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792A -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792A
KR20120047792A KR1020110110381A KR20110110381A KR20120047792A KR 20120047792 A KR20120047792 A KR 20120047792A KR 1020110110381 A KR1020110110381 A KR 1020110110381A KR 20110110381 A KR20110110381 A KR 20110110381A KR 20120047792 A KR20120047792 A KR 2012004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filtrate
fermentation
tin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219B1 (ko
Inventor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정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정명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riority to DK11838184.7T priority Critical patent/DK2647694T3/en
Priority to CN201180004722.9A priority patent/CN102725397B/zh
Priority to EP11838184.7A priority patent/EP2647694B1/en
Priority to ES11838184.7T priority patent/ES2663794T3/es
Priority to PCT/KR2011/008090 priority patent/WO2012060579A2/ko
Publication of KR2012004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4Preserving or maintaining viabl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시킨 후 발효여액과 균체포함액으로 분리하고, 균체포함액에 대해 동결건조를 수행하고, 발효여액에 대해 유동층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건조 처리된 균체와 발효여액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는 균질한 성상을 가지며,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항균활성 및 정장작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의약품, 식품, 사료 및 화장품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tyndalized lactic acid bacteria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적정 온도 및 유속으로 간접가열한 후,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킨 후 유동층건조 및 동결건조 처리함으로써 균질한 성상 및 뛰어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아 있는 유산균은 장에 정착하여 장관운동 활성화, 유해균억제, 혈중콜레스테롤 저하능,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한다. 반면 틴달화 동결건조물(사균체 포함)은 일반적으로 유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유산 및 생리활성물질(항균활성물질)에 의해 장내의 산도를 증가시켜 소장에서의 연동운동을 완만하게 하여 주어 소화흡수를 돕고, 대장에서는 장의 운동을 조절하여 설사를 예방하여 준다.
즉, 장내에서는 장내 균총 중 장내 세균과에 속하는 대장균, 장구균이 증가하여 치료가 잘 되지 않는 난치성 설사를 일으키는데 유산균과 유산균 발효액 틴달화 동결 건조물(항균활성물질)은 이러한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시켜 설사에 대해 개선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면역증강작용이다. 인체의 방어기작으로서 질병에 대한 치유 및 예방, 즉 유산균 틴달화 동결건조물(사균체)이 면역계에서 병원균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파지 활성화를 통한 세균, 바이러스의 신속한 감지, 감마인터페론 생성으로 면역력을 증진시켜 질병에 대응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틴달화 동결건조물 공정은 도 1과 같다.
유산균 발효액에 대해 틴달화 과정을 거치고, 이후 동결 건조 및 분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틴달화 과정은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60 ~ 120℃에서 10 ~ 60분 동안 틴달한 후 20℃ 이하로 급속 냉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틴달 방법은 틴달시 탄화로 인하여 성상이 매우 불량하였고, 틴달도 온전치 않아 유산균 생균 비율이 너무 높았다.
즉, 틴달온도를 높이면 제조가 완성된 틴달화 동결건조물의 역가 즉, 세균성장저지력이 현격히 낮고 성상 또한 너무 진하여 제품으로 하기에는 문제점이 적지 않다. 반면에, 틴달온도를 낮게 하면 틴달화 동결건조물내 생균이 잔류하여 제품은 틴달화 동결건조물인데 사균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균을 오염균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또한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배지마다 유산균 생균의 수가 다르고, 그에 따라 틴달 과정에서 사균체 수에서 큰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균질한 성상의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고, 틴달화 동결건조물 내 사균체 수에 따라 세균성장저지력의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질한 성상 및 뛰어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시킨 후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으로 분리한 후, 틴달화 균체포함액에 대해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고, 틴달화 발효여액에 대해 유동층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틴달화 사균체와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 발효액의 틴달화 과정은, 유산균 발효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70 ~ 160℃에서 간접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시켜 사멸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은 동결건조 전에 트레할로즈, 말토덱스트린, 전분 및 탈지분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결보호제로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인체 투여시 장내에서 적절한 세균성장 저지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1.0×109 ~ 1.0×1011 cfu/g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및 엔테로코커스 페슘(Enterococcus faeciu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의 유동층건조는, 틴달화 발효여액에 대두분리단백, 탈지분유,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흡착제를 분사시켜 틴달화 발효여액을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는, 유산균 발효액을 발효여액과 균체포함액으로 분리한 후 각각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형성하고,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에 대해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고, 틴달화 발효여액에 대해 유동층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틴달화 사균체와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효여액은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80 ~ 160℃에서 간접가열한 후, 20 ~ 4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고, 상기 균체포함액은 가압식 증기멸균기를 이용하여 80 ~ 160℃에서 간접가열한 후, 20 ~ 4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시키는 단계; 상기 틴달화된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을 유동층건조하거나 또는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항균용 사균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 발효액의 틴달화 과정은, 유산균 발효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80 ~ 160℃에서 10 ~ 100ℓ/min 유속으로 간접가열한 후, 20 ~ 40℃로 급속냉각시켜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
상기 유산균 발효 과정은, 당류, 효모추출물, 소이펩톤 및 이온성분, 그 외 생육인자를 첨가한 후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결건조는, -60 ~ -40℃에서 급속 동결한 후 20 ~ 60℃ 온도에서 24 ~ 96 시간 동안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사균체 제조방법은,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유산균 발효액을 균체포함액과 발효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균체포함액을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효여액을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발효여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을 유동층건조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유산균 발효 단계
상기 단계(a)는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유산균 발효는 당류, 효모추출물, 소이펩톤 및 이온성분, 그 외 생육인자를 첨가한 후 유산균을 발효시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류, 효모추출물, 소이펩톤, 이온성분은 유산균 발효시 생존에 필요한 요소들이며, 각 성분의 함량은 단백질 수용액의 총 중량에 대해 당류 1 ~ 5중량%, 효모 추출물 0.1 ~ 5중량%, 소이펩톤 0.1 ~ 5중량% 및 이온성분 0.01 ~ 1중량%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포도당, 유당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생육인자로서 비타민 B군 혹은 TWEEN 80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이온성분은 구체적으로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소디움 아세테이트, 디포타시움 포스테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망간 설페이트 및 소디움 클로라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산균 배양을 위한 물질들은 유산균 첨가 전에 살균한 후 이용할 수 있다.
(b) 유산균 틴달화 단계
상기 단계(b)는 유산균을 고온으로 가열 후 냉각시켜 틴달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균체 제조방법은 유산균 발효액을 균체포함액과 발효여액으로 분리하기 전에 틴달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틴달화 방법은, 열교환기를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며, 70 ~ 160℃에서 1 ~ 200ℓ/min 유속으로 유산균을 간접가열하고, 10 ~ 60℃로 급속냉각시킴으로써, 사균체의 성상을 균질하게 개선하고, 생균의 잔존율을 거의 0%까지 낮출 수 있으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및 유속 범위에서 사균체의 성상 개선, 생균 잔존율 저하 및 우수한 항균활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틴달화"란 유산균을 일정 온도로 사멸화시켜 사균형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유산균 생균은 산에 매우 약해 장까지의 도달이 어렵지만, 이들 사균체는 위산 등의 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소장 및 대장으로 도달이 가능하고, 이러한 사균체 및 여액건조물은 소장 및 대장 등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균체 제조방법은 유산균 발효액을 균체포함액과 발효여액으로 분리한 후 각각 틴달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틴달화 방법은, 유산균 발효 후 회수된 균체포함액을 가압식 증기멸균기를 이용하여 70 ~ 130℃에서 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고, 또한 발효여액은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70 ~ 130℃에서 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게 된다.
(c) 균체포함액 및 발효여액 분리 단계
상기 단계(c)는 틴달화된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 과정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15,000RPM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원심분리 후 바닥에 가라앉은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상등액인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게 된다.
(d) 균체포함액 동결건조 단계
상기 단계(d)는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동결보호제로 코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동결보호제로는 트레할로즈, 말토덱스트린, 전분 및 탈지분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동결보호제는 균체포함액 총 중량에 대해 5 ~ 40중량%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수용액 상태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 과정은 -60 ~ -40℃에서 급속 동결한 후 20 ~ 60℃ 온도에서 24 ~ 96 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e) 발효여액 건조 단계
상기 단계(e)는 단계(c)에서 분리된 틴달화 발효여액을 유동층건조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의 유동층건조는 틴달화 발효여액을 흡착제에 분사시켜 여액을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제로는 대두분리단백, 탈지분유,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틴달화 발효여액 총 중량에 대해 10 ~ 50중량%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 과정은 틴달화 발효여액을 증발기(농축기)를 이용하여 2 ~ 10배 농축한 후 동결보호제 및 흡착제를 첨가한 후, -60 ~ -40℃에서 급속 동결한 후 20 ~ 60℃ 온도에서 24 ~ 96 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결보호제 및 흡착제는 농축된 틴달화 발효여액 총 중량에 대해 각각 5 ~ 40중량%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f)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의 혼합 단계
상기 단계(f)는 상기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d) 및 단계 (e)에서 수득되는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은 각각 분쇄한 후 혼합하여 최종적인 유산균 사균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인 유산균 사균체를 포함하는 제품은 적절한 희석제를 이용하여 유산균 사균체 농도가 1.0×109 ~ 1.0×1011 cfu/g가 되도록 조절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산균 농도에서 최적의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균질한 성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및 사료 등에 첨가시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 사균체의 농도는 조성물 내에서 1.0×109 ~ 1.0×1011 cfu/g가 되도록 하여 첨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정장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장용"이란 동물의 장내 세균총의 이상 발효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반증상을 치료 및 개선하는 용도를 말한다. 상기 증상으로는 예를 들어, 유해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 염증성 장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 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정제(tablet), 트로키(troche), 캡슐(capsule), 엘릭시르(elixir), 시럽(syrup), 산제(powder), 현탁제(suspension), 과립제(granule)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방법으로는 경구투여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투여 용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속도, 피투여자의 연령, 성별, 상태,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체당 유산균 사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0 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3회에 걸쳐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 사균체의 농도는 조성물 내에서 1.0×109 내지 1.0×1011 cfu/g가 되도록 하여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사균체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음료수, 차,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사균체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 사균체의 농도는 조성물 내에서 1.0×109 내지 1.0×1011 cfu/g가 되도록 하여 첨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기존 항생제의 대체용으로 사용되어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하며 장내 균총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가축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고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사일레지(silage)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유산균과 여러 가지 미생물 또는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유산균 사균체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발효사료 또는 배합사료를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는 균질한 성상을 가지며 증진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은 유산균 발효액이 틴달화 공정 전 또는 후에 균체포함액과 발효여액으로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사균체의 수를 인위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하여 균질한 성상의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은 유산균 발효 후 균체와 여액 분리 전, 열교환기를 이용한 간접 및 순간 틴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용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항균활성 및 정장작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의약품, 식품, 사료 및 화장품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유산규 사균체 제조에 대해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비교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유산균 발효액을 발효관과 같은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60 ~ 120℃에서 10 ~ 60분 동안 틴달화시킨 후 20℃ 이하로 급속 냉각하였다. 이처럼 유산균 발효액에 대한 틴달화 과정을 거친 후, 동결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유산균 사균체를 얻었다. 그 실험결과는 표 1 및 표 2와 같다.
하기의 표 1은 틴달온도 및 틴달시간에 따른 유산균의 생균수(cells/g) 잔류량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틴달온도(℃)/
틴달시간(min)
10분 30분 60분
60 1.7E+09 6.9E+07 7.0E+06
80 3.9E+06 8.1E+04 4.4E+03
100 7.9E+03 6.2E+02 8.3E+01
120 1.1E+02 Trace Trace
표 1에서 보듯이, 발효관과 같은 압력용기를 이용한 유산균체의 틴달은 틴달온도와 틴달시간에 따라 생균의 잔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생균의 잔류 정도만을 고려할 때 틴달온도는 120℃ 이상이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틴달전 유산균의 생균수는 8.6E+09이었다.)
하기의 표 2는 틴달온도 및 틴달시간에 따른 유산균의 사균체의 탁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틴달온도(℃)/
틴달시간(min)
10분 30분 60분
60 0.030 0.032 0.030
80 0.032 0.035 0.047
100 0.038 0.052 0.074
120 0.062 0.136 0.281
표 2에서 보듯이, 발효관과 같은 압력용기를 이용한 유산균체의 틴달은 틴달온도와 틴달시간에 따라 틴달후 사균체의 성상(탁도)이 좌우되는데, 틴달온도 100℃ 및 틴달시간 30분 이상에서는 탁도가 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탁도가 심하게 되면 제품화 및 판매가 어렵다. 틴달온도를 너무 높이면 성상과 항균활성의 소실로 세균성장 저지력이 감소할 것이고, 반대로 너무 낮게 하면 생균의 잔존비율이 상승할 것이다. 틴달시간 역시 마찬가지로 너무 길게 하면 탄화로 인해 사균체의 성상문제 및 세균성장저지력이 감소할 것이다.
(1) 제품 성상 : 제품을 0.1g/10 정제수로 용해하여 탁도를 측정하였다 (OD610nm, Spectrophotometer).
(2) 생균수는 틴달후 및 제품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cells/g)
[실시예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을 7,260RPM의 원심분리기로 발효여액과 균체포함액으로 분리를 행하였다. 분리된 발효여액은 압력용기(발효탱크)로 이송하여 9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다시 11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유동층 건조기 설비와 흡착제로서 대두분리 단백 및 탈지분유를 이용하여 2배로 농축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제조하였다.
균체포함액은 정제수로 1:2로 균일하게 혼합, 희석한 후 가압식 증기멸균기로 121℃에서 20분간 틴달하고 상온에서 동결보호제로서 트레할로즈 및 전분을 균체포함액 대비 20중량% 사용하여 코팅을 한 후 예비동결과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틴달화 여액건조물과 틴달화 사균체는 각각 분쇄과정, 혼합과정을 거쳤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을 9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다시 11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였다. 이후, 틴달화 발효여액은 유동층 건조기 설비와 흡착제로서 대두분리 단백 및 탈지분유를 이용하여 2배로 농축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틴달화 균체포함액은 상온에서 동결보호제로 트레할로즈 및 전분을 균체포함액 대비 20중량% 사용하여 코팅을 한 후 예비동결과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틴달화 여액건조물과 틴달화 사균체에 대해 각각 분쇄과정 및 혼합과정을 거쳐 공정을 마무리하였다.
[실시예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을 9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다시 110℃에서 10분간 틴달하고 40℃로 냉각한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였다. 이후, 분리된 틴달화 발효여액은 증발기(농축기)를 통하여 5배 농축하여 흡착제로서 대두분리 단백 및 탈지분유를 발효여액 대비 20중량% 사용하여 -40℃이하 동결고에서 48시간 동결, 동결건조기에서 96시간 동결건조 그리고 분쇄를 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틴달화 균체포함액은 상온에서 동결보호제로서 트레할로즈 및 전분을 균체포함액 대비 20중량% 사용하여 코팅을 한 후 예비동결과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틴달화 여액건조물과 틴달화 사균체에 대해 각각 분쇄과정 및 혼합과정을 거치고, 적절한 희석제를 가미하여 공정을 마무리하였다.
[실시예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을 이용하였다.
유산균 발효가 완료된 유산균 발효액을 열교환기시스템(UHT, α-Laval제)을 이용하여 125℃에서 30ℓ/min의 유량조건으로 틴달하고 40℃ 이하로 냉각하였다. 이후, 냉각이 완료된 유산균 발효액에 대해 원심분리기(SC-35, Separator, Westfalia제)를 이용하여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틴달화 발효여액은 유동층 건조기 내에 여액 대비 50중량%의 대두분리단백 및 탈지분유의 흡착제에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고, 분리된 틴달화 균체포함액은 동결보호제로서 트레할로즈 및 전분을 균체 포함액 대비 20중량% 사용하여 코팅을 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40℃에서 96시간 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틴달화 여액건조물과 틴달화 사균체를 각각 분쇄하여 드럼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 4에 대해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유산균 사균체를 대상으로 성상, 생균수(잔존율)를 측정하고, 세균성장저지력 시험을 통해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세균으로는 Salmonella paratyphi, Shigella genus, Escherichia genus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성장저지력 시험은 한국식품의약품 안전청이 발행한 의약품등 기준 및 시험방법 제2개정"에 따른 세균성장 저지력 시험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제품 성상 : 제품을 0.1g/10㎖ 정제수로 용해하여 탁도를 측정하였다 (OD610nm, Spectrophotometer).
(2) 생균수는 틴달후 및 제품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cells/g).
(3) 세균성장 저지력 측정시험
- 시험용균 및 시험용균액 : Salmonella paratyphi A를 시험용균으로 하고, 이 시험용균을 카제인펩톤(Tryptic Soy Agar)에서 37℃에서 18 ~ 24시간 배양한 다음 세균수(cells/g)을 측정한다.
- 검액 A의 조제 : 위의 틴달화 방법에 의해 제조한 틴달화 동결건조물을 각 각 약 1.7g을 정밀하게 달아 시험균부유용 액체배지 20㎖에 넣어 실온에서 5 ~ 10분간 교반한 다음 5,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 멸균한다.
- 검액 B의 조제 : 위의 틴달화 방법에 의해 제조한 틴달화 동결건조물을 각 각 약 2.4g을 정밀하게 달아 검액 A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다.
- 조작법 : 안지름 16mm, 길이 160mm의 멸균한 시험관 3개에 검액A, 검액B 및 대조용배지 5㎖를 각각 넣고 시험용용균액(Salmonella paratyphi) 0.1 ㎖씩을 정확하게 접종한다. 따로 2개의 시험관에 검액 A 및 검액 B 5㎖씩을 각각 넣어 공시험액으로 한다. 이 시험관을 37℃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공시험관을 대조로 균의 성장을 관찰한다.
- 판정 : 5 ~ 6시간 배양한 다음 검액 A 및 검액 B에서는 균이 성장하지 않고 대조용배지에서는 균의 성장이 관찰되어야 하며, 24시간 후 대조용 배지에서는 균의 성장이 왕성하고 검액 B에서는 균의 성장이 관찰되어서는 안된다.
그 실험 결과는 표 3과 같다.

틴달방법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실시예 1 0.096 >E+05 >E+05 1.21E+07 1.30E+07 5.70E+08 8.52E+07
실시예 2 0.130 5.82E+03 6.51E+04 1.20E+07 1.17E+07 2.50E+09 8.40E+07
실시예 3 0.147 1.28E+03 5.94E+04 1.19E+07 1.13E+07 8.19E+09 6.00E+08
실시예 4 0.031 Trace <E+02 1.12E+07 9.93E+06 5.82E+06 <E+06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제조된 실시예 4의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가 실시예 1 ~ 3의 유산균 사균체에 비해, 탁도가 낮아 성상이 균질하였으며, 생균수가 훨씬 적었고, 세균성장저지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실시예 1 ~ 3의 경우에도 비교예 1에 비해 성상이 균질하였으며, 세균성장저지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열교환기를 이용한 발효액의 틴달화는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의 온도, 실제 틴달이 일어나는 관(Holding Tube)내에서의 체류시간(유속), 냉각파트의 온도에 따라 틴달화의 품질이 좌우되고, 역가(세균성장 저지력) 또한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정 조건에 따른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의 성상, 생균수 및 세균성장저지력을 확인하였다.
<2-1> 열교환기 가열온도 140℃, 냉각온도 40℃일 때, 유속에 따른 성상 및 틴달후 유산균 생균수 실험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40℃로 하고, 냉각파트의 온도를 40℃로 한 경우, 유속에 따른 유산균 성상 및 틴달 후 생균수를 비교하였다.
유속(ℓ/min) 성상 틴달후 생균수
1 0.120 Trace
40 0.032 Trace
60 0.030 < E+02
120 0.028 > E+05
표 4에서 보듯이, 유속이 너무 낮으면 열교환기 내에 체류시간이 길어 과살균으로 성상이 불량하고, 너무 빠르면 체류시간이 짧아 틴달(살균)이 이루어 지지 않아 틴달후 생균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열교환기 유속 40ℓ/min, 냉각온도 40℃일 때, 가열온도에 따른 성상 및 틴달후 유산균 생균수 실험
관 내에서의 체류시간 즉, 유속을 40ℓ/min로 하고, 냉각파트의 온도를 40℃로 한 경우, 가열온도에 따른 유산균 성상 및 틴달 후 생균수를 비교하였다.
가열온도(℃) 성상 틴달후 생균수
50 0.027 > E+05
70 0.028 > E+05
140 0.031 Trace
170 0.058 Trace
표 5에서 보듯이, 열교환기 가열온도가 낮으면 틴달(살균)이 불량하여 틴달후 생균수가 높고, 가열온도가 너무 높으면 온도에 의해 일부 탄화가 발생하여 성상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열교환기 가열온도 140℃, 유속 40ℓ/min일 때, 냉각온도에 따른 성상 및 틴달후 유산균 생균수 실험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40℃로 하고, 유속을 40ℓ/min로 한 경우, 냉각파트의 온도에 따른 유산균 성상 및 틴달 후 생균수를 비교하였다.
냉각온도(℃) 성상 틴달후 생균수
10 0.031 Trace
40 0.030 Trace
60 0.030 Trace
80 0.032 <E+02
표 6에서 보듯이, 냉각온도의 경우, 60℃ 이하에서는 성상과 틴달 후 생균수에서 큰 유의차가 없는 바, 60℃ 이하 온도에서는 유틸리티의 소비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최적조건을 60℃ 이하 수준으로 결정하였다.
<2-4> 유속이 120ℓ/min일 때, 가열파트 온도에 따른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관내에서의 체류시간 즉, 유속을 120ℓ/min로 한 경우,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에 따른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7).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냉각파트의 온도는 40℃로 하였다.
가열파트온도
(℃)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60 0.028 >E+05 >E+05 1.33E+07 1.23E+07 5.70E+09 1.52E+09
90 0.030 4.7E+03 1.1E+04 2.01E+07 1.13E+07 1.77E+09 5.97E+08
150 0.034 <E+03 <E+03 1.57E+07 1.19E+07 1.08E+07 6.54E+06
<2-5> 유속이 30ℓ/min일 때, 가열파트 온도에 따른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관 내에서의 체류시간 즉, 유속을 30ℓ/min로 한 경우,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에 따른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8).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냉각 파트의 온도는 40℃로 하였다.
가열파트온도
(℃)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90 0.035 >E+03 >E+04 1.70E+07 9.80E+06 8.70E+08 2.22E+08
120 0.038 Trace <E+02 1.63E+07 1.17E+07 4.30E+07 1.07E+07
150 0.031 Trace <E+02 3.19E+07 1.43E+07 9.83E+06 <E+06
<2-6> 가열파트온도가 130℃일 때, 유속에 따른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30℃로 한 경우,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9).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냉각파트의 온도는 20℃로 하였다.
유속
(ℓ/min)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5 0.043 Trace Trace 2.04E+07 9.65E+06 <E+06 <E+06
50 0.034 Trace <E+02 1.72E+07 1.47E+07 9.73E+06 4.65E+06
100 0.032 <E+02 2.09E+02 9.89E+06 1.63E+07 3.30E+07 2.06E+07
<2-7> 가열파트온도가 150℃일 때, 유속에 따른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50℃로 한 경우,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10).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냉각파트의 온도는 40℃로 하였다.
유속
(ℓ/min)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5 0.032 Trace Trace 1.01E+07 1.66E+07 <E+05 <E+05
50 0.030 Trace <E+02 1.63E+07 9.88E+06 3.02E+06 <E+06
100 0.032 Trace <E+02 2.16E+07 1.69E+07 2.87E+07 4.26E+06
<2-8> 가열파트온도가 140℃, 유속 35ℓ/min 일 때, 냉각온도에 따른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25℃로 하고, 유속을 35ℓ/min로 한 경우,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11).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냉각온도
(℃)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20 0.036 Trace <E+02 1.44E+07 1.33E+07 <E+06 <E+06
40 0.033 Trace <E+02 1.78E+07 2.68E+07 <E+06 <E+06
50 0.035 Trace <E+02 1.47E+07 1.06E+07 1.53E+06 <E+06
<2-9> 가열파트온도가 130℃, 유속 35ℓ/min, 냉각온도 40℃일 때, 혼합 후 사균수에 따른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측정
열교환기의 열원을 공급받는 가열파트 온도를 130℃로 하고, 유속을 35ℓ/min, 냉각온도를 40℃로 각각 조정한 경우, 제품의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 저지력을 측정하였다(표 12). 각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혼합후 사균수
(cells/g)

성상
생균수 세균성장저지력
5시간 24시간
틴달후 제품내 A B A B
< 5.0E+09 0.032 Trace <E+02 1.34E+07 1.39E+07 3.78E+07 3.09E+07
3.0E+10 0.032 Trace <E+02 1.77E+07 1.88E+07 1.03E+06 <E+06
> 1.0E+11 0.033 Trace <E+02 1.64E+07 1.22E+07 1.19E+06 <E+06

Claims (17)

  1.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시킨 후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으로 분리한 후, 틴달화 균체포함액에 대해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고, 틴달화 발효여액에 대해 유동층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틴달화 사균체와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발효액의 틴달화 과정은, 유산균 발효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70 ~ 160℃에서 간접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시켜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은 동결건조 전에 트레할로즈, 말토덱스트린, 전분 및 탈지분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결보호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사균체는 1.0×109 내지 1.0×1011 cfu/g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의 유동층건조는, 틴달화 발효여액을 대두분리단백, 탈지분유,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흡착제에 분사시켜 틴달화 발효여액을 건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7. 유산균 발효액을 발효여액과 균체포함액으로 분리한 후 각각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발효여액과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형성하고,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에 대해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고, 틴달화 발효여액에 대해 유동층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틴달화 사균체와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여액은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70 ~ 130℃에서 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고, 상기 균체포함액은 가압식 증기멸균기를 이용하여 70 ~ 130℃에서 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하여 틴달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9.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시키는 단계;
    상기 틴달화된 유산균 발효액을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을 유동층건조하거나 또는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항균용 사균체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발효액의 틴달화 과정은, 유산균 발효액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70 ~ 160℃에서 간접가열한 후, 10 ~ 60℃로 급속냉각시켜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이용한 간접가열 과정에서 유산균 발효액은 1 ~ 200ℓ/min 유속으로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
  12. 제9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발효 과정은 당류, 효모추출물, 소이펩톤 및 이온성분을 첨가한 후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
  13. 제9에 있어서,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과 틴달화 발효여액의 동결건조는, -60 ~ -40℃에서 급속 동결한 후 20 ~ 60℃ 온도에서 24 ~ 96 시간 동안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제조방법.
  14. 유산균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유산균 발효액을 균체포함액과 발효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균체포함액을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효여액을 틴달화시켜서 틴달화 발효여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균체포함액을 동결건조하여 틴달화 사균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달화 발효여액을 유동층건조하여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틴달화 사균체 및 틴달화 여액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항균용 사균체 제조방법.
  15. 제1항의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의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17. 제1항의 유산균 사균체를 함유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
KR1020110110381A 2010-11-04 2011-10-27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1838184.7T DK2647694T3 (en) 2010-11-04 2011-10-27 BIOMASS OF DEATH LACTOBACILLUS FOR ANTIMICROBIAL USE AND PROCEDURE FOR PREPARING THEREOF
CN201180004722.9A CN102725397B (zh) 2010-11-04 2011-10-27 用于抗菌的死乳酸菌菌体及其制备方法
EP11838184.7A EP2647694B1 (en) 2010-11-04 2011-10-27 Dead lactobacillus biomass for antimicrobial us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ES11838184.7T ES2663794T3 (es) 2010-11-04 2011-10-27 Biomasa muerta de lactobacilos para uso antimicrobiano y su método de producción
PCT/KR2011/008090 WO2012060579A2 (ko) 2010-11-04 2011-10-27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71 2010-11-04
KR20100108971 2010-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92A true KR20120047792A (ko) 2012-05-14
KR101369219B1 KR101369219B1 (ko) 2014-03-03

Family

ID=4626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381A KR101369219B1 (ko) 2010-11-04 2011-10-27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47694B1 (ko)
KR (1) KR101369219B1 (ko)
CN (1) CN102725397B (ko)
DK (1) DK2647694T3 (ko)
ES (1) ES2663794T3 (ko)
WO (1) WO2012060579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712B1 (ko) * 2012-06-21 2014-07-31 일동제약주식회사 틴달화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사균체 조제방법
WO2016047907A1 (ko) * 2014-09-23 2016-03-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130126A (ko) * 2015-05-01 2016-11-10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아이디-씨비티5101(id-cbt5101) 및 이의 용도
WO2017048098A1 (ko) * 2015-09-14 2017-03-23 일동제약(주) 기능성 수화 히알루론산 및 이를 이용한 장 점막부착능이 우수하고 선택적 길항작용을 하는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WO2018030730A1 (ko) * 2016-08-09 2018-02-15 씨제이제일제당(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KR20180034086A (ko) *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20180034085A (ko) *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WO201810161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막 필터를 이용한 고농도 사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균
KR102381353B1 (ko) * 2021-05-31 2022-04-04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및 면역증진 활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WiKim0124 및 이의 용도
KR20220143231A (ko) * 2021-04-15 2022-10-25 (주) 바이텍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KR102507470B1 (ko) * 2022-09-28 2023-03-10 (주)콤비메드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744B1 (ko) 2014-05-07 2016-07-19 일동제약주식회사 고분자 다당 바인더에 컨쥬게이트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ht-3201, 및 이의 아토피 예방 및 치료 용도
US9144616B1 (en) 2014-09-16 2015-09-29 Green Products Company Sanitized animal bedding material and process
CN105192340A (zh) * 2014-11-20 2015-12-30 袁清珠 高附加值牛肉培育方法
US10264808B2 (en) * 2015-12-29 2019-04-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Use of phyllosphere associated lactic acid bacteria as biocontrol agents to reduce bacterial growth on fresh produce
CN107802654A (zh) * 2016-09-08 2018-03-16 山东农业大学 灭活乳酸菌在防治牛细菌性疾病药物中的应用
CN107802651A (zh) * 2016-09-08 2018-03-16 潍坊华英生物科技有限公司 灭活乳酸菌在防治病毒性疾病药物中的应用
CN107802652B (zh) * 2016-09-08 2020-08-25 潍坊华英生物科技有限公司 灭活乳酸菌在防治细菌性疾病药物中的应用
CN107348105B (zh) * 2017-08-04 2020-04-03 广东金洋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笋壳鱼浮性膨化配合饲料
CN108264377A (zh) * 2018-03-12 2018-07-10 江苏新亿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禽畜粪便堆肥专用促腐剂的制备方法
CN112841409B (zh) * 2021-01-19 2023-06-23 山东泰山生力源集团股份有限公司 半固定化益生菌湿热淬灭生产后生元的方法
IT202100016055A1 (it) * 2021-06-18 2022-12-18 Univ Degli Studi Di Camerino Composizione comprendente estratto secco di contenuto intestinale di polli adulti liofilizzato, relativo uso come integratore alimentare e relativo uso per stimolare il sistema immunitario
KR102629608B1 (ko) * 2021-09-27 2024-02-01 주식회사 일위 메추리알에서 분리한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045397A (ko) * 2021-09-28 2023-04-04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추리알에서 분리한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3838A (zh) * 2000-04-26 2000-11-22 济南三株药业有限公司 含有死的益生菌共生发酵培养物的营养组合物
KR20030021298A (ko) * 2001-09-05 2003-03-15 최형규 동물용 면역증진 및 정장용 조성물
EP1308506A1 (en) * 2001-11-06 2003-05-07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Mixtures of Propionibacterium jensenii and Lactobacillus sp.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use as a natural preservation system
KR20040084167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 억제능을 가지며, 식품보존력이 뛰어난 식품보존용 조성물
WO2005087241A1 (ja) * 2004-03-16 2005-09-22 Combi Co. 家畜・家禽類又は魚介類の感染防除剤
KR100578395B1 (ko) 2005-11-11 2006-05-10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면역기능이 강화된 사균화 유산균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454439B (zh) * 2006-05-31 2011-01-26 明治乳业株式会社 免疫调节活性高的乳酸菌的培养法
KR20100037309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비티엠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712B1 (ko) * 2012-06-21 2014-07-31 일동제약주식회사 틴달화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사균체 조제방법
WO2016047907A1 (ko) * 2014-09-23 2016-03-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035219A (ko) * 2014-09-23 2016-03-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130126A (ko) * 2015-05-01 2016-11-10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아이디-씨비티5101(id-cbt5101) 및 이의 용도
WO2016178493A1 (ko) * 2015-05-01 2016-11-10 일동제약 주식회사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및 이의 용도
WO2017048098A1 (ko) * 2015-09-14 2017-03-23 일동제약(주) 기능성 수화 히알루론산 및 이를 이용한 장 점막부착능이 우수하고 선택적 길항작용을 하는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US10894086B2 (en) 2015-09-14 2021-01-19 Ildong Pharmaceutical Co., Ltd. Functional hydrated hyaluron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lactic acid bacteria having excellent intestinal mucoadhesive ability and selective antagonistic action using same
CN109563473A (zh) * 2016-08-09 2019-04-02 Cj第制糖株式会社 唾液乳杆菌cjls1511,含该菌或死细胞的动物饲料添加组合物及生产死细胞的方法
EP3498820A4 (en) * 2016-08-09 2020-01-22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OO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OR DEAD CELLS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DEAD CELLS
AU2017309095B2 (en) * 2016-08-09 2020-10-01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WO2018030730A1 (ko) * 2016-08-09 2018-02-15 씨제이제일제당(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US11382940B2 (en) 2016-08-09 2022-07-12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KR20180034085A (ko) *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20180034086A (ko) *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WO201810161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막 필터를 이용한 고농도 사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균
US11685896B2 (en) 2016-11-30 2023-06-27 Lactomason 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ly concentrated killed bacteria using membrane filter and killed bacteria prepared thereby
KR20220143231A (ko) * 2021-04-15 2022-10-25 (주) 바이텍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KR102381353B1 (ko) * 2021-05-31 2022-04-04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및 면역증진 활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WiKim0124 및 이의 용도
KR102507470B1 (ko) * 2022-09-28 2023-03-10 (주)콤비메드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71736A1 (ko) * 2022-09-28 2024-04-04 (주)콤비메드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25397B (zh) 2014-07-02
ES2663794T3 (es) 2018-04-17
DK2647694T3 (en) 2018-03-12
KR101369219B1 (ko) 2014-03-03
EP2647694B1 (en) 2017-12-27
WO2012060579A2 (ko) 2012-05-10
EP2647694A4 (en) 2014-05-07
EP2647694A2 (en) 2013-10-09
WO2012060579A3 (ko) 2012-08-02
CN102725397A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219B1 (ko)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CA2580949C (en) Metabolically active micro organism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CN101486986A (zh) 一种嗜酸乳杆菌冻干菌粉的制备方法
KR102048690B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CN102318806A (zh) 一种益生菌发酵南瓜、胡萝卜蔬菜粉的制备方法
KR101000364B1 (ko) 생존율 증강용 이중 코팅 방법
KR20160051902A (ko)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5802876B (zh) 一种复合益生菌发酵苜蓿嫩芽粉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25712B1 (ko) 틴달화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사균체 조제방법
JP5502449B2 (ja) 腸内フローラバランス改善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1893B1 (ko) 전통발효식품 유래의 프로바이오틱스활성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의 고농도 제조 방법
KR102004204B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98779A (ja) 乳酸菌培養により得られる抗アレルギー剤
KR101905322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JP6846694B2 (ja) 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剤若しくは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用食品組成物若しくは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用飼料組成物
KR20240001770A (ko) β-갈락토시다제 분비능 및 담즙산염 분해 활성을 가지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보유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 1016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30062277A (ko)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미츠오켈라 멀타시다 및 이의 용도
JP2011057563A (ja) 溶菌剤
KR20200090011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t-02에 의한 항균활성 생물전환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