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56770A1 -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56770A1
WO2016056770A1 PCT/KR2015/009857 KR2015009857W WO2016056770A1 WO 2016056770 A1 WO2016056770 A1 WO 2016056770A1 KR 2015009857 W KR2015009857 W KR 2015009857W WO 2016056770 A1 WO2016056770 A1 WO 20160567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ain
flange
lower flange
backflow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8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진철
신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요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855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6056770(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요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요업
Publication of WO20160567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567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 tile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and more particularly, an upper flange having a drain groove on a surface of the body of the roof tile and a drainage path through which rainwater is drained,
  •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rainwater discharged by the lower flange 20 is discharged back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upper flange 30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rainwater flows backwar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leaking into the frame.
  • Patent Document 000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00423 (2004. 01. 07) in Japan
  • the drainage groove formed by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flange of the body, and a drainage passag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and opened downward to drain rainwater is formed.
  • the projection is caught on the crossbar, and is fixed to the crossbar by the nail,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falling down due to gravit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upported on the crosspiece of the fram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f tile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4.
  • the passage area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w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의 바디 표면에 배수홈을 갖는 상부 플랜지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돌기와, 빗방울(S)이 역류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이면과, 보조돌기부를 갖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표면 상부 플랜지에는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하여 부착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 되도록 이면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와, 배수면과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띠 모양의 보조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플랜지는 이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되, 바디의 상부 플랜지에서 하부 플랜지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양측으로의 표면적도 최대한 넓게 구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골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본 발명은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의 바디 표면에 배수홈을 갖는 상부 플랜지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돌기와, 빗방울(S)이 역류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이면과, 보조돌기부를 갖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표면 상부 플랜지에는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하여 부착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 되도록 이면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와 밀착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홈에 연결되도록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배수면이 형성되면서 성에는 안내돌기를 따라 이면의 중앙으로 흐르게 구성되며, 상기 배수면과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띠 모양의 보조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플랜지는 이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면에 유입되는 성에는 돌출된 보조돌기에 의해 측면으로 흐르게 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에 떨어지도록 유도하고, 배수로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되, 바디의 상부 플랜지에서 하부 플랜지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표면적도 최대한 넓게 구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골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는 점토를 반죽하여 이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건조시키고, 소성로에서 구워 제조되며 건축물의 지붕재로 사용되고 있고 그 종류는 형태와 사용위치에 따라 처마기와, 평기와, 기와등, 마루장, 용두, 암막새, 수막새등 다양한 형태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기와는 건물의 상부에 가로대와 세로대가 격자 모양으로 시공된, 목재의 골조에 상하방으로 겹쳐서 올려서 시공하고 있다.
다음, 측방으로 인접하는 기와 사이를 부와라는 기와로 덮어서 마감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와(1)를 살펴보면, 사각판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방이 올라간 라운드 모양의 바디(10)가 형성되는데, 단면을 보면 하방으로 오목한 호(ARC)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하부 종단의 이면에는 하부 플랜지(20)가 돌출되어 배출되는 빗물이 바디(10)의 이면을 따라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 표면(15)의 상부에는 상부 플랜지(30)가 돌출되어 빗물이 역류하여 골조로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10)의 좌우 측방에는 빗물이 측방으로 누수 되지 않도록 측방 플랜지(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기와(1)를 골조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골조(F)에 있어서 맨 하방의 가로대(T)에 처음 기와(1)를 올리고 그 위에 두 번째 기와(1)를 올리게 되며, 이때 하부 플랜지(20)가 처음 기와(1)의 상부 플랜지(30) 하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런 방식을 통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기와(1)를 올리면서 중첩되게 시공을 하게 된다.
한편, 이와 형성되는 종래의 기와(1)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2에서와 같이 강우 시, 상기 바디(10)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린 빗물울은 하부 종단을 따라 하부 플랜지(20)의 하단에 맺히게 된다.
이때, 바람이 역방향으로 불게 되면 빗방울은 하방에 배치된 기와(1)의 상부 플랜지(30)를 넘어서 골조(F) 위에 떨어지므로 누수가 발생하고 골조(F)가 부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현상은 역방향으로 바람이 몰아칠 때 발생하게 되며 상하부에 기와(1)가 중첩된 상태에서도 상부에 배치된 기와(1)의 하부 플랜지(20)와 하부에 배치된 기와(1)의 표면(15)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므로 충분히 바람이 통과하게 되어 빗방울도 역류할 수 있다.
둘째,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단순히 기와(1)가 골조(F)에 얹어지는 시공 구조로 인해서 상기 기와(1)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도 3에서와 같이 기와(1)가 골조(F)의 가로대(T)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면(13)이 라운드면이므로 가로대(T)에 밀착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기와(1)를 밟고 작업시 기와(1)가 움직이면서 지상으로 떨어져서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동기(冬期)에 기와(1)의 이면(13)에 발생하는 성에가 상기 이면(13)을 따라 내려오다가 골조(F) 위로 떨어져서 골조(F)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 디자인 등록 제30-0564165호(2010. 06. 09)
(특허문헌 000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007675(2004. 10. 28)
(특허문헌 0003)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00423호(2004. 01. 07)
(특허문헌 0004)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3-095516호(1978. 08. 03)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면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기(冬期)에 기와의 이면에 발생하는 성에가 기와의 이면을 따라 내려오다가 골조 위로 떨어져서 골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와는 바디 표면에 배수홈을 갖는 상부 플랜지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돌기와, 빗방울(S)이 역류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이면과, 보조돌기부를 갖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표면 상부 플랜지에는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하여 부착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 되도록 이면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와 밀착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홈에 연결되도록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배수면이 형성되면서 성에는 안내돌기를 따라 이면의 중앙으로 흐르게 구성되며, 상기 배수면과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띠 모양의 보조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플랜지는 이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면에 유입되는 성에는 돌출된 보조돌기에 의해 측면으로 흐르게 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에 떨어지도록 유도하고, 배수로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되, 바디의 상부 플랜지에서 하부 플랜지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양측으로의 표면적도 최대한 넓게 구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골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배수로는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폭이 좁은 출구 부분에서 배수 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출구를 통해서 배수되는 빗물의 배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하부에 위치한 바디의 배수로까지 빗물을 충분히 내보내게 되는 구조라 빗물이 하부 플랜지에 맺혀 있다가 역방향으로 바디의 이면을 타고 역류하는 현상을 배경 기술에 비해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하부 플랜지의 이면이 상방을 향해 상향하도록 경사진 상태이므로 역류하기 어렵고 이러한 하부 플랜지를 극복하고 역류하는 빗방울이 있다면 상기 보조돌기에 의해서 다시 한번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가로대에 걸림돌기가 걸리게 되고, 못에 의해서 가로대에 고정되므로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부착면에 의해서 가로대에 접촉하는 면이 배경기술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작업 시, 작업자가 밟았을 때 바디가 회동하여 지상으로 떨어져서 낙상하는 현상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고, 가로대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특징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안내돌기와 배수면에 의해서 성에가 하부에 위치한 바디를 관통하는 못과 못구멍으로 떨어져서 못을 부식시키고 가로대를 썩게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 성에나 빗물이 유입된 경우, 배수홈을 통해서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와가 골조의 가로대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와를 골조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을 K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가 골조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F-F'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0. 기와 110. 바디
111. 표면 113. 이면
115. 하부 플랜지 117. 이면
119. 상부 플랜지 121. 배수홈
122. 상단 플랜지 123. 측단 플랜지
124. 밀착홈 125. 배수로
126. 출구 127. 못구멍
128. 못 129. 걸림돌기
131. 부착면 133. 안내돌기
135. 배수면 137. 보조돌기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도 6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가 골조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F-F'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 9과 같이 본 발명의 기와(1)는 건물의 상부에 가로대(T)와 세로대(V)가 격자 모양으로 시공된 목재의 골조(F)에 상,하방으로 겹치게 올린 후에 측방으로 인접하는 기와(10) 사이를 부와(2)를 덮어서 마감하게 된다.
골조(F)에 겹치게 올리는 상기 기와(1)는 사각판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 측방이 올라간 라운드 모양의 바디(110)가 구성되는데, 단면을 봤을 때 호(arc)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 표면(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돌출된 상부 플랜지(1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상측 및 좌,우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단 플랜지(122) 및 측단 플랜지(123)가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110)의 이면(113)에서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방과 하방으로 개방되어 다른 기와(1)의 상부 플랜지(119)에 올려지는 밀착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홈(124)의 하부 종단에 돌출된 띠 형상의 하부 플랜지(115)가 형성된다.
한편, 바디(110)의 이면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하여 부착면(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 되도록 이면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1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33)와 밀착홈(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홈(124)에 연결되도록 이면(113)에 평평하게 형성된 배수면(135)이 형성되면서 성에는 안내돌기(133)를 따라 이면(117)의 중앙으로 흐르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면(135)과 하부 플랜지(115) 사이에 배치된 띠 모양의 보조돌기(137)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플랜지(115)는 이면(117)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면(135)에 유입되는 성에는 돌출된 보조돌기(137)에 의해 측면으로 흐르게 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110)에 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배수로(125)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며, 바디(110)의 상부 플랜지(119)에서 하부 플랜지(115)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는 구조이면서 더불어 양측으로의 표면적도 최대한 넓게 구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표면(111)에서 상부 플랜지(119)의 하부에 배치되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어지는 홈 형상의 배수로(125)가 구성되어 빗물의 배수 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플랜지(119)와 상단 플랜지(122) 사이에 배치되어 바디(110)에 관통된 못구멍(127)이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바디(110)의 이면(113)에서 못구멍(127)이 형성되며, 도 5와 같이 바디(110)의 이면(113)에서 못구멍(127)의 상부에 배치되어 골조(F)의 가로대(T)에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9)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면(113)에 형성된 못구멍(127)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가로대(T)에 밀착되는 부착면(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걸림돌기(129)에 의해서 바디(110)가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하강하는 현상이 일차적으로 방지되고 상기 못구멍(127)에 못(128)을 넣어서 가로대(T)에 박으므로 2차적으로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바디(110)의 이면(113)에 형성되는 성에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해서 도 5에서와 같이 부착면(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면(113)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133)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안내돌기(133)는 하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양측의 대응하는 안내돌기(133)는 상호 V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안내돌기(133)와 상기 밀착홈(124) 사이에 배치되고 밀착홈(124)에 연결되도록 상기 이면(113)에 평평하게 형성된 형상의 배수면(135)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면(135)과 하부 플랜지(115) 사이에 배치된 띠 모양의 보조돌기(137)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돌기(137)와 하부 플랜지(115)의 길이는 상대 측 바디(110)의 측단 플랜지(123)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빗망울(S)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플랜지(115)는 이면(117)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119)의 상부에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부 플랜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홈(121)이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홈(121)은 바디(110)의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배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하단폭(V2)이 상단폭(V1)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하단으로 배수되는 물이 하방에 배치된 기와(100)의 중앙부에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기와(100)의 사이로 배수되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시공례 및 배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 도 9와 같이 세로대(V)가 시공되고 상기 세로대(V)의 표면에 가로대(T)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가로대(T)에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100)의 걸림돌기(129)가 걸리도록 한다.
이때, 바디(110)가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목구멍(127)으로 못(128)을 넣어서 용이하게 가로대(T)에 박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부에도 가로대(T)가 지지됨은 물론이다.
또한, 부착면(131)에 의해서 가로대(T)에 접촉하는 면이 배경기술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작업 시, 작업자가 밟았을 때 바디(110)가 회동하여 지상으로 떨어져서 낙상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고, 가로대(T)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로대(T)에 고정된 바디(110)에 다른 바디(110)를 겹치게 되는데 상기 다른 바디(110)의 하부 플랜지(115)와 보조돌기(137)가 하방에 위치하는 바디(110)의 상부 플랜지(119)와 배수로(125)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하부 플랜지(115)는 보조돌기(137)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바디(110)의 표면(111)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밀착홈(124)에 다른 바디(110)의 상단 플랜지(122)와 측단 플랜지(123)가 수용되므로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110)의 하부가 들어 올려져서 빗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부에서 중첩되는 바디(110)의 걸림돌기(129)는 가로대(T)에 걸리게 됨과 함께 상방에 위치하는 바디(110)의 못구멍(127)을 통해서도 못(128)을 박아서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110)를 가로대(T)에 고정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방으로 본 발명을 중첩시켜 나가게 된다.
이러한 시공을 측방으로 나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좌우 측방으로 바디(11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측방으로 대응하는 바디(110)의 상부에 부와(2)를 도 9와 같이 덮어서 마무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110)가 걸림돌기(129)에 의해서 가로대(T)에 지지되고 못(128)에 의해서 가로대(T)에 고정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시공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도 7 및 도 8, 도 9와 같이 바디(110)가 만곡된 형상이고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바디(110)의 표면(111)에 떨어진 빗물은 배수로(125)에 모이게 되고 배수로(125)에 떨어진 빗물과 함께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로(125)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며, 바디(110)의 상부 플랜지(119)에서 하부 플랜지(115)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양측으로의 표면적도 최대한 넓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출구(126)의 압력은 폭이 넓은 상부보다 낮기 때문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어 상하 폭의 차이가 없을 때보다 더욱 빠르게 빗물이 흘러내리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출구(126)를 통해서 배수되는 빗물의 배수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하부에 위치한 바디(110)의 배수로(125)까지 빗물을 충분히 내보내게 된다.
여기서, 배수로(125) 상부의 폭보다 출구(126)의 폭이 좁기 때문에 유로 면적이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 된다.
이를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서 동일시간에 각 유로 면적을 통과하는 유량 속도는 동일하다.
즉, S1 V1 = S2 V2 (S1, S2 ; 배수로의 각 지점의 면적, V1 V2; 배수로의 각 지점의 면적)이기 때문에 상기 출구(126)를 통해서 배수되는 빗물의 속도가 증가되어 빗물의 배수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하부에 위치한 바디(110)의 배수로(125)까지 충분히 내보내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 상부 플랜지(115)에 맺혀 있다가 역방향으로 바디(110)의 이면(113)을 타고 역류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강우가 멈추었을 때, 도 6과 같이 빗방울(S)이 하부 플랜지(115)에 맺혀 있는 상태에서 외부에서 바람이 몰아치면 바디(110)의 이면(113)을 따라 역류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부 플랜지(115)의 이면(117)이 상방을 향해 상향하도록 경사진 상태이므로 역류하기 어렵게 되며, 만약 상기 이면(117)이 바디(110)의 이면(113)과 평행하다면 보다 쉽게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 플랜지(115)를 극복하고 역류하는 빗방울이 있다면 상기 보조돌기(137)에 의해서 다시 한번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동기(冬期)에는 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외기에 의해 차가와진 바디(110)의 이면(113)에 닿게 되면 성에가 되고 이것은 도 5와 같이 안내돌기(133)를 따라 이면(113)의 중앙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이면(113)을 따라 배수면(135)으로 유입된 후 상기 못구멍(127)을 지나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110)에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때, 홈 형상의 배수면(135)과 하방에 배치된 바디(110)의 상단 플랜지(12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므로 성에가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떨어지는 성에는 도 4와 같이 상부 플랜지(119)에 형성된 배수홈(121)을 통해서 배수로(125)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만약 안내돌기(133)와 배수면(135)이 없다면 상기 밀착홈(124)의 상단(K)에 성에가 맺힌 후, 하방으로 떨어질 경우 못(128)이 빨리 부식하게 되고 못(128)과 못구멍(127) 사이로 누수되어 하방에 지지하는 가로대(T)를 썩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바디(110)의 표면(111)에는 배수홈(121)을 갖는 상부 플랜지(119)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125)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이면(113)에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돌기(133)와, 빗방울(S)이 역류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이면(117)과, 보조돌기부(137)를 갖는 하부 플랜지(115)가 형성되는 기와(100)를 구성하되,
    상기 바디(110)의 표면(111) 상부 플랜지(119)에는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홈(12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119)의 하부에 배치되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배수로(125)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이면(113)에 맺히는 성에를 배출하기 위하여 부착면(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대향 되도록 이면(113)에 돌출된 띠 형상의 것으로서 좌,우측의 것이 V형이 되도록 기울어진 안내돌기(133)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133)와 밀착홈(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홈(124)에 연결되도록 이면(113)에 평평하게 형성된 배수면(135)이 형성된 후,
    성에는 상기 안내돌기(133)를 따라 이면(113) 중앙과 배수면(135)으로 유입됨과 함께 못구멍(127)을 지나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110)에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15)의 이면(117)이 상방을 향해 상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여 바람이 몰아치는 경우에도 빗방울(S)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115)를 극복하고 역류하는 빗방울(S)은 보조돌기부(137)에 의해 다시 한번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33)와 밀착홈(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홈(124)에 연결되도록 이면(113)에 평평하게 형성된 배수면(135)이 형성되면서 성에는 안내돌기(133)를 따라 이면(117)의 중앙으로 흐르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면(135)과 하부 플랜지(115) 사이에는 띠 모양의 보조돌기(137)가 배치됨과 함께 하부 플랜지(115)는 이면(117)이 상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면(135)에 유입되는 성에는 돌출된 보조돌기(137)에 의해 측면으로 흐르게 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바디(110)에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25)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되, 바디(110)의 상부 플랜지(119)에서 하부 플랜지(115)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배수거리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양측으로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PCT/KR2015/009857 2014-10-07 2015-09-21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WO201605677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5316 2014-10-07
KR10-2014-0135316 2014-10-07
KR10-2015-0057671 2015-04-24
KR1020150057671A KR101542541B1 (ko) 2014-10-07 2015-04-24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770A1 true WO2016056770A1 (ko) 2016-04-14

Family

ID=5388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857 WO2016056770A1 (ko) 2014-10-07 2015-09-21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78214B2 (ko)
KR (1) KR101542541B1 (ko)
CN (1) CN105484431B (ko)
TW (1) TWI563151B (ko)
WO (1) WO20160567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8873A (zh) * 2017-12-28 2018-05-04 江苏省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抗倾倒促排水的路缘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1030B2 (en) 2010-02-05 2018-09-11 Phosphagenics Limited Carrier comprising non-neutralised tocopheryl phosphate
EP2685992A4 (en) 2011-03-15 2014-09-10 Phosphagenics Ltd AMINO-QUINOLINES AS KINASE INHIBITORS
US10973761B2 (en) 2015-12-09 2021-04-13 Phosphagenics Limi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KR102647670B1 (ko) 2016-12-21 2024-03-15 아베초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방법
KR101770965B1 (ko) 2017-03-31 2017-08-24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설계를 적용한 한식 이단암기와
KR102333265B1 (ko) 2020-01-15 2021-11-30 박진철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KR102186524B1 (ko) * 2020-05-04 2020-12-03 (주)산청토기와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KR102185075B1 (ko) * 2020-05-04 2020-12-01 (주)산청토기와 겹침조립 용이성이 증대된 건식 및 습식 시공용 이형 암기와
KR20220112022A (ko) 2021-02-03 2022-08-10 박진철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KR20220112024A (ko) 2021-02-03 2022-08-10 박진철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에 기여하는 기능성 여와
KR102373227B1 (ko) * 2021-08-18 2022-03-11 대한민국 메쉬 형태의 기와 고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와 지붕
KR102416068B1 (ko) 2021-08-27 2022-07-05 주식회사 동양기와 시공 효율성이 우수한 기능성 그을림한식 이단기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39U (ja) * 1991-08-19 1993-03-02 有限会社鈴木利一鉄工所 瓦平板部表面に多目的勾配凹を備えた平瓦
JPH0893174A (ja) * 1994-09-26 1996-04-09 Chiyuuo:Kk 建築用板材
JPH1136521A (ja) * 1997-07-15 1999-02-09 Maruei Togyo Kk 平板瓦
JP2001164705A (ja) * 1999-12-10 2001-06-19 Yamahei:Kk 平板瓦
JP2001214575A (ja) * 2000-02-01 2001-08-10 Kinki Ceramics Kk 屋根瓦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650A (ja) * 1988-07-29 1990-02-08 Sanshu:Kk 屋根瓦
JP3100423B2 (ja) * 1991-07-05 2000-10-16 富士通株式会社 ローラ転写装置
JP2001090259A (ja) * 1999-09-22 2001-04-03 Kamiya Gihachi:Kk 平板瓦
JP2001288853A (ja) * 2000-04-07 2001-10-19 Mtr Business Corporation:Kk 屋根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屋根材の施工方法
JP2001295413A (ja) 2000-04-13 2001-10-26 Shibao:Kk 桟 瓦
PL209137B1 (pl) * 2001-05-21 2011-07-29 Pfleiderer Dachziegel Gmbh Dachówka ceramiczna albo cementowa i połać dachowa składająca się z takich dachówek
ATE303481T1 (de) * 2001-12-27 2005-09-15 Gambale Srl Gebogener ziegel
KR200438308Y1 (ko) * 2007-08-20 2008-02-11 김관선 기와형 금속지붕 패널
CN101725218A (zh) * 2008-10-31 2010-06-09 汪卫东 绿化降温屋瓦
CN103850398A (zh) * 2012-12-05 2014-06-11 上海勤川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能收集雨或雪水的屋面瓦或外墙挂板
CN103899046A (zh) * 2014-03-26 2014-07-02 桐庐庐美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彩石金属瓦及其制作工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39U (ja) * 1991-08-19 1993-03-02 有限会社鈴木利一鉄工所 瓦平板部表面に多目的勾配凹を備えた平瓦
JPH0893174A (ja) * 1994-09-26 1996-04-09 Chiyuuo:Kk 建築用板材
JPH1136521A (ja) * 1997-07-15 1999-02-09 Maruei Togyo Kk 平板瓦
JP2001164705A (ja) * 1999-12-10 2001-06-19 Yamahei:Kk 平板瓦
JP2001214575A (ja) * 2000-02-01 2001-08-10 Kinki Ceramics Kk 屋根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8873A (zh) * 2017-12-28 2018-05-04 江苏省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抗倾倒促排水的路缘石
CN107988873B (zh) * 2017-12-28 2024-01-30 江苏省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抗倾倒促排水的路缘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5140A (ja) 2016-05-12
CN105484431A (zh) 2016-04-13
JP6078214B2 (ja) 2017-02-08
KR101542541B1 (ko) 2015-08-06
TWI563151B (en) 2016-12-21
TW201638443A (zh) 2016-11-01
CN105484431B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56770A1 (ko)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WO2018030571A1 (ko) 블록 설치용 파레트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CN213015043U (zh) 一种建筑用防水檐结构
JP4024928B2 (ja) 屋根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H024181Y2 (ko)
CN111058467B (zh) 一种地下室背水面防水排水结构及施工方法
CN210315965U (zh) 具有排水功能的阳台结构
CN211007352U (zh) 一种建筑设计屋面檐口处的防水引流构造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CN211817657U (zh) 卫生间防渗水结构
CN109812207A (zh) 门窗排水结构
CN218405849U (zh) 一种外立面门槛防水结构
CN215254028U (zh) 具有西班牙瓦片及檐口泄水装置的建筑结构
KR0135700B1 (ko) 옥상난간방수층 보호구조
CN216714265U (zh) 一种带有下沉式排水沟槽的外平开门
CN213137207U (zh) 一种防地面积水的试件养护室
CN219491520U (zh) 建筑屋面变形缝防渗漏结构
CN217630903U (zh) 一种建筑设计屋面檐口防水结构
CN218149500U (zh) 一种防水的预制混凝土烟风帽
KR20130001581A (ko) 건축구조물의 옥상 방수구조
CN212715398U (zh) 一种新型tod上盖板伸缩缝的防渗漏结构
JP365079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及び打ち込み型枠材
KR200279160Y1 (ko)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SU1011840A2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82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82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