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404B1 - 기와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404B1
KR101696404B1 KR1020150181821A KR20150181821A KR101696404B1 KR 101696404 B1 KR101696404 B1 KR 101696404B1 KR 1020150181821 A KR1020150181821 A KR 1020150181821A KR 20150181821 A KR20150181821 A KR 20150181821A KR 101696404 B1 KR101696404 B1 KR 101696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of
tile
floor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31A (ko
Inventor
권성민
안복남
Original Assignee
권성민
안복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민, 안복남 filed Critical 권성민
Priority to KR102015018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4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종의 단위 기와를 결합하여 한옥 지붕에 설치되는 기와 조립체에 있어서,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제1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제2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상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지붕의 상면 중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제1착고마루 및 지붕의 상면에서 상기 제1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면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착고마루와 결합하여 용마루를 형성하는 제2착고마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와 조립체{Roof Tile Assembly}
본 발명은 기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한옥 기와 지붕에 설치되는 기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는 가옥의 지붕을 덮는 옥개용의 건축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과거에는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원래 목조건물의 지붕에는 이엉이나 볏짚, 그리고 나무껍질 같은 식물성 부재를 사용하였는데, 내구력이 약하여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효과나 강도가 높은 반영구적인 점토소성품(粘土燒成品)인 기와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기와 지붕은 기본적으로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그리고 처마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먼저 수키와(圓瓦, 夫瓦)와 암키와(平瓦, 女瓦)로 이어 덮게 되는데, 대부분의 수키와와 암키와는 원통형의 목제 모골의 외측에 마포나 무명 등의 포목을 감고 양질의 진흙을 다진 점토판(粘土板)을 씌워 고판(叩板)으로 두들겨 얼마 동안의 건조기간을 거친 다음에 와도(瓦刀)로 2분하거나 3분 또는 4분하여 제작한다. 형태에 따라 기와의 끝에 언강이라고 부르는 낮은 단(段)이 있어서 미구를 내밀고 있는 유단식(有段式)과, 언강과 미구가 없는 토시형의 무단식(無段式)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대부분 그 표면에 선(線), 승석(繩蓆), 격자(格子), 화엽(花葉) 등의 고판무늬가 장식되고 있다.
이렇게 이어진 기와는 처마 끝에 와서 각기 끝막음을 하게 되는데, 막새(瓦當)는 지붕의 추녀 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와로 수키와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부착한 수막새(圓瓦當)와 암키와 끝에 장방형의 드림새를 부착한 암막새(平瓦當)로 구분되고 있다. 암/수막새는 여러 가지 무늬가 음각된 목제 또는 도제(陶製)의 와범에서 찍어 낸 것으로, 연꽃, 당초(唐草), 보상화(寶相華), 귀면(鬼面), 금수(禽獸) 등의 다양한 무늬가 드림새에 새겨져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채로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와를 개량하여 제작상의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10-0715215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와는 각각의 단위 기와를 하나하나 쌓아서 조립이 되기 때문에 마무리 부분에서 조금이라도 조립상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기 설치된 단위 기와들을 상당부분 철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개량된 기와와 같이 복수 기능의 단위 기와를 일체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지막 부분의 치수를 맞추기 위해 단위 기와의 일부를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자재비용이 증가하고, 정교한 작업에 따른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기와의 설치 후 보정에 따른 추가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규모에 따른 단위 기와의 크기 절단으로 인해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종의 단위 기와를 결합하여 한옥 지붕에 설치되는 기와 조립체에 있어서,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제1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제2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상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지붕의 상면 중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제1착고마루 및 지붕의 상면에서 상기 제1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면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착고마루와 결합하여 용마루를 형성하는 제2착고마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는 서로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착고마루 및 제2착고마루는 각각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상측 단부를 커버하는 착고와, 상기 착고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는 복수개의 암키와를 적층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와 조립체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마루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키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위 기와는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암키와 및 상기 암키와와 인접한 다른 암키와 사이를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수키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키와는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 단부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방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위 기와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력적으로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위 기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암막새 및 상기 암막새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암막새 사이를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수막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막새는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고, 양 측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1방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와 조립체는 상기 암막새의 하측 중심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양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선택적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암막새의 하측 중심 부분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막새는 일 단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내부 중심 부분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면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막새의 내부를 서로 분리시키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와 조립체는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가 결합된 양 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용마루의 양 단부를 차폐하는 제3단위 기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위 기와는 상기 용마루의 양 단부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망새 수키와 및 상기 용마루의 양 단부와 상기 망새 수키와를 동시에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망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새는 상기 용마루의 일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부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망새 수키와의 일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차폐부와, 상기 망새 수키와와 상기 망새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키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높이 또는 간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와 조립체는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배치된 제3면에 형성되는 귀마루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위 기와와 착고마루 사이에 개재되는 제4단위 기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단위 기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와 착고마루 사이를 차폐하는 귀착고와, 상기 귀착고 상에 돌출되어 상기 제2단위 기와 내측으로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결합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에 따르면,
첫째, 각각의 단위 기와와 연결되는 다른 단위 기와 사이에 방수기능을 추가하여 방수 성능을 개선하였고,
둘째, 단위 기와의 내부에 곤충이나 동물들이 서식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으며,
셋째, 각 단위 기와 사이에 필요한 설치간격을 측정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기간이 단축되고,
넷째, 시공 규모에 따른 단위 기와의 사이즈를 단계별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자재낭비를 절대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다섯째, 시공 중에 발생하는 오차에 대하여 재시공을 할 필요 없이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의 암키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의 암키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의 암키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의 수키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의 수키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의 암막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의 암막새를 저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의 암막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의 수막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의 수막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고마루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제3단위 기와의 망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제3단위 기와의 망새를 도시하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태는 제3단위 기와의 망새 수키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낸 제4단위 기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제4단위 기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100)는 복수 종류의 단위 기와를 결합하여 한옥 지붕에 설치되는 기와 조립체(100)에 있어서,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제1단위 기와(110)와, 상기 제1단위 기와(110)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제2단위 기와(120)와, 상기 제1단위 기와(110)의 상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지붕의 상면 중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제1착고마루(151) 및 지붕의 상면에서 상기 제1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면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착고마루(151)와 결합하여 용마루를 형성하는 제2착고마루(152)와, 상기 제1착고마루(151)와 제2착고마루(152)가 결합된 상부 양 단에 배치되어 용마루 내부를 차폐하는 제3단위 기와(130)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형성된 제3면 상에서 귀마루에 결합되는 제4단위 기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와 조립체는 팔작지붕에 설치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또한 상기 기와 조립체는 맞배지붕, 우진각 지붕, 겹처마지붕 등의 한옥 기와지붕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위 기와는 상기 기와 조립체의 조립 또는 설치에 사용되는 기와로써, 복수개의 종류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이 조립되면 상기 기와 조립체가 완성되며, 또한 한옥과 같은 건물의 기와 지붕 또는 담장의 상부에 얹힌 지붕 형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와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단위 기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110)의 암키와(11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110)의 암키와(11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110)의 암키와(11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110)의 수키와(11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제1단위 기와(110)의 수키와(113)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위 기와(110)는 지붕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계단 형상으로 수직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는 암키와(111)와, 상기 암키와(111)와 인접한 다른 암키와(111) 사이를 상측을 커버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수키와(113)를 포함한다.
상기 암키와(111)는 길이방향으로 낱장씩 복수개가 길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크기별로 대,중,소 이렇게 3가지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암키와(111)의 크기는 대(大)자가 1200mm, 중(中)자가 750mm, 소(小)자가 60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암키와(111)의 크기는 길이방향의 길이로써 지붕 상의 용마루로부터 처마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암키와(111)의 크기는 약 2000mm~9950mm까지의 기와 지붕 규모에 따라서 단위 크기별로 조합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로 기와 지붕의 설치 시 최적의 자재 사용량에 부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키와(111)의 대,중,소 별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암키와(11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암키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방수벽(112)이 마련된다.
상기 제2방수벽(112)은 상기 암키와(111)의 상면에 떨어지는 빗물이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암키와(111)의 상면에 떨어지는 빗물이 상기 제2방수벽(112)에 의해 인접한 측방향의 다른 암키와(111)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키와(111)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력적으로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기와 지붕에 형성되는 현수곡선을 아름답고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120)의 암막새(12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120)의 암막새(121)를 저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120)의 암막새(12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120)의 수막새(126)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제2단위 기와(120)의 수막새(126)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단위 기와(120)는 지붕의 처마 단부 또는 내림마루에 배치되어 상기 지붕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커버하며,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는 암막새(121) 및 상기 암막새(121)와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암막새(121)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며, 일 단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수막새(126)를 포함한다.
상기 암막새(121)는 하측 단부에 반 원형의 혀가 구비되고, 상측 단부에는 상기 암키와(111)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암막새(121)의 양 측 단부에는 상기 암막새(1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방수벽(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방수벽(122)은 전기한 상기 암키와(111)의 제2방수벽(1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방수벽(122)은 전기한 상기 제2방수벽(112)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지붕의 처마 단부에 설치될 때 뿐만 아니라, 지붕의 내림마루에 설치될 때도 빗물의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막새(121)의 하측 중심 부분에는 상기 암막새(121)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방수벽(12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조절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상기 암막새(121)와 인접한 다른 암막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지붕의 처마에서 용마루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길잡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선택적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암막새(121)와 인접한 다른 암막새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상기 암막새(121)의 하측 중심 부분에서 상기 간격조절부(123)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12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턱(124)은 상기 암막새(121)가 최초로 설치되는 위치를 지지하는 부목 상에서 상기 암막새(121)가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 고정턱(124)은 일 단면이 호(弧)형상으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막새(126)는 내부 중심 부분에 상기 수막새(126)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막새(126)의 내부를 서로 분리시키는 차단막(127)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막(127)은 반원 형상의 상기 수막새(126) 내부를 일부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막새(126)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막새(126) 내부에 곤충이나 동물들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막(127)은 상기 암막새(121)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절부(123)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127)과 간격조절부(123)가 접촉하면서 상기 암막새(121)와 측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암막새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127)과 간격조절부(123)가 접촉하도록 상기 암막새(121) 상에 수막새(126)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막새(126)의 설치위치가 일정하게 확보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1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15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착고마루(15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착고마루(150)는 기와 지붕의 상면 중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제1착고마루(151)와, 상기 제1면과 면접하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착고마루(152)를 포함한다.
상기 착고마루(150)는 상기 제1단위 기와(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용마루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1착고마루(151)와 제2착고마루(152)는 각각 상기 제1면과 제2면에 따로 설치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1면 상에 상기 제1단위 기와(110) 및 제2단위 기와(12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면 상에 상기 제1단위 기와(110) 및 제2단위 기와(120)가 설치된 후에, 일체형의 착고마루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용마루의 정밀한 설치를 위해서 약간의 보정 작업이 필요로 한다.
그런데 상기 보정 작업이 단순히 보정의 단계를 넘어서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제1면과 제2면 상에 설치된 상기 제1단위 기와(110) 및 제2단위 기와(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면과 제2면 상에 각각 상기 제1착고마루(151)와 제2착고마루(152)를 설치하여 보정 또는 결합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면 보정 작업 또는 완성에 이르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착고마루(151)와 제2착고마루(152)는 각각 상기 제1단위 기와(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착고와, 상기 착고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착고는 일 단면이 상기 수키와(113)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키와(113) 형상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착고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1단위 기와(110)의 상부에서 상기 암키와(111)와 수키와(113)가 결합된 상면을 차폐하기 위해서 일부는 상기 수키와(113)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암키와(111)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이 반복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54)는 상기 착고의 상부에 낱장의 암키와(111)를 복수층으로 쌓아 올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54)의 상부에는 수키와(113)가 결합되어 용마루의 상면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예컨대 내림마루 또는 낮은 높이의 용마루에 배치되는 경우, 또는 합각지붕 방풍벽의 마감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착고의 상부에 쌓아 올린 낱장의 암키와(111) 층수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고마루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만나는 지붕의 각도에 대응하여 수평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마루기와(25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단위 기와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의 마루기와(25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마루기와(250)는 상기 제1착고마루(151) 및 제2착고마루(152)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착고가 없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귀마루에 배치되거나, 내림마루의 일 단부에 세워 내림마루를 완성하는데 배치된다.
상기 마루기와(250)는 귀마루 또는 내림마루 상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마루기와(251)와, 타 측에 배치되는 제2마루기와(미도시)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마루기와(251)와 제2마루기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마루기와 하측에는 착고가 형성된 마루기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마루기와(251)는 전기한 제1착고마루와 같이 연장부(25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54) 하단에 착고가 없는 평면의 마루(253)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루기와(250)는 귀마루 또는 내림마루에서 지붕의 양 측면 경사도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경사에 대응하도록 수직으로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제3단위 기와(130)의 망새(13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제3단위 기와(130)의 망새(132)를 도시하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나태는 제3단위 기와(130)의 망새 수키와(13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3단위 기와(130)는 지붕의 상측 선단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용마루의 양 단부를 형성하는 망새 수키와(131) 및 상기 망새 수키와(131)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마루의 내부를 커버하는 망새(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위 기와(130)는 용마루의 양 단부에 형성된 합각머리 또는 내림마루의 단부 및 귀마루의 단부에 결합되고, 각각의 마루 단부에서 마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어 지붕의 모서리 부분을 심미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망새 수키와(131)는 일 측 단부로부터 타 측 단부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예컨대 용마루의 일 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망새 수키와(131)의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증가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용마루의 양 단부는 용마루의 중심에 비하여 상부로 솟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망새(132)는 상기 용마루의 일 측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차폐부(133)와, 상기 제1차폐부(133)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망새 수키와(131)의 타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차폐부(135)와, 상기 망새 수키와(131)와 상기 망새(13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폐부(133)는 용마루를 형성하는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가 결합된 일 측 단부를 차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차폐부(133)의 하측 단부에는 수키와(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키와 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수키와 홈(134)에는 용마루 상에서 내림마루로 이어지는 수막새가 삽입되거나, 또는 내림마루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제3단위 기와(130)와 상기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수키와(113)가 결합되거나, 또는 귀마루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제3단위 기와(130)와 상기 제1면과 제3면이 접촉하는 추녀 상에 위치하는 상기 수키와(113)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차폐부(133)에서 상기 수키와 홈(134)의 양 측 부분은 선택적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수키와 홈(134)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수키와(113)가 복수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차폐부(133)는 수키와(113)의 높이 또는 간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차폐부(135)는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가 결합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망새 수키와(131)의 타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차폐부(135)는 상기 제1차폐부(133)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망새 수키와(131)의 높이와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36)는 상기 제1차폐부(133)와 제2차폐부(135)가 각각 상기 착고마루와 망새 수키와(13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용마루 상에 망새 수키와(131)가 결합되면 상기 망새(132)가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부(136)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의 일부 결합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낸 제4단위 기와(1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제4단위 기와(14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4단위 기와(140)는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3면에 형성되는 귀마루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위 기와(110)와 착고마루 사이를 차폐한다.
상기 제4단위 기와(140)는 상기 제1단위 기와(110)와 착고마루 사이를 차폐하는 귀착고(141)와, 상기 귀착고(141) 상에 돌출되어 상기 착고마루 내측으로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결합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4단위 기와(140)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두 가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첫 번째는 상기 제1면과 제3면 사이에서 일 측에 결합되는 형상과, 두 번째는 타 측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은 상기 귀착고(141)가 일부 상기 착고마루 내측으로 결합된 후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귀착고(141)와 착고마루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차폐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기와 조립체 110 : 제1단위 기와
120 : 제2단위 기와 130 : 제3단위 기와
140 : 제4단위 기와 150 : 착고마루

Claims (19)

  1. 복수종의 단위 기와를 결합하여 한옥 지붕에 설치되는 기와 조립체에 있어서,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제1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제2단위 기와;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상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지붕의 상면 중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제1착고마루 및
    지붕의 상면에서 상기 제1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면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착고마루와 결합하여 용마루를 형성하는 제2착고마루;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위 기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처마를 형성하는 암막새 및 상기 암막새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암막새 사이를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수막새를 포함하며,
    상기 암막새의 하측 중심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양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선택적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막새는 일 단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내부 중심 부분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면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막새의 내부를 서로 분리시키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는 서로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착고마루 및 제2착고마루는,
    각각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상측 단부를 커버하는 착고와, 상기 착고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는 복수개의 암키와를 적층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마루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키와를 더 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기와는,
    지붕의 상면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열되는 암키와 및
    상기 암키와와 인접한 다른 암키와 사이를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수키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암키와는,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 단부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방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기와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력적으로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막새는,
    일 단면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되고, 양 측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1방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암막새의 하측 중심 부분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착고마루와 제2착고마루가 결합된 양 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용마루의 양 단부를 차폐하는 제3단위 기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단위 기와는,
    상기 용마루의 양 단부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망새 수키와 및
    상기 용마루의 양 단부와 상기 망새 수키와를 동시에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망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망새는,
    상기 용마루의 일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부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망새 수키와의 일 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차폐부와,
    상기 망새 수키와와 상기 망새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키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의 높이 또는 간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배치된 제3면에 형성되는 귀마루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위 기와와 착고마루 사이에 개재되는 제4단위 기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4단위 기와는,
    상기 제1단위 기와와 착고마루 사이를 차폐하는 귀착고와,
    상기 귀착고 상에 돌출되어 상기 제2단위 기와 내측으로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결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조립체.
KR1020150181821A 2015-12-18 2015-12-18 기와 조립체 KR101696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21A KR101696404B1 (ko) 2015-12-18 2015-12-18 기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21A KR101696404B1 (ko) 2015-12-18 2015-12-18 기와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705A Division KR20150120719A (ko) 2014-04-18 2014-04-18 단위 기와 및 이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31A KR20160002631A (ko) 2016-01-08
KR101696404B1 true KR101696404B1 (ko) 2017-01-16

Family

ID=5517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821A KR101696404B1 (ko) 2015-12-18 2015-12-18 기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4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23Y1 (ko) *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JP2008002190A (ja) * 2006-06-23 2008-01-10 Showa Yogyo Kk 軒先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261A (ja) * 1994-03-22 1995-10-09 Shinji Aoki 面戸瓦用の化粧板
KR20050034222A (ko) * 2003-10-08 2005-04-14 (주) 구구 분청 기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23Y1 (ko) *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JP2008002190A (ja) * 2006-06-23 2008-01-10 Showa Yogyo Kk 軒先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31A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804B2 (en) Siding board for clapboard boarding and a clapboard boarding structure
US8973327B2 (en)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KR100472394B1 (ko)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ES2659213T3 (es) Sistema de fijación
MX2010001932A (es) Tejas compuestas.
KR101696404B1 (ko) 기와 조립체
EP0084909A2 (en) Means for the protection of the lower edge of an inclined roof covered by scaly elements, like roof tiles
KR20160002628A (ko) 단위 기와
KR20160002627A (ko) 단위 기와
KR20160002629A (ko) 단위 기와
KR20160002630A (ko) 단위 기와
KR20150120719A (ko) 단위 기와 및 이를 이용한 기와 조립체
KR200264267Y1 (ko) 조립용 동 기와
JP2006304743A (ja) 植生ユニット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4654159B2 (ja) 軒先瓦
JP3369516B2 (ja) 床・屋根排水構造および谷溝部材
US11332943B2 (en) Wall covering with adjustable spacing
RU2696689C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JP7350229B2 (ja) 建築用板及びその施工構造
KR102333265B1 (ko)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JP6334117B2 (ja) 屋根の棟構造
KR200354920Y1 (ko) 건물내실의 모서리 부위의 구조물
KR200242341Y1 (ko) 함석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RU56428U1 (ru) Фасадная плита "ра-д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