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7896A1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7896A1
WO2015037896A1 PCT/KR2014/008424 KR2014008424W WO2015037896A1 WO 2015037896 A1 WO2015037896 A1 WO 2015037896A1 KR 2014008424 W KR2014008424 W KR 2014008424W WO 2015037896 A1 WO2015037896 A1 WO 20150378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lf
film
adhesive
resin composition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4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현주
박승영
서진화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653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66846B2/ja
Priority to US14/442,623 priority patent/US20160280975A1/en
Priority to EP14844954.9A priority patent/EP2949718B1/en
Priority to CN201480021945.XA priority patent/CN105143387B/zh
Publication of WO20150378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7896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9/00Adhesives based on polycarbonat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Definitions

  •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alkylene carbonate and self-adhesive film prepar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mposition for self-adhesive film containing polyalkylene carbonate, and a self-adhesive film produced therefrom.
  • Self-adhesive film is a film that can be repeated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the use of an adhesive due to the adhesive force itself as a film itself, it is widely used in advertising films, decorative films, electronic component protective film.
  • Polyethylene, pulley 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and the like are mainly used as a base resin for the production of such self-adhesive films, and in order to impart adhesive strength and flexibility, tackifiers and plasticizers are used.
  • the self-adhesive film leaves a residue (adhesive component, oil, etc.)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during repeated attachment and desorption processes, which may cause contamination of the adherend.
  • the previous self-adhesive film not only had a limit in securing a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but also had a limit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ecure stable adhesive performance, such as a sudden change in adhesive force depending on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adhe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adherends of various materials, but does not leave residue upon repeated use.
  • the self-adhesive property enables the expression of stable adhesive properties due to a low rate of change in adhesive strength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It is for providing a fil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for a self-adhesive film to enable the production of such a self-adhesive film and to control the adhesive strength in a wider range.
  • a resin composition for self-adhesive film comprising a polyalk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4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of 10 to 1,000.
  •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he polyalkylene carbonate, and 1 to 20 increase ./. Of ethylene carbonate at 80 to 99 weight 0 /.
  • the polyalkylene carbonate may be o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1,000,000.
  • the polyalkylene carbonate may be polyethylene carbonate, polypropylene carbonat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elf-adhesive film formed from the said resin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self-adhesive film has an adhesive strength of 10 to 70 according to a 180 degree peel test performed on a glass substrate under a temperature of (20 ⁇ 5) ° C. and a relative humidity condition of (50 ⁇ 2)%. It can be g / inch.
  • the self-adhesive film may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formula 1:
  • a 0 represents the adhesive strength (g / inch) of the film according to a 180 degree peel test performed on a glass substrate under a temperature of (20 ⁇ 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 2)%,
  • a 85 is applied to a film attached to the glass substrate at a temperature of (85 ⁇ 5) ° C. and
  • the self-adhesive film may be used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adherend of the glass
  • the self-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adhe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adherends of various materials, it does not leave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during repeated use, and in particular, the rate of change of the adhe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is low. It can exhibit more stable adhesive properties in various environments.
  • the self-adhesive film can be easily adjusted in a wider range of adhesive strength,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surface protection film for the adheren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 or plastic.
  • the meaning of "included”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or component, excluding the addition of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or component. It is not meant to be.
  • a film prepared from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alkylene carbonate as a base resin and ethylene carbonate as a plasticizer may exhibit adhesiveness with the film itself without a separate tackifier.
  • the film formed therefrom does not leave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 the film form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has a low rate of change in adhesive strength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and thus may exhibit more stable adhesive properties in various environments.
  • a resin composition for a self-adhesive film comprising a polyalkylene carbonate and an ethylene carbonate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provided: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4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of 10 to 1,000.
  • Polyalkylene carbonate is an amorphous polymer contain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it is included in the resin composition as a base resin.
  • th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alk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as a plasticizer is remarkably excellent. Since the adhesive strength can be exhibited, it is suitable for forming into a self-adhesive film for surface protection against adherend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 or plastic. In particular, previous self-adhesive resin compositions or films have a high temperature (eg
  • the self-adhesiv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lyalk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so that the change in adhesive strength can be minimized even when exposed to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thus more stable adhesion characteristics in various environments. Can be represented.
  • polyalkylene carbonate is biodegradable, unlike an aromatic polycarbonate, which is a similar series of engineering plastics, and h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dvantage in that it is completely decomposed into carbon dioxide and water and has no carbon residue.
  • Such polyalkylene carbonate can be obtained through copolymerization using an epoxide compound and carbon dioxide as monomers in the presence of an organometallic catalyst.
  • the epoxide-based compound is ethylene oxide, propylene oxide, 1-butene oxide, 2-butene oxide, isobutylene oxide, 1-pentene oxide, 2-pentene oxide, 1-nuxene oxide, 1-octene oxide, cyclo Pentene oxide, cyclonuxene oxide, styrene oxide or butadiene monooxide, or the like, or two or more of various epoxide-based compounds selected from them.
  • Such polyalkylene carbonate may be a single 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a copolymer including two or more repeating unit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Formula 1, or It may be a copolymer including an alkylene oxide-based repeating unit and the like together with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 polyalkylene carbonate is at least one kind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from about 40 mole 0/0, preferably from about 60 mole 0 / It may be a polymer containing 0 or more, more preferably about 80 mol 0/0 or more.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4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In this case, R 1 to R 4 may be selected as an appropriate functional group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r biodegradability of the polyalkylene carbonate to be finally obtained.
  • the functional group is hydrogen or a functional group having a relatively small carbon number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biodegradability
  • when the functional group having a relatively large carbon number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he strength of the resin.
  • polyethylene carbonate is biodegraded faster than polypropylene carbonate (noue et ai. Chem. Pharm. Bull, Jpn, 1983, 31, 1400; Ree et al. Catalysis Today, 2006, 11 5, 288-294).
  •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lyethylene carbonate, polypropylene carbonate, or a mixture thereof as the polyalkylene carbonate.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10 to 1,000, preferably 50 to 500.
  • the polyalkylene carbonate including the repeating unit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 to about 1,000,000, preferably about 50,000 to about 500,000.
  • the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may exhibit biodegradability together with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ppropriate strength.
  • the resin composition for self-adhesive fil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ethylene carbonate as a plasticizer.
  • ethylene carbonate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aforementioned polyalkylene carbonate, and does not leave a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when the film is formed,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Make it easier to adjust over a wide range.
  • a tackifier such as petroleum resin, rosin-based resin, etc. was added to the self-adhesive resin composition, which is not only poorly compatible with polyalkylene carbonate.
  • the wettability improvement effect is insignificant, and problems such as leaving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may occur, which is not preferable.
  •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 molecule of ethylene carbonate as a plasticizer, ethylene carbonate is excellent adhesion compared to other carbonate-based compounds (for example, propylene carbonate, low molecular weight polyalkylene carbonate, etc.) Enable the expression of properties.
  • ethylene carbonate is excellent adhesion compared to other carbonate-based compounds (for example, propylene carbonate, low molecular weight polyalkylene carbonate, etc.) Enable the expression of properties.
  • plasticizers in order that the above-described effect of the addition of ethylene carbonate can be expressed sufficiently layer, at least 70 wt. 0 /.
  • the plasticize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n ethylene carbonate.
  •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he polyalkylene carbonate, and 1 to 2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carbonate 0 /. Of 80 to 99 weight 0 /. That i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mproved adhesive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ethylene carbonate effect as a plasticizer expressed sufficiently layer, ethylene carbon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increase the composition,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0/0 or more It may be included as. However, when an excessive amount of plasticizer is added, compatibility with the polyalkylene carbonate, which is the base resin, may be inferior, residues may remain on the adherend due to excessive increase in adhesive force, and the content of the base resin may be relatively reduced.
  • the ethylene carbonate is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increase the composition, preferably 15 parts by weight 0/0, more preferably at most 10 parts by weight 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from 5 parts by weight 0 /. Incorporated below Can be.
  • a self-adhesive film form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aforementioned polyalk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 the self-adhesive film is formed from the above-described resin composition, it can basically exhibit excellent adhesive strength.
  • the self-adhesive film is 10 g / inch upon 180 degree peel test on the glass substrate under a temperature of (20 ⁇ 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 2)%
  • the above adhesive strength can be shown.
  • the adhesive strength is too high, peeling is difficult and the function as the adhesive film may be rather deteriorated, such as a residu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 the self-adhesive film exhibits an adhesive strength of 70 g / inch or less, or 50 g / inch or less, or 30 g / inch or less, or 15 g / inch or less in the peeling test,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 the self-adhesive film may not only leave a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during repeated use, but may exhibit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o satisfy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below.
  • the self-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solute value of less than about 30% of the adhesive strength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ie,
  • a 0 represents the adhesive strength (g / inch) of the film according to a 180 degree peel test performed on a glass substrate under a temperature of (20 ⁇ 5) ° C. and a relative humidity condition of (50 ⁇ 2)%,
  • a 85 is 180 degree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 0 after aging the film attached to the glass substrate for 2 hours under a temperature of (85 ⁇ 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85 ⁇ 2)%. It shows the adhesive strength (g / inch)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peel test,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elf-adhes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 methods applied to film forming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appropriately adopted.
  • a film can be obtained by apply
  • the thickness of the self-adhes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of a film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 Such a self-adhesive film may be used as a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or adherend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 or plastic.
  • adherend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 or plastic.
  •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bout 29.1 g of polyethylene carbonate and about 0.9 g of ethylene carbonate was used.
  •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polyethylene carbon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250,000) used in Example 1 was used without using ethylene carbonate.
  • Adhesive strength after aging (A 85, g / inch): After preparing the same specimen as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the specimen was subjected to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85 ° C and 85% relative humidity for about 2 hours Aging was left. Subsequently, under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8%, a 180-degree peel test was performed by using the adhesion tester, thereby measuring adhesive strength (g / inch) after aging.
  • the film according to the examples was found to be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10 g / inch or 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improved 30% or more compared to the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s.
  •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observed that water penetrated and swelled in the film during the aging process, and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s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rate of change in adhesive strength after aging, which was un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o represent.
  • the films of the examples showed a change rate of the adhesive strength of less than 30% satisfying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above, and were able to maintain the adhesive properties of about the same as the initial level even after aging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은 각종 소재의 피착재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반복 사용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으며, 특히,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낮아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점착 강도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어,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자가 점착성 필름은 필름 자체로 점착력을 가져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인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필름으로서, 광고용 필름, 장식용 필름, 전자 부품 보호 필름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 점착성 필름의 제조에는 주로 폴리에틸렌, 풀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베이스 수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에 점착력, 유연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점착제 (tackifier), 가소제 (plasticiz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가 점착성 필름은 반복적인 부착과 탈착 과정에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 (점착 성분, 유분 등)를 남기게 되어, 이로 인해 피착재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전의 자가 점착성 필름은 층분한 점착 강도의 확보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점착력이 급격히 변화하는 등 안정적인 점착 성능의 확보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각종 소재의 피착재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반복 사용시 잔사를 남기지 않으며, 특히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낮아 안정적인 점착 특성의 발현이 가능한 자가 점착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자가 점착성 필름의 제조를 가능케 하고 보다 넓은 범위에서 점착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Figure imgf000003_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어느 두 개는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0 내지 1 ,0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80 내지 99 중량 0/。의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1 내지 20 증량。/。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1 ,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흔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자가 점착성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20±5) °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하여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점착 강도가 10 내지 70 g/inch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하기 식 1의 관계를 층족할 수 있다:
[식 1 ]
|(Ao - A85)/Ao| < 0.3 상기 식 1에서,
A0는 (20±5) °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하여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내며,
A85는 상기 유리 기판에 부착된 필름을 (85±5)°C의 온도 및
(85±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2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상기 A0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은 각종 소재의 피착재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반복 사용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으며, 특히,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낮아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점착 강도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어,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ᅳ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계속적인 실험 결과,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별도의 점착제 (tackifier) 없이도 필름 자체로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냄에 따라,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은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는다. 특히,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은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낮아,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05_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어느 두 개는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0 내지 1 ,000의 정수이다.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비결정성의 고분자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베이스 수지로써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가소제로써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현저히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어,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자가 점착성 필름으로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이전의 자가 점착성 수지 조성물 또는 필름은 고온 (예를 들어
90 °C )의 환경에 놓여질 경우 점착력이 급증하고, 다시 상은의 환경에 놓인 후에도 점착력이 회복되지 않아, 점착 필름으로써의 사용이 불가능해지거나,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특히,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계 자가 점착 필름의 경우 고온 및 고습 환경에 놓여질 경우 수분의 침투에 의해 팽윤 (swelling) 현상이 나타나 점착 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환경 조건과 그에 따른 문제점은 수지 조성물 또는 필름의 수송을 위한 컨테이너 내에서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비하여,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자가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함에 따라, 고온 고습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점착 강도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유사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달리 생분해가 가능하고,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히 분해되어 탄소 잔류물이 없다는 점에서 환경 친화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유기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에폭사이드계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모노머로 사용하여 공중합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사이드계 화합물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 -부텐 옥사이드, 2-부텐 옥사이드, 이소부티렌 옥사이드, 1-펜텐 옥사이드, 2-펜텐 옥사이드, 1-핵센 옥사이드, 1 -옥텐 옥사이드, 시클로펜텐 옥사이드, 시클로핵센 옥사이드, 스티렌 옥사이드 또는 부타디엔 모노옥사이드 등이나, 이들 중에 선택된 2종 이상의 다양한 에폭사이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단일 증합체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화학식 1의 범주에 속하는 2 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거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함께 알킬렌 옥사이드계 반복 단위 등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인한 특유의 물성
(예를 들어 생분해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1 종 이상을 약 40 몰0 /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 몰0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몰0 /0 이상으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어느 두 개는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1 내지 R4는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의 기계적 물성 또는 생분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작용기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용기가 수소이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탄소수를 갖는 작용기일 경우에는 생분해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탄소수를 갖는 작용기일 경우 수지의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가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에 비해 보다 빠르게 생분해됨이 보고된 바 있다 ( noue et ai. Chem. Pharm. Bull, Jpn, 1983, 31, 1400; Ree et al. Catalysis Today, 2006, 11 5, 288-294).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로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중합도 π 은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약 10,000 내지 약 1 ,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약 5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가 상기 중합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에 따라,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이 적절한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함께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에는 가소제로써 에틸렌 카보네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가소제는 수지 조성물의 젖음성 (wetting properties)을 개선시켜 점착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전술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도, 필름의 형성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을 뿐 아니라, 그 함량에 따라 조성물의 점착 강도가 넓은 범위에서 보다 쉽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의 자가 점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베이스 수지와 함께 석유계 수지, 로진계 수지 등의 점착제 (tackifier)가 첨가되었는데, 이러한 점착제는 기본적으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젖음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로서 단분자인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데,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다른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저분자량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등)에 비하여 우수한 점착 특성의 발현을 가능케 한다.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계 가소제 이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di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 (diethyl carbonate),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thyl methyl carbonate), 감마부티로락톤 (γ-butyralactone), 설포레인 (sulfolane), 메틸 아세테이트 (methyl acetate), 및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methyl 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도 가소제로써 흔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첨가에 따른 전술한 효과가 층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적어도 70 중량0 /。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80 내지 99 중량0 /。의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1 내지 20 중량0 /。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소제로써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첨가함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점착 특성 향상 효과가 층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조성물 전체 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0 /0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가소제가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베이스 수지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점착력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해 피착재에 잔사가 남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줄어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조성물 전체 증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0 /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0 /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0 /。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전술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자가 점착성 필름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전술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20±5) °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한 180도 박리 시험시 10 g/inch 이상의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점착 강도가 너무 높으면 박리가 어렵고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가 남는 등 점착 필름으로서의 기능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상기 박리 시험시 70 g/inch 이하, 또는 50 g/inch 이하, 또는 30 g/inch 이하, 또는 15 g/inch 이하의 점착 강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점착 특성이 발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반복 사용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하기 식 1의 관계를 층족하는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은 하기 식 1과 같이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 변화을의 절대값이 약 30% 미만 (즉, |(Ao - A85)/Ao| < 0.3),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즉, |(A0 - A85)/Ao| ≤ 0.25) 또는 1 내지 25% (즉, 0.01 < |(A0 - A85)/A0| < 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즉 , |(A0 - A85)/A0|≤ 0.15) 또는 1 내지 15% (즉, 0.01 ≤ |(Ao - A85)/Ao| ≤ 0.1 5)로 낮아,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식 1 ]
|(Ao - A85)/Ao| < 0.3
상기 식 1에서,
A0는 (20±5) °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하여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내고,
A85는 상기 유리 기판에 부착된 필름을 (85±5) °C의 온도 및 (85±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2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상기 A0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내며,
|(Ao - A85)/Ao| 는 점착 강도 변화율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필름 성형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방법들이 적절히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상에 전술한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가 점착성 필름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 29.7g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증량 평균 분자량 : 250,000) 및 약 0.3g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약 1 50g의 클로로포름에 녹여 고형분 함량 약 16 중량0 /。의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기재 위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약 29.1 g 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약 0.9g 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약 28.5g 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약 1 .5g 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의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250,000)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약 28.5g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 250,000) 및 약 1.5g 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약 150g 의 클로로포름에 녹여 고형분 함량 약 16 중량0 /。의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기재 위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약 28.5g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 250,000) 및 약 1.5g 의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300)를 약 150g 의 클로로포름에 녹여 고형분 함량 약 16 중량0 /。의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기재 위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두께 약 30 의 필름을 얻었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각각의 필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 초기 점착 강도 (A0, g/inch): 각각의 필름을 유리 기판에 부착한 시편을 준비한 후, 점착력 측정기 (모델명: TA-XT plus, 제조사: Stable micro system)를 이용하여, 23°C의 온도 및 48%의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 조건 하에서 180도 박리 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초기 점착 강도 (g/inch)를 측정하였다.
(2) 에이징 후 점착 강도 (A85, g/inch): 초기 점착 강도 측정과 동일한 시편을 준비한 후, 상기 시편을 85 °C의 온도 및 85%의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 조건 하에서 약 2 시간 동안 에이징 (방치)하였다. 이어서, 23°C의 온도 및 48%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기 점착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180도 박리 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에이징 후 점착 강도 (g/inch)를 측정하였다.
【표 1 1
Figure imgf000012_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은 초기 점착 강도가 10 g/inch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예들의 필름에 비하여 30% 이상 향상된 초기 점착 강도가 확보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비교예 1의 경우 에이징 과정에서 필름에 수분이 침투되어 팽윤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비교예들의 필름은 에이징 후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실시예들의 필름에 비하여 확연하게 커져, 환경에 따라 불안정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비하여, 실시예들의 필름은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상기 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30 % 미만으로 나타나, 고온 및 고습 환경 하에서 에이징 후에도 초기와 거의 동등한 정도의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imgf000013_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어느 두 개는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0 내지 1 ,000의 정수이다.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80 내지 99 중량 0/。의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1 내지 20 중량 0/。의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청구항 3】
게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1 ,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흔합물인 자가 점착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자가 점착성 필름.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20±5) °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하여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점착 강도가 10 내지 70 g/inch 인 자가 점착성 필름.
【청구항 7】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의 관계를 층족하는 자가 점착성 필름:
[식 1]
|(Ao - A85)/Ao| < 0.3
상기 식 1에서,
A0는 (20±5)°C의 온도 및 (50±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유리 기판에 대하여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내며,
A85는 상기 유리 기관에 부착된 필름을 (85±5 C의 온도 및 (85±2)%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2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상기 A0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된 180도 박리 시험에 따른 필름의 점착 강도 (g/inch)를 나타낸다.
【청구항 8】
제 5 항에 있어서,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사용되는 자가 점착성 필름.
PCT/KR2014/008424 2013-09-10 2014-09-05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WO20150378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36049A JP6166846B2 (ja) 2013-09-10 2014-09-05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を含む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自己粘着性フィルム
US14/442,623 US20160280975A1 (en) 2013-09-10 2014-09-05 Resin composition including polyalkyene carbonate and a self-adhesive film produced therefrom
EP14844954.9A EP2949718B1 (en) 2013-09-10 2014-09-05 Resin composition including polyalkylene carbonate and a self-adhesive film produced therefrom
CN201480021945.XA CN105143387B (zh) 2013-09-10 2014-09-05 包含聚碳酸亚烃酯的树脂组合物及由此生产的自粘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485 2013-09-10
KR10-2013-0108485 2013-09-10
KR1020140118884A KR101622751B1 (ko) 2013-09-10 2014-09-05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KR10-2014-0118884 2014-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896A1 true WO2015037896A1 (ko) 2015-03-19

Family

ID=5302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424 WO2015037896A1 (ko) 2013-09-10 2014-09-05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80975A1 (ko)
EP (1) EP2949718B1 (ko)
JP (1) JP6166846B2 (ko)
KR (1) KR101622751B1 (ko)
CN (1) CN105143387B (ko)
WO (1) WO20150378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98251A1 (en) * 2015-06-24 2018-10-18 Lintec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10450485B2 (en) * 2015-10-13 2019-10-22 Lintec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8997A (ja) * 2015-08-04 2018-10-04 レプソル・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Repsol.S.A. 感圧接着剤のための新規調製物
CN109679052B (zh) * 2019-01-04 2021-07-20 郑州大学 一种地下管道双浆速凝高聚物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35B1 (ko) * 1988-08-12 1998-08-17 귄터 슈마허 디하이드록시디페닐 사이클로알칸으로부터 고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용도
KR20090042836A (ko) * 2006-08-10 2009-04-30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접착제 물질 및 이로부터 만들어진 매끄러운 표면을 위한 보호 필름
KR20090052344A (ko) * 2006-08-10 2009-05-25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접착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매끄러운 및 거친 표면을 위한 보호 필름
KR20120067581A (ko) * 2010-12-16 2012-06-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접착필름 조성물
US20130075666A1 (en) * 2011-03-29 2013-03-28 Sk Global Chemic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036A (en) * 1988-03-21 1989-05-23 Arco Chemical Technology, Inc. Polyalkylene carbonate hot melt adhesive
US5177134A (en) * 1990-12-03 1993-01-05 Motorola, Inc. Tacking agent
JP3384173B2 (ja) * 1995-02-10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
US20120009427A1 (en) * 2010-07-08 2012-01-12 Christopher Hable Solvent cast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atings, films and laminates
KR101909434B1 (ko) * 2010-11-29 2018-10-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수지 조성물용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351363B1 (ko) * 2010-12-28 2014-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KR101409832B1 (ko) * 2011-07-26 2014-06-30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자기 접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리용 자기 접착 필름
KR101392705B1 (ko) * 2011-08-18 2014-05-12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35B1 (ko) * 1988-08-12 1998-08-17 귄터 슈마허 디하이드록시디페닐 사이클로알칸으로부터 고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용도
KR20090042836A (ko) * 2006-08-10 2009-04-30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접착제 물질 및 이로부터 만들어진 매끄러운 표면을 위한 보호 필름
KR20090052344A (ko) * 2006-08-10 2009-05-25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접착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매끄러운 및 거친 표면을 위한 보호 필름
KR20120067581A (ko) * 2010-12-16 2012-06-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접착필름 조성물
US20130075666A1 (en) * 2011-03-29 2013-03-28 Sk Global Chemic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ntain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OUE ET AL., CHEM. PHARM. BULL, JPN, vol. 31, 1983, pages 1400
REE ET AL., CATALYSIS TODAY, vol. 115, 2006, pages 288 - 294
See also references of EP2949718A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98251A1 (en) * 2015-06-24 2018-10-18 Lintec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10450485B2 (en) * 2015-10-13 2019-10-22 Lintec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6846B2 (ja) 2017-07-19
CN105143387B (zh) 2017-05-24
EP2949718B1 (en) 2020-11-04
EP2949718A1 (en) 2015-12-02
JP2016532756A (ja) 2016-10-20
EP2949718A4 (en) 2016-10-12
US20160280975A1 (en) 2016-09-29
CN105143387A (zh) 2015-12-09
KR20150029583A (ko) 2015-03-18
KR101622751B1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6860B2 (ja) 熱硬化性接着剤組成物
EP2922895B1 (en) Block copolymer comprising polyorganosiloxane block and polyolefin block
KR101825980B1 (ko) 감온성 점착제
CN103865445B (zh) 粘结剂层及粘结膜
EP3275961B1 (en) Laminate comprising release liner based on release agent composition for silicone adhesive
WO2015037896A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TWI671370B (zh) 黏合劑組成物、其製備方法及黏合產品
WO2009131838A1 (en) Organo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4863024B2 (ja) ガスバリア膜形成用組成物、ガスバリア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ES2784903T3 (es) Adhesivo sensible a la presión y lámina de adhesivo sensible a la presión
TW202014491A (zh) 用於紙袋的黏著組成物、其製備方法、用於紙袋的片狀物以及紙袋
US10119050B2 (en) Adhesive sealing composition
JP7053194B2 (ja) 感温性粘着剤、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TWI717025B (zh) 離型層組成物以及包含其之固化物的離型膜
CN112368349B (zh) 粘着组成物及其制备方法、包含其的粘着片体以及制品
EP4306608A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articles with hyperbranched silsesquioxane c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601461A1 (en) Film constructions and articles
JP2016194016A (ja) 感温性粘着剤
KR102190915B1 (ko)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4269B1 (ko) 감압 접착제 및 표면 보호재
JP2015044959A (ja) ガラス基板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及び当該粘着フィルムに使用される粘着剤
CN107922790B (zh) 用于改进胶带在潮湿和湿润条件下对亲水性表面的粘合的底胶溶液
TW202302800A (zh) 黏著劑及黏著片
JP2019167440A (ja) アクリル共重合体、剥離剤組成物及び剥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21945.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4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426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44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3604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