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0450A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0450A1
WO2015020450A1 PCT/KR2014/007313 KR2014007313W WO2015020450A1 WO 2015020450 A1 WO2015020450 A1 WO 2015020450A1 KR 2014007313 W KR2014007313 W KR 2014007313W WO 2015020450 A1 WO2015020450 A1 WO 20150204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uid
forming space
housing
pa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3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운
Original Assignee
Lee Gyung W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Gyung Woon filed Critical Lee Gyung Woon
Priority to US14/911,19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79347B2/en
Priority to CN201480055191.XA priority patent/CN105658344B/zh
Priority to JP2016533245A priority patent/JP6226213B2/ja
Publication of WO20150204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04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06B1/18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operating with reciprocating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1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vable shaft inside the housing to apply vibration to an external object connected to the movable shaft while repeatedly moving back and forth by fluid pressure, and in particular, the vibration output by the movable shaft can be simultaneously made in both directions of the housing to increase the vibration occurrence ra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enables stable installation by improving the fluid in / out structure and the internal movement path.
  •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s a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s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of the operating shaft is made of a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hopper, piping.
  • the existing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end of the movable shaft protrudes from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that is, the entir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hanging on the external object through one end of the movable shaft.
  •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since the conventional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nly has one end of the working shaft protruded as described abov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an only output the vibration in one direction, and thus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vibrates to one external object and other external objects. It is impossible to deliver.
  •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external objec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there is also a significant economic loss.
  •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rnal fluid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hole formed in the housing, the end of the external flui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 the flui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he fluid supply pipe is inevitably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front and rear moving direction of the housing. Therefor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housing while the housing is moved back and forth. High risk of damage to the si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asically the operating shaft to protrude to both ends of the housing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output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lternately to increase the vibration generating efficiency, of cour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conomic effect by allowing on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o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objects.
  • the operating shaf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h ends of the housing is aimed to enable a stable install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the purpose of the fluid supply pipe to be 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shaft to prevent the phenomenon such as damage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luid supply pipe during the operation.
  • the pressure form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first, biaxial movement path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one side and the outside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 a housing having a fluid supply path for connecting and a fluid discharge path for connecting the other side and the outside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the first axis moving path and the pressure forming space and the second axis moving path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housing It protrudes through the outside and in the s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luid supply passage and the fluid discharge passage 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ng shaft is formed with a fluid contact block.
  • the pressure forming space has a first forming space form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forming spac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and the fluid contact block m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spaces.
  • the fluid supply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orming space and the fluid discharge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orming space.
  • the working shaft is formed with a fluid inflow pa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shaft at the end of the first forming space relative to the fluid contact block, the end of the fluid in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assage, the fluid contact A fluid recovery path is formed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forming space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block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luid recovery path is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fluid discharge path dur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shaft. Can be made.
  • the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ction located in the first forming space among the operating shafts may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ction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fluid contact block and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facing the same.
  •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ng shaft.
  • the operating shaft or the housing can be repeatedly moved left and right, and thus the operating shaft is bidirectional.
  • the vibration can be alternately output.
  • two vibrations may be genera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working shaft in one cycle in which the fluid is supplied and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number of vibration outputs twi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 the external object when the external objec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perating shaf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vibration to a plurality of external objects using a singl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housing,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can be fixed to the external structure, there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working shaft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only one end of the work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ixtur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working shaft.
  •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housing or at the end of the working shaft,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orking shaft,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 FIG. 1 to 7 is a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 Figure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ure 3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operating shaft is moved toward the second forming space by the inflow of the first fluid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forming space in the state of FIG. 5
  • FIG. 7 is a second forming space.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operation shaft moved to the 1st formation space by the pressure rise in it.
  • FIGS.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housing is linearly moved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are fixed to generate vibra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 12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movement path inside the housing is implemented differently.
  •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uffer member.
  • the fluid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ir, water, oil, and the like, that is, the fluid supplied to the housing may be variously selected.
  •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nd an operation shaft 200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housing 100 performs a vibration generating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le of the entire casing and the formation of the movement path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uid.
  •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ha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middle of the hollow tube. Is formed.
  • the shaft movement path for inducing a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haft movement path has a diameter almost the same as the operation shaft 200 and one end It is formed in the form that penetrates both ends of the housing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 the housing 100 is made of an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disassembled for coupling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100 is aga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the connection pipe It is divided into 130.
  • the first body 110 serves as a coupling function of one side section based on the role of the cap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operation shaft 200, and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block and the first shaft movement path in the center thereof. 112 is formed to penetrate right and left.
  • a first step 114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edge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luid supply path 115 is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first shaft movement path 112 amo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luid supply path 115 is formed in a first manner.
  •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point of the first step (114).
  • the first connecting guide groove 116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ections so that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left and right. In the moving process, the end of the fluid inlet 222 of the operating shaft 200 is always maintai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uid supply path (115).
  • the second body 120 constituting the housing 100 together with the first body 110 functions as a cap of the opposite end of the housing 10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ng shaft 200.
  • the same circular plate block shape as the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shaft movement path 122 is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in the center.
  • a second step 124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edge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main body 120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main body 110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a space therebetween such that the second axis moving path 122 is the first axis moving path of the first main body 110 ( 112) and the left and right collinear.
  • a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formed in the forming section of the second step 124 among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shaft movement path 122.
  •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second shaft movement path 122 among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penetrates the outer border. Is formed.
  • a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longer in length than the other section is formed at an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moving path 122 of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so that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left and right.
  •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and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of the operating shaft 200 can be accurately communicated again in a state where they are mutually displaced.
  • connection pipe 13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may be manufactur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 connection pipe 13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and second step (114) (124)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110, 120, respectively As the insertion pipe 130 is inserted into both ends, the connection pipe 130 is installed in a form completely surrounding a s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 the housing 100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connection pipe 130 at a point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essure required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at that point.
  • Forming space 140 is formed.
  • a second fluid supply path 132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130, and one end of the second fluid supply path 132 has an end surface toward the first body 110 of the connection pipe 130. It penetrates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uid supply path 115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uid supply path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20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of the housing 100.
  • the second step 124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oint just in front of.
  • the housing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body 110, the second body 120, and the connection pipe 130, but the first body 110 or the second body 120 and the connection pipe. If the structure capable of smooth installation and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operation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such as an integrated form 130 can be variously modified.
  • the operating shaft 2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described above.
  • the operating shaft 200 is a portion in which the fluid pressure supplied into the housing 100 is directly transmitted to output the vibration, and is basically a rod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t the intermediate point.
  • the contact block 210 is formed in a flange shape.
  • first straight bar 220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fluid contact block 210 and the second straight bar 230 protrudes in a symmetrical form on the opposite end surface thereof.
  • end portions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and the second straight bar 230 are formed with a screw part 240 for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object 1 to be vibrated or for connection with the buffer member.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perating shaft 200 and the external objec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screw external structure.
  • the operating shaft 200 is installed in a form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shaft movement path 112,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and the second shaft movement path 122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straight bar
  • the 220 is positioned in a form where one end thereof protrudes out of the first body 110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shaft moving path 112 of the housing 100
  • the second straight bar 230 is a second body ( One end thereof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 of the second body 120 in a state where it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shaft movement path 122 of the 120
  •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a pressure forming space 140 of the housing 100. Installed in the state.
  • the diameter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130,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It is formed small.
  •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is divided into two sides based on the fluid contact block 210 so that the first forming space 142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second body 120 and faces the first body 110.
  • the second forming spaces 144 form a space that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 the operating shaft 200 is in a state capable of linearly moving left and right as much as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fitting piece 250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of the second body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around the point located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do.
  •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piece 25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and the length of the fitting piece 250 is also formed shorter tha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to fit i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rocess of the operating shaft 200.
  • a fluid discharge gap 150 is formed betwee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and the fitting piece 250.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located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is located in the section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Compared to the smaller state, this means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straight bar 220 and the fluid 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is wider than the second straight bar 230.
  • the fluid inflow path 222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to the point before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irst straight bar 220 of the working shaft 200.
  • the fluid inlet 222 of the operating shaft 200 and The first fluid supply paths 115 of the housing 10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on guide groove 116 of the first body 110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distances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i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rocess of the operating shaft 200. As the fluid connection path 224 of the operating shaft 200 is always located within the first connection guide groove 116, the fluid supply is always performed smoothly.
  • the fluid recovery path 232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and the second formation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is performed. It is formed to a point located in the space 144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are formed to be arranged at a point located in the second straight bar 230 of the fluid recovery path 232 at intervals,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such that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located in the second main body when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located toward the first forming space 142 as shown in FIG. 4.
  •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of 120 and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is located at a point betwee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and the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is moved to the fluid discharge gap 150 of the first body 110.
  •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located at a point between the fluid discharge gap 150 and the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is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from the fluid discharge passage 126.
  • the fluid recovery path 232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which is inevitably second processing bar 23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luid recovery path 232. Because the processing must be made from, the end of the fluid recovery passage 232 is blocked by a separate mood bolt or the like.
  • the fluid recovery path may be formed only up to the point where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located, without necessarily being formed up to the end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 an external fluid supply pipe (not shown) end is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fluid inflow path 222 at the end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to supply external fluid into the housing. Exposed to form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bar 220.
  • the fluid contact block 210 of the first operating shaft 200 is biased toward the first forming space 142 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 the pressure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is increased, which is directly acted on the fluid contact block 210 of the operating shaft 200, thereby contacting the fluid as shown in FIG. 5.
  • the block 210 is pushed toward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so that the entire working axis is linearly moved toward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 the first straight bar 220 is drawn out and the end hits the external object 1 as the external object 1 is pulled out. Vibration occurs at
  • the fitting piece 250 is in a state of exiting from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groove 125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 23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discharge gap 150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shifted from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forming space 142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recovery passage 232 of the operating shaft 200 through the fluid discharge gap 150 and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as shown in FIG.
  •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is filled in the back.
  • the pressure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is increased.
  • a section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is fitted.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is wider than the section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where the 250 is forme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tion and the fluid contact block 210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of the working shaft is eventually formed in the first forming space. It is formed higher than the pressure formed in 142.
  •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moved to the first forming space 142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It is linearly moved toward (142).
  • the operation shaft 200 is reciprocated linearly in both directions through only one fluid supply.
  • the end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hits the external object 1 positioned near the end to impart vibration to the external object 1.
  • the fluid supply pipe is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shaft 200, the fluid supply pip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operating shaft unlike the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xisting housing and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Since it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of load on the connection part is prevented.
  •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is disposed between the fluid discharge gap 150 and the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of the second body 120. Located at the point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nection guide groove 127.
  • the flui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is again moved along the fluid recovery path 232 and then opens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of the second body 120 through the second fluid discharge hole 235.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pip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orming space 142, and as the subsequent process is repeated, the working shaft 200 is repeatedly moved linearly left and right.
  • one or both ends of the operating shaft 200 are fixed to the external object 1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in which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uid inlet 222 and the first of the operating shaft 200.
  • the pressure of the first forming space 142 is increased.
  • the vibrations include the end of the second straight bar 230 and the first straight bar 220. It is also passed towards the end.
  • the vibration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ch protrudes only in one direction, and only one end of the working shaft is fixed to the external object because vibration is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 the vibration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ch protrudes only in one direction, and only one end of the working shaft is fixed to the external object because vibration is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 not only the sag of the entir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generated,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risk of damage of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operating shaft and the external object.
  • the fluid inlet path of the operating shaft 200 is omitted and an external fluid supply pipe is The first fluid supply path 115 or the second fluid supply path 132 of the housing 100 may be connected directly.
  • FIG. 10 and 11 illustrate yet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separat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310 and 320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100 and the operating shaft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e of the housing 100 or an external object can be minimized.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ffering members 310 and 32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buffering member 310 is formed of a ring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the like.
  • the first straight bar 220 is installed in a form penetrating the center.
  • the second buffer member 320 also has the same material and ring shape as that of the first buffer member 310,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forming space 142 of the second body 120.
  • Bar 230 is installed in the form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 first and second buffering members 310 may collide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while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moved left and right within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As the shock is alleviated by the 320, the damage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or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can be prevented.
  •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310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320 are show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310 and 320 are disposed.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 the buffing member is a plate-shaped block structure and one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240 at both ends of the working shaft. It is installed while screwed in.
  •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310 and 320 and the operation shaft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screw structure and other structures.
  • the shock is mitigated by the first and second buffering members 310 and 320 in the process of the operation shaft 200 hitting the external objec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operation shaft 200 or the external object.
  •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310 and 32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00 and the operation shaft 200.
  •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s 310 and 320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nd are external objects through an impact by the housing 100 dur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housing 100 such as urethane, rubber, silicone, or other plastics. (1) If the material can prevent damage and the like of the housing 100 can be variously selected and applied.
  • FIG 12 to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uid movement path in the housing 100 is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embodiment.
  • the fluid is basically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forming space 140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end of the operating shaft 200 to move the operating shaft 200 in one direction, the first straight bar 220
  • the basic technical concept that the flui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ng axis is revers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second straight bar 230 is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 the fluid inflow path 222 is formed in the second straight bar 230, and the fluid discharging gap 150 of the housing 100 and the fitting piece 250 of the operating shaft are omitted and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omitted.
  • the fluid transfer hole 400 is formed therein, but one end of the fluid transfer hole 400 is formed to penetrate a surface facing the first forming space 142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round the fluid contact block.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rface.
  • a fluid transfer groove 50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tion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of the connection pipe 130.
  •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located in the fluid transfer groove 500 section of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the fluid contact block 210
  • the fluid delivery hole 400 formed around the periphery is naturally opened in the fluid delivery groove 500.
  • a fluid recovery path 232 and a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are formed in the first straight bar 220, but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has the working shaft 200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and the fluid recovery passage 2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position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when it is completely moved toward the side.
  • a diameter reducing groove 600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 the first straight bar 22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00, and Some sections of the two straight bars 230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formation space 142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transfer hole 400, the fluid contact block 210 does not reach the point where the fluid transfer groove 500 of the connection pipe 130 is located.
  • the other end of the fluid transfer hole 400 is blocked as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so that the fluid is filled in the fluid transfer hole 400.
  • the end of the fluid transfer hole 400 located 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the fluid transfer groove. Open in the 500, and the fluid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flows into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through the fluid transfer hole 400, and at some point the first forming space 142 The pressure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is in the same state.
  • the fluid contact block 210 and the second contact space 210 locate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are formed.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ne straight bar 220 is wider than a point located in the first forming space 142, the entire working shaft including the fluid contact block 210 is moved to the first forming space 142 again.
  • the fluid in the second forming space 144 flows through the first fluid discharge hole 234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to the fluid recovery path 232 and the fluid discharge path. It moves along 126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fluid recovery passage 232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first straight bar 220 without forming the fluid discharge passage 126 in the housing 100. As it is formed so tha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flui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recovery channel 232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recovery channel.
  • the fluid recovery path serves as the fluid discharge path 126.
  • first buffer member 31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320 may be install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2 to 15.
  • the diameter reducing groove of the first straight bar may be omitted, and the overall diameter of the first straight bar may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traight bar, there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first forming space.
  • FIG.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buffering member 320,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1 in which the second buffering member 3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d screw 240 of the operating shaft 200.
  • the second buffer member 320 is positioned directly in front of the connection point in the state in which the screw unit 24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thus the buffer is buffered by the buffer unit dur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housing 100.
  • the second buffering member 320 is simply exposed to the outside, or as shown in FIG. 17, a separate cover 10 is disposed around and facing the second buffering member 320 of the operating shaft 200.
  • a separate cover 10 is disposed around and facing the second buffering member 320 of the operating shaft 200.
  • This modification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cable to all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rrespectiv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using.
  • both ends of the operating shaft 200 basicall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output through both ends of the operating shaft 200, thereby increasing the vibration generating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 the biggest feature is that it enables stable installation.
  • the diameter of one side of the operating shaft 200 may be artificially thickened or artificially reduced by cutting, such as the diameter of both sections
  • the difference may be that the whole diameter of one side of the operating shaft 200 may be thicker or smaller, or only the diameter of the section in the pressure forming section 140 may be thicker or smaller.
  • the movable shaft inside the housing can apply vibration to the external object connected to the movable shaft while repeatedly moving back and forth by the fluid pressure, in particular so that the vibration output by the movable shaft can be made simultaneously in both directions of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Actuator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작동축이 하우징 양단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하우징 양쪽으로 진동이 번갈아가며 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진동발생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진동발생장치를 복수개의 외부대상물에 동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작동축이 하우징 양단부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진동발생장치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유체공급관이 작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유체공급관과의 연결부위 파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의 가동축이 유체압에 의해 전후 반복이동하면서 가동축과 연결된 외부 대상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가동축에 의한 진동출력이 하우징 양방향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진동발생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체의 IN/OUT 구조와 내부 이동경로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설치 등이 가능하도록 한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발생장치는 작동축의 일부구간이 하우징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설치되어 있고 작동축 중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구간의 단부는 호퍼, 배관 등의 외부 대상물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 등의 유체가 하우징 내부로 공급되면 하우징이 내부 유체의 이동경로에 따라 전후 반복 직선이동하면서 가동축과의 충돌을 통해 외부 대상물에 진동을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런데 기존의 진동발생장치는 모두 가동축의 일단부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대상물에 연결되는 구조, 즉 진동발생장치 전체가 가동축의 일단부를 통해 외부대상물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진동발생장치 전체가 가동축의 일단부를 통해서만 외부대상물에 연결되는 구조는, 만약 진동발생장치 전체가 횡 방향으로 누운 상태에서 외부대상물에 연결될 경우 연결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구간에는 자체 중량에 의해 처짐 하중이 작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가동축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한 수명저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처짐 하중은 외부 대상물과의 연결지점에 집중되기 때문에 외부 대상물과 안정적인 연결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진동발생장치는 위와 같이 작동축의 일단부만이 돌출되어 외부대상물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상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이 출력될 수밖에 없으므로 해당 진동발생장치는 하나의 외부 대상물외 타 외부 대상물에는 진동전달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각 외부 대상물마다 진동발생장치가 개별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작동축과 외부 대상물 간의 연결구조에 따른 문제점 외에도 종래 기술은 외부의 유체가 하우징에 형성된 공급공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인데, 외부의 유체공급관의 단부가 하우징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렇게 유체공급관이 하우징에 연결됨에 따라 유체공급관은 하우징의 전후이동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하우징이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에 따른 하중이 유체공급관과 하우징 간 연결부위에 집중되어 해당 연결부위의 파손 우려가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작동축이 하우징 양단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하우징 양쪽으로 진동이 번갈아가며 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진동발생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진동발생장치를 복수개의 외부대상물에 동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동축이 하우징 양단부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진동발생장치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유체공급관이 작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유체공급관과의 연결부위 파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압력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형성공간 양측에는 제1, 2축이동로가 외부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형성공간의 일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체공급로 및 상기 압력형성공간의 타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체배출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축이동로와 압력형성공간 및 제2축이동로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양단부가 하우징 양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형성공간 내부 중 상기 유체공급로와 유체배출로와의 연결지점 사이 구간에는 유체접촉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형성공간은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형성공간이 형성되고 반대쪽 지점에는 제2형성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접촉블록은 상기 제1, 2형성공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는 상기 제1형성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배출로는 상기 제2형성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은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제1형성공간 쪽 단부에는 작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유입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체유입로의 단부는 상기 유체공급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제1형성공간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축의 타단부까지는 유체회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회수로는 상기 작동축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유체배출로와 연결 및 비 연결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축 중 상기 제1형성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의 둘레 직경은 상기 제2형성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의 둘레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접촉블록의 양측면과 상기 압력형성공간 내벽면 중 이와 마주하는 면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압력형성공간으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과정에서 작동축의 양방향으로 유체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작동축이나 하우징이 좌우 반복 이동될 수 있게 되어, 결국 작동축 양방향으로 진동이 번갈아가며 출력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1사이클 과정에서 작동축 양방향으로 두번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진동출력횟수를 2배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축의 양단부마다 외부대상물을 연결할 경우 하나의 진동발생장치를 이용해 복수개의 외부대상물에 동시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작동축의 양단부가 모두 하우징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축의 양단부를 외부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동축의 일단부만이 외부고정물에 연결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작동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동축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유체의 공급경로가 작동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유체공급관이 작동축 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기존에 하우징이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체공급관과의 연결지점에 하중이 집중되어 연결지점이 파손되던 문제점도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하우징 내부 또는 작동축 단부에 완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작동과정에서 하우징과 작동축 간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5는 최초 유체의 유입에 의해 작동축이 제2형성공간 쪽으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유체가 제2형성공간 내로 유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2형성공간내 압력 상승으로 인해 작동축이 제1형성공간 쪽으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작동축의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이 좌우 직선이동되어 진동이 발생 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2완충부재가 압력형성공간 내부에 제1, 2완충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2완충부재가 작동축 양 단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하우징 내부의 유체이동 경로를 다르게 구현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완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유체는 공기, 물, 기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즉 하우징에 공급되는 유체는 다양하게 선택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진동발생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과 작동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100)은 전체 케이싱 역할과 유체의 이동경로 형성 기능 및 설치 상태에 따라 진동발생기능을 병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중공관 형태를 이루되 중간 지점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압력형성공간(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력형성공간(140)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후술할 작동축(200)의 직선이동을 유도하기위한 축이동로가 형성되되, 축이동로는 작동축(200)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일단부가 압력형성공간(140)과 연통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양단부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후술할 작동축(200)의 결합을 위해 분해가 가능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하우징(100)은 다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및 연결관(130)으로 분할 구성된다.
그 중 제1본체(110)는 하우징(100) 일측의 캡 역할과 작동축(200)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일측 구간의 결합기능을 하는 것으로, 원형 판재블록 형태이고 중앙에는 제1축이동로(112)가 좌우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제1본체(110)의 외곽 테두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단턱(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본체(110)의 내부 중 제1축이동로(112)의 중간지점에는 제1유체공급로(115)의 단부가 연결형성되고 제1유체공급로(115)의 타단부는 제1본체(110)의 내측면 중 제1단턱(114) 위쪽 지점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유체공급로(115) 중 제1축이동로(112)와 연결된 단부에는 타 구간에 비해 좌우길이가 긴 제1연결유도홈(116)을 형성시켜 후술할 작동축(200)이 좌우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축(200)의 유체유입로(222)의 단부가 항시 제1유체공급로(115)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본체(110)와 함께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제2본체(120)는 하우징(100)의 반대쪽 단부의 캡 역할과 작동축(200)의 반대쪽 구간의 결합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본체(110)와 동일한 원형 판재블록 형태이고 중앙에는 제2축이동로(122)가 좌우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본체(120)의 내측면에는 제2본체(120)의 외곽 테두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단턱(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본체(120)는 제1본체(110)와 좌우 대칭 형태로 간격을 유지한 채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제2축이동로(122)가 제1본체(110)의 제1축이동로(112)와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2축이동로(122)의 둘레면 중 제2단턱(124)의 형성구간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형태의 단면적축소홈(125)이 형성된다.
이때 제2본체(120)의 내부 중 제2축이동로(122)의 중간지점에는 유체배출로(126)의 단부가 연결형성되고 유체배출로(126)의 타단부는 외곽 테두리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에도 유체배출로(126) 중 제2축이동로(122)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타 구간에 비해 좌우 길이가 긴 제2연결유도홈(127)을 형성시켜 후술할 작동축(200)이 좌우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축(200)의 제2유체배출공(235)과 유체배출로(126) 단부가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 다시 정확히 연통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함께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인 연결관(130)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 사이에 압력형성공간(140)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이되 내경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의 제1, 2단턱(114)(124)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외경은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외곽 테두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참고로 연결관(130)의 외경은 반드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외경과 동일할 필요는 없고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어도 무관하다.
이러한 연결관(130)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2본체(110)(120)의 제1, 2단턱(114)(124)이 각각 연결관(130) 양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관(130)이 제1, 2본체(110)(120) 사이 구간을 완전히 둘러싼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 지점이 연결관(130)에 완전히 둘러싸인 상태가 되어 해당 지점에는 후술할 작동축(200)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압력형성공간(140)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관(130)의 둘레 내부에는 제2유체공급로(132)가 형성되되 제2유체공급로(132)의 일단부는 연결관(130) 중 제1본체(110)를 향하는 쪽 단부면을 관통하여 제1본체(110)의 제1유체공급로(115) 연통되고 제2유체공급로(132)의 타단부는 하우징(100)의 압력형성공간(140) 중 제2본체(120)의 제2단턱(124) 바로 앞쪽 지점과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하우징(100)은 반드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및 연결관(130) 간 결합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120)와 연결관(130)이 일체화된 형태 등 후술할 작동축(200)의 원활한 설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하우징(100)에는 작동축(200)이 설치된다.
작동축(200)은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 유체압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진동이 출력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하우징(100)보다 긴 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중간지점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유체접촉블록(210)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중간의 유체접촉블록(21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직선바아(220)가 돌출된 형태이고 반대쪽 단부면에는 제2직선바아(230)가 대칭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제1직선바아(220)와 제2직선바아(230)의 단부에는 진동이 작용될 외부대상물(1)과의 연결 또는 완충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나사부(240)가 형성된다.
참고로 작동축(200)과 외부대상물 간 연결 및 완충부재와의 연결구조는 나사부 외 타 구조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축(200)은 하우징(100)의 제1축이동로(112)와 압력형성공간(140) 및 제2축이동로(122)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형태로 설치되는데, 제1직선바아(220)는 하우징(100)의 제1축이동로(112)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제1본체(11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고 제2직선바아(230)는 제2본체(120)의 제2축이동로(1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제2본체(12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며 유체접촉블록(210)은 하우징(100)의 압력형성공간(140) 내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유체접촉블록(210)의 직경은 압력형성공간(140)의 직경, 즉 연결관(13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유체접촉블록(210)의 좌우폭은 압력형성공간(140) 좌우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압력형성공간(140)은 유체접촉블록(21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제2본체(120)를 향하는 쪽에는 제1형성공간(142)이 형성되고 제1본체(110)를 향하는 쪽에는 제2형성공간(144)이 상호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동축(200)은 양단부가 하우징(100)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압력형성공간(140) 구간만큼 좌우 직선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직선바아(230) 중 제1형성공간(142) 내에 위치한 지점의 둘레에는 제2본체(120)의 단면적축소홈(125)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편(250)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끼움편(250)의 외경은 단면적축소홈(125)보다 작게 형성시키고 끼움편(250)의 길이 또한 단면적축소홈(125)보다 짧게 형성시킴에 따라 작동축(200)의 좌우 이동과정에서 끼움편(250)이 단면적축소홈(125)에 끼워졌을 때 단면적축소홈(125)과 끼움편(250) 사이에는 유체토출간극(150)이 형성된다.
이렇게 끼움편(250)이 형성됨에 따라 제2직선바아(230) 중 제1형성공간(142) 내에 위치한 구간의 단면적은 제1직선바아(220) 중 제2형성공간(144) 내에 위치한 구간에 비해 작아진 상태가 되고, 이는 압력형성공간(140) 내에서 제1직선바아(220)와 유체 간 접촉면적이 제2직선바아(230)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작동축(200) 중 제1직선바아(220)의 내부에는 유체유입로(222)가 제1직선바아(220)의 단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2형성공간(144) 이전 지점까지 형성되고 유체유입로(222)의 단부는 유체연결로(224)를 통해 제1본체(110)의 제1연결유도홈(116)과 연결됨에 따라, 작동축(200)의 유체유입로(222)와 하우징(100)의 제1유체공급로(115)가 상호 연통된 상태가 된다.
제1본체(110)의 제1연결유도홈(116) 좌우길이는 압력형성공간(140) 내에서 유체접촉블록(210)의 좌우 이동거리 이상이 되도록 하여 작동축(200)의 좌우 이동과정에서 작동축(200)의 유체연결로(224)가 항시 제1연결유도홈(116) 구간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항시 유체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직선바아(230)의 내부에는 유체회수로(232)가 제2직선바아(230)의 단부로부터 유체접촉블록(210)이 형성된 지점을 지나 제1직선바아(220) 중 제2형성공간(144)에 위치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제2형성공간(144)과 연통된다.
그리고 유체회수로(232) 중 제2직선바아(230) 내에 위치한 지점에는 제1유체배출공(234)과 제2유체배출공(235)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는데, 제1유체배출공(234)과 제2유체배출공(235) 간 간격은 도 4처럼 유체접촉블록(210)이 제1형성공간(142)쪽으로 치우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2유체배출공(235)이 제2본체(120)의 제2연결유도홈(127)과 연통되고 제1유체배출공(234)은 단면적축소홈(125)과 제2연결유도홈(127) 사이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반대로 도 6처럼 유체접촉블록(210)이 제2형성공간(144) 쪽으로 치우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유체배출공(234)이 이동하여 제1본체(110)의 유체토출간극(150)과 연결되고 제2유체배출공(235)은 유체토출간극(150)과 제2연결유도홈(127) 사이 지점에 위치되어 유체배출로(126)와 연결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유체회수로(232)가 제2직선바아(230)의 단부에서부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는 유체회수로(232)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가공방법 상 불가피하게 제2직선바아(230)로부터 가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므로, 유체회수로(232)의 단부는 별도의 무드볼트 등으로 막아 차단한다.
따라서 유체회수로는 반드시 제2직선바아(230) 단부까지 형성될 필요 없이 제2유체배출공(235)이 위치한 지점까지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00)이 별도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의 작동축(200)의 좌우 이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외부의 유체를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유체공급관(미도시) 단부를 제1직선바아(220) 단부의 유체유입로(222) 입구에 연결시키는데, 이때 유체공급관의 길이방향은 제1직선바아(22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이루도록 배설된다.
참고로 도 4와 같이 최초 작동축(200)의 유체접촉블록(210)이 압력형성공간(140) 내에서 제1형성공간(142)쪽으로 치우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 등의 유체가 유체유입로(222)로 유입되면 유체는 유체연결로(224)를 통해 제1본체(110)의 제1유체공급로(115)와 연결관(130)의 제2유체공급로(132)를 따라 이동한 뒤 제1형성공간(142)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체가 제1형성공간(142) 내로 공급되면 제1형성공간(142) 내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곧바로 작동축(200)의 유체접촉블록(210)에 작용됨에 따라 도 5와 같이 유체접촉블록(210)이 제2형성공간(144) 쪽으로 밀리게 되며, 결국 작동축 전체가 제2형성공간(144)쪽을 향해 직선이동된다.
따라서 작동축(200) 중 제2직선바아(230)는 일부 구간이 제2본체(120)의 제2축이동로(122)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1직선바아(220)는 제2직선바아(230)의 삽입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제1본체(110) 외부로 인출된다.
만약 진동이 작용될 외부대상물(1)이 제1직선바아(220) 단부 부근에 위치할 경우 제1직선바아(220)가 인출되면서 단부가 외부대상물(1)을 타격함에 따라 외부대상물(1)에 진동이 발생된다.
이렇게 작동축(200)이 제2형성공간(144)쪽으로 이동되면 끼움편(250)은 단면적축소홈(125)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2직선바아(230)의 제1유체배출공(234)이 제1본체(110)의 유체토출간극(150)과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2유체배출공(235)은 유체배출로(126)와 어긋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형성공간(142) 내로 유입된 유체는 도 6처럼 유체토출간극(150)과 제1유체배출공(234)을 통해 작동축(200)의 유체회수로(232)로 유입되어 이동한 뒤 제2형성공간(144)에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제2형성공간(144)에 유체가 채워짐에 따라 제2형성공간(144) 내 압력이 상승되는데, 이때 제2직선바아(230) 중 제2형성공간(144) 내에 위치하는 구간은 끼움편(250)이 형성된 제2직선바아(230) 구간보다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결국 작동축 중 제2형성공간(144)에 위치하는 구간 및 유체접촉블록(210)에 작용되는 압력은 제1형성공간(142)에 형성되는 압력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형성공간(144)내 압력이 상승 되는 과정에서 유체접촉블록(210)은 도 7과 같이 반대로 제1형성공간(142)쪽으로 이동되며, 결국 작동축(200) 전체가 제1형성공간(142)쪽을 향해 직선이동된다.
이로 인해 작동축(200) 중 제1직선바아(220)의 일정구간은 제1본체(110)의 제1축이동로(112) 내부로 삽입되고 제2직선바아(230)는 반대로 제2본체(120)외측으로 인출된다.
즉 한번의 유체공급만을 통해 작동축(200)이 양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2직선바아(230)가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제2직선바아(230) 단부가 부근에 위치한 외부대상물(1)을 타격하여 해당 외부대상물(1)에 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위 설명처럼 외부대상물(1)이 각각 제1직선바아(220)와 제2직선바아(230) 부근에 위치할 경우 한번의 유체공급만을 통해 두개의 외부대상물에 모두 진동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공급관이 작동축(200)의 길이 및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기존 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던 구조와 달리 작동축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체공급관도 동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작동축(200) 전체가 제1형성공간(142)쪽으로 이동되면 제1유체배출공(234)은 제2본체(120)의 유체토출간극(150)과 제2연결유도홈(127) 사이 지점에 위치되고 제2유체배출공(235)은 제2연결유도홈(127)과 연통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2형성공간(144) 내 유체는 다시 유체회수로(232)를 따라 이동된 뒤 제2유체배출공(235)을 통해 제2본체(120)의 유체배출로(126)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그 후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다시 유체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제1형성공간(142)으로 유입된 후 그 이후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작동축(200)이 반복적으로 좌우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이 외에 도 8 및 도 9를 바탕으로 작동축(200)이 외부대상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좌우 이동에 의해 진동발생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과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작동축(2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외부대상물(1)에 고정된 상태에서 위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8처럼 유체가 작동축(200)의 유체유입로(222) 및 제1유체공급로(115)를 통해 제1형성공간(142) 내로 유입되면 제1형성공간(142)의 압력이 상승된다.
그런데 이때 작동축(200)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축(200)이 제2형성공간(144)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하우징(100) 전체가 제2직선바아(230) 단부쪽을 향해 직선이동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본체(110)의 내측면이 유체접촉블록(210)에 충돌됨에 따라 진동이 제2직선바아(230) 단부를 비롯해 제1직선바아(220) 단부쪽으로도 전달된다.
따라서 작동축(200)의 양단부가 각각 외부대상물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하우징과 작동축(200) 간 한번의 충돌만으로도 양 외부대상물에 동시에 진동을 전달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그 후 유체가 유체회수로(232)를 통해 제2형성공간(144)으로 유입되어 제2형성공간(144)의 압력이 상승되면, 이때에도 작동축(200)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와 같이 하우징(100) 전체가 제1직선바아(220)의 단부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제2본체(120)의 일측면이 유체접촉블록(210)에 충돌함에 따라 진동이 재차 발생된다.
이처럼 작동축이 하우징 양방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비해 진동전달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작동축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 되기 때문에 작동축의 일단부 만이 외부대상물에 고정설치된 경우에 비해 진동발생장치 전체의 처짐 현상이 발생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동축과 외부대상물 간 연결부위의 파손우려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더불어 이렇게 하우징 전체가 좌우 이동되는 구조에서도 유체공급관이 작동축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이동과정에서 유체공급관 과의 연결지점이 파손될 우려가 방지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 외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0)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축(200)이 좌우 이동되어 외부대상물에 충돌되는 구조일 경우 작동축(200)의 유체유입로를 생략하고 외부의 유체공급관이 하우징(100)의 제1유체공급로(115) 또는 제2유체공급로(132)에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하우징(100)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발생과정에서 유체공급관과의 연결부위 파손우려가 적으므로 유체공급관을 하우징(100)에 직접 연결하여도 유체공급관과의 연결부위 파손우려가 방지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제1, 2완충부재(310)(320)를 설치함으로써 작동축(200)과 하우징(100) 또는 외부대상물의 수명저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그 중 도 10은 제1, 2완충부재(310)(320)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완충부재(310)는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진 링 형태이고 제1본체(110) 중 제2형성공간(144)을 향하는 면에 밀착 위치된 상태에서 제1직선바아(220)가 중앙을 관통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완충부재(320)도 제1완충부재(310)와 동일한 재질 및 링 형태이고 제2본체(120) 중 제1형성공간(142)을 향햐는 면에 밀착 위치된 상태에서 제2직선바아(230)가 중앙을 관통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접촉블록(210)이 압력형성공간(140) 내에서 좌우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의 내측면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제1, 2완충부재(310)(3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에 따라, 유체접촉블록(210) 또는 제1, 2본체(110)(120)의 파손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제1완충부재(310) 및 제2완충부재(320)가 제1, 2본체(110)(120)에 밀착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2완충부재(310)(320)는 유체접촉블록(210)의 양측면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제1, 2완충부재(310)(320)가 작동축(200) 양단부에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왕충부재는 판재형 블록 구조이고 일측면이 작동축 양단부의 나사부(240)에 나사체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 2완충부재(310)(320)와 작동축(200) 간 연결은 나사부 외 타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축(200)이 외부대상물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제1, 2완충부재(310)(3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으로 작동축(200) 또는 외부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2완충부재(310)(320)는 하우징(100) 내부와 작동축(200) 양단부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2완충부재(310)(320)는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우레탄이나, 고무, 실리콘, 기타 플라스틱 등 하우징(100)의 전후 이동과정에서 하우징(100)에 의한 충격을 통해 외부대상물(1) 및 하우징(10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우징(100) 내 유체이동 경로를 위 실시예와 달리 구현한 경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유체가 작동축(200)의 단부를 통해 하우징(100)의 압력형성공간(140) 내로 유입되어 작동축(20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제1직선바아(220)와 제2직선바아(230) 간 단면적 차이에 의해 작동축이 반대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기본 기술적 개념은 위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유입로(222)가 제2직선바아(230)에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유체토출간극(150)과 작동축의 끼움편(250)을 생략하며 유체접촉블록(210) 내부에 유체전달공(400)을 형성시키되 유체전달공(400)의 일단부는 유체접촉블록(210) 중 제1형성공간(142)을 향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유체접촉블록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130) 중 제2형성공간(144)에 위치하는 구간의 내부 둘레면에는 일정깊이의 유체전달홈(5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축(200)이 제2형성공간(144)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체접촉블록(210)이 제2형성공간(144)의 유체전달홈(500) 구간에 위치할 경우 유체접촉블록(210) 둘레에 형성된 유체전달공(400)이 유체전달홈(500) 내에서 자연스럽게 개방된다.
더불어 제1직선바아(220) 내부에는 유체회수로(232) 및 제1유체배출공(234)이 형성되되 제1유체배출공(234)은 작동축(200)이 제1형성공간(142) 쪽으로 완전히 이동되었을 때 제2형성공간(144)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2형성공간(144)과 유체회수로(232)가 연통된다.
그리고 제1직선바아(220) 중 제2형성공간(144) 내에 위치하는 일부 구간의 둘레면에는 직경축소홈(60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체가 제2직선바아(230)의 유체유입로(222)를 통해 유입된 뒤 제1유체공급로(115) 및 제2유체공급로(132)를 통과한 후 제1형성공간(142)내로 채워진다.
따라서 제1형성공간(142)내 압력이 상승하여 유체접촉블록을 비롯해 작동축 전체가 제2형성공간(144)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직선바아(220)는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되고 제2직선바아(230)의 일부구간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형성공간(142)에 채워진 유체는 유체전달공(400) 내부로 유입되는데, 유체접촉블록(210)이 연결관(130)의 유체전달홈(500)이 위치한 지점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유체접촉블록(210)이 연결관의 내부면에 밀착됨에 따라 유체전달공(400)의 타단부가 막혀 있으므로 유체가 유체전달공(400) 내부에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유체접촉블록(210)이 연결관(130)의 유체전달홈(500)이 형성된 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체전달공(400) 중 유체접촉블록(210) 둘레면에 위치한 단부가 유체전달홈(500) 내에서 개방되고, 이로 인해 제1형성공간(142) 내 유체가 유체전달공(400)을 통해 제2형성공간(144) 내부로 유입되어 어느 시점에서는 제1형성공간(142)과 제2형성공간(144) 내 압력이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2직선바아(230) 중 제2형성공간(144)에 위치한 지점에 직경축소홈(600)이 형성됨에 따라 제2형성공간(144)에 위치한 유체접촉블록(210)과 제1직선바아(220)의 단면적이 제1형성공간(142)에 위치한 지점에 비해 넓은 상태이므로, 유체접촉블록(210)을 비롯한 작동축 전체가 다시 반대로 제1형성공간(142)쪽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단면적 차이로 인한 작동축(200)의 복귀이동은 위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개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1직선바아(220)의 일정구간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고 제2직선바아(230)는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작동축(200)의 복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2형성공간(144) 내 유체는 제1직선바아(220)의 제1유체배출공(234)을 통해 유체회수로(232) 및 유체배출로(126)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 후 다시 외부의 유체가 제1형성공간(142)으로 유입되어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도 15는 이와 관련된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우징(100)에 유체배출로(126)를 형성시키지 않고 유체회수로(232)의 타 단부가 제1직선바아(22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킴에 따라, 유체의 배출과정에서 유체회수로(232)에 유입된 유체가 곧바로 유체회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경우이다.
즉 이 경우 유체회수로가 유체배출로(126)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도 제1완충부재(310)와 제2완충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직선바아의 직경축소홈을 생략하고 제1직선바아의 전체 직경을 제2직선바아보다 작게 제작하여 제1형성공간 내에서의 단면적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제2완충부재(32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2완충부재(320)가 작동축(200) 단부 나사부(240)에 직접 연결되는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나사부(240)가 외부 대상물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제2완충부재(320)가 연결지점 바로 앞쪽에 위치하여 하우징(100)의 전후 이동 과정에서 완충부에 의한 완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때 도 16처럼 제2완충부재(320)가 단순히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거나, 도 17처럼 별도의 커버(10)가 작동축(200) 중 제2완충부재(320) 주변 및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100) 단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함에 따라, 하우징(100)이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외부 물체가 하우징(100) 및 완충부재 사이로 들어가 발생될 수 있는 사고가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의 변형 예는 하우징 내부 구조에 상관 없이 위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작동축(200)의 양단부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어 작동축(200)의 양단부를 통해 진동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진동발생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점이 가장큰 특징이다.
또한 하우징(100) 내 이동경로를 개선하여 한번의 유체공급만으로 작동축(200)과 하우징(100) 간 두번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진동발생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점이 또 다른 특징이다.
그리고 유체공급관이 작동축(200)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이동에 의한 진동발생시 유체공급관과의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또 다른 특징이다.
더불어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작동축과 하우징 간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 함은 물론 작동축(200)과 외부대상물(1) 간의 충돌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또 다른 특징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작동축(200)의 직경차이로 인한 좌우 이동 구조는, 작동축(200) 중 일측의 직경을 인위적으로 굵게하거나 절삭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작게할 수도 있고, 이때 양 구간의 직경차이는 일측 작동축(200) 전체 직경을 굵거나 작게 할 수도 있고 압력형성구간(140) 내 구간의 직경만 굵거나 작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양방향 직선이동되는 작동축 양단부가 하우징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작동축에 의한 진동이 하우징 양측으로 번갈아가며 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진동발생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가동축이 유체압에 의해 전후 반복이동하면서 가동축과 연결된 외부 대상물에 진동을 가할 수 있으며, 특히 가동축에 의한 진동출력이 하우징 양방향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진동발생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체의 IN/OUT 구조와 내부 이동경로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Claims (6)

  1. 내부에는 압력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형성공간 양측에는 제1, 2축이동로가 외부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형성공간의 일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체공급로 및 상기 압력형성공간의 타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체배출로를 갖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축이동로와 압력형성공간 및 제2축이동로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양단부가 하우징 양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형성공간 내부 중 상기 유체공급로와 유체배출로와의 연결지점 사이 구간에는 유체접촉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축
    을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압력형성공간은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형성공간이 형성되고 반대쪽 지점에는 제2형성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접촉블록은 상기 제1, 2형성공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체공급로는 상기 제1형성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배출로는 상기 제2형성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진동발생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작동축은,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제1형성공간 쪽 단부에는 작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유입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체유입로의 단부는 상기 유체공급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체접촉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제1형성공간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축의 타단부까지는 유체회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회수로는 상기 작동축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유체배출로와 연결 및 비 연결상태가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작동축 중 상기 제1형성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의 둘레 직경은 상기 제2형성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의 둘레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는 진동발생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유체접촉블록의 양측면과 상기 압력형성공간 내벽면 중 이와 마주하는 면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PCT/KR2014/007313 2013-08-09 2014-08-07 진동발생장치 WO20150204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1,196 US10179347B2 (en) 2013-08-09 2014-08-07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201480055191.XA CN105658344B (zh) 2013-08-09 2014-08-07 振动发生装置
JP2016533245A JP6226213B2 (ja) 2013-08-09 2014-08-07 振動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22 2013-08-09
KR1020130094722A KR101546056B1 (ko) 2013-08-09 2013-08-09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0450A1 true WO2015020450A1 (ko) 2015-02-12

Family

ID=5246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313 WO2015020450A1 (ko) 2013-08-09 2014-08-07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9347B2 (ko)
JP (1) JP6226213B2 (ko)
KR (1) KR101546056B1 (ko)
CN (1) CN105658344B (ko)
WO (1) WO2015020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751A (zh) * 2015-07-13 2015-11-11 王洪波 一种新型气动振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67B1 (ko) * 2016-10-31 2018-08-17 이경운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CN109174599B (zh) * 2018-08-03 2020-07-21 沈阳理工大学 一种激振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138Y2 (ja) * 1987-03-13 1995-07-12 株式会社高橋エンジニアリング 振動発生シリンダ
JP2599602B2 (ja) * 1987-11-02 1997-04-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起振装置
JP3699306B2 (ja) * 1998-11-24 2005-09-28 日精工機株式会社 往復動加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1009A (en) * 1969-06-20 1971-08-24 Burgess & Associates Inc Pneumatically driven small diameter piston structure
US4026193A (en) * 1974-09-19 1977-05-31 Raymond International Inc. Hydraulically driven hammer system
WO1989002514A1 (en) * 1987-09-09 1989-03-23 Max Fehr Pneumatic linear vibrator
US5154567A (en) * 1991-03-11 1992-10-13 Hughes Aircraft Company Low frequency vibration assembly
US5209564A (en) * 1992-01-21 1993-05-11 National Air Vibrator Company Vibrator
DE4220205C1 (ko) * 1992-06-19 1993-07-29 Ppv-Verwaltungs-Ag, Zuerich, Ch
US5433523A (en) * 1992-11-23 1995-07-18 International Pipe Machinery Corp. Vibrators
JPH0730138A (ja) 1993-06-25 1995-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S焼結膜の製造方法
US5772128A (en) * 1996-05-17 1998-06-30 Csi Technology, Inc. System for acoustically detecting and/or removing jams of flowable material in a chute, and air hammer for performing the removal
JP3701507B2 (ja) * 1999-05-14 2005-09-28 日精工機株式会社 往復動加振装置
US6857773B1 (en) * 2003-01-08 2005-02-22 Compressed gas operated orbital rolling member vibrator having low noise properties
ATE463306T1 (de) * 2005-05-30 2010-04-15 Klemm Bohrtechnik Gmbh Schwingungserzeuger mit einem zwischen druckkammern verschiebbar gelagerten arbeitskolben
US7530301B2 (en) * 2006-12-12 2009-05-12 Dynamic Air Inc Self starting vibrator
IT1402207B1 (it) * 2010-10-01 2013-08-28 Fedeli Vibratore a piston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138Y2 (ja) * 1987-03-13 1995-07-12 株式会社高橋エンジニアリング 振動発生シリンダ
JP2599602B2 (ja) * 1987-11-02 1997-04-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起振装置
JP3699306B2 (ja) * 1998-11-24 2005-09-28 日精工機株式会社 往復動加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751A (zh) * 2015-07-13 2015-11-11 王洪波 一种新型气动振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8344B (zh) 2018-04-24
JP2016529100A (ja) 2016-09-23
KR101546056B1 (ko) 2015-08-20
JP6226213B2 (ja) 2017-11-08
KR20150018153A (ko) 2015-02-23
CN105658344A (zh) 2016-06-08
US10179347B2 (en) 2019-01-15
US20160184864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0450A1 (ko) 진동발생장치
WO2019132311A1 (ko)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WO2017179806A1 (ko) 밀폐형 슬리브
WO2014189283A1 (ko) 이송질량의 비를 최대화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로시험 방법
WO2010090500A2 (ko) 확장가능한 튜브형 락 볼트
WO2018105877A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WO2012026790A2 (ko) 힘 전달기구
WO2018212532A1 (ko) 나사 공급 장치
WO2018143768A1 (ko) 중간전달유닛을 구비한 브레이커
WO2014200245A1 (ko) 석재 절단 장치
ITGE20070103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e guida per cavi.
WO2015160032A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WO2013039315A2 (ko) 종방향 강연선과 횡방향 전단키를 갖는 세그먼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실드터널의 구축공법
WO2018038457A1 (ko) 가스 터빈 블레이드
CN111894636B (zh) 盾构区间隧道联络通道管片支撑结构
WO2016129808A1 (ko) 흡음형 소음기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형 소음기
WO2012124889A2 (ko) 성형용 금형핀 분리형 취부장치
WO2014163239A1 (ko) 원거리 송풍관
WO2011025248A2 (ko) 중장비용 죠 크러셔
WO2014017775A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CN111564923B (zh) 一种家电电机防护底座
WO2023068411A1 (ko) 수압과 고무팽창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암반절개 패커
WO2021230626A1 (ko)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WO2019074340A1 (ko) 밸브 조립체
WO2019221322A1 (ko) 산업용 랙 시스템용 사각 알루미늄 프로파일, 랙 조인트 및 수직 연결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5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DPE1 Request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iled after expiration of 19th month from priority date (pct application filed from 2004010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3324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11196

Country of ref document: US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5.04.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5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