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022A -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 Google Patents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022A
KR20220112022A KR1020210015497A KR20210015497A KR20220112022A KR 20220112022 A KR20220112022 A KR 20220112022A KR 1020210015497 A KR1020210015497 A KR 1020210015497A KR 20210015497 A KR20210015497 A KR 20210015497A KR 20220112022 A KR20220112022 A KR 2022011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ive area
cutting
present
neighboring
sukiw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철
Original Assignee
박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철 filed Critical 박진철
Priority to KR102021001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022A/ko
Publication of KR2022011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04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ceramics, glass or concrete,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4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oof covering or structure with integral or premounted fastening means
    • E04D2001/344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oof covering or structure with integral or premounted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being integral or premounted to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6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through apertures, holes or sl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구(瓦口)와 언강의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함은 물론 이웃하는 기와와의 적층 유효면적 확보, 경량성 확보, 곡강도 보완, 결로와 빗물의 배수 경로 안내 등 기와로서의 기능이 적극 향상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0);와, 몸체의 미구(尾口)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몸체의 와구(瓦口)에 진입하는 언강(20);과, 언강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몸체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3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The clay roofing tile}
본 발명은 암키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하는 부와의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구(瓦口)와 언강의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함은 물론 이웃하는 기와와의 적층 유효면적 확보, 경량성 확보, 곡강도 보완, 결로와 빗물의 배수 경로 안내 등 제반 기능이 적극 향상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기와는 한와(韓瓦)라고도 하며, 설치될 위치에 따라 여와(암키와)와 부와(수키와)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이 중 부와는 흙으로 구워 만든 작은 원통을 세로로 양분한 것으로, 두 여와 사이에 생기는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부와는 형태에 따라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의 지름보다 좁게 제작된 토시모양의 무단식(無段式)과, 하단부에 부와를 서로 연접하기 위한 언강이라고 불리는 턱을 만들어 물림자리인 미구가 내밀고 있는 유단식(有段式)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상기 부와는 작은 원통과 같은 나무로 된 제작틀인 모골(模骨)을 회전대 위에 올려놓고 삼베를 씌운 다음, 네모난 점토판을 그 바깥쪽에 둥그렇게 돌려 붙여 무늬가 새겨진 방망이로 두들겨 성형하게 되는데 이것을 날기와라고 하며, 날기와는 약 10여 일간 음지에서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세로로 양분한 후 경사가 많은 가마에 넣고 1,000℃ 내외의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이러한 부와는 주로 햇빛과 눈, 빗물 등으로부터 건물 내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구조 개선을 통해 상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1542541호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기와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배수홈이 구비되고, 각 배수홈으로 하여금 빗물의 내부 누수를 차단하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유도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기와의 표면 전체에 배수홈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돌부와 요홈이 배치되어 취급과 보관이 취약하고, 더욱이 돌부와 요홈으로 인해 이웃하는 기와와의 적층 유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기와가 시공에 사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기와와 관련한 기술사례 중 또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89245호 "암키와, 수키와 및 기와"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한옥 건물의 지붕을 시공함에 있어서 암키와 또는 수키와를 상호 적층 시 서로 이웃하는 기와와의 접지면에 곡면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끼움 개재되는 가스켓에 기인하여 각 기와 간 결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홈을 가공하는 과정, 별도의 가스켓을 생산하는 과정, 시공시 가스켓을 홈에 개재시키는 과정 등 생산성과 시공성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기술이다. 덧붙여 해당 기술의 가스켓은 이중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되는바 이는 날씨의 변화에 따라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단 수명에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기와와의 적층 유효면적 확장, 초경량성, 취약 영역의 곡강도를 만족하는 형태로 제공되면서 결로 내지 빗물의 배수성 또한 개선되게 구비하여 기와의 수명이 적극 보장되고, 나아가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반 구조가 적극 개선된 부와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42541호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등록특허공보 제10-1289245호 "암키와, 수키와 및 기와"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와구(瓦口)와 언강의 구조 개선으로 초경량의 기와를 제공함과 아울러 와구와 언강의 연접이 수월하면서도 밀접하게 이루어져 우수하고 견고한 시공성이 발휘되는 기능성 부와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와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성을 확보하되, 이로 인해 저하된 내구성과 곡강도를 보완할 수 있도록 제반 구조를 개선하고, 특히 결로 내지 빗물의 배수 경로를 특정하여 건축물로의 누수를 적극 방지 유도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는 기능성 부와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로 하여금 이웃하는 기와와의 유효면적이 적극적으로 향상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기와와의 인터록킹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성 부와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부와는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0);와, 몸체의 미구(尾口)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몸체의 와구(瓦口)에 진입하는 언강(20);과, 언강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몸체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와구의 내경을 설정 각도로 절삭 처리함으로써 이웃하는 언강(20)의 진입을 허용하는 절삭면(11)을 포함하고, 상기 언강(20)은 절삭면(11)의 절삭각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호 밀접하게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면(11)은 와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설정 폭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1) 및 걸림부에서 미구 방향으로 10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에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2)는 중심부를 절삭함으로써 설정 폭을 가진 배수로(R)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에 포집된 결로 내지 빗물이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강(20)은 두께를 축소하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살(21)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축소된 두께에 의해 저하된 곡강도가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내경에 계단 형태로 다단 형성된 복수의 단턱(12)을 포함함으로써 결로 내지 빗물의 정수량(停水量)을 분할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이웃하는 기와간 적층 유효면적의 확장과 곡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와구(瓦口)의 내경을 설정 각도로 절삭 처리함으로써 언강의 진입을 수월하게 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언강의 외경을 와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호 밀접한 연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더욱 견고한 한옥 지붕을 시공할 수 있는 주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기와의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성을 확보함으로써 생산과 운반, 시공성이 적극 향상되고, 특히 기특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부와 고정부에 기인하여 기와의 감소된 두께로 인해 저하된 곡강도가 적극 보완됨에 따라 기존 대비 우수한 성능과 시공성을 가진 기능성 부와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와 고정부를 통해 기와에 포집된 정수(停水)의 신속한 배출이 유도되고, 시공 시 이웃하는 기와의 걸림부와 고정부의 인터록킹으로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견고한 한옥 건물을 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점토 부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와구와 언강의 연접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부와 간 인터록킹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서로 밀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암키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하는 부와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와구(瓦口)와 언강의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함은 물론 이웃하는 기와와의 적층 유효면적 확보, 경량성 확보, 곡강도 보완, 결로와 빗물의 배수 경로 안내 등 기와로서의 기능이 적극 향상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점토 부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의 저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부와는 원통을 세로로 양분함으로써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여와 사이에 생기는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하는 수키와를 의미한다. 상기 부와는 주로 원와(圓瓦)·남와(男瓦)·웅와(雄瓦)라고도 불리며, 점토를 성형한 후 구워 만든 원통을 세로로 양분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반원의 형상을 가진 여와는 자체 곡면에 의해 결로 내지 빗물이 고이지 않고 즉시 암키와로 배출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부와는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0);와, 몸체의 미구(尾口)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몸체의 와구(瓦口)에 진입하는 언강(20);과, 언강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몸체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토를 원통형으로 빚어 말린 후 건조하고, 다시 열로 구운 후 세로방향으로 양분하여 분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동그란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한옥 지붕의 산지위 바닥에서 내경이 상부를 향하도록 다단 적층 설치된 한 쌍의 암키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함으로써 틈새를 차폐하여 결로 내지 빗물의 누수를 차단한다.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성을 확보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mm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곡강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정면 즉 앞머리 영역을 미구(尾口)라 하고, 배면 즉 뒤뿌리 영역을 와구(瓦口)라 한다. 일반적으로 부와의 미구에는 이웃하는 부와와의 연접을 위한 언강이 형성되고, 부와의 와구에는 시공 위치에 따라 이웃하는 부와의 진입을 허용하는 공간 또는 막새부와 주연부로 구성되며 덧붙여 주연부가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연꽃잎, 자엽, 사이잎, 자방, 연자 등이 포함된 무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10)는 미구의 안지름을 설정 각도로 절삭 처리하는 가공 즉, 테이퍼 가공을 통하여 다소 확장된 안지름을 확보하며, 이렇게 절삭 처리된 면을 본 발명에서는 절삭면(11)이라 지칭한다. 상기와 같이 미구의 확장 가공으로 해당 영역의 두께가 축소되면서 경량성이 확보되고, 더불어 확장된 공간으로 언강(20)의 진입이 수월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한 시공성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절삭면(11)은 와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설정 폭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1)와, 걸림부에서 와구 방향으로 10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에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11-1)와 고정부(11-2)는 시공시 이웃하는 부와와의 인터록킹이 유도되어 적층 위치를 고수시키면서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유발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1-1)와 고정부(11-2)는 소정의 높이, 폭, 두께로 이루어져 결로와 빗물의 배수 경로를 안내하거나 특정 영역으로 범람 또는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몸체(10)의 두께 감소로 인해 저하된 곡강도를 적극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동반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2)는 중심부를 절삭함으로써 설정 폭을 가진 배수로(R)가 더 형성됨에 따라 몸체에 포집된 결로 내지 빗물의 배수를 유도한다. 특히, 상기 배수로(R)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병목현상을 해소하였다.
덧붙여, 상기 배수로(R)는 미구에서 와구 방향으로 경사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경사로를 구비함으로써 몸체에 저수된 결로 내지 빗물이 와구로 배수를 유도하고, 반대로 와구에 생성된 결로 내지 빗물이 미구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11-2)는 배수로(R)가 형성됨에 따라 해당 부위에 곡강도는 다시금 저하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상기 경사로의 최고 높이를 고정부의 높이 기준 1/2의 높이 또는 2/3의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곡강도의 저하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부(11-2)의 높이가 10mm로 가정할 경우 상기 경사로의 최고 높이는 5 내지 7mm로 구성하는 것이 곡강도를 적극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조건이다.
상기 언강(20)은 몸체(10)의 미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이웃하는 부와를 연접하기 위한 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언강은 전체적으로 두께를 축소함으로써 생산시 사용되는 소재량을 절약하고 전체적인 무게 감소에 일조한다.
상기 언강(20)은 몸체(10)의 와구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본 발명은 와구에 형성된 절삭면(11)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연접시 상호 밀접하게 적층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언강(20)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살(21)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격자의 형태로 배치되어 감소된 두께로 저하된 몸체의 곡강도를 보완한다.
상기 보강살(21)은 걸림부(11-1)와 고정부(11-2)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여 걸림부와 고정부에 모두 밀접하게 배치되어 인터록킹을 유발시켜 견고한 결합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내경에 계단 형태로 다단 형성된 복수의 단턱(1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10)는 계단식 단턱(12)에 의해 내경이 물결 무늬처럼 곡면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2)은 자체적으로 보강살이 되어 몸체의 곡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시공시 여와와의 적층 유효면적이 향상된다.
예컨대, 상기 부와는 시공전 안전하게 대량 보관하기 위해 부와의 내경을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한 후 복수의 부와를 동일한 조건으로 다단 적층하며, 만약 보관 중에 부와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비가 내려 내경에 물이 저수될 경우 물결무늬로 이루어진 곡면으로 물이 분할되어 추후 건조시간을 적극적으로 단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단턱(12)은 결로 내지 빗물에 노출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점토로 이루어진 부와의 수명을 장기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능성 부와는 와구(瓦口)의 내경을 설정 각도로 절삭 처리함으로써 언강(20)의 진입을 수월하게 하여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언강의 외경을 와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호 밀접한 연접이 이루어지게 되어 더욱 견고한 한옥 지붕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기와의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성을 확보함으로써 생산과 운반, 시공성이 적극 향상되고, 특히 기특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부(11-1)와 고정부(11-2)에 기인하여 기와의 감소된 두께로 인해 저하된 곡강도가 적극 보완됨에 따라 기존 대비 우수한 성능과 시공성을 가진 기능성 부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1-1)와 고정부(11-2)를 통해 기와에 포집된 정수(停水)의 신속한 배출이 유도되고, 시공시 이웃하는 기와의 걸림부와 고정부의 인터록킹으로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견고한 한옥 건물을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
20. 언강
30. 못구멍

Claims (5)

  1.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0);
    몸체의 미구(尾口)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몸체의 와구(瓦口)에 진입하는 언강(20);
    언강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적층된 복수의 몸체가 구속되도록 못의 진입을 허용하는 못구멍(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와구의 내경을 설정 각도로 절삭 처리함으로써 이웃하는 언강(20)의 진입을 허용하는 절삭면(11)을 포함하고,
    상기 언강(20)은 절삭면(11)의 절삭각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호 밀접하게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11)은 와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설정 폭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1) 및 걸림부에서 미구 방향으로 10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에 곡면을 따라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2)는 중심부를 절삭함으로써 설정 폭을 가진 배수로(R)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에 포집된 결로 내지 빗물이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강(20)은 두께를 축소하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살(21)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축소된 두께에 의해 저하된 곡강도가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KR1020210015497A 2021-02-03 2021-02-03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KR20220112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97A KR20220112022A (ko) 2021-02-03 2021-02-03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97A KR20220112022A (ko) 2021-02-03 2021-02-03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22A true KR20220112022A (ko) 2022-08-10

Family

ID=8284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97A KR20220112022A (ko) 2021-02-03 2021-02-03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02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5B1 (ko) 2011-08-12 2013-07-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암키와, 수키와 및 기와
KR101542541B1 (ko) 2014-10-07 2015-08-06 주식회사 대동요업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5B1 (ko) 2011-08-12 2013-07-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암키와, 수키와 및 기와
KR101542541B1 (ko) 2014-10-07 2015-08-06 주식회사 대동요업 역류 방지가 가능한 기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2022A (ko)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 향상에 기인하여 시공성이 개선된 기능성 점토 부와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KR200495798Y1 (ko) 배수가 향상된 지붕 강판 구조
CN216075809U (zh) 一种改进找平隔音楼板
CN213741927U (zh) 一种可屋面雨水导流的树脂瓦板
CN210342453U (zh) 一种用于屋面的多孔收水砖
CN214271537U (zh) 路面铺装用透水混凝土预制件及预制件铺装路面
KR102416068B1 (ko) 시공 효율성이 우수한 기능성 그을림한식 이단기와
CN104285708A (zh)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JP3182239U (ja) 盛土用ブロック
KR20220112024A (ko) 유효면적 확장 및 배수 효율성에 기여하는 기능성 여와
KR102333265B1 (ko) 기와간 적층 유효 면적이 확장된 경량 기와
KR200257173Y1 (ko) 기와
CN106481008A (zh) 一种民建房屋构造
CN209307798U (zh) 透水环保砖
CN206319477U (zh) 具有较高的结构稳定性和抗震性的砌块砖
KR101826319B1 (ko) 균열 저감을 위한 신축 줄눈대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방법
CN111560990A (zh) 一种地下室防渗水排水结构
CN219490567U (zh) 一种透水砖
KR101096195B1 (ko) 조립식 보도블록 시스템
CN211897656U (zh) 一种建筑用低碳环保砖
JP4654159B2 (ja) 軒先瓦
CN220978647U (zh) 一种抗震耐冲击瓷砖
CN216688874U (zh) 拼接式植草砖
CN213013769U (zh) 透水性排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