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9 of the electric vehicle.
  • the three electric wires positioned above the charging port 19 are electric wires for inputting three-phase AC power. During slow charging, three-phase A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ree electric wires.
  • the two electric wires positioned under the charging port 19 are electric wires for inputting (+) and (-) DC power. During fast charging, DC power is supplied through two electric wires.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charging cables 17 are installed in on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when the battery 21 of one vehicle is fully charged, the battery 21 of the next vehicle can be charged immediately. have.
  • the charged vehicle removes the connector 16 .
  • the next vehicle may charge the battery 21 using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provided in the charger even if the vehicle does not move to another place.
  • three electric vehicles may be charg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using three charging cables 17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
  • the charging priority may be determined and charging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iority.
  • the charging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ging request time of the vehicle user or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in the order that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s the connector 16 to the charging port 19 of the electric vehicle and presses the charging start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18 of the charger. (21) is charged, and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battery 21 of the next vehicle may be sequentially charged.
  • the fast charging power is further reduced. Power that can be charged to the power line even when the AC power of the second connector 162 is used to the maximum. can afford to
  • the first connector 161 is converted to the fast charging mode to charge the battery 21 of the first vehicle with DC, while the second connector 162 and the third connector 163 use AC power to the OBC of the vehicle. (20) to perform slow charging.
  •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62 during AC slow charging may stop the AC slow charging and perform DC fast charging.
  •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63 stops AC slow charging, and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62 is preferentially charged.
  •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63 waits without charging until the battery SOC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62 rises and the charging power is reduced.
  • 5 is a conceptual diagram (graph) showing the power of a conventional charger.
  •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ower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isting charger only one charging cable 17 is provided for one charger, and after the battery 21 of the vehicle that came first is charged, the next vehicle can be charged after a certain waiting time has elapsed. .
  • the charger at the existing charging station needs a waiting time between the completion of charging the first vehicle and before charging the next vehicle.
  • the standby time means the time it takes to remove the connector 16 from the charging port 19 of the vehicle on which it is first and then move it to another place.
  •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art charging the battery 21 immediately after the charging of the vehicle that came first is completed without waiting time, and then the next vehicle may use another charging cable 17 .
  •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port 19 of the charging vehicle decreases as the vehicle's battery SOC rises.
  • the charging power of the conventional charger repeats rising and falling (refer to FIG. 5).
  •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harging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61 is started, the second connector 162 through another charging cable 17 as much as the extra load caused by the decrease in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vehicle.
  • the charging power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inuously maintain a preset maximum value (see FIG. 6 ).
  • the controller 22 may control a plurality of switches to constantly maintain th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21 of the electric vehicle at a preset maximum value.
  • the preset maximum value of the charging power may be a DC fast charging maximum power.
  • the operation rate of the charger (charging equipment) becomes the maximum.
  •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presses the charging start button 181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18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start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21 check whether The controller 22 may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charging start button 181 is pressed and determine whether to charge.
  •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may be charged us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16 provided in one charger.
  • DC fast charging is performed on the battery 21 of the first vehicle V1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61 .
  • the first vehicle V1 when the priority of the first vehicle V1 is high and DC fast charging is in progress, the first vehicle V1 initially charges the battery 21 with the DC fast charging maximum power because the battery SOC is low. Since the charger does not have enough power capacity to rapidly charge the first vehicle V1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61 , it is charged using only the first connector 161 .
  • the DC charging power of the first vehicle V1 is compared with the maximum rated power input to the charger.
  • the second vehicle (V2) can be charged using the AC charging cable 17 as much as the amount of spare power. have.
  • the third vehicle V3 is on standby for charging.
  • DC fast charging if the charging power of the first vehicle (V1) becomes smaller than the maximum AC slow charging power (OBC (20) capacity) of the vehicle being charged, DC charging is no longer used and the vehicle's DC fast charging is performed. After release, it switches to AC slow charging to supply AC power to the vehicle.
  • the battery 21 is slowly charged using the OBC 20 of the first vehicle V1.
  • the battery 21 of the next vehicle that is waiting for charging is charged by DC fast charging.
  • the controller 22 may stop the AC charging of the second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62 that is waiting for charging and may switch to DC charging.
  • a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are installed in on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vehicle V1 that came on first completes charging the battery 21 using one charging cable 17, By charging the next vehicle directly using another charging cable 17,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next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V1 that came first does not leave the charging pla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electric vehicle user. , the charging standby time can be minimized.
  •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cables 17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6 capable of DC fast charging and AC slow charging, and as the battery SOC of the preceding vehicle V1 increases during DC fast charging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charging power of the charger AC slow charging of the following vehicle is possible due to the surplus in the battery And, by enabling DC fast charging of the following vehi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and operation rate of the char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 장치는 1대의 전기차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케이블을 설치한다. 먼저 온 차량은 한 개의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완료한 후, 다음 차량은 다른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바로 충전을 함으로써, 먼저 온 차량이 충전장소에서 자리를 비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음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의 운영효율을 높인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친환경 자동차이다.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에너지 비용 절감이 요구됨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것은 차체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어서 한번의 완충으로 전기자동차의 운행가능한 거리는 제한적이다.
전기차의 중·장거리 운행 중 언제 어디서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차 충전소의 개수를 늘려야 한다.
한편, 기존의 전기차 충전기는 1대의 충전기에 1`대의 차량만 충전할 수 있어서 먼저 온 차량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차량은 충전을 대기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충전 중인 차량은 충전이 완료된 후 충전 케이블을 반납하고 충전소의 주차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으면, 후속 차량은 충전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고속 충전기는 대용량의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전기차의 배터리에 직류로 공급한다.
이때, 고속 충전기는 전기차 배터리의 특성 상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충전 상태)가 낮은 상태에서는 고전력, 예를 들면 약 50kW ~ 150kW로 충전하나, 배터리 SOC가 높아지면 점점 충전 전류를 낮춰서 초기 충전 대비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충전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속 충전기의 충전방식은 충전기의 정격용량보다 저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충전기의 가동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교류 전력망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해 대용량의 AC-DC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고, 자동차 배터리 충전을 위한 DC 전원 공급 장치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한 대의 전기차 충전기로 여러 대의 전기차를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전력공급회사(예, 한국전력공사)에서 제시하는 전기차 충전기 설치 조건은 충전기의 정격 용량 이상의 전력설비를 갖춰야 하며, 이는 충전기의 용량이 커질수록 전력공급회사에서 끌어오는 전력설비의 단가를 상승시키므로, 충전기의 설치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한 대의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된 차량의 이동 없이도 바로 후속 차량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여, 충전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충전이 편리한 전기차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 대의 충전기에서 복수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여, 충전기의 운영효율 및 충전설비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 대의 충전기로 다수의 차량 충전이 가능하여, 다수의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다수의 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충전기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 및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DC 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AC 스위치;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중 하나의 DC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 중 하나의 AC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 상기 DC 스위치 또는 상기 AC 스위치에서 상기 커넥터로 연장되어, 상기 스위치와 상기 커넥터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충전케이블; 및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연결된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직류와 교류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콤보 1(Combo 1) 또는 콤보 2(Combo 2)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포트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차로 충전되는 충전파워를 기설정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시작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시작버튼을 누른 순서대로 충전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 중 먼저 충전 중인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순서대로 다음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첫번째 충전 차량부터 급속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배터리 SOC가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줄어들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충전파워를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두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배터리 SOC가 더 상승하여 상기 충전파워가 더 줄어들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AC 전류를 최대로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된 세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세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충전 파워가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급속 충전을 AC 완속 충전으로 전환하고, 충전 대기 중인 다음 차량의 배터리를 DC 급속 충전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고,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이 이른 차량부터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점이 겹침 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충전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AC-DC 컨버터,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충전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케이블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D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에 복수의 충전케이블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연결된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모두 지원하는 콤보 1 또는 콤보 2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DC 및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차로 충전되는 충전파워를 기설정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시작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시작버튼을 누른 순서대로 충전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 중 첫번째 충전 중인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순서대로 다음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첫번째 충전 차량부터 급속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 SOC가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줄어드는 단계; 및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충전파워를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두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 SOC가 더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더 줄어드는 단계; 및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AC 전류를 최대로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세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세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충전파워가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급속 충전을 AC 완속 충전으로 전환하고, 충전 대기 중인 다음 차량의 배터리를 DC 급속 충전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이 이른 차량부터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점이 겹침 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충전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대의 전기차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케이블이 설치되어, 먼저 온 차량은 한 개의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완료한 후, 다음 차량은 다른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바로 충전을 함으로써, 먼저 온 차량이 충전장소에서 자리를 비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음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충전케이블 각각은 DC 급속 충전 및 AC 완속 충전이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선행 차량의 DC 급속 충전 중 선행 차량의 배터리 SOC가 높아지면서 충전기의 충전 파워에 여유가 생김으로 후행 차량의 AC 완속 충전이 가능하고, 선행 차량의 배터리 SOC가 더 높아져서 충전기의 충전 파워가 선행 차량의 AC를 이용한 충전 파워보다 더 작아지면 DC 충전을 AC 충전으로 전환하고, 후행 차량의 DC 급속 충전이 가능함으로써, 충전기의 운영 효율 및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1대의 충전기로 여러 대의 차량을 충전 가능함으로써, 여러 대의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다수의 충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고, 충전기의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전기차의 충전포트와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기존의 충전기의 파워를 보여주는 개념도(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파워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전기차의 충전포트(19)와 배터리(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1대의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케이블(17)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1대의 충전기는 충전기 케이스(110), AC-DC 컨버터(12), 복수의 스위치, 복수의 커넥터(16), 복수의 충전케이블(17), 컨트롤러(22) 및 디스플레이 패널(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 케이스(110)는 전기차 충전기(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충전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AC-DC 컨버터(12), 복수의 스위치 및 컨트롤러(22)가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충전기 케이스(110)의 외부에 복수의 충전케이블(17), 복수의 커넥터(16) 및 디스플레이 패널(18)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 플레이 패널의 충전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는 3상의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입력 전력선(11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 전력선(111)은 전원공급부(11)와 AC-DC 컨버터(12)를 연결하여, 3상의 교류전원이 입력 전력선(111)을 통해 AC-DC 컨버터(12)로 공급된다.
AC-DC 컨버터(12)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DC)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위치는 복수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각각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스위치는 복수의 DC 스위치(14)와 복수의 AC 스위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DC 스위치(14)는 복수의 DC 전력선(121)에 각각 설치되어, 직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DC 스위치(14)는 AC-DC 컨버터(1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DC 스위치(14)는 제1DC 스위치(141) 내지 제n DC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n은 3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DC 스위치(14)는 제1DC 스위치(141) 내지 제3DC 스위치(14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DC 전력선(121)은 서로 별개로 구비되거나 한 개의 전력선에서 복수 개의 전력선이 분지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전력선에 복수의 전력선에 분지되게 연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제1 내지 제3DC 스위치(141,142,143)는 제1DC 전력선(121) 내지 제3DC 전력선(121)에 각각 설치되어, DC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복수의 AC 전력선(112)에 각각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입력 전력선(111)의 일측은 전원공급부(11)에 연결되고, 입력 전력선(111)의 타측은 AC-DC 컨버터(12) 또는 복수의 AC 스위치(15)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AC-DC 컨버터(12)의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전원공급부(11)의 입력 전력선(111)(또는 AC 전력선(112))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서로 다른 별개의 AC 전력선(112)에 설치되거나 하나의 전력선으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AC 전력선(11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AC 스위치(15)가 한 개의 전력선에서 분지된 복수의 AC 전력선(112)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제1AC 스위치(151) 내지 제m AC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m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m은 3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AC 스위치(15)는 제1AC 스위치(151) 내지 제3AC 스위치(15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AC 스위치(151,152,153)는 제1AC 전력선(112) 내지 제3AC 전력선(112)에 각각 설치되어, AC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복수의 충전케이블(17)은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충전케이블(17)은 제1충전케이블(171) 내지 제L충전케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서, L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L은 6이다. 복수의 충전케이블(17)은 제1충전케이블(171) 내지 제6충전케이블(17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충전케이블(173)은 제1 내지 제3DC 스위치(141,142,14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충전케이블(171,172,173)은 DC 충전케이블일 수 있다.
제4 내지 제6충전케이블(174,175,176)은 제1 내지 제3AC 스위치(151,152,15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6충전케이블(174,175,176)은 AC 충전케이블일 수 있다.
복수의 충전케이블(17) 각각의 단부에 커넥터(16)가 구비된다.
복수의 커넥터(16)는 전기차의 배터리(21) 충전을 위해 전기차의 충전포트(19)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커넥터(16)는 제1커넥터(161) 내지 제k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k는 2이상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k는 3이다. 복수의 커넥터(16)는 제1커넥터(161) 내지 제3커넥터(16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6)는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16)는 직류와 교류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콤보 1(Combo 1)과 콤보 2(Combo 2)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6) 각각은 DC 충전케이블과 AC 충전케이블에 연결되어,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커넥터(161)는 제1충전케이블(171)을 통해 제1DC 스위치(141)와 연결되고, 제1커넥터(161)는 제4충전케이블(174)을 통해 제1AC 스위치(15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커넥터(161)를 이용하여 급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DC 스위치(141)를 온(ON)시키고, 제1AC 스위치(15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1커넥터(161)를 이용하여 완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DC 스위치(141)를 오프시키고, 제1AC 스위치(151)를 온시킬 수 있다.
제2커넥터(162)는 제2충전케이블(172)을 통해 제2DC 스위치(142)와 연결되고, 제2커넥터(162)는 제5충전케이블(175)을 통해 제2AC 스위치(15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162)를 이용하여 급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제2DC 스위치(142)를 온(ON)시키고, 제2AC 스위치(152)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2커넥터(162)를 이용하여 완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제2DC 스위치(142)를 오프시키고, 제2AC 스위치(152)를 온시킬 수 있다.
제3커넥터(163)는 제3충전케이블(173)을 통해 제3DC 스위치(143)와 연결되고, 제3커넥터(163)는 제6충전케이블(176)을 통해 제3AC 스위치(1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커넥터(163)를 이용하여 급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제3DC 스위치(143)를 온(ON)시키고, 제3AC 스위치(153)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3커넥터(163)를 이용하여 완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에, 컨트롤러(22)는 제3DC 스위치(143)를 오프시키고, 제3AC 스위치(153)를 온시킬 수 있다.
충전케이블(17)의 일단부는 충전기의 내부에서 스위치에 연결되고, 충전케이블(17)의 타단부는 커넥터(16)에 연결된다. 충전기의 DC 전원 또는 AC 전원은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 혹은 차단될 수 있다.
컨트롤러(22)는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22)는 차량의 배터리(21) 상태에 따라 스위치를 개폐하여 커넥터(16)에 연결된 전기차의 배터리(21)를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는 스위치의 제어 등 충전기의 작동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8)은 전기차 충전기(충전장치)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8)은 충전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8)은 전기차의 배터리(21) 충전을 위한 충전시작버튼(181)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시작버튼(181)을 눌러 배터리(21)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8)은 충전기의 충전 중인 배터리(21)의 SOC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C 급속 충전은 한 번에 한 개의 커넥터(16)로만 충전할 수 있다.
DC 급속 충전은 AC-DC 컨버터(12)를 사용하여 배터리(21)를 충전하기 위한 최적의 전압을 배터리(21)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생성하여 충전하기 때문에, 배터리(21) 상태(SOC 레벨, 온도)가 다른 배터리(21)를 동시에 충전할 수 없다.
반면에, AC 완속 충전은 한 번에 여러 개의 포트로 충전할 수 있다.
AC 완속 충전은 차량 내부의 OBC(20; On Board Charger)를 이용하여 충전하므로 각 차량별 배터리(21)에 적합한 전압을 OBC(20)에서 각각 생성하여 배터리(21)를 충전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배터리(21)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의 커넥터(16)는 전기차의 충전포트(19)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충전포트(19)의 상부에 위치하는 3 가닥의 전기선은 3상 교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기선이다. 완속 충전 시 3상의 교류전원은 3 가닥의 전기선을 통해 공급된다.
도 4를 기준으로 충전포트(19)의 하부에 위치하는 2 가닥의 전기선은 (+), (-)의 직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기선이다. 급속 충전 시 직류전원은 2 가닥의 전기선을 통해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실시예,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1대의 전기차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케이블(17)이 설치되어, 한 대의 차량의 배터리(21) 충전이 완료되면 바로 다음 차량의 배터리(21)를 충전할 수 있다.
즉, 한 대의 전기차가 한 대의 전기차 충전기(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충전케이블(17) 중 한 개의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21)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된 차량이 커넥터(16)를 탈거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다음 차량은 상기 충전기에 구비된 복수 개의 충전케이블(17) 중 다른 한 개의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21)를 충전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차가 한 대의 전기차 충전기에서 충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3대의 전기차는 전기차 충전기(100)에 구비된 3개의 충전케이블(17)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전기차 3대가 충전을 위해 제1커넥터(161) 내지 제3커넥터(163)에 각각 연결되어 있을 때, 충전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우선순위는 차량 사용자의 충전 요청 시점 혹은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편의상 제1커넥터(161) 내지 제3커넥터(163) 순서로 충전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충전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는 경우에, 전기차 사용자가 전기차의 충전포트(19)에 커넥터(16)를 연결하고 충전기의 디스플레이 패널(18)에 구비된 충전 시작 버튼을 누른 순서대로 차량의 배터리(21)를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순서대로 다음 차량의 배터리(21)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을 하는 경우에, 충전 완료 시점이 이른 차량부터 충전을 시작하되, 2대 이상 차량의 충전 완료 시점이 겹치는 경우 충전기의 커넥터(16)에 연결된 순서를 참고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첫번째 차량(V1)이 제1커넥터(161)로 급속 충전 중 차량의 배터리 SOC가 올라가면 배터리(21)를 충전하는 전력이 줄어듦에 따라, 충전기의 1차측에서 볼 때 정격전력보다 부하가 줄어들어 전력선에 충전 가능한 전력에 여유가 생긴다.
이때, 제2커넥터(162)로 AC 전류를 공급하여 여유 부하만큼 2번째 차량의 AC 완속 충전을 시작한다.
계속해서, 제1커넥터(161)와 연결된 충전 차량을 계속 충전하여 배터리 SOC가 더 올라가면 급속 충전 파워가 더 줄어듦에 따라 제2커넥터(162)의 AC 전력을 최대로 사용하여도 전력선에 충전 가능한 전력에 여유가 생긴다.
이때, 제3커넥터(163)에도 AC 전력을 공급하여, 동시에 3대의 차량이 충전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161)는 급속충전 모드로 변환하여 DC로 첫번째 차량의 배터리(21)를 충전하면서, 제2커넥터(162)와 제3커넥터(163)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OBC(20)를 통해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1커넥터(161)에 연결된 첫번째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어, 첫번째 차량의 OBC(20) 용량보다 DC 충전 파워가 작아질 경우, 제1커넥터(161)의 DC 급속충전을 중지하고, AC 완속충전으로 전환하여 DC 급속 충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커넥터(161)에 연결된 차량이 점유하고 있던 DC 충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반환하면, 다음 우선 순위에 있는 차량이 DC로 급속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커넥터(162)에 연결된 차량이 다음 우선순위이므로, AC 완속충전 중인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차량은 AC 완속 충전을 중지하고, DC 급속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DC 충전 파워가 커서 전력선의 전력 공급에 여유가 없으면, 제3커넥터(163)와 연결된 차량은 AC 완속충전을 중지하고,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차량이 우선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 SOC가 올라가 충전 파워가 줄어들 때까지 제3커넥터(163)와 연결된 차량은 충전을 하지 않고 대기한다.
도 5는 기존의 충전기의 파워를 보여주는 개념도(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파워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존 충전기는 1대의 충전기에 1개의 충전케이블(17)만 구비되어, 먼저 온 차량의 배터리(21) 충전이 완료된 다음에, 일정 대기시간이 지난 후 다음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다. 기존 충전소의 충전기는 먼저 온 차량의 충전 완료 후 다음 차량의 충전하기 전 사이에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대기 시간은 커넥터(16)를 먼저 온 차량의 충전포트(19)에서 제거한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충전기는 대기 시간 없이 먼저 온 차량의 충전 완료 후 다음 차량은 다른 충전케이블(17)을 이용하여 바로 배터리(21)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충전기는 제1커넥터(161)와 연결된 차량의 충전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배터리 SOC가 올라가면서 충전 차량의 충전포트(19)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이 감소함으로 인해 기존 충전기의 충전 파워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도 5 참조).
하지만, 본 발명의 충전기는 제1커넥터(161)와 연결된 차량의 충전이 시작된 후 충전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파워의 감소로 인해 생긴 여유부하만큼 다른 충전케이블(17)을 통해 제2커넥터(162) 또는 제3커넥터(163)와 연결된 차량으로 충전이 연속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 충전기의 충전 파워는 지속적으로 기설정된 최대값을 유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22)는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전기차의 배터리(21)를 충전하는 충전파워를 기설정된 최대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파워의 기설정된 최대값은 DC 급속 충전 최대 파워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의 설비 관점에서 충전기에 공급되는 정격 용량의 최고치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기(충전설비)의 가동률이 최대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커넥터(16)를 전기차의 충전포트(19)에 연결한 후, 전기차 충전기의 디스플레이 패널(18)에 구비된 충전시작버튼(181)을 눌러 전기차 배터리(21)의 충전을 시작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컨트롤러(22)는 충전시작버튼(181)의 누름 여부에 따라 신호를 입력받아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차는 1대의 충전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16)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충전기가 최대 전력을 사용할 때는 최대 정격파워로 배터리(21)를 급속 충전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충전시작버튼(181)을 눌러서, 충전이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커넥터(161)와 연결된 첫번째 차량(V1)의 배터리(21)에 DC 급속 충전을 한다.
DC 급속 충전을 할 경우에 차량의 배터리 SOC가 낮으면 DC 급속 충전 최대 파워로 배터리(21) 충전을 할 수 있으나, 배터리 SOC가 높으면 충전 파워는 점점 작아진다.
예를 들면, 첫번째 차량(V1)의 우선순위가 높아 DC 급속 충전 중일 때, 첫번째 차량(V1)은 처음에 배터리 SOC가 낮기 때문에 DC 급속 충전 최대파워로 배터리(21)를 충전을 한다. 충전기는 제1커넥터(161)를 통해 첫번째 차량(V1)을 급속 충전하느라 전력용량에 여유가 없으므로, 제1커넥터(161)만을 이용하여 충전한다.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두번째 차량(V2)과 제3커넥터(163)와 연결된 세번째 차량(V3)은 충전 대기한다.
그 다음, 첫번째 차량(V1)의 충전 중 배터리 SOC가 높아지면, 첫번째 차량(V1)의 DC 충전 파워와 충전기에 입력되는 최대 정격전력을 비교한다.
계속해서, 제1커넥터(161)와 연결된 첫번째 차량의 배터리 SOC가 점점 높아져 충전 파워가 줄어들면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두번째 차량의 AC 충전을 시작한다.
첫번째 차량(V1)의 DC 충전파워가 충전기에 입력되는 최대 정격전력보다 작으면 전력 사용에 여유가 생기고, 여유가 생긴 전력량만큼 AC 충전케이블(17)을 이용하여 두번째 차량(V2)을 충전할 수 있다. 세번째 차량(V3)은 충전 대기한다.
그 이후, 첫번째 차량의 DC 충전파워와 첫번째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를 비교한다.
DC 급속 충전 중 첫번째 차량(V1)의 충전 파워가 충전 중인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OBC(20) 용량)보다 작아지면, 더 이상 DC를 이용한 충전을 하지 않고, 해당 차량의 DC 급속 충전을 해제한 후, AC 완속 충전으로 전환하여 AC 전력을 차량에 공급한다. 첫번째 차량(V1)의 OBC(20)를 이용해 배터리(21)를 완속 충전한다.
충전 대기 중인 다음 차량의 배터리(21)를 DC 급속 충전으로 충전한다.
그러면, 컨트롤러(22)는 충전 대기 중인 제2커넥터(162)와 연결된 두번째 차량의 AC 충전을 중지하고 DC 충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대의 전기차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케이블(17)이 설치되어, 먼저 온 차량(V1)은 한 개의 충전케이블(17)을 이용하여 배터리(21) 충전을 완료한 후, 다음 차량은 다른 충전케이블(17)을 이용하여 바로 충전을 함으로써, 먼저 온 차량(V1)이 충전장소에서 자리를 비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음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충전케이블(17) 각각은 DC 급속 충전 및 AC 완속 충전이 가능한 커넥터(16)를 구비하고, 선행 차량의 DC 급속 충전 중 선행 차량(V1)의 배터리 SOC가 높아지면서 충전기의 충전 파워에 여유가 생김으로 후행 차량의 AC 완속 충전이 가능하고, 선행 차량(V1)의 배터리 SOC가 더 높아져서 충전기의 충전 파워가 선행 차량의 AC를 이용한 충전 파워보다 더 작아지면 DC 충전을 AC 충전으로 전환하고, 후행 차량의 DC 급속 충전이 가능함으로써, 충전기의 운영 효율 및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대의 충전기로 여러 대의 차량을 충전 가능함으로써, 여러 대의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다수의 충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고, 충전기의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DC 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AC 스위치;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중 하나의 DC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 중 하나의 AC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
    상기 DC 스위치 또는 상기 AC 스위치에서 상기 커넥터로 연장되어, 상기 스위치와 상기 커넥터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충전케이블; 및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연결된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직류와 교류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콤보 1(Combo 1) 또는 콤보 2(Combo 2)로 구현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포트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차로 충전되는 충전파워를 기설정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시작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시작버튼을 누른 순서대로 충전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 중 먼저 충전 중인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순서대로 다음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첫번째 충전 차량부터 급속 충전을 시작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배터리 SOC가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줄어들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충전파워를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두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배터리 SOC가 더 상승하여 상기 충전파워가 더 줄어들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AC 전류를 최대로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된 세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세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충전 파워가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급속 충전을 AC 완속 충전으로 전환하고, 충전 대기 중인 다음 차량의 배터리를 DC 급속 충전으로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고,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이 이른 차량부터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점이 겹침 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충전 우선 순위를 정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충전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케이블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12.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D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DC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AC 스위치에 복수의 충전케이블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연결된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모두 지원하는 콤보 1 또는 콤보 2로 구현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DC 및 AC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차로 충전되는 충전파워를 기설정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시작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시작버튼을 누른 순서대로 충전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 중 첫번째 충전 중인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순서대로 다음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첫번째 충전 차량부터 급속 충전을 시작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 SOC가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줄어드는 단계; 및
    상기 급속 충전 중인 차량의 충전파워를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두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 SOC가 더 상승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파워가 더 줄어드는 단계; 및
    상기 두번째 충전 차량의 AC 전류를 최대로 사용하고 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AC 전류를 세번째 충전 차량으로 공급하여 상기 세번째 충전 차량의 배터리를 AC 완속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충전파워가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AC 완속 충전 최대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첫번째 충전 차량의 DC 급속 충전을 AC 완속 충전으로 전환하고, 충전 대기 중인 다음 차량의 배터리를 DC 급속 충전으로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완료 시점이 이른 차량부터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점이 겹침 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충전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0/011562 2020-02-11 2020-08-28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1621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98,988 US20230067233A1 (en) 2020-02-11 2020-08-28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DE112020006391.7T DE112020006391T5 (de) 2020-02-11 2020-08-28 Vorrichtung zum laden von elektrofahrzeugen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55 2020-02-11
KR1020200016555A KR102348553B1 (ko) 2020-02-11 2020-02-11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190A1 true WO2021162190A1 (ko) 2021-08-19

Family

ID=7729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562 WO2021162190A1 (ko) 2020-02-11 2020-08-28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67233A1 (ko)
KR (1) KR102348553B1 (ko)
DE (1) DE112020006391T5 (ko)
WO (1) WO2021162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353B2 (en) * 2020-12-04 2023-12-19 Total Se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al pricing and charging control of a plug-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488730B1 (ko) * 2021-01-26 2023-01-17 주식회사 에프이씨 다중접속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위치 선택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2612664B1 (ko) * 2021-12-07 2023-12-12 주식회사 마이브 전기차용 휴대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배터리 충전 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605959B1 (ko) * 2023-04-17 2023-11-23 최근태 전기차 멀티충전장치
KR102637689B1 (ko) * 2023-08-07 2024-02-19 (주)아하 전기차 멀티 충전 시스템
KR102621863B1 (ko) * 2023-09-13 2024-01-04 김민선 전기차 충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85B1 (ko) * 2010-04-20 2011-01-19 (주)모던텍 유니버셜 충전 장치
KR20120084616A (ko) * 2011-01-20 2012-07-3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전기 차량 충전 장치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JP2015231289A (ja) * 2014-06-05 2015-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式車両
KR20160008099A (ko) * 2015-06-11 2016-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을 공유하는 충전 시스템,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6031A (ko) * 2017-04-14 2018-10-24 한국전력공사 멀티 소켓형 교류충전시스템 및 이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85B1 (ko) * 2010-04-20 2011-01-19 (주)모던텍 유니버셜 충전 장치
KR20120084616A (ko) * 2011-01-20 2012-07-3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전기 차량 충전 장치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JP2015231289A (ja) * 2014-06-05 2015-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式車両
KR20160008099A (ko) * 2015-06-11 2016-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을 공유하는 충전 시스템,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6031A (ko) * 2017-04-14 2018-10-24 한국전력공사 멀티 소켓형 교류충전시스템 및 이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6391T5 (de) 2022-10-13
US20230067233A1 (en) 2023-03-02
KR20210102553A (ko) 2021-08-20
KR102348553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2190A1 (ko)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125615A1 (ko) 전기차용 충전기의 전력공급방법
WO2012005553A2 (ko) 전기자동차, 충전스탠드 및 그 충전방법
WO2013042988A2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WO2019017595A1 (ko)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WO2012018205A2 (ko) 전기자동차 및 그 보조배터리의 충전제어방법
WO2018186573A1 (ko)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WO2019031686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153651A1 (ko) 배터리 충방전 장치
WO2012005399A1 (ko) 자동 청소기의 충전 시스템
WO2013095066A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WO2021085759A1 (ko) 무순단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적용된 ups 모듈
CN107112767A (zh) 充电控制电路、充电装置、充电系统及充电控制方法
WO2019245120A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9132373A1 (ko) 전기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그 구동 방법
WO2018230831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8044078A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WO2019107802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9132493A1 (ko) 전력 모듈이 구비된 충전 장치
WO2023204459A1 (ko) 주차장 충전 시스템
WO2018093149A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부스트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WO202106635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WO2023101312A1 (ko) 충전 모듈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WO2019107801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0111899A1 (ko)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9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9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