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65B1 -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 Google Patents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65B1
KR102333265B1 KR1020200005629A KR20200005629A KR102333265B1 KR 102333265 B1 KR102333265 B1 KR 102333265B1 KR 1020200005629 A KR1020200005629 A KR 1020200005629A KR 20200005629 A KR20200005629 A KR 20200005629A KR 102333265 B1 KR102333265 B1 KR 10233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s
effective area
hand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088A (ko
Inventor
박진철
Original Assignee
박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철 filed Critical 박진철
Priority to KR102020000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내지 빗물의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물턱과,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서로 구속될 수 있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의 위치 배열을 적극 개선함으로써 기와의 적층이 허용되는 유효 면적이 확장됨과 더불어, 기와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초경량성을 부여하되 기와의 내구가 취약한 영역마다 특정 형상의 보강살을 적용하여 우수한 곡강도가 확보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는 수기와부(10);와, 수기와부의 측면에서 평탄하게 연장 형성되어 결로 내지 빗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암기와부(20);와, 기와의 상측 표면을 따라 수기와부와 암기와부를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어 유로의 제공 및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턱(30);과, 기와의 저면에서 물턱과 동일선상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와의 물턱과 걸림에 기인하여 적층 시공이 유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부(40);와, 물턱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5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The clay roofing tile}
본 발명은 수기와와 암기와가 하나의 기와로 이루어진 일체형 점토기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로 내지 빗물의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물턱과,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서로 구속될 수 있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의 위치 배열을 적극 개선함으로써 기와의 적층이 허용되는 유효 면적이 확장됨과 더불어, 기와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초경량성을 부여하되 기와의 내구가 취약한 영역마다 특정 형상의 보강살을 적용하여 우수한 곡강도가 확보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는 반죽된 점토를 형틀에서 성형하여 건조한 후 건조된 기와를 소성하여 제작한다. 위 기와는 다양한 건축물의 지붕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형태와 사용 위치에 따라 처마기외, 평기와, 기와등, 마루장, 용두, 암막새, 수막새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되고 있다.
위와 같이 기와는 시공 위치마다 정해진 기와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와를 종류별로 생산하기 위한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기와 시공과 관련된 전문적인 인력과 장시간의 시공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건비를 비롯한 시공 비용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기와의 생산 관련 업체에서는 기와의 생산 단가를 최소화하면서 시공시간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와를 제공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기와 및 암기와가 서로 하나의 바디로 구성된 일체형 기와가 개발되었으며, 일체형 기와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841호 "암기와와 수기와의 기능을 갖는 일체형 기와"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수기와의 측면에 암기와가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기와의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짐은 물론,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 종래기술은 수기와와 암기와가 일체로 붙어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무게가 증가하여 시공이 불편하고, 수기와와 암기와의 연결면에 결로 내지 빗물이 고임으로써 기와의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크랙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최근들어 개발된 기와는 결로현상과 빗물을 배수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기와 내에 발생한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기와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배수 기능을 갖는 기와의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42541호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기와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로 배수홈이 형성되고, 각 배수홈으로 하여금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 종래기술은 기와의 표면 전체에 배수홈을 형성하기 위해 각종 돌부와 요홈이 배치되어 취급과 보관이 불편하고, 더구나 돌부와 요홈으로 인해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유효 공간이 부족하여 필요 이상의 기와가 시공에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기와와 암기와를 일체로 구성하되 무게가 가벼우면서 배수로를 구비하여 기와의 수명을 확보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유효 공간을 적극적으로 확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기와량이 절약되는 일체화 점토기와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841호 "암기와와 수기와의 기능을 갖는 일체형 기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2541호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기와와 암기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크기가 확장된 점토기와를 제공하되, 내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와의 두께를 적극적으로 감소시켜 경량화된 점토기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얇아진 점토기와의 곡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와와의 상호 구속을 결정하기 위해 못의 진입이 허용되는 못구멍과 기와의 표면에 흐르는 결로 내지 빗물을 배수하는 복수의 배수로의 배치를 개선하여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에 대한 유효공간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토기와의 확장된 크기로 하여금 시공시 기와의 전·후 단부측의 곡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와를 적층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방식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못을 체결할 수 있도록 못구멍의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못구멍에 삽입된 못의 머리가 점토기와의 표면 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는 수기와부(10);와, 수기와부의 측면에서 평탄하게 연장 형성되어 결로 내지 빗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암기와부(20);와, 기와의 상측 표면을 따라 수기와부와 암기와부를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어 유로의 제공 및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턱(30);과, 기와의 저면에서 물턱과 동일선상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와의 물턱과 걸림에 기인하여 적층 시공이 유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부(40);와, 물턱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기와부(10)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호의 지름이 확장되어 반원뿔의 형상을 갖되,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두께는 감소하여 기와의 정면과 배면의 곡강도가 서로 균일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는 각 모서리를 직각으로 절개하여 기와의 중심부에 비해 각 단부의 폭이 감소됨으로써 각 단부영역의 곡강도가 향상되어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하중에 대한 저항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 호의 내경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살(60)이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암기와부(20)는 상걸이 시공에서 받는 하중 감소를 위해 저면 모서리부에 설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요홈(2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암기와부(20)는 저면에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보강살(60)이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위 보강살(60)은 설정 폭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보강살(61)과, 수직보강살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흙토(土)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수평보강살(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암기와부(20)는 저면에서 못구멍(50)과 동일선상에 소정깊이 함몰형성된 음각부(5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암기와부(20)는 상면이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1유로(63) 및 유로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된 단턱(63-1) 사이로 빗물의 경로가 마련되고, 위 제1유로(63)와 단턱(63-1)의 폭이 점차 감소하여 베르누이와 마찰계수에 따른 빗물의 유속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1유로(63)는 암기와부(20)의 정면에서 배면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두께로 하여금 경사로가 형성되어 결로 내지 빗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암기와부(20)는 측면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가이드블록(64)을 포함하고, 위 암기와부(20)는 수기와부(10)의 연장면에서 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단차(64-1)를 더 포함하여 물이 측방향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가이드블록(64)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64-2)가 더 형성되어 기와의 적층 보관시 상단에 적층된 기와를 이격시킴에 따라 기와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이드블록(64)은 금형을 이용한 제품 생산시 점토 양의 보상 및 이웃하는 기와와의 접촉에 의한 파손 예방을 위해 좌우 양단에 테이퍼 또는 설정 깊이만큼 함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못구멍(50)은 상단 내경에 테이퍼를 적용하여 못의 머리가 물턱(30)의 내부공간으로 완전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서 암기와부(20)가 연장되는 영역에 기와를 상걸이용 목재로부터 안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70)를 포함하고, 위 지지돌기(70)는 가이드블록(64)에 형성된 돌기(64-2) 및 수기와부(10)의 일측 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이 유지되어 기와의 적층 보관시 하단에 배치된 기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구속부(40)는 금형으로 제품 제작시 흙의 밀도를 포집시켜 크랙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암기와부(20)의 저면에서 사각블록의 형상으로 돌출형성하되, 각 사면이 둔각처리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기와부와 암기와부의 표면에 구비된 물턱의 위치, 못구멍의 위치, 각종 배수로의 구성을 간소하게 구성하면서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기와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를 적층하기 위한 유효면적이 적극적으로 확장되어 기와의 자유로운 적층배열이 가능해지면서 상걸이의 구조에 국한받지 않으며, 더불어 기와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기와부와 암기와부가 일체화되면서 크기가 확장되어 무게가 증가될 수밖에 없는 기와의 경량화를 위해 얇은 두께로 제작하되, 얇은 두께에 의해 내구성이 취약해진 영역에 복수의 보강살을 부여하여 곡강도를 적극적으로 향상시킴에 따라 가볍고 내구성이 견고하면서 기존 대비 크기가 확장된 기와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기와부의 측면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고, 수기와부의 연장면에서 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단차가 더 구비됨에 따라 측방향에 대한 누수를 차단하고,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턱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이 구비되어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에 대한 유효 면적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특히 위 못구멍은 상단 내경에 테이퍼가 적용되어 못의 머리가 물턱의 내부공간으로 완전 인입됨에 따라 상단에 적층된 기와의 유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물턱이나 못구멍이 기존의 기와에 비해 돌출 높이를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역류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와는 수기와부와 암기와부의 전체적인 표면과 직각부를 라운드로 가공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진 구간에는 각 모서리별로 테이퍼를 형성하거나 절삭하여 평면의 최대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여 기와의 시공시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시공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제공되지 않았던 종래의 기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수기와와 암기와가 하나의 기와로 이루어진 일체형 점토기와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결로 내지 빗물의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물턱과,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서로 구속될 수 있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의 위치 배열을 적극 개선함으로써 기와의 적층이 허용되는 유효 면적이 확장됨과 더불어, 기와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초경량성을 부여하되 기와의 내구가 취약한 영역마다 특정 형상의 보강살을 적용하여 우수한 곡강도가 확보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제공되지 않았던 종래의 기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와는 자체 내구성을 보존하기 위해 그 면적이 매우 작았으며, 이러한 작은 크기로 인해 지붕 시공시 많은 양의 기와가 사용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를 상단의 기설정된 위치에 걸림되게 하여 정확한 적층 위치를 고수되게 하는 물턱이 암기와부에만 구비되어 있고, 이로 하여금 수기와부와 암기와부 간의 곡강도에 차별이 발생하였다. 또한, 물턱이 암기와부에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에 적층된 이웃하는 기와들은 지속적으로 수기와부 쪽으로 무게가 쏠리게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기와부에 균일이 발생하면서 심각할 경우 파손되는 경우가 잦았다.
한편, 물턱의 하단에 위치한 못구멍은 상단에 적층되는 이웃하는 기와의 걸림을 방해하였으며, 더욱이 1개소로 구비된 못구멍으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의 시공을 시도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도 1과 같이 기존에는 암기와부에 최소한의 가이드블록이 형성되어 유로의 구성이 적었으며, 최소한의 가이드블록마저도 일정한 간격마다 절개공간이 형성되어 물이 해당 절개공간으로 유실됨에 따라 유로로써의 역할에 충실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종래의 기와는 자체의 내구를 유지하기 위해 작은 크기로 제작되었음에도, 파손을 방지코자 두껍게 제작되어 무게로 인해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토기와(1)는 수기와와 암기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점토기와(1)로써, 단면이 호의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는 수기와부(10);와, 수기와부의 측면에서 평탄하게 연장 형성되어 결로 내지 빗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암기와부(20);와, 점토기와의 표면에 흐르는 물의 유로를 제공하면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턱(30);과, 기와의 저면에서 물턱과 동일선상에 돌출 형성되는 구속부(40);와,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50);으로 구성된다.
위 수기와부(10)는 지붕의 기왓등을 형성하는 반원통형의 기와로써, 목조 건축의 지붕을 덮어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한다. 위 수기와부(10)는 점토를 구워만든 작은 원통을 2등분하여 세로로 절개한 것으로 두개의 암기와부 사이에 생기는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수기와부(10)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호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반원뿔의 형상을 가지며,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호의 직경과 비례하여 두께를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점토기와의 정면 영역과 배면 영역의 곡강도가 서로 균일하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점토기와의 정면 영역과 배면 영역의 곡강도를 균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시 복수의 기와가 적층되어도 해당 하중을 정면과 배면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기와가 파손을 방지한다.
위 암기와부(20)는 주로 평기와, 바닥기와, 여와, 자와라고 불리며, 점토를 성형한 후 구워 만든 큰 원통을 세로로 3등분 또는 4등분 한 것으로, 시각적으로는 평면처럼 보이나 정확하게는 좌우측이 중심보다 다소 치켜 올라간 라운드의 형상을 갖는다. 라운드의 형상을 갖는 암기와부(20)는 자체적으로 라운드에 의해 유로가 형성되어 눈이나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며 빗물이 역류하여 집의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여 그 흐름을 돕는다.
특히, 본 발명의 암기와부(20) 역시 수기와부(10)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어 점토기와의 정면 영역과 배면 영역의 곡강도가 서로 균일하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 물턱(30)은 기와의 상측 표면을 따라 수기와부와 암기와부를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며,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결로 내지 빗물의 유로를 제공하면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가 걸림되게 하여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점토기와(1)는 결로 내지 빗물의 역류를 최종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점토기와의 정면에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의 단부를 따라 걸림턱(1-1)을 형성하고, 위 걸림턱에서 어느 정도 이격된 위치에 물턱(30)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물턱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점토기와(1)는 이웃하는 기와를 상면에 적층 시공시 점토기와의 배면에서 물턱(30)이 형성된 영역 내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에 대한 견고한 시공이 요구될 경우 걸림턱과 물턱 사이의 이격공간(S)에 이웃하는 기와를 결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위 물턱(30)은 수기와부(10)의 표면에서 약 3 내지 5cm의 두께로 형성되다가 암기와부(20)에서부터 약 10 내지 15cm의 두께로 변화되어 빗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상에 베르누이와 마찰계수에 따른 유속 증가 효과를 부여한다. 여기에서 위 두께의 수치는 본 발명의 물턱(30) 형상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으로 해당 수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 구속부(40)는 기와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턱(30)에 걸림 또는 물림될 수 있도록 물턱과 동일한 또는 기와의 정면의 일 구간에 돌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위 구속부(40)는 수기와부(10)의 저면에 내경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구속부(41)와, 암기와부(20)의 저면에 제1구속부와 동일한 선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블록이 돌출 형성된 제2구속부(42)를 포함한다.
특히, 위 제1구속부(41)는 저면에 물턱(30)과 동일한 영역만을 남겨두고 해당 영역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을 각각 절삭함으로써 형성되고, 제2구속부(42)는 암기와부(20)의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블록의 사면을 둔각처리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가공 형상을 우수하게 하고, 금형 제작시 흙의 밀도를 포집시켜 크랙 발생을 억제하였다.
위 못구멍(50)은 기와를 이용하여 지붕을 시공할 시 서로 다단 적층된 기와들의 해당 위치를 구속하기 위하여 기와의 적층 부위에 삽입하여 조립하는데 이 때 못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기존의 못구멍은 주로 기와의 가장자리나 물턱(30)의 중앙 아랫면에 형성되며, 못구멍의 위치가 위와 같을 경우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유효면적이 기와의 배면 끝단에서 못구멍이 형성된 구간까지 축소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못구멍(50)은 물턱(30)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 형성됨에 따라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유효면적을 기와의 배면 끝단에서 물턱이 형성된 구간까지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기와와 본 발명의 기와는 서로 유효면적의 차이로 하여금 기와의 설치가 자유로워진다.
더불어, 기존의 못구멍(50)은 못의 삽입만을 고려하여 단순히 원형의 홀이 관통되도록 가공되었으며, 이러한 못구멍의 구조는 못의 머리가 못구멍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단에 적층 시공된 이웃하는 기와와 더욱 넓은 유격이 발생하고, 못의 머리가 상단에 적층 시공된 이웃하는 기와의 마주하는 면에 간섭되어 스크레치를 발생시키거나 심하게는 크랙을 발생시켜 파손에 이르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못구멍(50)은 상부측 내경을 못의 머리와 대응하도록 테이퍼를 적용시켜 못의 머리가 해당 영역에 완전하게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못의 머리가 물턱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여지고, 적층 시공된 이웃하는 기와의 마주하는 면을 간섭하지 않아 안정적인 시공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위 못구멍(50)은 물턱(30)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못구멍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방식이나 작업환경에 대응하여 구비된 못구멍에 못을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기존 대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구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암기와부(20)의 저면에서 못구멍(50)과 동일선상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음각부(51)를 더 포함한다. 위 음각부(51)는 못구멍(50)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가공을 시도할 때 가공력에 의해 암기와부(20)의 저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펀칭가공은 대상물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타공하는 형태로 타공과정에서 일측면에 밀집된 소재들이 펀칭축에 의해 타측면으로 가압되면서 결과적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일측면에서 소재들이 타측면으로 밀려나가면서 타측면은 불규칙한 형태로 파손되거나 펀칭형상의 주변으로 밴딩되면서 원치않은 비드들이 형성된다. 비드들은 후처리로 충분히 케어가 가능하지만 불규칙하게 파손된 경우에는 후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기와는 폐기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펀칭가공은 대상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욱 강력한 펀칭력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파손 범위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비드들이 생성되어도 후처리가 불필요하도록 음각부(51)를 적용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점토기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토기와(1)는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의 각 모서리부를 직각으로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기와의 전방과 후방 영역의 폭을 중간 영역의 폭에 비해 다소 짧아지게 구성하였다.
예컨대, 두께가 얇은 사물은 폭의 넓이에 비례하여 내구성이나 곡강도에 차이가 발생하며, 폭이 짧아질수록 내구성과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이치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기와의 시공방법으로는 어느 하나의 기왓장을 지붕의 프레임에 안착하고, 이웃하는 또 다른 기왓장의 전면 단부를 최초 안착된 기왓장의 후면 단부에 다단 적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왓장은 전면 단부와 후면 단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오랜시간이 지나면 해당 영역에 점차 크랙이 발생하여 결국 파손되고 만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의 각 모서리부를 직각으로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기와의 전방과 후방 영역의 폭을 중간 영역의 폭에 비해 다소 짧아지게 구성하여 기와의 전방과 후방의 내구성과 곡강도를 최대한 보강하였다.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기와부(20)는 상걸이 시공에서 받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방측 모서리부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 절삭하여 형성되는 요홈(21)을 더 구비하였다.
위 요홈(21)은 수기와부로부터 요홈까지의 폭이 수기와부로부터 암기와부까지의 폭에 비해 짧아지고, 상걸이를 위한 나무 프레임이 해당 요홈에 밀접하게 안착되는 조립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기와(1)의 곡강도가 기존 대비 15 ~ 30%가량 향상된다.
또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 저면에 호의 내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살(6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두께가 얇아진 수기와부의 곡강도와 내구성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수기와부의 저면에 형성된 결로가 기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수차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위 암기와부(20)는 수기와부와 마찬가지로 저면에 보강살(60)이 형성되어 암기와부의 내구성과 곡강도를 보강한다.
특히, 위 암기와부(20)에 형성된 보강살(6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 등간격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수직보강살(61)과, 수직보강살의 이격공간 사이에 수평 배치되는 수평보강살(62)로 구성된다. 위 수평보강살(62)은 수직보강살의 사이공간에서 흙토(土)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암기와부의 평면을 상하좌우 균일하게 보강하면서 결로 내지 빗물이 기와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결로 내지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경로를 함께 제공한다.
예컨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암기와부(20)는 시각적으로 평면처럼 보일 수 있으나 소정의 지름으로 라운드가 형성된 반원의 형상을 가지며, 라운드에 의해 형성된 고랑을 유로(63)라고 명칭하였다.
위 유로(63)는 정면에서 배면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두께로 하여금 경사로가 형성되고, 수기와부(10)로부터 흘러 내린 결로 및 빗물과 암기와부(20)에서 발생한 결로 및 빗물을 포집하여 정해진 장소로 원활하게 배수하며, 결로 및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기와부(20)는 측면을 따라 상향 돌출된 가이드블록(64)이 더 형성되어 물이 측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면서 기와의 보관 및 운반시 해당 기와의 상단에 적층된 타 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위 가이드블록(64)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64-2)가 더 형성되어 기와의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기와로부터 돌기의 돌출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단에 적층된 기와의 접촉을 적극적으로 예방하였다.
위 돌기(64-2)는 다각 또는 반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와가 적층되어 운반하는 과정에서 기와간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절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곡선이 있는 반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위 가이드블록(64)은 성형 가공시 점토의 양을 보상 받을 수 있도록 양측 단부를 함몰시켰다. 점토를 구워 제작한 기와는 작은 접촉과 충격에도 쉽게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며, 특히 모서리 부위는 다른 면에 비해 내구성이 무척 취약하기 때문에 파손이 더욱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64)의 양단부를 절삭하고, 매끄럽게 라운드를 적용시켜 타기와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파손을 방지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암기와부(20)는 수기와부(10)의 연장면에서 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낮은 계단 형상을 갖는 복수의 단차(64-1)가 더 구비된다.
위 단차(64-1)는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로부터 포집된 결로 및 빗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기와의 측면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암기와부의 상면에 형성된 유로(63)로 배수되도록 경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점차 확장되는 두께로 암기와부(20)의 곡강도를 균일하게 향상시키는 역할까지 도모한다.
마지막으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서 암기와부(20)가 연장되는 영역에 기와를 상걸이용 목재로부터 안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70)를 포함한다.
위 지지돌기(70)는 구속부(40)와 암기와부(20)에 형성된 보강살(60)과 수기와부(10)의 일측 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이 유지되어 기와를 지면에 보관할 때 기와의 저면 높이가 맞지 않아 흔들리는 것을 완전 방지함으로써, 보관 및 취급은 용이하게 한다.
또한, 위 지지돌기(70)는 수기와부(10)의 내경으로 치우쳐 편심지게 형성되어 기와의 상면으로부터 발생하는 하중을 복수의 보강살(60)이 구비된 수기와부의 내경으로 분산시켜 기와 자체의 내구성과 곡강도를 향상시키며, 특히 수기와부의 내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여 상걸이용 목재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토기와는 수기와부와 암기와부의 표면에 구비된 물턱의 위치, 못구멍의 위치, 각종 배수로의 구성을 간소하게 구성하면서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기와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를 적층하기 위한 유효면적이 적극적으로 확장되어 기와의 자유로운 적층배열이 가능해지면서 상걸이의 구조에 국한받지 않으며, 더불어 기와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시공비가 절감되고, 수기와부와 암기와부가 일체화되면서 크기가 확장되어 무게가 증가될 수밖에 없는 기와의 경량화를 위해 얇은 두께로 제작하되, 얇은 두께에 의해 내구성이 취약해진 영역에 복수의 보강살을 부여하여 곡강도를 적극적으로 향상시킴에 따라 가볍고 내구성이 견고하면서 기존 대비 크기가 확장된 기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암기와부의 측면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고, 수기와부의 연장면에서 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단차가 더 구비됨에 따라 측방향에 대한 누수를 차단하고, 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물턱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이 구비되어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에 대한 유효 면적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특히 위 못구멍은 상단 내경에 테이퍼가 적용되어 못의 머리가 물턱의 내부공간으로 완전 인입됨에 따라 상단에 적층된 기와의 유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물턱이나 못구멍이 기존의 기와에 비해 돌출 높이를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역류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기와는 수기와부와 암기와부의 전체적인 표면과 직각부를 라운드로 가공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진 구간에는 각 모서리별로 테이퍼를 형성하거나 절삭하여 평면의 최대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여 기와의 시공시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시공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기와부
20. 암기와부
30. 물턱
40. 구속부
50. 못구멍
60. 보강살

Claims (10)

  1.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는 수기와부(10);와, 수기와부의 측면에서 평탄하게 연장 형성되어 결로 내지 빗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암기와부(20);와, 기와의 상측 표면을 따라 수기와부와 암기와부를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어 유로의 제공 및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턱(30);과, 기와의 저면에서 물턱과 동일선상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와의 물턱과 걸림에 기인하여 적층 시공이 유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부(40);와, 물턱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기와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구멍(50);으로 구성되는 기와에 있어서,
    위 암기와부(20)는 저면에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보강살(60)이 구비되고,
    위 보강살(60)은 설정 폭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보강살(61)과, 수직보강살의 사이 공간에 직선, 곡선, 원, 반원을 비롯한 土, 王, 主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습식 시공시 모르타르의 융착성과 공기층의 확보로 단열성을 향상하는 수평보강살(62)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2. 제1항에 있어서,
    위 수기와부(10)와 암기와부(20)는 각 모서리를 직각으로 삭제한 절단부(11)에 의해 양 단부의 폭이 축소되어 곡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기와의 소성 변형과 이웃하는 기와의 적층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3. 제1항에 있어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 호의 내경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살(60)이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4. 제1항에 있어서,
    위 암기와부(20)는 상걸이 시공에서 받는 하중 감소를 위해 저면의 각 모서리부마다 설정 깊이로 함몰된 요홈(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위 암기와부(20)는 상면이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1유로(63) 및 유로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된 단턱(63-1) 사이로 빗물의 경로가 마련되고,
    위 제1유로(63)와 단턱(63-1)의 폭이 점차 감소하여 베르누이와 마찰계수에 따른 빗물의 유속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7. 제1항에 있어서,
    위 암기와부(20)는 측면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며, 상단에 복수의 돌기(64-2)가 더 형성되어 기와의 적층 보관시 상단에 적층된 기와를 이격시킴에 따라 기와간 간격을 유지되게 하여 기와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블록(64)을 포함하고,
    위 암기와부(20)는 수기와부(10)의 연장면에서 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단차(64-1)를 더 포함하여 물이 측방향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8. 제1항에 있어서,
    위 못구멍(50)은 상단 내경에 테이퍼를 적용하여 못의 머리가 물턱(30)의 내부공간으로 완전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9. 제1항에 있어서,
    위 수기와부(10)는 저면에서 암기와부(20)가 연장되는 영역에 기와를 상걸이용 목재로부터 안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70)를 포함하고,
    위 지지돌기(70)는 가이드블록(64)에 형성된 돌기(64-2) 및 수기와부(10)의 일측 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이 유지되어 기와의 적층 보관시 하단에 배치된 기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10. 제1항에 있어서,
    위 구속부(40)는 금형으로 제품 제작시 흙의 밀도를 포집시켜 크랙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암기와부(20)의 저면에서 사각블록의 형상으로 돌출형성하되, 각 사면이 둔각처리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KR1020200005629A 2020-01-15 2020-01-15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KR10233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29A KR102333265B1 (ko) 2020-01-15 2020-01-15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29A KR102333265B1 (ko) 2020-01-15 2020-01-15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88A KR20210092088A (ko) 2021-07-23
KR102333265B1 true KR102333265B1 (ko) 2021-11-30

Family

ID=771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29A KR102333265B1 (ko) 2020-01-15 2020-01-15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72Y1 (ko) * 2004-09-10 2004-12-20 주식회사 고령기와 점토기와
JP2015004170A (ja) * 2013-06-19 2015-01-08 株式会社コトガワ
KR101982452B1 (ko) * 2018-10-29 2019-05-24 최풍시 배수홈이 형성된 기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870Y1 (ko) * 1983-11-28 1988-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테레비젼의 전원회로용 기판
KR200409841Y1 (ko) 2005-12-09 2006-03-03 주식회사 대경건업 암기와와 수기와의 기능을 갖는 일체형 기와
KR101542541B1 (ko) 2014-10-07 2015-08-06 주식회사 대동요업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72Y1 (ko) * 2004-09-10 2004-12-20 주식회사 고령기와 점토기와
JP2015004170A (ja) * 2013-06-19 2015-01-08 株式会社コトガワ
KR101982452B1 (ko) * 2018-10-29 2019-05-24 최풍시 배수홈이 형성된 기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88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27B2 (en)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US6277024B1 (en) Sectional roof ridge vent
US20050204662A1 (en) Resin deck board with water drainage top surface
US20070107358A1 (en) Concrete til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A3035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nted and water control siding, vented and water control sheathing and vented and water control trim-board
KR102333265B1 (ko)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US20110203200A1 (en) Deck system
CN1374429A (zh) 具有防滑固定效果的双曲瓦
JP4654159B2 (ja) 軒先瓦
KR102416068B1 (ko) 시공 효율성이 우수한 기능성 그을림한식 이단기와
EP2759654B1 (en) A flashing kit and a method for flashing roof penetrating structures arranged in an inclined roof with one structure above another
CA2749337C (en) A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JP7042727B2 (ja) 屋根構造
JPS601158Y2 (ja) 鎧張り用タイル
KR102036435B1 (ko) 발포 세라믹 단열재용 고정앙카 및 그 고정앙카를 이용한 발포 세라믹 단열재 시공구조
JP4482300B2 (ja) 千鳥葺き平板瓦
JPS6115142Y2 (ko)
KR200258059Y1 (ko) 금속판 기와
JP2004278284A (ja) 樹脂マット
KR20220112022A (ko)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KR101696404B1 (ko) 기와 조립체
JP3695317B2 (ja) 棟部の換気構造
JP6761237B2 (ja) 土台及び建物構造
JPH028981Y2 (ko)
US20050223670A1 (en) Spacer device for a cavity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