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730A1 -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730A1
WO2018030730A1 PCT/KR2017/008487 KR2017008487W WO2018030730A1 WO 2018030730 A1 WO2018030730 A1 WO 2018030730A1 KR 2017008487 W KR2017008487 W KR 2017008487W WO 2018030730 A1 WO2018030730 A1 WO 20180307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11829p
animal feed
cjls1511
salivarius cjls151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4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은
채경수
김성훈
지석우
이중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to EP17839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98820A4/en
Priority to MYPI2019000683A priority patent/MY193328A/en
Priority to AU2017309095A priority patent/AU2017309095B2/en
Priority to RU2019104984A priority patent/RU2721127C1/ru
Priority to JP2019506700A priority patent/JP6715386B2/ja
Priority to BR112019002545-6A priority patent/BR112019002545B1/pt
Priority to US16/324,462 priority patent/US11382940B2/en
Priority to CN201780049252.5A priority patent/CN109563473B/zh
Publication of WO20180307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730A1/ko
Priority to PH12019500264A priority patent/PH120195002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81Salivari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cterium or its microorganis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microorganism.
  • Lactobacillus sp are lactic acid bacilli that are homozygous or heterozygous and are commonly found in the intestines of animals including humans and in the fermentation of dairy products or vegetables.
  •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re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found in the intestinal tract of animals, and are subjected to homo-fermentation or hetero-fermentation using dairy products or vegetables as its substrate. Lactobacillus microorganisms keep the intestinal pH acidic, inhibiting the reproduction of harmful bacteria such as E. coli and Clostridium, improving diarrhea and constipation, as well as vitamin synthesis, anticancer activity, serum It is known to play a role in lowering cholesterol.
  • a novel Lactobacillus genus that can improve the weight gain of animals when used as feed for livestock, improve the immunity or anti-history of animals, and inhibi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e of animals. sp.) to provide microorganism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feed comprising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described herein.
  • Culture medium was prepared by incubat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 the culture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70 °C to 160 °C,
  • the heated culture is cooled to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 °C to 60 °C,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 comprising separating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 from the cooled culture.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or its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riglyceride degrading ability, endotoxin adsorption capacity, pathogenic bacterial growth inhibitory activit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or animal feed compris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or its microorganis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weight gain of the animal and improve immunity to anti-history.
  • Figure 1 shows the electron micrograph of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salivarius ) CJLS1511 strain or its microorganism.
  • One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s.
  • KCCM11829P the mycelium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is, for example, inactive cell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specifically, inactivated by heat. May be cells.
  • the present inventors collected the small intestine end of broiler, washed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and then plated on MRS medium to which 0.001% bromphenicol purple (BCP) was added and incubated anaerobicly at 37 ° C.
  • BCP bromphenicol purple
  • 50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producing strains were selected and subcultured, followed by secondary isolation of 24 species of bacilli in morphological separation using these strains.
  • Ten isolates were isolated by compar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of 24 species, and the bile, acid and animal barrier cell adsorp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producing strains were measured.
  • One strain with the best enzyme activity and triglyceride resolution was isolated.
  • th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strain was named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was deposited on April 12, 2016 at the Korea Microorganism Conservation Center (Accession Number: KCCM11829P).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rphology when grown in MRS solid medium) -Shape of the cell Bacillus Cell polymorphism none Mobility none -Formation of apo none 2.
  • Physiological Features Gram staining Gram positive Catalase voice Oxidase voice -Growth temperature and time 37 ° C, 18-48 hours -Oxygen demand Anaerobic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has a rod shape as shown in FIG. 1 and does not form spores.
  • the difference between live bacteria and dead bacteria was confirmed by glycoprotein activity on the cell wall surface.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No. Our kind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0 Temoin - One Glycerol - 2 Erythritol - 3 D-arabinose - 4 L-arabinose - 5 D-ribose - 6 D-xylose - 7 L-xylose - 8 D-adonito - 9 Methyl-aD-xylopyranozide + 10 D-galactose + 11 D-glucose + 12 D-fructose + 13 D-mannose - 14 L-sorbose - 15 L-ramnose - 16 D-ulcitol - 17 Inositol + 18 D-mannitol + 19 D-sorbitol + 20 Methyl-aD-manopyranozide - 21 Methyl-aD-glucopyranozide - 22 N-acetylglucosamine +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is excellent in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timicrobial activity,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triglyceride degrading ability, and when used in animal feed or feed composition, it can effectively improve feed efficiency and animal growth. There is an advantage.
  •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s exert competitive adhesion with harmful intestinal bacteria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ntestinal flora, and the cell wall component of the cell wall eluted as the cell walls of the microorganisms were destroyed in the small intestine. Lipotecholic acid can interfere with intestinal harmful bacteria in the gut membrane.
  •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s have a high hydrophobicity and cohesiveness compared to the live bacteria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ttached to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endotoxins to improve the anti-pathology.
  •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is administered to the feed to feed the animal feed can increase both the weight gain and feed rate.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 may further comprise a protective agent.
  • the protective agent may be one or more of sugars such as yeast, yeast extract, monosaccharides, polysaccharides, starch, raw sugar and refined sugar. Specifically, at least on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ast extract, dextrose and raw sugar can be mentioned.
  • the use of a protective agent protects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has an effect of extending its shelf lif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
  •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includ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s.
  •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xcipient.
  • the excipi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cipient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Excipients include, for example, sugars (e.g. lactose, D-mannitol, D-sorbitol, sucrose, etc.), gums (e.g., xanthan gum, guar gum, gum arabic), starch (e.g. corn starch, potato starch, etc.), inorganic Salts such as calcium phosphate, calcium sulfate,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and the like.
  • sugars e.g. lactose, D-mannitol, D-sorbitol, sucrose, etc.
  • gums e.g., xanthan gum, guar gum, gum arabic
  • starch e.g. corn starch, potato starch, etc.
  • inorganic Salts such as calcium phosphate, calcium sulfate,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and the
  •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 per 1.0 g of the composition as 1.0 ⁇ 10 8 cfu to 1.0 ⁇ 10 10 cfu.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as 1.0x10 8 cfu to 3.0x10 9 cfu, in one example may be included as 5x10 8 cfu.
  • KCCM11829P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 per 1.0 g of the composition as 1.0 ⁇ 10 8 cfu to 1.0 ⁇ 10 10 cfu.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as 1.0x10 8 cfu to 3.0x10 9 cfu, in one example may be included as 5x10 8 cfu.
  •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pallet, or granular form.
  • the content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s in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may range from 0.1 wt% to 10 wt%, specifically 0.1 wt% to 7 wt%.
  • the composition includes the strain or the mycelium 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iglyceride degrading ability, endotoxin adsorption capacity, pathogenic bacterial growth inhibitory abilit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of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an be maximized.
  • an animal feed prepared using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animal feed may be prepared by mixing a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ventional animal feed.
  • the amount of the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herein in the animal feed may be 0.1% to 1% by weight based on the animal feed weight.
  • the animal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feed for a domestic animal.
  • "Farming animal” is meant to include animals and pets for producing livestock and aquatic products useful to humans, such as milk, meat, eggs, fur, leather, feathers.
  • it may be for feeding to a breeding animal such as dog, cow, chicken, pig, horse. More specifically, it may be for feeding poultry such as chickens, and more specifically for broilers.
  • Animal feed may include ingredient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s, fats, vitamins, minerals, etc., which are essential for animal growth.
  • the protein may be an animal protein or a vegetable protein, and may be, for example, meat meal, poultry meal, fish meal, soy protein, milk protein, gluten, or the like.
  • the carbohydrates include cereals or beans, such as corn, rice, wheat, barley, oats, soybeans or mixtures thereof.
  • the lipid may be animal lipid, vegetable lipid or meat. Or, in addition to the above ingredients, may further include other ingredients that add functionality to the animal feed. Alternatively, sugars, salts, spices, seasonings, flavors and the like can be incorporate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ubat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to prepare a culture solution,
  • the culture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70 °C to 160 °C,
  • the heated culture is cooled to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 °C to 60 °C,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 comprising separating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 from the cooled culture.
  • the step of preparing the culture by culturing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may be agar medium, specifically MRS medium.
  • the culture is cultured for 5 hours to 48 hours at 25 °C to 40 °C, specifically, 12 hours to 36 hours culture at 30 °C to 40 °C, more specifically 20 to 30 hours culture at 35 °C to 40 °C culture Can be prepared.
  • the culture is then heated to a temperature of 70 ° C. to 160 ° C.
  • the heating may use direct heating means or indirect heating means, but may be through an indirect heating means such as a heat exchanger.
  • the heating may be specifical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range of 80 °C to 150 °C, more specifically 90 °C to 120 °C.
  • the heating may inactivate or steriliz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 the heated culture may then be cooled to a temperature of 10 to 60 °C, specifically 20 to 50 °C, or in one example can be rapidly cooled to 4 °C.
  • the cooling may be cooled at a rate of 10 ° C / min to 60 ° C / min, specifically 20 ° C / min to 50 ° C / min, more specifically 30 ° C / min to 40 ° C / min.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s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the microorganisms from the cooled culture.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microorganism may further comprise mixing a protective agent to the isolated microorganism.
  • it may further comprise powdering a mixture of the microorganism and the protective agent.
  • the protective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sugars such as yeast, yeast extract, monosaccharides, polysaccharides, starches, raw sugars, and refined sugars. Specifically,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ast extract, dextrose and raw sugar can be used.
  • the powdering may be lyophilization, spray drying or spray flocculation, and more specifically, spray drying may be used.
  • Spray drying is also called spray drying, and it is a method of spraying liquid at once in a hot air stream, and obtaining a liquid dried thing instantaneously.
  • As a method of making a liquid into a spray shape there exist centrifugal spray by a rotating disk and pressurized spray by a pressure nozzle.
  • the well-known spray drying apparatus which employ
  • a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the microorganisms and a protecting agent, and then the mixture is suspended in water, and then the obtained suspension is spray-dried, that is,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hot air is 120 to 200 ⁇ ,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spray drying at 130-170 degreeC and outlet temperature 30-150 degreeC, Preferably it is 50-100 degreeC.
  • the amount of the protective agent added may be 0.1 part by weight to 30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1 part by weight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ead microorganism.
  • the addition amount of the yeast or yeast extract is 0.04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while the addition amount of the monosaccharide is 1 to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 the addition amount is 0.2-50 weight part, Preferably you may be 0.4-10 weight part.
  • the amount of the inorganic substance in the additive composition is 1 to 99% by weight, specifically 1 to 9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 to 10% by weight.
  • the additive composition comprises from 0.05 to 50% by weight, preferably from 0.5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0.5 to 15% by weight, and from 5 to 80% by weight of inorganic material, preferably 5 It contains-50%, More preferably, it is 5-20%.
  • the microorganisms in the additiv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or its microorganisms in an amount of 1.0 ⁇ 10 8 cfu to 1.0 ⁇ 10 10 cfu per 1 g of the composition.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as 1.0x10 8 cfu to 3.0x10 9 cfu, in one example may be included as 5x10 8 cfu.
  •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As a comparative strain, the safety,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timicrobial activity,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triglyceride degrading activity of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t evaluated together.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was negative in all the gelatin liquefaction test, phenalanlan deamin test and ammonia production test, and appeared to be safe in hemolysis test.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was less acidic than the comparison strain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 at pH 2 to 4, the acid resistance was excellent.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reduced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in both pH 4, 0.3% and 1% solution of bile acid (Oxgall), but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number of bacteria compared to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 Much less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 bile acid is secreted in the body of the administered strain can grow.
  • E. coli K88, E. coli ATCC 25922,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 Three pathogens ( E. coli K88, E. coli ATCC 25922,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 that were cultured in 24-hour liquid culture in TSB (Tryptic soy broth) medium (BD, USA) were homogenized with sterile swabs. Smeared at 10 5-6 cfu / ml.
  •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s were diluted in 10 9 cfu / mL in PBS buffer, respectively, and 50 ⁇ l were dispensed onto a 4 mm diameter paper disc.
  • the mixture was left at room temperature until the dilution penetrated into the paper disc and incubated at 37 ° C. for 18 hours.
  • the diluent is centrifuged (3,000 x g , 10 minutes) for the supernatant after the cultivation, and then used only the cells used after washing three times with PBS buffer.
  • the size of the inhibitory ring was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entire transparent ring and the diameter of the agar groov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 E. coli K88 E. coli ATCC 25922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 ++ ++ +++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 ++ + ++ 10-15 mm: +, 15-20 mm: ++, 21-25 mm: +++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s showed proliferation inhibitory action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 the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strain was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is higher than the strain.
  • a medium to which 0.5 (w / v)% of phytate calcium salt (Ca-phytate) was added was prepared. The strains isolated on each medium prepared above were streaking and observed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 A-amylase and cellulase activity was treated with 2% congo red (Sigma, USA) reagent in culture medium for 24 hours, washed with 1M sodium chloride (Nacl), and then washed by color.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enzyme.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protease and phytase activity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a transparent ring,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below.
  • Protease activity Phytase activity Lipase activity Cellulose activity Amylase activity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 ++ + +++ +++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 + ++ ++ ++ 1-10 mm: +, 11-20 mm: ++, 21-30 mm: +++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was found to have a higher digestive enzyme activity such as protease activity, phytase activity, cellulose degradation activity, amylase activity and the like compared to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 .
  • BSH Bile salt hydrolase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has a high bile resistance and converts it into a form capable of degrading triglycerides by the production of BSH, which can affect the weight gain when applied to anim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ain.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s were respectively plated in MRS agar medium in a loop and incubated at 37 ° C. for 48 hours to prepare a culture solution.
  • the culture solution was indirectly 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 ° C. using a heat exchanger, and it was rapidly cooled to 10 ° C. at a rate of 30-100 L / min.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bacterium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were prepared by separating the bacterium from the rapidly cooled culture medium through a centrifuge (3,000 ⁇ g , 10 minutes).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standard strains were respectively plated in MRS agar medium in a loop and incubated at 37 ° C. for 48 hours to prepare a culture solution.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KCCM 40210 were prepared by separating centrifugal cells from a rapidly cooled culture medium through a centrifuge (3,000 x g , 10 minutes), wherein yeast extract, Dextrose and raw sugar were mixed respectively. After the mixture was suspended in water, the suspension obtained was spray dried to obtain a powder. That is, spray-drying was carried out by making the inlet temperature of hot air 150 degreeC, and outlet temperature 100 degreeC.
  • the addition amount of the protective agent wa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ead microorganisms, the addition amount of yeast extract 20 parts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dextrose 30 parts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raw sugar was 5 parts by weight.
  • microorganism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hydrophobicity and cohesiveness were test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weight gain and feed rate of the basic feed including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microorganisms Compared.
  • the autocoagulation reaction was vortexed for 90 seconds by adding 1 mL of toluene to 3 mL of Lactobacillus diluted to be OD 600 0.5 against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bacteria and dead bacteria. After leaving for 1 hour in a 37 °C water bath to remove the toluene and measured the OD 600 of the aqueous layer.
  • pathogenic microorganisms E. coli K88,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
  • Hydrophobicity (%) is 100 x - was calculated as (initial OD 600 1 sigan OD 600) / initial OD 600.
  •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microorganism-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uperior effects in both weight gain and feed requir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to 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균주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미생물은 동형 또는 이형발효를 하는 젖산 간균으로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관 및 유제품이나 채소의 발효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동물의 장관에서 발견되는 젖산 생성 균으로, 이의 기질로서 유제품 또는 채소를 이용하여 동종 발효(homo-fermentation) 또는 이종 발효(hetero-fermentation)를 한다.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장내 pH를 산성으로 유지시켜, 대장균(E. coli)이나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과 같은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합성, 항암 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의 상기 특성에 이용하여 생균제 및 가축사료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축의 세균성 설사병은 증체율 감소와 폐사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여 가축의 생산을 높이고자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행해져 왔다. 그러나,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과 축산물 내 잔류 항생물질 등의 문제 때문에 사료 내 항생물질의 사용을 규제하고 유기적인 가축 사양법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제1998-78358호)(McEwen and Fedorka-Cray, Antimicrobial use and resistance in animal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ume 34, June 2002, pages S93-S106).
이에,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가축의 사료로 사용시 동물의 증체를 개선할 수 있고, 동물의 면역력 혹은 항병력을 개선시키며, 동물의 장내 유해세균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미생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배양액을 7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배양액을 10℃ 내지 60℃의 범위의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배양액에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또는 이의 사균체는 중성지방 분해능, 내독소 흡착능, 병원성 세균 생장 억제력 및 소화 효소 활성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또는 동물 사료는 동물의 증체를 개선하고 면역성 내지 항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균주 또는 이의 사균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의 계통수(phylogenetic tree)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에 대한 것이다.
본원에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KCCM11829P)의 사균체'는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KCCM11829P)의 비활성 균체, 구체적으로는, 열에 의해 비활성화된 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육계의 소장 말단을 채취하여 멸균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0.001%의 브롬페니콜 퍼플(Bromphenicol purple, BCP)이 첨가된 MRS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혐기 배양하였다. 여기서 유산균 생성 균주 50여 종을 선별하여 계대 배양한 다음 이 균주들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리 방법으로 간균 형태의 24종을 2차 분리하였다. 24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소화효소 활성 능력을 비교하여 10종을 3차 분리하였으며, 이 유산균 생성 균주의 내담즙성, 내산성 및 동물 장벽세포 흡착성을 측정하고, 당 발효, 병원성 세균 생장 억제력, 소화효소 활성능, 중성지방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 1종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유산균 생성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6년 4월 12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11829P).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1. 형태학적 특징(MRS 고체배지에서 성장시켰을 때의 형태)
- 세포의 모양 간균
- 세포의 다형성(多形性) 없음
- 운동성 없음
- 아포 형성 없음
2. 생리학적 특징
- 그람 염색(Gram staining) 그람 양성(Gram positive)
- 카탈라아제(Catalase) 음성
- 옥시다아제(Oxidase) 음성
- 생육 온도 및 시간 37°C, 18~48시간
- 산소 요구도 통성혐기성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rod) 형태를 가지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균주를 사균화하였을 때 세포벽 표면의 당단백질 활성에 의해 생균과 사균의 차이가 확인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의 생화학적 분석을 위해 API 키트로 분석한 결과,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ATCC11741 혹은 KCCM 40210 표준 균주와 유사한 당 이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동정되었고 16s rRNA 분석을 마크로젠에 의뢰하여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ATCC11741 (Lactobacillus salivarius ATCC11741) 혹은 KCCM 40210 표준 균주와 99% 유사한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동정되었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의 당 이용능 분석
No. 당종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0 Temoin -
1 Glycerol -
2 Erythritol -
3 D-arabinose -
4 L-arabinose -
5 D-ribose -
6 D-xylose -
7 L-xylose -
8 D-adonito -
9 Methyl-aD-xylopyranozide +
10 D-galactose +
11 D-glucose +
12 D-fructose +
13 D-mannose -
14 L-sorbose -
15 L-ramnose -
16 D-ulcitol -
17 Inositol +
18 D-mannitol +
19 D-sorbitol +
20 Methyl-aD-manopyranozide -
21 Methyl-aD-glucopyranozide -
22 N-acetylglucosamine +
23 Amygdalin -
24 Arbutin +
25 Asculin -
26 Salicin +
27 D-celobiose -
28 D-maltose +
29 D-lactose +
30 D-mellibiose +
31 D-saccharose +
32 D-trehalose +
33 Inulin -
34 D-melesitose -
35 D-rafinose +
36 Amidon -
37 Glycogen -
38 Xylitol -
39 Genthiobiose -
40 D-turanose -
41 D-lyxose -
42 D-tagatose -
43 D-fucose -
44 L-fucose -
45 D-arabitol -
46 L-arabitol -
47 Gluconate -
48 2-ketogluconate -
49 5-ketogluconate -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는 내산성, 내담즙성, 항균활성, 소화 효소 활성능 및 중성 지방 분해능이 뛰어나며 이를 동물 사료 또는 사료 조성물에 사용시 사료의 효율 및 동물의 증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사균체는 장내 유해세균과 경쟁적 부착저해능을 발휘하여 장내 세균총을 형성하는데 기여를 하며, 소장 내에서 사균체의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용출된 세포벽 구성성분인 리포테이코산(lipoteichoic acid)이 장내 유해세균이 장점막에 정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사균체는 생균에 비해 소수성 및 응집성이 높아 병원성 미생물 및 내독소에 부착되어 항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사균체를 사료에 투여하여 동물에 급이하면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는 보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제의 예로는 효모, 효모추출물, 단당류, 다당류, 전분류, 원당 및 정제당과 같은 설탕류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효모추출물, 덱스트로즈 및 원당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들 수 있다. 보호제를 이용하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의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예컨대 당류(예: 락토오스, D-만니톨, D-소르비톨, 수크로오스 등), 검류(예: 잔탄검, 구아검, 아라비아산검 등), 전분류(예 :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무기 염류(예: 인산 칼슘, 황산 칼슘, 침강 탄산 칼슘 등)등이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조성물 1g 당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가 1.0x108 cfu 내지 1.0x1010 cfu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x108 cfu 내지 3.0x109cfu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예에서 5x108 cfu로 포함할 수 있다.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분말, 팰릿, 또는 입상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중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 구체적으로는 0.1 중량% 내지 7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조성물에 상기 균주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경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중성지방 분해능, 내독소 흡착능, 병원성 세균 생장 억제능 및 소화효소 활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동물 사료가 제공된다. 상기 동물 사료는 본 발명의 일 양태들에 따른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통상적인 동물 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동물 사료 중 본원의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양은 동물 사료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동물 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육 동물용 사료일 수 있다. "사육 동물"이란 젖, 고기, 알, 털, 피혁, 깃털 등 인간에게 유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동물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인 예로, 개, 소, 닭, 돼지, 말 등의 사육동물에 급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닭과 같은 가금류, 더욱 구체적으로 육계에 급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동물 사료는 동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로는 동물성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육분, 가금류분, 어분, 대두 단백질, 우유 단백질, 또는 글루텐 등일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로는, 곡류, 또는 콩류, 예컨데, 옥수수, 쌀, 밀, 보리, 오트, 대두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질로는 동물성 지질, 식물성 지질 또는 육류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성분들 외에 동물 사료에 기능성을 부가하는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당, 염, 향신료, 조미료, 향미제 등이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배양액을 7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배양액을 10℃ 내지 60℃의 범위의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배양액에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한천 배지, 구체적으로 MRS배지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25℃ 내지 40℃에서 5시간 내지 48시간 배양, 구체적으로, 30℃ 내지 40℃에서 12시간 내지 36시간 배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40℃에서 20시간 내지 30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액을 7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상기 가열은, 직접 가열 수단 혹은 간접 가열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열 교환기와 같은 간접 가열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은 구체적으로 80℃ 내지 150℃, 보다 구체적으로 90℃ 내지 12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을 통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을 불활성화 혹은 사균화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배양액을 이후 10 내지 60℃, 구체적으로 20 내지 50℃의 온도로 냉각하거나, 일 예에서는 4℃까지 급속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10℃/min 내지 60℃/min, 구체적으로는 20℃/min 내지 50℃/min, 보다 구체적으로는 30℃/min 내지 40℃/min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냉각된 배양액에서 사균체를 분리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리된 사균체에 보호제를 혼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상기 사균체와 보호제의 혼합물을 분말화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분말화함으로써, 사균체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균체의 유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호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효모, 효모추출물, 단당류, 다당류, 전분류, 원당 및 정제당과 같은 설탕류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효모 추출물, 덱스트로즈 및 원당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혹은 분무 응집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무 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분무 건조는 스프레이 드라이라고도 불리며, 열기류 중에 단번에 액체를 분무하여 순간적으로 액상의 건조물을 얻는 방법이고, 액체를 분무형상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원반에 의한 원심분무와 압력 노즐에 의한 가압분무가 있다. 탈지유 등에 분무건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들 분무 방법을 채용한 공지의 분무건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조작의 간편성을 고려하면 사균체와 보호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다음, 이 혼합물을 물속에 현탁시킨 후, 수득한 현탁액을 분무 건조 처리하는데, 즉 열풍의 유입구 온도를 120~200℃, 바람직하게는 130~170℃로 하고 출구 온도를 30~150℃, 바람직하게는 50~100℃로 하여 분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제의 첨가량은 사균체의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효모 또는 효모추출물의 첨가량은 0.04~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부로 하는 한편, 단당류의 첨가량을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부로 하고, 설탕류의 첨가량을 0.2~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10 중량부로 한다.
분말화 조작, 특히 분무 건조 조작에 있어서 물에 난용성인 탄산 칼슘 등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물질을 첨가제로 사용하면 조작이 용이해짐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 조성물 중 무기 물질의 양은 1~99중량%, 구체적으로는 1~9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10 중량%이다. 일 예에서, 첨가제 조성물은 사균체 분말 0.0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을 포함하고, 무기물질 5~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을 함유한다.
첨가제 조성물 중에 사균체는 당해 조성물 1g 당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가 1.0x108 cfu 내지 1.0x1010 cfu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x108 cfu 내지 3.0x109 cfu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예에서 5x108 cfu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험예 1 내지 6
공지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을 비교 균주로 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균주의 안전성, 내산성, 내담즙성, 항균활성, 소화 효소 활성 및 중성지방 분해 활성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실험예 1: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안전성 평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균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바이오벤처협회 단체표준에서 제시한 안전성 평가 시험법에 따라 용혈 현상 검사, 젤라틴 액화 반응 검사, 유해 대사산물(암모니아) 생성 확인 및 페닌알라닌 탈아민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균주 항목
  젤라틴 액화 반응 검사 페닐알라닌 탈아민 검사 용혈 현상 검사 암모니아 생성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음성 음성 a-용혈, 안전함 음성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는 젤라틴 액화 반응 검사, 페닌알라닌 탈아민 검사 및 암모니아 생성 확인 검사에서 모두 음성을 나타내었고, 용혈 검사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내산성 평가
MRS 배지에서 사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균주와 비교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 균주에 대해 pH 2, 3, 7로 각각 조정한 MRS 용액으로 10-6 배 희석하였다. 희석한 균액을 37℃에서 배양하면서 일정한 시간대별로 MRS agar 배지에 도말하여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수를 측정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Strains MRS broth (pH7) MRS broth (pH2) MRS broth (pH3)
생균수 (CFU/mL) 생균수 (CFU/mL) 생균수 (CFU/mL)
0 h 1 h 3 h 0 h 1 h 3 h 0 h 1 h 3 h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5.8 x 108 6.0 x 108 6.2 x 108 5.8 x 108 2.3 x 105 2.0 x 105 5.8 x 108 3.5 x 108 2.0 x 108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6.4 x 108 6.8 x 108 8.6 x 108 6.4 x 108 2.0 x 102 2.0 x 102 6.4 x 108 1.0 x 108 5.0 x 106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는 pH 2 내지 4에서 비교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보다 생존 균수의 감소가 적어 내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내담즙성 평가
MRS 배지에서 사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균주와 비교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를 pH 4로 각각 조정 후, 담즙산액(Oxgall)을 각각 0%, 0.3%, 1% 가 되도록 농도를 맞춘 후, MRS 용액으로 10-6 배 희석하였다. 희석한 균액을 37℃에서 배양하면서 일정한 시간대별로 MRS agar 배지에 도말하여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수를 측정하였다. 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표 5에 요약하였다.
Strains MRS broth (pH4) MRS broth(pH4 and Oxgall 0.3%) MRS broth(pH4 and Oxgall 1%)
생균수 (CFU/mL) 생균수 (CFU/mL) 생균수 (CFU/mL)
0 h 1 h 3 h 0 h 1 h 3 h 0 h 1 h 3 h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2.4 x 108 4 x 108 5.6 x 108 2.4 x 108 4.0 x 106 2.0 x 104 2.4 x 108 5.6 x 105 5.2 x 103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2.0 x 108 2.0 x 108 2.2 x 108 2.0 x 108 2.6 x 105 2.0 x 102 2.0 x 108 2.0 x 102 2.0 x 102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는 pH 4, 담즙산(Oxgall) 0.3% 및 1% 용액 모두에서 생존 균수의 수가 감소되었으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에 비해 균수의 감소 정도가 훨씬 적어 동물 체내에서 담즙산이 분비되더라도 투여된 균주가 생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항균활성 평가
TSB(Tryptic soy broth) 배지(BD, USA)에 24시간 액체 배양된 3종의 병원균(E. coli K88, E. coli ATCC 25922,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을 멸균된 면봉으로 균일하게 105~6 cfu/ml로 도말하였다.
도말 후 직경 4mm의 paper disc에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를 각각 PBS 버퍼에 109 cfu/mL로 희석 후 50㎕씩 분주하였다. 희석액이 paper disc 속으로 충분히 스며들 때까지 실온에 방치 다음 37℃에서 18시간 동안 호기 배양하였다. 여기서 상기 희석액은 배양 후 상층액에 대해 원심분리(3,000 x g, 10분) 후 PBS 버퍼를 이용해 3회 세척 후 사용한 균체만을 사용한 것이다. 저해환의 크기는 전체 투명환의 직경과 agar 홈의 직경의 차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냈다.
Strains E. coli K88 E. coliATCC 25922 Salmonella typhimurium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KCCM 10709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 ++ ++ +++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 ++ + ++
10~15 mm: +, 15~20 mm: ++, 21~25 mm: +++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 균주 모두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지만,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균주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에 비해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가 생성하는 대사산물에 의한 효과가 아닌 균체 자체에 의한 효과이기 때문에, 이를 가축에게 적용 시 유해 미생물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실험예 5: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소화 효소 활성 평가
소화 효소 활성 실험은 탄수화물, 단백질, 인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가지고 있는 유산균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테아제(protease) 활성이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MRS 한천 배지에 스킴 밀크(skim milk) 0.5(w/v)%를 첨가하였고, 셀룰라아제(cellulase) 활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서 MRS 한천배지에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를 0.2(w/v)% 첨가하였으며, a-아밀라아제(a-amylase)활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서 MRS 한천배지에 옥수수 전분(corn starch) 0.2%(w/v)를 넣었으며, 파이타제(phytase) 활성을 알기 위해 파이테이트 칼슘염(Ca-phytate)을 0.5(w/v)% 첨가한 배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배지에 분리된 균주들을 도말(streaking)한 다음, 24시간 배양한 후 관찰하였다.
a-아밀라아제와 셀룰라아제 활성은 24시간 배양한 배지에 2% 콩고 레드(congo red, Sigma, USA) 시약을 처리한 후, 1M 염화나트륨(Nacl)을 이용하여 세척(washing)한 다음, 색깔 여부에 의해 분해효소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테아제와 파이타제 활성 여부 판정은 투명환의 여부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Strains Protease activity Phytase activity Lipase activity Cellulose activity Amylase activity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 ++ + +++ +++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 + ++ ++ ++
1~10 mm: +, 11~20 mm: ++, 21~30 mm: +++
상기 표 7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에 비해 프로테아제 활성, 파이타아제 활성, 세룰로오스 분해 활성, 아밀라아제 활성 등의 소화효소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를 가축에게 적용 시 사료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험예 6: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의 중성지방 분해 활성 평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의 Bile salt hydrolase(이하 BSH) 활성을 조사한 결과, 2mM의 taurodeoxycholate hydrate(이하 TDCA, Sigma, USA)를 첨가한 MRS 고체배지에서 흰색침전을 생성하여 효소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TDCA 양성대조군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의 침전과 비슷한 침전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2mM 의 Sodium glycodeoxycholate(이하 GDCA, Sigma, USA)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균주의 경우 균이 잘 자랐으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의 경우 침전을 보이지 않았으며, 균이 잘 자라지 못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복합 담즙산/균주명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TDCA O O
GDCA + -
O: 침전 형성, X: 침전 형성하지 않음, +: 성장, -: 성장 못함
상기 표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는 높은 답즙내성을 가지며 BSH 의 생산으로 중성지방을 분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여, 이를 동물에 적용 시 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성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를 각각 MRS 한천 배지에 루프로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간접 가열하고, 이를 30~100L/min의 속도로 10℃까지 급속 냉각하였다. 급속 냉각된 배양액에서 사균체를 원심분리기(3,000 x g, 10분)를 통해 분리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를 사균체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 표준균주를 각각 MRS 한천 배지에 루프로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간접 가열하고, 이를 30~100L/min의 속도로 10℃까지 급속 냉각하였다. 급속 냉각된 배양액에서 사균체를 원심분리기(3,000 x g, 10분)를 통해 분리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KCCM 40210를 사균체를 각각 제조하고, 여기에 효모 추출물, 덱스트로즈 및 원당을 각각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속에 현탁시킨 후, 수득한 현탁액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때, 즉 열풍의 유입구 온도는 150℃, 출구 온도는 100℃로 하여 분무 건조하였다. 보호제의 첨가량은 사균체의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효모추출물의 첨가량이 20 중량부, 덱스트로즈의 첨가량을 30중량부, 원당의 첨가량은 5 중량부로 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사균체들에 대해, 소수성 및 응집성을 아래 기술된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를 포함하는 기초사료와 이를 포함하지 않는 기초사료의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비교하였다.
실험예 7: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 KCCM11829P ) 생균과 사균의 소수성 및 응집성 평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생균과 사균의 소수성과 응집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자가응집반응과 동시응집반응을 평가하였다.
자가응집반응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생균과 사균에 대해 OD600이 0.5가 되도록 희석한 유산균 3mL에 1mL의 톨루엔을 첨가하여 90초 동안 vortex 하였다. 이후 37℃ water bath에서 1시간 방치한 뒤 톨루엔을 제거 후 수용액 층의 OD600을 측정하였다.
동시응집반응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생균과 사균에 대해 병원성 미생물(E. coli K88,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과 동량으로 혼합(병원성 미생물 : 생균 또는 사균 = 1:1 (각1.5ml))한 3mL에 각각 1mL의 톨루엔을 첨가하여 90초 동안 vortex 하였다. 이후 37℃ water bath에서 1시간 방치한 뒤 톨루엔을 제거 후 수용액 층의 OD600을 측정하였다.
소수성(%)은 100 x (초기 OD600 - 1시간 OD600)/초기 OD600으로 계산하였다.
생균과 사균의 자가응집반응과 동시응집반응 결과는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항목/병원성 균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생균 사균체
자가응집반응 11% 23%
동시응집반응 E. coli K88 54% 64%
Salmonella typhimurium KCCM 25922 45% 65%
Salmonella cholerasuis KCCM 10709 30% 45%
상기 표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의 자가응집반응과 동시응집반응 모두 생균보다 1.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의 세포 외 소수성 및 응집성은 세포 표면 단백질의 특성이나 표면 구조에 영향을 받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는 도 1과 같이 표면 단백질 구조가 생균과 달라 소수성과 응집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써, 내독소에 부착하여 항병력에 영향을 주는 기능성 균주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실험예 8: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 KCCM11829P ) 사균체를 포함하는 사료와 일반 기초사료의 비교
이유 육계의 기초사료에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 0.2%(w/w)를 투여한 사료와 이를 투여하지 않은 기초사료(대조군)에 대해, 통상의 사료 급이와 같이 29일간 급이하고 개시 평균 체중(g), 종료 평균 체중(g), 일당 평균 증체량(g/d), 평균 일당 사료 섭취량(g/d) 및 사료 요구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 투여군
시험 마리수 150 150
개시 평균 체중(g) 38.48 38.47
종료 평균 체중(g) 1582.00a 1690.24b
일당 증체량(g/d) 53.23a 56.96b
일당 사료 섭취량(g/d) 78.76 79.48
사료 요구율 1.48a 1.40b
a,b각기 다른 문자로 표기되는 두 집단의 평균은 통계학적 유의차가 존재한다(P<0.05).
상기 표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사균체 투여군은 이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 모두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08487-appb-I000001

Claims (15)

  1.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
  2.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상기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가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1g 당 1.0x108 cfu 내지 1.0x1010 cfu로 포함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의 보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제가 효모, 효모추출물, 단당류, 다당류, 전분류, 설탕류 중 1종 이상인, 동물 사료 첨가 첨가제 조성물.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육계인,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또는 이의 사균체가 동물 사료의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 중량%인,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9. 제8항에 따른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10.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배양액을 7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배양액을 10℃ 내지 60℃의 범위의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배양액에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 열교환기를 통해 간접 가열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이 10℃/min ~ 60℃/min의 속도로 냉각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사균체에 보호제를 혼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사균체를 분말화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제가 효모, 효모추출물, 단당류, 다당류, 전분류, 설탕류 중 1종 이상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KCCM11829P) 사균체의 제조 방법.
PCT/KR2017/008487 2016-08-09 2017-08-07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WO20180307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39748.5A EP3498820A4 (en) 2016-08-09 2017-08-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OO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OR DEAD CELLS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DEAD CELLS
MYPI2019000683A MY193328A (en) 2016-08-09 2017-08-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AU2017309095A AU2017309095B2 (en) 2016-08-09 2017-08-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RU2019104984A RU2721127C1 (ru) 2016-08-09 2017-08-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композиция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животных,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ую бактерию или ее мертвые клетки,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казанных мертвых клеток
JP2019506700A JP6715386B2 (ja) 2016-08-09 2017-08-07 ラクトバチルスサリバリウスcjls1511、該菌またはその死菌体を含む動物飼料添加剤組成物、及び該死菌体の製造方法
BR112019002545-6A BR112019002545B1 (pt) 2016-08-09 2017-08-07 Composição para aditivos de ração animal, ração animal e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para aditivos de ração animal
US16/324,462 US11382940B2 (en) 2016-08-09 2017-08-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CN201780049252.5A CN109563473B (zh) 2016-08-09 2017-08-07 唾液乳杆菌cjls1511,含该菌或死细胞的动物饲料添加组合物及生产死细胞的方法
PH12019500264A PH12019500264A1 (en) 2016-08-09 2019-02-07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355 2016-08-09
KR1020160101355A KR101873899B1 (ko) 2016-08-09 2016-08-09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30A1 true WO2018030730A1 (ko) 2018-02-15

Family

ID=6116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487 WO2018030730A1 (ko) 2016-08-09 2017-08-07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82940B2 (ko)
EP (1) EP3498820A4 (ko)
JP (1) JP6715386B2 (ko)
KR (1) KR101873899B1 (ko)
CN (1) CN109563473B (ko)
AU (1) AU2017309095B2 (ko)
BR (1) BR112019002545B1 (ko)
MY (1) MY193328A (ko)
PH (1) PH12019500264A1 (ko)
RU (1) RU2721127C1 (ko)
WO (1) WO2018030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46B1 (ko) * 2018-10-15 2020-07-06 주식회사 제일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KR102251294B1 (ko) 2018-11-06 2021-05-12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v133 균주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1295B1 (ko) 2020-04-02 2021-05-12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v133 균주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22001129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사균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01A (ko) * 2006-08-01 2008-02-11 민재윤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20090057154A (ko) * 2007-12-01 2009-06-0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의 분변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KR20110009516A (ko) * 2009-07-22 2011-01-28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20047792A (ko) *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9950A (ko) * 2011-11-29 2013-06-07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40049399A (ko) * 2012-10-17 2014-04-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저항성 포도상구균을 억제하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358A (ko) 1997-04-28 1998-11-16 배순훈 고온시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E20030274A1 (es) 2001-07-26 2003-05-08 Alimentary Health Ltd Cepas de lactobacillus salivarius
EP1565547B2 (en) 2002-06-28 2012-09-19 Biosearch S.A. Probiotic strains, a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them,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EP1634948A1 (en) * 2004-09-10 2006-03-15 Basf Aktiengesellschaft Mea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caries
US20100080783A1 (en) * 2004-11-22 2010-04-01 Watson James B Microbial feed additive
AT501919B1 (de) 2005-06-14 2008-09-15 Erber Ag Probiotischer, gesundheits- bzw. leistungsfördernder futtermittel- und/oder trinkwasserzusatz für tiere sowie seine verwendung
GB2469059B (en) 2009-03-31 2014-01-08 Univ Plymouth Components for animal feed and use thereof
CN102373162B (zh) 2010-08-09 2014-01-08 生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唾液乳酸杆菌(Lactobacillus salivarius)SG-M6及含有该唾液乳酸杆菌SG-M6的抑菌组合物
RU2010138189A (ru) 2010-09-16 2012-03-27 Дзе Юнайтед Стэйтс Оф Америка, Эз Репрезентид Бай Дзе Секретари Оф Агрикалча (Us) Новый штамм lactobacillus salivarius и новый бактериоцин
EP2449887B1 (en) * 2010-11-05 2016-01-06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pet food containing probiotic micro-organisms
CN101971921B (zh) 2010-11-12 2013-05-08 胡文锋 富锌灭活乳酸菌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PL2675287T3 (pl) * 2011-02-18 2017-01-31 Dupont Nutrition Biosciences Aps Kompozycja dodatku paszowego
MX354047B (es) * 2011-06-08 2018-02-09 Novozymes As Cepas/celulas de lactobacillus secadas por aspersion, y el uso de las mismas contra helicobacter pylori.
CN102660478B (zh) * 2012-05-10 2013-12-25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唾液乳杆菌及其冻干制剂与应用
KR101335455B1 (ko) * 2013-07-18 2013-12-02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AU2016305391B2 (en) * 2015-08-12 2019-01-17 Cj Cheiljedang Corporation Novel Lactobacillus sp. microorganisms, and composition for animal feed comprising same
CN105331559A (zh) * 2015-11-26 2016-02-17 华南农业大学 一种禽类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878267B (zh) * 2019-11-21 2023-01-31 中国农业科学院兰州兽医研究所 一株唾液乳杆菌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01A (ko) * 2006-08-01 2008-02-11 민재윤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20090057154A (ko) * 2007-12-01 2009-06-0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의 분변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KR20110009516A (ko) * 2009-07-22 2011-01-28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20047792A (ko) *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9950A (ko) * 2011-11-29 2013-06-07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40049399A (ko) * 2012-10-17 2014-04-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저항성 포도상구균을 억제하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 34, June 2002 (2002-06-01), pages S93 - S106
MCEWEN; FEDORKA-CRAY: "Antimicrobial use and resistance in animal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 34, June 2002 (2002-06-01), pages S93 - S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5386B2 (ja) 2020-07-01
CN109563473B (zh) 2022-05-27
JP2019524129A (ja) 2019-09-05
CN109563473A (zh) 2019-04-02
MY193328A (en) 2022-10-05
AU2017309095A1 (en) 2019-02-28
BR112019002545B1 (pt) 2023-01-24
BR112019002545A2 (pt) 2019-05-21
PH12019500264A1 (en) 2019-06-17
KR20180017489A (ko) 2018-02-21
US20190216867A1 (en) 2019-07-18
EP3498820A1 (en) 2019-06-19
EP3498820A4 (en) 2020-01-22
AU2017309095B2 (en) 2020-10-01
RU2721127C1 (ru) 2020-05-18
US11382940B2 (en) 2022-07-12
KR101873899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581B2 (en) Lactobacillus reuteri useful as probiotics
JP5872104B2 (ja)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US10597740B2 (en) Bifidobacterium longum CBT BG7 strain for promotion of growth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growth containing the same
WO2018030730A1 (ko)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KR101235561B1 (ko) 항바이러스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lp-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CN101541947A (zh) 分离自母乳的具有益生菌活性和抑制体重增加活性的乳酸菌
WO2022075660A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cc 균주
WO2019027073A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WO2017026635A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US8728461B2 (en)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high immunoglobulin-A-inducing ability
WO2019013382A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WO2012105804A2 (en) Probiotics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saprolegnia sp.
WO2017222142A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US9352005B2 (en) Isolated-probiotics preparation containing Bacillus sp. strain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20050023475A (ko) 돼지 유행성 설사증 (PED) 코로나바이러스 및 유해 미생물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 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카리스Probio-056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KR20040065066A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100233616B1 (ko) 비스판균 배양액으로 부터 비스판균을 회수하는 방법
KR100445292B1 (ko) 다기능 프로바이오틱능력을 가지는 신규 엔테로코카스 페시움 유비티-엠01
KR20040065065A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시움 Probio-048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9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0670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0909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0807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39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311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9002545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9002545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