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394B1 -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 Google Patents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394B1
KR100472394B1 KR1019970708633A KR19970708633A KR100472394B1 KR 100472394 B1 KR100472394 B1 KR 100472394B1 KR 1019970708633 A KR1019970708633 A KR 1019970708633A KR 19970708633 A KR19970708633 A KR 19970708633A KR 100472394 B1 KR100472394 B1 KR 10047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block
convex
convex block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154A (ko
Inventor
미쉘 부샤르
뽈-에밀 랑베르
마크 포르땡
Original Assignee
노바브리크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브리크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노바브리크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2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2Sea d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10Placing gravel or light material under water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0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rectangula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3Building elements for making angl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enc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빌딩 구조의 비 모르타르 벽은 연속적인 중첩 추이로 배치된다. 각 블록은 두측단부(2,3)사이에 배치된 상부(5), 하부(7), 정면(9), 배면(11)을 포함한다. 블록은 비 모르타르 형태로 슁글(shingle)로 체결된다.

Description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용 블록{A BLOCK FOR THE MORTARLESS CONSTRUCTION OF A WALL}
본 발명은 벽 구조물(wall construction)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무-모르타르식(mortarless) 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을 이용하여 세워지는 무-모르타르식 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의 외측 조적벽(masonry wall)들은, 모르타르에 의해 조립되는 사각형 벽돌(brick) 또는 고정되기 어렵고 매우 견고한 벽체를 요구하는 못(nail) 구조의 얇은 아스팔트 슁글(asphalt shingle)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다.
미국특허 제2,341,971호(Antill)는 종래의 기술을 공개하는데, 상기 특허는 벽난로 또는 다른 고온의 챔버를 위한 구획별로(sectionally) 지지되는 벽체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벽체는 상호 결합되는 일련의 사각형 내화벽돌로 구성되는 벽체의 구획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hanging member)를 가진 금속제 외부 지지구조물로 구성된다. 열을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은, 열 내에서 블록들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인접한 측면블록의 보완적인 요홈(recess) 및 돌출부(projection)들과 상호 결합하는 작은 돌출부 및 요홈을 가진다. 또한 열을 형성하는 어떤 블록들은 열들의 측면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부 및/또는 상부의 구성 열들의 블록들과 상호 결속하는 작은 돌출부 및 요홈이 제공되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블록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벽체는 외부 구조물에 적합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공간들을 통해서 또는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서 즉 모세관 현상 및/또는 비바람이 부는 동안 바람의 영향으로 물(water)이 상기 블록들 사이로 스며들게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블록의 설치는 고정부재 및 지지구조물의 위치와 일치하는 적절한 형태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1902년 6월 12일 등록결정된 영국특허 제5267호는 모르타르와 함께 사용되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영국특허는 벽의 무-모르타르 구조를 위한 블록 또는 벽돌을 어떻게 형태 짓는지에 대해 다루지 않는다. 특히 물침투를 어떻게 방지하는지, 그리고 인접한 블록들 또는 벽돌들 사이로부터 물의 배출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해 다루지 않는다.
종래의 기술은 미국특허 제1,981,324호(페터슨), 제2,141,035호(다니엘스), 제2,323,661호(호스바인), 제2,550,945호(스타인하게 등), 제2,622,864호(하쉬), 제2,823,027(코벌리), 제3,221,614호(페티언), 제3,870,423호(파이츠, 주니어), 제4,441,298호(리무진), 제4,936,712호(글릭맨), 제5,205,675호(하멜), 제5,279,082호(스콜타) 및 제5,337,527호(바겐어)에 공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허들은 다양한 형식의 블록, 벽 또는 포장도로 구조를 공개한다. 그러나 상기한 블록, 벽, 또는 포장도로 구조 중 어느 것도 빌딩의 무-모르타르식 벽체의 신속하고 견고한 제작과 관련된 모든 문제점을 완전히 만족시키지는 않는다.
설계상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무-모르타르식 벽구조(축조)를 위한 블록을 가지는 것은 장점이 된다.
모르타르 없이 벽체를 구성(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모세관현상 또는/및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인접한 블록 사이에 물의 침투를 약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블록을 가지는 것은 장점이 된다. 인접한 블록들 사이로부터 물의 배수를 촉진할 수 있는 벽체의 무-모르타르 구조(축조)를 위한 블록을 가지는 것 또한 장점이 된다.
모르타르를 사용할 필요없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과 상호 체결되는 블록을 가지는 것 또한 추가적인 장점이 된다.
블록의 구조(축조)에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록을 가지는 것 또한 유리하다.
구조하기에 견고하고 용이한 무-모르타르식 벽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장점이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로서, 상기 블록은 상부 인접면을 방해하는 종방향 안내요홈이 제공되어진다.
도 2 는 도 1에서 도시된 블록의 측면 단부모습
도 3 은 정면에서 연결되어지는 도 1 에 도시된 한 쌍의 블록들로 구성된 기반 블록(parent block)의 측면 단부모습
도 4 는 상호체결 상태에 있는 도 1 의 기반블록으로부터 얻어지는 분리된 블록의 쌍을 도시하는 모습
도 5는 볼록요소(tongue element)가 제조변형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에서 도시된 블록의 정면도
도 6 은 하부 요소가 제조변형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에서 도시된 블록의 정면도
도 7 은 볼록요소와 오목요소가 제조변형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에서 도시된 블록의 측면 단면도
도 8 은 도 4 의 상호체결된 블록의 확대도
도 9 는 상호체결된 오목요소 및 볼록요소의 확대도
도 10 은 안내요홈(guide groove)의 확대도
도 11 은 결합하는 하부요소 및 돌출요소의 확대도
도 12 는 기초에 있는(밑에 있는) 블록과 서로 걸쳐진 상태에 있는 블록을 도시하는 모습
도 13 은 어긋나는 상태에 있는 다수의 블록들을 도시하는 모습
도 14 는 그 사이에 서로 다른 배출 공기간격의 실시예를 형성하는 다수의 유사블록을 도시하는 모습
도 15 는 그 사이에 서로 다른 배출 공기간격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형성하는 다수의 유사 블록을 도시하는 모습
도 16 은 정면에서 연결되는 다른 쌍의 블록들을 구성하는 기반블록(parent block)의 추가 실시예의 측면 단면모습
도 17 은 상호 체결관계에 있는 도 16 의 기반블록으로부터 얻어지는 분리된 쌍의 블록을 나타내는 모습
도 18 은 도 1에서 도시된 블록의 수정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으로부터 배면까지 통과하는 견인구멍(tow aperture)에 의해 대체되어진다.
도 19 는 블록을 후방 지지수단에 부착하기 위해 브래킷(bracket)을 결합하기 위한 설치시트(inset seat)가 제공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이 추가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0 은 후방 지지수단에 도 19 의 블록을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21 은 도 20 의 브래킷의 정면도
도 22 는 도 19 의 두 개의 블록들 사이의 위치에 도시되어진 도 20 의 브래킷의 부분측면도
도 23 은 못,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빌딩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측면 단부슬롯이 제공된 블록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4 는 부목에 부착되는 도 1 의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의 측면도
도 25 는 부목에 부착되는 도 1 의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의 추가 실시예의 측면도
도 26 은 도 19 의 블록의 측면 모양을 가지지만, 설치시트는 도 18의 블록에 관하여 도시된 것과 같은 구멍으로 대체되어지는 블록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0 모르타르식 벽의 추가 실시예의 측면도
도 27 은 부목에 부착되는 도 19에서 도시된 블록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부분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28 은 도 2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목에 부착되는 도 23 에 도시된 블록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부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29 는 도 2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목에 부착되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부분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30 은 도 2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목에 부착되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부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31 은 도 2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목에 부착되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부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32 는 단지 일부의 블록들만이 부목에 엇갈리게 부착되어지는 엇갈리게 배치된 블록들의 부분 정면도
도 3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masonry wall) 내에서 이용되기 위한 모서리부 벽돌(corner brick)의 사시도
도 3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 내에서 이용되기 위한 최종벽돌(마감벽돌, finishing brick)의 사시도
도 3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 내에서 이용되기 위한 다른 모서리부 벽돌의 사시도
도 3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 내에서 이용되기 위한 또 다른 모서리부 벽돌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 2,3 : 측면 단부
4,6,8,10 : 화살표 5 : 상부면
7 : 하부면 9 : 정면
11 : 배면 15 : 볼록 체결부
17 : 돌출부 18 : 상부 인접면
20 : 오목 체결부 22 : 하단부
23 : 하부 인접면 30 : 둔각
31,32 : 예각 35 : 상측 배면
36 : 하측 배면 37 : 돌출면
40 : 안내요홈 41 : 화살표
42 : 요홈면 45 : 이면각
50 : 상측 경사변부 51 : 하측 경사변부
60 : 기초 블록 62,63 : 틈새요홈
66 : 배출공기 틈새 68 : 광폭부
69 : 하측부 89 : 중앙 블록
90 : 연결부 133 : 내장시트
144 : 개구부 147 : 슬롯 요홈
"모르타르(mortar)" 라는 용어는 시멘트, 석회 및 모래, 점착제(adhesive) 등에 기초한 접착제(binding agent)에 제한되지 않는 모든 종류의 접착제(binding agent)이다. 따라서 "무-모르타르(mortarless)" 라는 용어는 블록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벽체를 특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벽면을 형성하도록 유사한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으로 무-모르타르 중첩으로 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의 구조(축조)에서 사용되기 위한 볼록 및 오목 블록(tongue and mortise block)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볼록 및 오목 블록은
상부면(top face)
하부면(bottom face)
정면(front face)
배면(rear face)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진 면은 상기 볼록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한다.
상기 두개의 측단부(side end),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록의 하부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져서 블록의 정면이 벽체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는 블록의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상대적인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블록의 정면(front face)은 볼록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진다.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들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축조(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tongue and mortise block)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top face)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ledge element)와 상부 인접면(top intermediate element)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은 볼록체결부를 돌출부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 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bottom face)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foot element)와 하부인접면(bottom intermediate element)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은 오목체결부를 하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는 하부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front face)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상대적인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는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돌출부와 연결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축조(구조, 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진 면(declining drainage face portion)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볼록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 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상대적인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면의 전방면 부분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의 경사면 부분은 이격되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배출 공기틈(drainage air gap)의 측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축조(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top face)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ledge element)와 상부 인접면(top intermediate element)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은 볼록체결부를 돌출부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 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bottom face)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foot element)와 하부인접면(bottom intermediate element)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은 오목체결부를 하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는 하부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 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상대적인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전방명의 하단부는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돌출부와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인접면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인접면은 설 이격되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배출 공기틈(drainage air gap)의 측벽을 형성한다.
블록의 대향된 측면 단부들은 요구되는 어떠한 형상 또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단부들은 예를 들어, 평면, 곡선, 경사 등과 같은 요구되는 형상이 연결(joint)을 형성하도록 양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상에서 인접한 블록의 측면과 짝을 이루거나 또는 결속되어진다. 만일 요구된다면, 블록들은 측면적으로 인접하지 않도록 위치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요구되는 어떠한 양상을 취한다. 예를 들어 블록들은, 벽돌, 벽 타일(wall tile)등과 같은 양상을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요구된다면 더 부피가 큰 양상을 취할 수도 있다. 블록들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점토,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른 주형가능한 재료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경사진 배출면(declining drainage face portion)"이라는 표현은 물의 보유를 피할 수 있으며 물이 그 위를 걸쳐서 자유로이 아래도 흘러갈 수 있는 면, 즉 물을 가두는 구멍 등과 같은 침하부(depression)가 없는 면면(face)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상기 배출면 부분이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할지라도, 블록이 벽 내에 위치하게 될 때, 물이 가두거나 보유하지 않고 배출면 아래로 흘러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슬로프(slope)를 가지도록 형상화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배출공기 틈새(drainage air gap)" 는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들 사이의 물의 침투(infiltration)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또는/및 상기에서 언급한 배출면 아래로 그들 사이로부터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틈새, 챔버, 구멍, 실트 등에 관한 것이다.
블록의 볼록체결부 및 오목체결부는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이 서로 체결되어질 때, 예를 들어 전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블록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충적인 볼록체결부와 오목체결부는 맞게 포개진 한 쌍의 상호체결된 요소들을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요소들은 상부에 있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들의 오목체결부 및 볼록체결부와 각각 상호협동하여야 한다는 것을 유념해야한다. 볼록체결부 또는/및 오목체결부는 예를 들어 블록의 측면 단부로부터 이격되어지도록 배치되어지고, 한쪽 측면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지거나 또는 한쪽 측면 단부로부터 다른 측면단부로 연장되어지도록 배치되어진다. 또한 블록의 볼록체결부 및 오목체결부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대로 블록을 상호체결 할 수 있도록 형상화되어져야 한다. 상부면은 볼록한 단부부분으로 형성되어지고 이면각(dihedral angle)을 가지는 볼록체결부를 가지며, 블록의 하부면은 보충적인 오목 홈(concave recess)으로 형성되어지고 이면각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어진다.
블록의 볼록체결부 및 오목체결부는, 예를 들어 그 배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각각은 블록의 한쪽 측면단부로부터 다른 측면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면에 상기 체결부들은, 만일 요구되어진다면, 배면과 정면의 중간에 있는 다른 위치에서 배치되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서, 상부면과 하부면은 블록의 요구되는 상호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절하게 형상화되어져야만 한다.
비록 유사한 블록들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대로 상호체결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그 속에 위치된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서 작은 양의 유격(clearance) 또는 볼록부에 대하여 선형 또는 회전되어지는 움직임을 허용함에 의해서, 블록이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 상에 처음에 배치되어질 때, 벽면에 수직하게 블록의 제한된 조정(즉 위치조정(positional adjustment))을 허용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그 볼록체결부에 대하여 형상화되어지고 크기로 되어지는 오목체결부가 제공되어질 수도 있다.
블록은 예를 들어 상부배면(upper rear face)과 하부배면을 포함하는 후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배면은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지고 블록의 배면에 대향되게 위치한 지지수단(support means)과 결속하기 위한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배면은 상부 배면의 돌출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내장(inset)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면의 형상은 앞서 언급한 제한된 조정을 장점적으로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경사 배출면(declining drainage face portion)이 제공되어진 상부면(top face)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배출면은, 블록이 벽 내에 위치되어질 때 물이 보유되지 아니하고 배출면 아래로 흘러갈 수 있도록 전반적인 경사면(slope)를 가지도록 형상화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상기 돌출부(ledge element)와 상부인접면은 그들 사이에 둔각(obtuse angle)을 형성하도록 돌출부와 상부인접면이 배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블록과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은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될 때, 상기 벽면과 돌출부는 그들 사이에서 예각(acute angle)을 형성하도록 돌출부는 배치되어질 수 있으며, 벽며과 상부인접면이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부인접면은 배치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만일 필요하다면, 배면에 대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진 지지수단 (예를 들어, 부목(furring))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상부인접면으로부터 블록의 배면까지 연장되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멍은 상부인접면에서 카운터싱크(countersink)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은, 벽 부목(wall furring)과 같은 지지수단에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못 또는 나사(screw)와 같은 부착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직선 개구부로 될 수도 있다.
지지수단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은, 상부인접면으로부터 블록의 배면까지 블록을 통하여 구멍의 드릴링(drilling)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안내요홈(guide groove)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인접면 내에 배치되어지며, 블록의 한쪽 측면단부에서 다른쪽 측면단부까지 연장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대로, 블록은 배출공기 틈새(drainage air gap)를 형성하도록 블록은 아래에 위치한 블록과 협동하도록 형상화되어질 수 있다. 배출공기 틈새는, 그 목적이 블록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 사이에서 물의 침투를 약화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경사진 배출면으로 인하여) 그들 사이에서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어떠한 요구되는 형태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의 침투는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 또는/및 예를 드어 폭풍우 동안에 벽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기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들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면과 결속되어질 때, 블록의 하부인접면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인접면들은 쐐기형(wedge-like shape)의 배출공기 틈새의 측면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블록의 상부인접면과 하부인접면들이 형상화되어지도록 블록은 제공되어질 수도 있다. 쐐기형 틈새는 광폭부(wide part)와 하측부(lower narrow end)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광폭부는 체결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향하여 배치되어지며, 상기 하측부는 결속된 하단부와 돌출부를 향하여 배치되어진다.
상기 블록들은 벽으로 일체화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벽은, 예를 들어 비와 바람과 같은 대기에 노출도니 외벽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요구되어진다면, 상기 벽은 내부벽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볼록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를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져서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록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고,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그 배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지지수단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진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지지수단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개별적인 부착수단에 의해 지지수단에 부착되어진다.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은 볼록체결부를 돌출부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 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와 하부인접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은 오목체결부를 하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는 하부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져서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는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돌출부와 결속되어지고,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그 배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지지수단(support mean)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지지수단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개별적인 부착수단에 의해 지지수단에 부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은 볼록체결부를 돌출부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 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와 하부인접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은 오목체결부를 하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는 하부인접면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져서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돌출부와 결속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 인접면은 서로 이격되어지고 그 사이에서 배출 공기틈(drainage air gap)의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그 배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지지수단(support mean)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상기 블록의 일부 이상은, 지지수단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개별적인 부착수단(attachment mean)에 의해 지지수단에 부착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벽은 자립(self-supporting)되며, 연속적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지는 다수의 벽돌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즉 벽돌들을 열(row) 또는 레이어(layer)로서 나란히 배열되어질 수도 있다.
지지수단은 벽 뼈대수단(wall furring mean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벽 뼈대수단은, 예를 들어 (아래에 위치하는 벽 지지구조에) 고정된 나무의 평면 패널이 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벽 뼈대수단은, (못, 나사 등에 의해서) 블록의 일부 이상이 부착되어지는, 다수의 수평하게 연장되며, 수직하게 이격된 (나무의) 레일(rail) 또는 스트립(strip)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돌출면을 가지는 각각의 뼈대스트립과 블록의 배면부는 레일들 중 상응하는 하나의 돌출표면을 수용하고 맞추어지도록 형상화된 길이방향의 홈(longitudinal recess)을 가질 수도 있다. 블록의 배면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벽 지지구조 사이에 공기틈새(air gap)를 제공하도록, 나무 스트립은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으로부터 블록을 이격하도록 제공되어진다.
벽은 견고한 바닥면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저 유닛(base unit)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기저 유닛은 평면표면(planar surface)을 가지는 구조구부상에 견실하게 위치되도록 채택된 지지표면(bearing surface)을 가진다. 상기 기저 유닛은 보충적인 오목체결부 내에 위치되도록 형상화된 볼록 이면 돌출부(convex dihedral protrusion)이 제공되어진 상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저 유닛은 상기 하부면을 형성하도록 인접한 기저 유닛의 측면과 짝을 이루도록 형상화된 한 쌍의 반대편 측면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볼록체결부는 지지구조물에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내장 시트(inset sea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요소는 후면 지지수단에 부착가능한 쉐브론-형 브래킷(chevron-shaped bracket)에 연결되도록 형상화되어진다. 예를 들어, 블록의 배면은 그 측면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홈이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 홈은 지지수단에 라이닝 레일(lining rail)을 연결하도록 형상화되어지고 크기로 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벽과 관련하여, 블록의 각각의 열의 인접한 블록들은 그들 사이에 조인트(joint)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들은, 만일 필요하다면, 블록의 다수의 수평한 칼럼을 형성하도록 서로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쌓이며, 상기 칼럼들 사이의 조인트들은 다소 평행하게 되어진다. 대안적으로, 블록들 사이의 조인트들은 수평적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형태들은 물의 침투를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블록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열은,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열에서 각각의 쌍들의 인접하는 아래 블록들과 결속되도록, 그리고 상기 쌍들의 인접하는 아래 블록들 사이의 조인트가 걸쳐지는(straddle) 블록들을 포함한다. 만일 요구된다면, 블록의 각각의 열의 인접하는 블록들은 그들 사이에서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블록의 상부열 내의 각각의 블록들은 상기 각각의 조인트에 걸쳐지며, 상기 각각의 조인트를 형성하는 아래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블록들과 결속된다. 걸쳐진 블록(straddling block)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질 수 있으며,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 쌍들의 조인트에 걸쳐서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어질 수도 있다. 즉, 블록들은 엇갈리는 방법으로 쌓여질 수도 있다.
다음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블록(block, 1)은 두 개의 측면 단부(side end, 2,3)를 가진다. 화살표(4)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블록(1)은 상부면(top face, 5)을 가진다. 화살표(6) 방향으로 볼 때는, 블록(1)은 하부면(bottom face, 7)을 가진다. 화살표(8) 방향으로 볼 때, 블록(1)은 정면(front face, 9)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화살표(10)방향으로 볼 때, 블록(1)은 배면(rear face, 11)을 가진다. 상기 측면(2,3)들은 상부면(5), 하부면(7), 정면(9) 및 배면(11)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상부면(5)은 돌출부(ledge element, 17) 및 상부인접면(18)을 가지는 하강배출면 뿐만 아니라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로 구성된다.
하부면(7)은 하단부(foot element, 22) 및 하부인접면(23)을 가지는 전면부뿐만 아니라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로 구성된다.
참고선(25)은 블록(1)이 그 속에서 일체화되어지는 벽체의 벽면의 평면을 나타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9)은 상기 벽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벽면에 대해 둔각(30)을 형성한다. 반대로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벽면의 평면과 각각 예각(31), (32)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은 다소 수직을 형성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벽면은 수직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하강면 부분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각들은 배수를 위해 확실히 하도록 물이 하강면 부분을 따라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단.
배면(11)은 상측배면(upper rear face element, 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배면(35)은, 상측배면(35) 전체를 가로질러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면(projection, 37)으로 구성된다. 만일 필요하다면, 상기 돌출면(37)은 도 24 및 도 2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목(furring member)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돌출면(37)은 상부면의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수직으로 연장구성될 수도 있다. 도 9 에서 알 수 있듯이 하측배면은 화살표(10) 방향으로 전방으로 설치된다.
상기 블록(1)은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까지 연장구성되는 안내요홈(guide groove, 40)을 포함한다. 안내요홈(40)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블록의 몸체 내에 구멍의 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되어진다. 상기 구멍들은 못 또는 스크류에 의해 부목과 같은 후방지지부에 블록을 고정하는데 이용되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체결부(15) 및 오목체결부(20)는 모두 배면(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지고, 측단부(2)로부터 다른 측단부(3)까지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만일 필요하다면 상기 볼록체결부는 한쪽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연장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짧은 볼록체결부가 평면 부분들 사이에서 배면의 변부와 브래킷되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목체결부는 도시된 것처럼 개방단부 요홈이 아니고 그 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물론 볼록체결부는 블록들을 상호체결하도록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적절한 모양을 가진다. 볼록체결부(15)는 이면각(dihedral angle, 45)을 가지고, 오목체결부(20)는 이면각(46)을 가진다.
후면 돌출면(37) 및 하측배면(36)은 동일하게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까지 연장구성된다. 상기 하측배면(36)은 도 2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지지수단에 블록을 고정하도록 이용되어질 수 있는 요홈면(groove, 42)을 포함한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정면(9)은 볼록체결부(15)에 대해 아랫방향으로 수직하게 차감되어지며, 즉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볼록체결부(15)는 정면(9)보다 수직으로 더 높게 위치한다.
정면(9)은 종래기술을 따르는 블록 또는 벽돌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상측 경사변부(bevelled edge, 50) 및 하측 경사변부(51)를 가진다. 상기 블록은 모든 적합한 길이, 높이 및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블록(1)의 크기는 이용가능한 몰딩 공정 및 빌딩 기초의 지지력(bearing capacity)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조적구조물의 외벽에 적합한 정면 및 배면사이의 폭은 대략 83mm 이다. 전체높이 P 및 정면높이 H를 가지는 블록(1)을 고려한다면, 예를 들어 P≥1.2H 및 특히 P = 2H의 관계를 가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처럼, 블록(1)은 콘크리트, 점토, 레진(resin) 또는 다른 몰딩가능한 재료에 의해 편리하게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도 3 에서와 같이, 상측 틈새요홈(62) 및 하측 틈새요홈(63)에 의해 형성되어진 틈새선(cleavage line, 61)을 따라 기초블록(parent block, 60)을 절단함에 의해서, 상기 블록(1)이 얻어질 수도 있다.
화살표(10)의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전진운동 또는 변위 및 화살표(8)의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방지되어지도록, 서로 체결상태에 있으며 기초블록(60)으로부터 얻어진, 두개의 블록(1)들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목할 사항으로 만약 도시된 것과 같이 단지 두 개의 블록(1)들만이 고려된다면 블록(1)의 형상에 대하여 상대적인 횡방향 상호체결 기능은 없다. 벽에 대해 상기 횡방향 구속작용은 블록들은 후방 지지수단에 부착함에 의해서 적어도 블록의 일부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에 얻어지게 된다.
하나의 블록(1)이 동일한 블록(1)위에 걸쳐서 배치되어진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의 하부 인접면(23) 및 하부 또는 아래에 놓이는 블록의 상부인접면(18)은,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1) 사이에 배치어지는 배출공기 틈새(drainage air gap, 66)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틈새(66)는 상호체결되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광폭부(wide part, 68)를 가진다. 또한 상기 틈새(66)는 연결되는 하단부 및 돌출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하측부(lower part, 69)를 가진다. 공기틈새(66)의 크기는 예를 들어 벽체 뒤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에 따라 변화가능하다.
도 5, 도 6 및 도 7과 관련한 형상은 원래의 완전한 블록모양으로부터 블록의 가능한 변형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변형예들은 도면부호 (70),(71),(72) 그리고 (74)로 나타난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한 형상은 상호체결된 블록들(1)의 특정한 모양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비록 상기에서처럼 언급된 것처럼 블록들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1)들이 상호체결 될지라도, 블록요소들의 일부는 블록의 제작에 기인한 작은 변형에 의해 야기되어지는 불균형적재(uneven staking)를 피하기 위한 것과 같이, 전술한 변형을 감소시키도록 블록의 상대적인 배치를 조절할 수 있는 약간의 제한된 역할을 블록에 제공하도록 하는 제한된 유극(limited clearance)이 제공되어지도록, 크기화되어진다. 가능한 간격들은 도 9 및 도 11에서 도면부호 (75),(76),(77)로써 표시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간격은 화살표(80)방향으로 약간의 미소한 선형운동을 허용하며 및/또는 화살표(81) 방향으로 약간의 미소한 회전운동 즉 예를 들어 지점(82)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허용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foot element)는 전체 표면에 걸쳐서 하부에 위치하는 돌출요소(ledge element)와 결합하지는 않는다. 즉 전면부에서는 간격(85)이 존재한다. 또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의 하측배면 요소는 도면부호(88)로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양으로 돌출면(37)에 대하여 전면을 향해 내부로 삽입되어진다.
도 12 및 도 13 은 일반적으로 블록(1)과 같은 블록들의 열들이 엇갈리게 적재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어지는 바와 같이, 중앙블록(central block, 89)은 연결부(joint, 90)의 양쪽에 균등하게 배치되어진다. 만일 상기 블록(89)이 더 이상 연결부(90)에 대하여 균등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한쪽으로 배치되어진다면 지그재그식 연결부들의 장점이 얻어질 수도 있다. 즉, 연결부(90)가 덮혀지는 한, 수직 연결부(joints)를 따라 물 침투(water infiltration)는, 수직 연결부가 블록의 기둥(column)들 사이의 직선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장점적으로 방지되어질 수도 있다.
도 8과 도 12와 관련하여, 상부 블록(1)은 볼록요소와 돌출요소 양자 모두에서 아래에 있는 블록(1) 위에 놓여질 수도 있고, 만일 필요하다면, 적절한 상호체결이 실질적으로 단지 돌출요소 상에서 실행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사 블록(like block)" 이라는 표현은,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더라도 여기서 기술된 바대로 그리고 방출틈새(discharge gap)를 형성할 수 있는 상부 인접면 및 하부 인접면을 가지는 경우와 같이 상호체결이 가능한 블록을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한 형상은, 블록(1)은 유사블록(95,96,97,98,99)과 상호체결되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유사블록(95,96,98,99)은, 각각의 공기틈새를 빗물이 존재할 때 예를 들어 바람의 작용에 기인하는 물 침투(water infiltration)의 감쇄를 강화하기 위한 다수의 유동감압 챔버(communicating decompression chamber)로 분할하도록 고려될 수 있는 인접면 요소 상에서 돌출부들을 가진다. 상기 돌출부 모두는 돌출부가 트랩 물(trap water)과 작용하도록 경사 상부면(102,103,104,105,106,107)을 가진다.
비록 공기틈새가 도면 상에서는 다소 쐐기 모양을 가지더라도, 공기틈새는 배출공기 틈새라면 어떠한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의 도면들은 추가적인 대안적인 블록 형상 그리고 결과적으로 다른 공기틈새 모양을 도시하고 있고, 상기 공기 틈새는 도면부호 (110)으로 표기되어진다. 기초블록(parent block, 112)은, 다른 기초블록(60)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 개의 블록(117)을 형성하는 틈새선(cleavage line, 115)을 따라 쪼갤 수 있다. 블록(117)들은 하부 인접면(120)의 모양을 제외하고는 블록(1)과 동일한 형상이 된다.
도 18 은 대안적인 블록의 형상을 나타낸다. 블록(122)은 안내요홈(guide groove, 40)을 가지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블록(1)과 동일하다. 안내요홈(40)의 위치에, 상기 블록(122)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배면(11)까지 연장구성되는 두개의 구멍(aperture, 127,128)을 가진다. 상기 구멍들은 예를 들어 점선 원(129)으로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 머리의 자리를 내도록 카운터싱크(countersink)되어질 수도 있다.
도 19 에 있어서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진다. 블록(130)은 특징을 이루는 개수를 제외하고는 블록(1)과 동일하다. 상기 블록(130)은 안내요홈(40)을 가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블록(130)은 블록을 후방 지지수단(rear support means)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bracket)을 결합하기 위한 내장시트(inset seat, 133)가 제공되어진다. 추가적으로, 상부 인접면(135)은 블록(1)의 상부 인접면(18)에 대하여 오목하게(recess) 되어진다. 최종적으로 하부 인접면(136)은 하부 인접면(23)과 같이 오목하게 되어지지는 않는다. 도 26과 관련하여, 유사블록(130)은 쐐기 모양의 공기틈새(138)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0, 21, 22와 관련한 형상은 블록(130)의 내장시트(inset seat, 133)를 결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141)이 구성된 브래킷(140)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예를 들어 벽 부목에 브래킷을 부착하기 위한 스크류(screw)와 같은 결속장치(fastener)를 결합하기 위한 부분(142)을 가진다. 상기 부분(142)에는 화살표(145)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면부호 (144)로 표기된 개구부(144)가 제공되어진다. 공간(146)은, 스크류헤드가 상측 블록(130)과 결합하지 않도록 스크류헤드에 대한 크기를 가진다.
도 23과 관련하여, 도 19 에 도시된 블록(130)의 수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진다. 상기 블록(145)은 내장시트(133)를 가지는 것 대신에, 예를 들어 못 또는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요홈(slot groove, 147)을 가진다. 상부 인접면(150)은 돌출부(152,153)가 제공되어진다.
도 24와 관련한 형상은 블록(1)을 이용한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스크류(154)는 하나의 블록(1)을 수평한 벽 부목요소(155)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도 25와 관련한 형상은, 블록들 중의 하나가 스크류(157)에 의해 부목(156)에 부착되어지는 또 다른 무-모르타르식 벽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다. 상기 블록은 블록들 중 제 1 열을 지지하며 결합하도록 형성되어지는 기저부재(base member, 158)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상기 기저부재(158)는 (도시되지 않은)스크류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어진다.
도 26에 있어서는,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물은, 수평으로 연장구성되며 수직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레일(rail, 16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레일(160) 각각은 정면 돌출부재(164)를 가지는 벽 부재(160a)에 고정되어지며, 블록(130) 상의 변형예를 형성하는 블록(165)의 배면은 상기 레일(160)들 중 해당하는 한 레일의 돌출부재(164)를 수용하고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되어진 요홈(groove, 42)을 가진다. 상기 레일들은 그 사이에 공기틈새를 제공하도록 하부벽 부재로부터 블록들의 배면을 이격시킨다. 상기 레일들은 금속 또는 목재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다.
도 26에서 도시된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물은, 상부 블록(165)의 기저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면부(168)와 지지 기저부를 연결하는 기저 배면부(167)를 가지는 기저 유닛(base unit, 166)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28, 29, 30 및 도 30과 관련하여, 다른 블록 구조물들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벽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3 의 블록(145)을 이용하는 벽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29는 하단부(171)가 하부의 블록(170)에 구성된 하부 돌출요소와 결합하지 않는 블록(170)을 나타낸다. 도 30은 스크류의 헤드(176)를 위한 카운터싱크(counter sink)를 가지지만, 상부 인접면과 하부 인접면 사이에 공기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블록(175)을 나타낸다. 도 31은 스크류의 헤드(176)를 위한 카운터싱크를 가지지만, 상부 인접면과 하부 인접면 사이에 공기 틈새를 형성하지 않고 하단부 및 돌출부를 가지지 않는 블록(180)을 나타낸다.
도 27과 관련한 형상은, 블록이 도 19의 블록(130)이며 상기 블록(130)들 중 하나는 스크류(186)에 의해 브래킷(140)에 의해 부목(185)에 대하여 제자리에 고정되는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블록(130)의 제 1 열은 블록(130)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형상화되어진 기저요소(base element, 187) 상에서 지지되어진다. 다시 상기 기저요소(187)는 부목(185)에 고정되는 기저부재(base member)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도 32는 작은원(192)으로 도시된 부착수단에 의해 블록들 중 단지 일부만이 벽 부목(190)에 부착되어지는 무-모르타르식 벽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하부의 기저 지지부재(194)는 하부의 벽 부재에 모두 부착되어진다.
도 33, 34, 35 및 도 36에서 도시된 것처럼, 무-모르타르식 석조벽은 모서리들(도 5,7,8) 및 창문(도 6)을 위한 마감 유닛(finishing unit)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각각은 모서리부 및 창문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형상을 제공하면서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130)과 일치되도록 형상하되어진다.

Claims (52)

  1.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구성(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볼록체결부(15)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20)를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15)는 볼록 및 오목 블록의 오목체결부(20)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록체결부(15)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tongue and mortise block)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면은 경사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3.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구성(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볼록체결부(15)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은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20)를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 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15)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15)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면의 전방면 부분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의 경사면 부분은 이격되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4.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구성(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17)와 상부 인접면(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18)은 볼록체결부(15)를 돌출부(17)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17)는 상부 인접면(18)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22)와 하부인접면(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23)은 오목체결부(20)를 하단부(22)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22)는 하부인접면(23)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 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22)는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돌출부(17)와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 인접면(18)들은 서로 이격되어지고, 그 사이에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인접면들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 부분을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질 때,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 인접면(18)들은 쐐기형상의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상의 틈은 광폭부(68)와 하측부(69)를 가지며, 상기 광폭부(68)는 체결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하측부(69)는 돌출부와 하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볼록체결부(15)와 오목체결부(20)는 배면 근처에 배치되어지고, 각각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한쪽 측면 단부에서 다른 쪽 측면 단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부는 측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요홈(recess)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요홈은 지지요소에 고정되어진 라이닝 레일과 연결되도록 형상화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11)은 상측배면(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배면(35)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와 결속되기 위한 돌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배면(36)은 상기 상측배면(35)의 돌출면(37)에 대하여 앞쪽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에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부까지 오목 및 볼록 블록을 통과하는 구멍의 드릴링을 쉽게 하기 위한 안내요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18) 내에 배치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한쪽 측면 단부로부터 다른 쪽 측면 단부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1.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구성(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17)와 상부 인접면(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18)은 볼록체결부(15)를 돌출부(17)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17)는 상부 인접면(18)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20)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이 그 사이에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질 때, 벽면과 돌출부(17)가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돌출부는 배치되어지고, 벽면과 상부인접면(18)도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부인접면이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2.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의 구성(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17)와 상부 인접면(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18)은 볼록체결부(15)를 돌출부(17)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17)는 상부 인접면(18)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22)와 하부인접면(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23)은 오목체결부(20)를 하단부(22)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22)는 하부인접면(23)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져서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체결부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록체결부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22)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돌출부(17)와 결속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 인접면(18)은 서로 이격되어지고 그 사이에서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이 그 사이에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질 때, 벽면과 돌출부(17)는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돌출부는 배치되어지고, 벽면과 상부인접면(18)도 그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부인접면이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인접면들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질때,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 인접면(18)들은 쐐기형상의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상의 틈은 은 광폭부(68)와 하측부(69)를 가지며, 상기 광폭부(68)는 체결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하측부(69)는 돌출부와 하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볼록체결부(15)와 오목체결부(20)는 배면 근처에 배치되어지고, 각각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한쪽 측면 단부에서 다른 쪽 측면 단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부는 측면 단부들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요홈(recess)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요홈은 지지요소에 고정되어진 라이닝 레일과 연결되도록 형상화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 상에 초기에 배치되어질 때, 벽면에 수직하게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제한된 조정을 허용하도록,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는 그 볼록부에 대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11)은 상측배면(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배면(35)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와 결속되기 위한 돌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배면(36)은 상기 상측배면(35)의 돌출면(37)에 대하여 앞쪽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에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부까지 오목 및 볼록 블록을 통과하는 구멍의 드릴링을 쉽게 하기 위한 안내요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18) 내에 배치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한쪽 측면 단부로부터 다른 쪽 측면 단부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
  20.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볼록체결부(15)를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오목체결부(20)를 정면에 연결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15)는 볼록 및 오목 블록의 오목체결부(20)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록체결부와 배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에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부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1. 제 20 항에 있어서, 오목 및 볼록 블록의 각각의 열의 인접한 오목 및 볼록 블록은 그 사이에 조인트를 형성하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나 이상의 열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아래에 있는 열 내의 각각의 쌍들의 인접하는 아래 블록과 결속되어지며, 아래에 위치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에 인접한 상기 쌍들 사이에 조인트가 걸쳐지도록 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그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그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볼록부는 지지요소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쉐브론-형 브래킷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장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은 그 측면단부들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홈은 상기 지지요소에 라이닝 레일(lining rail)을 연결하도록 형상화되어지고 크기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에 대하여, 상기 배면(11)은 상측배면(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배면(35)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와 결속되기 위한 돌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배면(36)은 상기 상측배면(35)의 돌출면(37)에 대하여 앞쪽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블록의 배면부까지 오목 및 볼록 블록을 통과하는 구멍의 드릴링을 쉽게 하기 위한 안내요홈(guide groove)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18) 내에 배치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한쪽 측면단부로부터 다른 쪽 측면 단부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기 상부인접면으로부터 블록의 배면까지 연장되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블록의 상부 인접면(18)에서 카운터싱크(countersink)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29.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17)와 상부 인접면(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18)은 볼록체결부(15)를 돌출부(17)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17)는 상부 인접면(18)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22)와 하부인접면(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23)은 오목체결부(20)를 하단부(22)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22)는 하부인접면(23)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15)는 볼록 및 오목 블록의 오목체결부(20)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22)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돌출부(17)와 결속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support means)에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부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0. 제 29 항에 있어서, 오목 및 볼록 블록의 각각의 열의 인접한 오목 및 볼록 블록은 그 사이에 조인트를 형성하며, 상부에 있는 오목 및 볼록 블록 열내의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기 각각의 조인트에 걸쳐져 있고 상기 각각의 조인트를 한정하는 아래에 위치하는 인접한 오목 및 볼록 블록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각각 그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그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이 그 사이에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돌출부(17)는 벽면과 돌출부(17)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상부인접면(18)은 벽면과 상부인접면(18)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볼록부는 지지요소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쉐브론-형 브래킷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장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은 그 측면단부들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홈은 상기 지지요소에 라이닝 레일(lining rail)을 연결하도록 형상화되어지고 크기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에 대하여, 상기 배면(11)은 상측배면(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배면(35)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와 결속되기 위한 돌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배면(36)은 상기 상측배면(35)의 돌출면(37)에 대하여 앞쪽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블록의 배면부까지 오목 및 볼록 블록을 통과하는 구멍의 드릴링을 쉽게 하기 위한 안내요홈(guide groove)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18) 내에 배치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한쪽 측면단부로부터 다른 쪽 측면 단부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기 상부인접면으로부터 블록의 배면까지 연장되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블록의 상부 인접면(18)에서 카운터싱크(countersink)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39.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이 연속적인 무-모르타르 중첩(overlapping)으로 쌓이는 벽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에 의해 이격된 두개의 측면 단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면(5)은 볼록체결부(tongue interlock element, 15)와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돌출부(17)와 상부 인접면(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인접면(18)은 볼록체결부(15)를 돌출부(17)에 연결하고, 상기 돌출부(17)는 상부 인접면(18)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7)은 오목체결부(mortise interlock element, 20)와 전방면(forward face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은 하단부(22)와 하부인접면(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인접면(23)은 오목체결부(20)를 하단부(22)에 연결하고, 상기 하단부(22)는 하부인접면(23)을 정면에 연결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단부, 상부면, 하부면, 정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과 아래에 위치한 블록(underlying block)이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 면이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블록의 정면이 벽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볼록체결부(15)는 볼록 및 오목 블록의 오목체결부(20)에 일치 가능하게 되어져서, 전방 및 후방 변위가 방지되어지도록 양 블록들이 체결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정면은 볼목체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아랫방향으로 차감되어지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전방면의 하단부(22)는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돌출부(17)와 결속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 인접면(18)은 서로 이격되어지고 그 사이에서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support means)에 오목 및 볼록 블록을 부착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일부분 이상은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각각의 수단을 이용하는 부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0. 제 39 항에 있어서, 오목 및 볼록 블록의 각각의 열의 인접한 오목 및 볼록 블록은 그 사이에 조인트를 형성하며, 상부에 있는 오목 및 볼록 블록 열내의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은 상기 각각의 조인트에 걸쳐져 있고 상기 각각의 조인트를 한정하는 아래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오목 및 볼록 블록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각각 그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그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볼록부는 지지요소에 상기 블록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지지요소에 부착되어지는 쉐브론-형 브래킷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장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은 그 측면단부들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홈은 상기 지지요소에 라이닝 레일(lining rail)을 연결하도록 형상화되어지고 크기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에 대하여, 상기 배면(11)은 상측배면(35)과 하측배면(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배면(35)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지고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배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지요소와 결속되기 위한 돌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배면(36)은 상기 블록의 상측배면(35)의 돌출면(37)에 대하여 앞쪽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틈은 다수의 유동 감압챔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6.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부 인접면(18)으로부터 블록의 배면부까지 오목 및 볼록 블록을 통과하는 구멍의 드릴링을 쉽게 하기 위한 안내요홈(guide groove)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요홈은 상부 인접면(18) 내에 배치되어지며 상기 블록의 한쪽 측면단부로부터 다른 쪽 측면 단부까지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인접면들은, 상기 오목 및 볼록 블록의 하부 인접면(23)과 상기 아래에 위치한 블록의 상부 인접면(18)들이 쐐기형상의 배출 공기틈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형상의 틈은 광폭부(68)와 하측부(69)를 가지며, 상기 광폭부(68)는 체결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하측부(69)는 돌출부와 하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틈은 다수의 유동 감압챔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목 및 볼록 블록에 대하여, 돌출부(17) 및 상부 인접면(18)은, 돌출부와 상부 인접면이 그 사이에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돌출부(17)는 벽면과 돌출부(17)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부인접면(18)은 벽면과 상부인접면(18)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틈은 다수의 유동 감압챔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5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에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은 상기 상부인접면으로부터 블록의 배면까지 연장되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블록의 상부 인접면(18)에서 카운터싱크(countersink)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KR1019970708633A 1995-06-02 1996-05-31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KR100472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856395A 1995-06-02 1995-06-02
US08/458563 1995-06-02
US8/458563 1995-06-02
US60723896A 1996-02-26 1996-02-26
US08/607238 1996-02-26
US8/607238 1996-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54A KR19990022154A (ko) 1999-03-25
KR100472394B1 true KR100472394B1 (ko) 2005-07-01

Family

ID=2703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633A KR100472394B1 (ko) 1995-06-02 1996-05-31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108995A (ko)
EP (1) EP0828899B1 (ko)
JP (1) JPH11505907A (ko)
KR (1) KR100472394B1 (ko)
CN (1) CN1090267C (ko)
AT (1) ATE246753T1 (ko)
AU (1) AU712639B2 (ko)
BR (1) BR9608996A (ko)
CA (1) CA2220413C (ko)
DE (1) DE69629372T2 (ko)
DK (1) DK0828899T3 (ko)
ES (1) ES2205041T3 (ko)
HU (1) HU223385B1 (ko)
MX (1) MX9709420A (ko)
NZ (1) NZ308425A (ko)
PL (1) PL180242B1 (ko)
PT (1) PT828899E (ko)
RO (1) RO116657B1 (ko)
TR (1) TR199701498T1 (ko)
UA (1) UA57708C2 (ko)
WO (1) WO1996038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54517A1 (en) 1998-11-03 2000-05-03 Michel Bouchard Manually breakable block
US6253518B1 (en) 1998-12-24 2001-07-03 Tony J. Azar Mortarless brick
CA2285832C (en) 1999-10-13 2005-09-20 Tony J. Azar Mortarless brick
US6588168B2 (en) 2001-04-17 2003-07-08 Donald L. Walters Construction blocks and structures therefrom
CA2359923C (en) * 2001-10-25 2004-12-14 Tony Azar Building blocks
AU2003257281A1 (en) 2003-08-19 2005-03-07 Agostino Di Trapani Wall cladding assembly
CN1601023A (zh) * 2003-09-23 2005-03-30 汪荣勋 用于形成墙体的砌块及其形成的墙体以及砌块的用途
CN100359102C (zh) * 2004-07-07 2008-01-02 汪荣勋 透水留土墙体及其用途
CA2589263A1 (en) * 2004-12-02 2006-06-08 Purepine Mouldings Limited A weatherboard system and related means of/or providing a weatherboard assembly
RU2007125048A (ru) * 2005-01-05 2009-02-20 Новабрик Интернешнл Инк. (Ca) Нача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укладываемых взаимно сцепляющихся кирпичей
CA2492250C (en) 2005-01-11 2013-10-08 Novabrik International Inc. A molding equipment and method to manufacture stackable inter-engaging bricks, blocks, stones and the like with a smooth or embossed face
FR2900948A1 (fr) * 2006-05-11 2007-11-16 Christian Gimonet Revetement de facade a clin en beton
NZ578903A (en) 2007-02-12 2012-03-30 Kingspan Res & Dev Ltd Composite cladding panel including blocks and insulating material
USD607066S1 (en) * 2007-10-10 2009-12-29 Sonja Dickerson-Faust Doll
US20100242390A1 (en) * 2008-11-18 2010-09-30 Lee Lum Mark E Ventilated building block with drain feature
US7757451B2 (en) * 2008-11-18 2010-07-20 Lee Lum Mark E Ventilated building block
CA2684275A1 (en) * 2009-11-03 2011-05-03 Slab Innovation Inc. Retaining wall block
WO2011144764A2 (es) * 2010-05-21 2011-11-24 Medina Guillen Juan Carlos Sistema de fabricación de muros
JP5753367B2 (ja) * 2010-11-09 2015-07-22 ヒロセ株式会社 擁壁パネルを用いた擁壁構造
US8448403B1 (en) * 2012-07-09 2013-05-28 David Wallace Water catchment building block
US9556618B2 (en) * 2012-09-20 2017-01-31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Panel with compressible projections and masonry wall system including the panel
GB2535901B (en) * 2013-09-16 2018-04-18 E Lee Lum Mark Ventilated building block and related mold components
US20170152664A1 (en) * 2015-09-10 2017-06-01 Jay Russell Kelley Mortarless brick panel
CN105507453B (zh) * 2015-11-25 2018-03-27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累叠式多层结构外墙
CN105464243A (zh) * 2015-12-20 2016-04-06 重庆市泰日建材有限公司 蒸压加气精确砌块的薄层砂浆砌筑法
CN105667989A (zh) * 2016-02-28 2016-06-15 李理 一种凹型砌块堆放架
PL422755A1 (pl) * 2017-09-05 2019-03-11 Przedsiębiorstwo Realizacyjne Inora - Inorganic Activities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Bloczek budowlany
CN111511992A (zh) * 2017-12-11 2020-08-07 坦萨国际公司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CN109779088B (zh) * 2019-03-13 2024-02-13 厦门大学嘉庚学院 用于稳固单层免砂浆砌块的爪件及墙体及施工方法
CN115110569A (zh) * 2022-06-10 2022-09-27 程凯 一种浇筑预制式挡土墙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205267A (en) * 1902-03-03 1902-06-12 Frank Russell A Weather Casing Brick for the Casing of Old or New Walls of all Descriptions both Interior and Exterior
US865654A (en) * 1906-03-22 1907-09-10 Hugo Noack Waterproof building-block.
US1543635A (en) * 1923-01-24 1925-06-23 Gladys E Wickson Building block
US1833442A (en) * 1929-04-05 1931-11-24 Robertson Art Tile Co Cap tile
US1981324A (en) * 1933-03-23 1934-11-20 Elrey G Peterson Interlocking partition block
US2141035A (en) * 1935-01-24 1938-12-20 Koppers Co Inc Coking retort oven heating wall of brickwork
US2269509A (en) * 1938-03-05 1942-01-13 Michael J Batelja Plastic composition
US2323661A (en) * 1939-10-18 1943-07-06 Detrick M H Co Furnace wall construction
US2341971A (en) * 1940-12-13 1944-02-15 American Arch Co Sectionally supported wall
US2482986A (en) * 1947-09-04 1949-09-27 Mayme R Mcclatchey Modeling clay
US2550945A (en) * 1948-03-10 1951-05-01 Living Stone Establishment Building block
US2622864A (en) * 1952-06-25 1952-12-23 Carbonic Dev Corp Regenerator packing construction
US2833027A (en) * 1954-05-05 1958-05-06 Majik Ironers Inc Method for preparing backwound springs for use in spring motors
FR1150006A (fr) * 1956-04-23 1958-01-06 Panneau de construction préfabriqué
US3167440A (en) * 1960-05-17 1965-01-26 Rainbow Crafts Inc Plastic modeling composition of a soft, pliable working consistency
CH392588A (de) * 1960-12-02 1965-05-31 Pertien Johannes Bauelement, insbesondere ein Pflasterelement
US3183108A (en) * 1962-08-06 1965-05-11 Rainbow Crafts Inc Plastic type modeling compound
US3804654A (en) * 1972-02-07 1974-04-16 Gen Mills Fun Group Inc Modeling composition
US3870423A (en) * 1973-03-09 1975-03-11 Jr Josef Peitz Composite stone arrangement for pavements
JPS52143122A (en) * 1976-05-25 1977-11-29 Nippon Flour Mills Handicraft plastic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U528141B2 (en) * 1979-03-13 1983-04-14 Verve Enterprises P/L. Modelling compound
FR2463840A1 (fr) * 1979-08-24 1981-02-27 Limousin Louis Elements modulaires emboitables et leurs procedes d'assemblage
JPS60102340U (ja) * 1983-12-19 1985-07-12 合名会社 大沢商店 タイルの支持具
GB8428191D0 (en) * 1984-11-08 1984-12-19 Crighton J W Building blocks
DE3505530A1 (de) * 1985-02-18 1986-08-21 Sf-Vollverbundstein-Kooperation Gmbh, 2820 Bremen (beton-) formstein fuer stuetzmauern sowie stuetzmauer
US4698942A (en) * 1985-05-09 1987-10-13 Swartz Gary D Clip for holding and spacing siding panels
GB2185512B (en) * 1986-01-21 1989-11-01 Mccauley Corp Ltd Retaining wall system
JPH0663337B2 (ja) * 1987-03-05 1994-08-22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タイルブロツク外装壁
JPH0644981Y2 (ja) * 1989-03-29 1994-11-1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タイル壁体の施工構造
FR2646448B1 (fr) * 1989-04-27 1992-03-20 Chapuis Philippe Procede de construction d'un ouvrage d'art, blocs de par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et ouvrage d'art ainsi realise
US5077952A (en) * 1989-10-12 1992-01-07 Monier Roof Tile Inc. Roof tile clip
DE4027517A1 (de) * 1990-08-30 1992-03-05 Winfried E Scholta Formstein
US5205675A (en) * 1992-03-10 1993-04-27 Hamel Arthur L Precast cribbing wall system
CA2092579C (en) * 1992-08-27 1997-10-07 Jacques Rodrigue Block interlock offsetting key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US5349802A (en) * 1992-12-29 1994-09-27 Kariniemi Stephen D Positioner/fastener
US5337527A (en) * 1993-02-09 1994-08-16 Jack Wagenaar Building block
US5428934A (en) * 1993-11-26 1995-07-04 Tomek; Debby E. Interlocking slab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9372D1 (de) 2003-09-11
EP0828899B1 (en) 2003-08-06
AU5806996A (en) 1996-12-18
WO1996038636A1 (en) 1996-12-05
PL180242B1 (pl) 2001-01-31
HUP9802631A2 (hu) 1999-03-29
RO116657B1 (ro) 2001-04-30
HUP9802631A3 (en) 2000-02-28
DE69629372T2 (de) 2004-07-22
AU712639B2 (en) 1999-11-11
BR9608996A (pt) 1999-12-14
CN1186529A (zh) 1998-07-01
KR19990022154A (ko) 1999-03-25
ATE246753T1 (de) 2003-08-15
MX9709420A (es) 1998-10-31
CA2220413A1 (en) 1996-12-05
DK0828899T3 (da) 2003-11-24
HU223385B1 (hu) 2004-06-28
CA2220413C (en) 2004-07-27
TR199701498T1 (xx) 1998-02-21
UA57708C2 (uk) 2003-07-15
NZ308425A (en) 1999-02-25
PT828899E (pt) 2003-12-31
EP0828899A1 (en) 1998-03-18
PL323783A1 (en) 1998-04-27
US6108995A (en) 2000-08-29
CN1090267C (zh) 2002-09-04
JPH11505907A (ja) 1999-05-25
ES2205041T3 (es) 200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394B1 (ko)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EP1395720B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stone masonry wall
CA2370192C (en) Primary connector for pre-cast structures
US4700527A (en) Concrete masonry block wall cladding construction system and blocks for same
EP1054116A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RU2380499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пло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EP1412595B1 (en) Cladding system
US5009051A (en) Clip construction for aligning siding sections
JPH0230814A (ja) 盛土体の表面被覆
JPH068557B2 (ja) タイルブロツクを用いた建物の外装壁
JP2004278224A (ja) 壁面施工アセンブリ,化粧板,化粧板固定部材,目地部材および壁面施工方法
JPS6317791Y2 (ko)
CA2332671A1 (en) Interlocking panels with infinitely variable relative positioning
RU2172807C2 (ru) Блок для сооружения стены без строительного раствора и стена из подобных блоков
JPH0365458B2 (ko)
JPS61266767A (ja) 建物の外装壁
JP2540396B2 (ja) 建築物の排水縦樋を有する壁構造
JPH0242811Y2 (ko)
JPH0547701B2 (ko)
JPH038733Y2 (ko)
JPH0548345B2 (ko)
SU630377A1 (ru) Облицовка стен сооружений
JPS625468Y2 (ko)
JP2951813B2 (ja) 内外装壁の縦目地接続構造
JP2951811B2 (ja) 内外装壁の横目地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