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2311A1 -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 Google Patents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2311A1
WO2019132311A1 PCT/KR2018/015582 KR2018015582W WO2019132311A1 WO 2019132311 A1 WO2019132311 A1 WO 2019132311A1 KR 2018015582 W KR2018015582 W KR 2018015582W WO 2019132311 A1 WO2019132311 A1 WO 20191323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flat surface
pair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5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근철
류대현
임창우
이륜한
신화용
Original Assignee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CA308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CA3087332C/en
Publication of WO20191323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23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83Wear elements for buckets or implements in gener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insert for an excavator
  • Excavators such as excavators used in public works or mines, are used to dig up soil and stone, and to pile up soil or stone that has been dug to other locations or to the car's cargo bay.
  • Such excavators generally have buckets that are coupled to mechanical arms and used to carry soil or stone.
  • the end of the bucke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ooth points used to break and crush the soil or stone.
  • a direct excavation operation such as digging excavation paper, digging soil and stone, etc. is performed by the toot point, so that the toot point is worn as the use time elapse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 adapter and the tooth point.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perform a releasing operation between the toe adapter and the toe point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toe point.
  • a point body for a bucket of an excavator comprising: a point body having an empty insertion groove therein and having a pair of engagement holes located at opposite positions on opposite sides; And a pair of connection units inserted into the pair of engagement holes, each pair including a unit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nit body, wherein the point body is located in each engagement hol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connecting unit, a buffer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int body and surrounded by the fixing portion, And a support for positioning.
  • the guide portion may have the same thickness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r may in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support.
  •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support.
  • the buffer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fixing por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uffer portion has a shape of 'C',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surrounded by the buffer portion.
  •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 top surface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a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located under the top surface and two flat surface portions adjacent to the top surface, the side surface havi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protruded by the protrusion, As shown in FIG.
  • the side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r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and third flat surface portions.
  •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may be cutting surfaces that are cut from the circular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 Some of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may be cut surfaces that are cut from the circular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remaining flat surface portions may be cut surfaces that are cut from the circular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 one of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can be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and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unit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When the rotation is completed, the other one of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 connection unit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groove.
  • each connecting unit may comprise a polygonal groove.
  • connection unit since the guiding portion for guiding the projections of th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it is easy to operate the connection unit for combining and removing the to-point points.
  • the cushion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fixing portion, when the connecting unit is inserted, the fixing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supporting frame is mov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ng unit, The elasticity increases the adhesion of the connection unit at the engagement hole, and the phenomenon of automatically detaching the connection unit is greatly redu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for a bucket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cket tool of the excavator shown in Fig.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bucket for tooth of the excavator shown in Fig.
  • Fig. 4 and Fig. 5 are respectively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cket tools of the excavator shown in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cket tool of the excavator shown in Fig.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for a bucket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ed portion and a buffer portion are coupled.
  • connection unit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onnection unit of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 Fig. 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ngaging hole of Fig. 1;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hole when the coupl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in the bucket for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view immediately after the coupling unit is inserted, (C) is a view after the connecting unit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unit, and Fig.
  •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unit of FIG.
  • the bucket tool 100 of the excav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e adapter 10 coupled to a bucket (not shown) of an excavator, a toe adapter 10 connected to the toe adapter 10 20), and a connection unit (30).
  • the tooth adapter 10 includes an adapter body 11,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21 and 12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adapter body 11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adapter body 11 13).
  • the tooth adapter 10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and the tooth adapter 10 side is referred to as a rear side based on the tooth adapter 10 and the tooth point 20 shown in Fig.
  • the adapter body 1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shape.
  •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21 and 122 are fixedly coupled to the bucket of the excavator and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adapter body 11,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 the first mounting portion 121 protrudes from the left rea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adapter body 11 and extends toward the rear
  •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2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adapter body 11 And protrudes from the right side portion and extends toward the rear sid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21 and 122 has a protrusion shape whose sectional size decreases toward the rear side.
  • the insertion portion 13 has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adapter body 11 and is also reduced in size as it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13 has a polygonal shape,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each made flat.
  • the insertion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H13 penetrating the insertion portion 13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Z of the insertion portion 13. [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H13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dapter body 11 and completely penetrates the insertion portion 13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3 and vice versa.
  •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21 and 122 and the insertion portion 13 are extended by the corresponding lengths, respectively,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adapter body 11 as a center.
  • the tooth point 20 is for engaging the tooth adapter 10 to excavate the excavated paper.
  • the tooth point 20 includes a pair of engaging holes (for example, upper and lower surfaces) A guiding portion 21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protrusion 32 of the inserted connecting unit 30 when the connecting unit 30 is inserted,
  •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of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 is completed,
  • a fixing part 22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flat surface part (for example, the second flat surface part 3132) of the fixing part 22, a fixing part 23 located between the fixing part 22 and the tooth point 20,
  • a support 24 for supporting the buffer 22 and the buffer 22 is located.
  • the guide part 21, the fixing part 22, the buffer part 23 and the support part 2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in each engaging hole H20 The surface where the engagement hole H20 is in contact].
  • the point body 201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S20 as an empty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3 of the tooth adapter 10 is inserted in the center portion in addition to the pair of engagement holes H20. At this time, the pair of engagement holes H20 are in the insertion groove S20.
  • the insertion groove S20 is a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3 of the tooth adapter 10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its shape and formation length are the same as the outer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13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13 . Therefore, the insertion groove S20 has a diameter that decreases from the tip end F1 of the tooth point 20 toward the distal end E1, similar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13.
  •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the rear end of the tip portion adjacent to the tooth adapter 1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dapter body 110.
  • the pair of engagement holes H20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holes into which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 the guide portion 21 has a thickness T21 and a width W21 defin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01 of the tooth point 20 toward the insertion groove S20.
  • the size of the thickness T21 of the guide portion 21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 the thickness T21 of the guide portion 21 diff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increases as it moves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30.
  • the heigh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 that is,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
  • the height of the surface in the connecting unit 30 increases or decreases as the connecting unit 30 moves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T21 in the guide portion 21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H311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 and the maximum valu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H311 of the first portion.
  • the width W21 of the guide portion 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32 of the connection unit 30.
  • connection unit 30 When the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about 90 degrees towar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fixing unit 22 side) after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H20, The protrusion 32 of the guide portion 2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2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2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
  • the protrusion 32 is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 the protrusion 32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guide portion 21 and the space S21 ).
  • connection unit 30 when the guide portion 2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fixing portion 23, insertion and removal operations of the connection unit 30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connection unit 30 protrudes to the outside As the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along the upward guide unit 21,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20.
  • connection unit 30 when the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direction by using the corresponding wrench or the like, when the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21, The connection unit 3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by a thickness difference of the minimum value.
  • the fixing portion 22 has a ring shape of 'D' which is positioned on a support 24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and is open at one side.
  • the buffering portion 23 is inserted through the opened side, and the fixing portion 22 is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buffering portion 23.
  • the fixing portion 22 is positioned at a long axis of the fixing portion 2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24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 the fixing portion 22 may be made of metal.
  • the buffer part 23 is also located on the support 24 and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buffer part 23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space of the fixing part 22 and is stably fixed by the fixing part 22 and is positioned on the supporting part 24 (refer to FIG. 7).
  • the buffer part 23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and the fixing part 22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and th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 adjacent thereto.
  • the buffer part 2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elastomer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
  • the fixing portion 22 is pushed toward the buffer portion 23 by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ng unit 30 when the connec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H20,
  • the state of the cushioning portion 23 is compressed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cushioning portion 22 and the fixing portion 22 is moved toward the cushioning portion 23.
  • the connecting unit 3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2 into the engaging hole H20 without interference of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H20.
  • the fixing portion 22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connecting unit 30 to be contacted, so that the insertion and removal operations in the coupling hole H20 are facilitated and th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unit 30 Thereby reducing wear.
  • the space S22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2 and the buffer portion 23 are located is limited And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oint body 201 which defines the space S22 and stably positions the fixing portion 22 and the buffer portion 23 in the space S22 Blocking portions P21 and P22, which are protruding portions, are located.
  • the blocking portion P21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portion 21 and the support 24, and the protrusion 32 of the connection unit 30 rotates until it contacts the blocking portion P21, Defines the range of rotation.
  • the connec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engaging holes H20 and the through hole H13 to insert the tooth point 20 into the tooth adapter 10 when the inserting portion 1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groove S20.
  • connection unit 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good durability such as water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 the pair of engagement holes H20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 the pair of connecting units 30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H20 has a column shap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H20 as shown in Figs. 8A and 7B.
  • connection unit 30 has a unit body 31 and a projection 32 projecting outward from the unit body 31.
  • the unit body 31 has an upper surface 311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and a lower surface 312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surface 311 and having three sides in a straight line, And a side surface 313 extend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312 and the lower surface 312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upper surface 311 is provided with a square groove S311 which is an empty space located at the center and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At this time, the square groove S311 has a predetermined depth.
  • the square groove S311 is a portion into which a device such as a square wrench is inserted when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H20 and the operator inserts the corresponding device into the square groove S311
  • the connec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H20 and then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insert and engage the engaging hole 30 into the engaging hole H20 Respectively.
  • the groove S311 has an angul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shape in its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groove S311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S311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but may be a polygon such as a hexago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equipment used, and at least one surface may be a curved surface.
  • connection unit 30 is cut from the lower surface 312 toward the upper surface 311 to form first through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nd first and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 and 3133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3134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located only from the lower surface 312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 to 3133 are not located from the upper surface 311 to the lower surface 312 of the side surface 313, but a circular portion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exists.
  • the angle formed by two flat surfac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 a shape of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two flat surface portions.
  • the side surface 313 is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i.e., a circular portion), a first through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3131-3133 which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311,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first portion 3134.
  •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portion is circular
  •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portion has a shape composed of three rectilinear portion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portion formed of a curved line. At this time, also between the two adjacent straight portions in the second portion is also a curve.
  • the engagement protrusion P311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exposed first portion, is positioned.
  • the planar shape of the lower surface 312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313 due to the first to third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313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lanar shape of the three straight portions and one portion And has a shape made up of this curve.
  • the protrusion 32 protrudes outward from the curved surface portion 3134 of the side surface 313 and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32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P311 .
  • protrusions 32 function as fixing latches for stably positioning the connection unit 30 in the engagement hole H20 after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H20.
  • the connecting unit may have other structures other than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 the connecting unit 30a shown in Figs. 11A and 11B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ng unit 30 shown in Figs. 8A and 8B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side portion 313, and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 the connecting unit 30 shown in Figs. 8A and 8B and the connecting unit 30a shown in Figs. 11A and 11B both include the unit bodies 31 and 31a and the projections 32, and the unit body 31 31a have an upper surface 311, a lower surface 313 and side surfaces 313, 313a each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 the side surface portion 313 of the unit body 31 shown in Figs. 8A and 8B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3134 and three remaining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locat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rusion 32 is formed.
  • the three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are the cutting surfaces located from the lower surface 312 to the circular por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all the portions from the circular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312 are cut to become the flat surface portions 3131-3133.
  • the side portion 313a of the unit body 31a shown in Figs. 11A and 11B also has the curved surface portion 3134 and the three flat surface portions 3131a, 3132 and 3133a, but the three flat surface portions 3131a and 3132 , And 3133a are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unit body 31.
  • the flat surface portion 3132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ion 32 has a cut shape from the circular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312, as shown in Figs. 8A and 8B,
  • the flat surface portions 3131a and 3133a are cutting surfaces that are not cut to the bottom surface 312 but are cut to the bottom surface 312 because the cutting length is short.
  • connection unit 30a of this example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unit 30 shown in FIGS. 8A and 8B,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oth adapter 10 and the tooth pointer 2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state can be released.
  • the insertion portion 13 of the tooth adapter 10 is firs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20 of the tooth point 20.
  • the connec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each corresponding engaging hole H20, and is then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H20 (Figs. 10 (a) to (c)).
  • connection unit 30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guide portion 21 which is an inclined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H20, and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by the cushioning portion 23,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coupling unit 30 is facilitated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unit 30 increases in the coupling hole H20 to prevent the coupled coupling unit 30 from being detached itself (refer to FIG. 10 (c)).
  • the two connection units 30 are insert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the tooth adapter 10 and the tooth poin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wo connection units 30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20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an empty space is located between the two connection units 30.
  • the coup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an when coupling the tooth point 20 to the tooth adapter 10 by using one coupling uni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upling unit is also reduced
  • connection unit 30 since the structures of the two connection units 30 inserted in opposite directions (e.g.,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upward direction) are the same,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 having one structure regardless of the insertion direction .
  • connection unit 30 can be manufactured using one mold fram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for manufacturing the two mold frames is reduced.
  • connection unit 30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connec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operation time in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 is greatly shortened.
  • connection unit 30 rotates the connecting unit 3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operation of the engaging hole H20,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unit 30 protrudes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operator easily removes the connection unit 30 from the engagement hole H20 by using the protruded portion (refer to FIG. 10 (a)).
  • connection unit 31a unit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는 내부에 빈 삽입홈을 구비하고,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포인트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각각 삽입되며,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몸체는 각 결합 구멍 속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삽입된 연결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포인트 몸체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는 완충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가 위치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본 발명은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이다
공공작업이나 광산에서 사용되는 굴착기 등의 굴착 장치는 흙과 돌을 파내고, 파낸 흙이나 돌을 다른 위치나 차량의 적재함 등으로 퍼 날라 쌓아 놓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굴착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아암(arm)에 결합되어 흙이나 돌을 퍼 나르는데 사용되는 버킷(bucket)을 구비한다.
버킷의 단부에는 흙이나 돌을 파내고 파쇄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tooth point)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투스 포인트는 버킷과 연결되어 있는 투스 어댑터(tooth adaptor)를 통하여 버킷F과 연결되므로,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는 투스 어댑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굴착 장치를 통한 굴착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굴착지를 파고, 흙과 돌을 퍼내는 등과 같이 직접적인 굴착 동작은 투스 포인트에 의해 행해지므로 투스 포인트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투스 포인트의 마모 정도가 설정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원활한 굴착 동작과 굴착기를 보호하기 위해 투스 포인트를 교체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11366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투스 어댑터와 투스 포인트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투스 어댑터와 투스 포인트 간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하여 투스 포인트의 교체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는 내부에 빈 삽입홈을 구비하고,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포인트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각각 삽입되며,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몸체는 각 결합 구멍 속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삽입된 연결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포인트 몸체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는 완충부, 및 상기 고정부와 완충부가 위치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상기 지지대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완충부는 'ㄷ'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완충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 하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와 인접한 두 평탄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곡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상부면과 상기 제2 및 제3 평탄면부 사이에 원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는 각각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하부면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일부는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상기 하부면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일 수 있고, 나머지 평탄면부은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상기 하부면 전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일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에 상기 연결 유닛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하나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결합 구멍에 삽입된 상기 연결 유닛의 회전이 상기 고정부 쪽으로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고정부와 접할 수 있다.
해당 결합 구멍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연결 유닛은 서로 상기 삽입홈 내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연결 유닛의 상부면은 다각형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 유닛을 이용하여 투스 어댑터에 투스 포인트를 결합하므로, 하나의 연결 유닛을 이용할 때보다 좀더 용이하게 투스 포인트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면, 연결 유닛의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하므로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연결 유닛의 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위치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경사면을 구비하므로, 투스 포인트의 결합이나 탈거 동작을 위한 연결 유닛의 조작이 용이하다.
더욱이, 투스 포인트가 고정부를 에워싸게 완충부를 구비하므로, 연결 유닛의 삽입 시 지지대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의 위치 이동을 실시하여 연결 유닛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 유닛의 삽입 완료 시 완충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 구멍에서 연결 유닛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자동으로 연결 유닛의 탈거되는 현상이 크게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서 고정부와 완충부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1의 연결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결합 구멍에 대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서 결합 구멍에 연결 유닛이 삽입될 때 결합 구멍에 대한 단면도로, (a)는 연결 유닛이 삽입된 직후의 도면이고, (b)는 연결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연결 유닛이 회전되는 과정의 도면이며, (c)는 연결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연결 유닛이 회전된 후의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의 연결 유닛의 다른 예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면, 본 예의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100)는 굴삭기의 버킷(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투스 어댑터(10), 투스 어댑터(10)에 연결되어 있는 투스 포인트(20), 그리고 연결 유닛(30)을 구비한다.
투스 어댑터(10)는 어댑터 몸체(11), 어댑터 몸체(11)로부터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 그리고 어댑터 몸체(11)로부터 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13)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에 도시한 투스 어댑터(10)와 투스 포인트(20)을 기준으로 투스 어댑터(10) 쪽을 전방이라 하고, 투스 어댑터(10) 쪽을 후방이라 한다.
어댑터 몸체(11)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는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어댑터 몸체(11)의 해당 면인 후면의 서로 반대편에서 대응하고 있는 부분, 예를 들어 좌측부와 우측부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면, 제1 장착부(121)는 어댑터 몸체(11)의 후면 좌측부에서 돌출되어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장착부(122)는 어댑터 몸체(11)의 후면 우측부에서 돌출되어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는 각각 후방 쪽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13)는 투스 포인트(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어댑터 몸체(11)의 전면에서부터 전방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상을 갖고 있고, 역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때, 삽입부(13)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삽입부(13)에는 삽입부(13)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삽입부(13)를 관통하고 있는 관통 구멍(H13)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관통 구멍(H13)은 어댑터 몸체(1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삽입부(13)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으로 또는 그 반대로 삽입부(13)를 완전히 관통한다.
이로 인해, 어댑터 몸체(11)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와 삽입부(13)가 각각 해당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투스 포인트(20)는 투스 어댑터(10)과 결합되어 굴삭지를 굴삭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대편에서 서로 대응하는 있는 두 면(예, 상부면과 하부면)에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 구멍(H20)을 구비한 구비하는 포인트 몸체(201), 삽입된 연결 유닛(30)의 돌기(32)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1), 연결 유닛(30)가 삽입될 때, 연결 유닛(30)의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 중 하나[예, 제1 평탄면부(3131)]와 접하고 연결 유닛(30)의 회전 동작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 중 하나의 평탄면부[예, 제2 평탄면부(3132)]와 접하는 고정부(22), 고정부(22)와 투스 포인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23), 그리고 고정부(22)와 완충부(23)를 지지하는 지지대(24)가 위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부(21), 고정부(22), 완충부(23) 및 지지대(24)는 각 결합 구멍(H20) 속의 포인트 몸체(201) 내부면[즉, 결합 구멍(H20)가 접해 있는 면]에 위치한다.
포인트 몸체(201)는 한 쌍의 결합 구멍(H20) 이외에, 가운데 부분에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삽입되는 빈 공간인 삽입홈(S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결합 구멍(H20)은 삽입홈(S20)에 통해 있다.
삽입홈(S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삽입되는 공간이므로 그 형상과 형성 길이는 삽입부(13)의 외형과 삽입부(13)의 돌출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삽입홈(S20)은 삽입부(13)의 형상과 유사하게 투스 포인트(20)의 선단부(F1)에서 말단부(E1)로 갈수록 공간의 지름이 줄어든다.
또한,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투스 포인트(20)의 삽입홈(S20) 속으로 삽입될 때, 투스 어댑터(10)와 인접한 선단부 후면은 투스 어댑터(10)의 어댑터 몸체(11)의 해당 면인 전면과 접한다. 따라서, 투스 어댑터(10)과 인접한 선단부 후면의 단면 형상과 크기는 어댑터 몸체(110)의 전면 형상과 크기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결합 구멍(H20)은 각각 연결 유닛(30)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가이드부(21)는 투스 포인트(20)의 몸체(201) 상부면이나 하부면에서 삽입홈(S20) 쪽으로 정해진 두께(T21)와 폭(W21)을 갖는다.
본 예에서, 가이드부(21)의 두께(T21)의 크기는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가이드부(21)의 두께(T21)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여, 연결 유닛(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증가한다. 이 경우, 가이드부(21)의 외부면, 즉 외부에 노출된 면의 높이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반면, 가이드부(21)의 내부면, 즉 외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으로서 삽입홈(S20) 내에 면의 높이는 연결 유닛(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가이드부(21)에서 두께(T21)의 최소값은 연결 유닛(30)의 제1 부분의 두께(H311)보다 작고 최대값은 제1 부분의 두께(H311)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1)의 폭(W21)은 연결 유닛(30)의 돌기(32)의 돌출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결합 구멍(H20)으로 연결 유닛(30)이 삽입된 후, 연결 유닛(30)이 해당 방향[예, 고정부(22) 쪽]으로 대략 90도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면 연결 유닛(30)의 돌기(32)는 가이드부(21)의 해당 면과 접하면서 가이드부(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고정부(22)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부(21)의 해당 면에 돌기(32)가 위치하므로, 가이드부(21) 위쪽이나 아래쪽에는 돌기(32)가 위치하며 돌기(32)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S21)이 위치한다.
이때, 가이드부(21)가 고정부(23)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 유닛(30)의 삽입 및 탈거 동작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당 결합 구멍(H20)으로 연결 유닛(30)이 삽입된 초기, 즉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 전에는 연결 유닛(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결 유닛(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오르막진 가이드부(21)를 따라 연결 유닛(3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 유닛(30)은 삽입홈(S20) 안쪽으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반대로 해당 렌치 등을 이용하여 연결 유닛(30)을 결합 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이드부(21)를 따라 내리막 방향으로 연결 유닛(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최대값과 최소값의 두께 차이만큼 연결 유닛(30)은 포인트 몸체(201)의 하부면이나 상부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로 도출된 연결 유닛(30)을 이용해 해당 결합 구멍(H20) 속에서 연결 유닛(30)을 잡아 당겨 투스 포인트(20)와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 간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고정부(22)는 포인트 몸체(201)의 하부면이나 상부면에 위치하는 지지대(24) 위에 위치하며 한 변이 개방되어 있는 'ㄷ'자의 고리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개방된 변을 통해 완충부(23)가 삽입되어, 고정부(22)는 완충부(23)를 에워싸게 위치한다.
이때, 고정부(22)는 포인트 몸체(201)의 내부면을 따라 길게 연장하는 지지대(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고정부(22)의 장축이 위치한다.
이러한 고정부(22)의 일부분, 즉, 장축 부분과 단축 부분의 일부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대(24)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본 예에서, 고정부(22)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23) 역시 지지대(24) 위에 위치하며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완충부(23)는 고정부(22)의 내부 빈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부(22)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지지대(24) 위에 위치한다(도 7 참고).
따라서, 완충부(23)는 포인트 몸체(201) 내부면과 고정부(22) 사이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자신과 인접한 고정부(22)의 면과 포인트 몸체(201) 내부면에 접해 있다.
이러한 완충부(23)는 고무나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해당 결합 구멍(H20) 속으로 해당 연결 유닛(30)이 삽입될 때, 연결 유닛(30)의 삽입 동작에 의해 고정부(22)는 완충부(23) 쪽으로 밀리게 되고, 고정부(22)의 밀림 동작에 의해 완충부(23)의 상태는 압축 상태가 되어 고정부(22)는 완충부(23)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22)의 위치 이동 동작에 의해 지지대(24)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22)의 부분이 지지대(24) 완충부(23)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 유닛(30)은 고정부(22)의 돌출 부분의 방해 없이 용이하게 결합 구멍(H20)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22)는 접촉되는 연결 유닛(30)과 동일한 재료인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 구멍(H20)에서의 삽입 및 탈거 동작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 유닛(30)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 현상을 감소시킨다.
해당 결합 구멍(H20)으로의 결합이 완료되면, 완충부(23)의 복원 기능에 의해 연결 유닛(30)의 밀착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결합 구멍(H20) 내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22)와 완충부(23)가 위치하므로, 이들 고정부(22)와 완충부(23)가 위치하는 공간(S22)이 한정되어 있고, 이 공간(S22)을 한정하고 고정부(22)와 완충부(23)가 이 공간(S22)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포인트 몸체(201)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에서 삽입홈(S20)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인 막음부(P21, P22)가 위치한다.
이때, 막음부(P21)는 가이드부(21)와 지지대(24) 사이에 위치하고, 연결 유닛(30)의 돌기(32)는 막음부(P21)와 접할 때까지 회전하여, 돌기(32)이 회전 범위를 한정한다.
연결 유닛(30)은 삽입홈(S20)에 삽입부(13)가 삽입될 때, 한 쌍의 결합 구멍(H20)과 관통 구멍(H13)에 삽입되어 투스 어댑터(10)에 투스 포인트(20)를 결합한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 구멍(H20)은 각각 삽입홈(S20)에 삽입부(13)가 삽입될 때 관통 구멍(H13)과 중첩하는 투스 포인트(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해당 위치에 위치한다.
연결 유닛(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같이 내수성과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구멍(H20)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결합 구멍(H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결합 구멍(H20)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 유닛(30)은 도 8a 및 도 7b에 도시한 것처럼, 해당 결합 구멍(H20)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연결 유닛(30)은 유닛 몸체(31), 유닛 몸체(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32)를 구비한다.
유닛 몸체(3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311), 상부면(31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세변은 직선으로 한 면을 곡선으로 이루어진 평면 형상을 갖는 하부면(312), 상부면(311)과 하부면(312) 사이에서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는 측면(313)을 구비한다.
상부면(311)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빈 공간인 사각홈(S311)을 구비한다. 이때, 사각홈(S311)은 정해진 크기의 깊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사각홈(S311)은 연결 유닛(30)을 해당 결합 구멍(H20)에 삽입할 때, 사각 렌치(wrench)와 같은 장비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작업자는 사각홈(S311)에 해당 장비를 삽입할 후, 망치 등으로 해당 장비의 머리 부분을 때려 연결 유닛(30)을 해당 결합 구멍(H20) 속으로 삽입시킨 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해당 결합 구멍(H20) 속으로의 삽입 및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홈(S311)은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과 같이 각진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하지만, 홈(S31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장비의 형태에 따라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며 적어도 한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유닛(30)의 측면(313)은 하부면(312)에서부터 상부면(311) 쪽으로 절삭되어 평탄한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과 제1 및 제3 평탄면부(3131, 3133) 사이에 위치한 곡면부(3134)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은 서로 인접하게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하부면(312)에서부터 정해진 거리까지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측면(313) 중에서 상부면(311)에서부터 하부면(312) 쪽으로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가 위치하고 않아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원형부가 존재한다.
본 예에서, 서로 인접한 두 평탄면부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두 평탄면부 사이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면(313)은 상부면(311)과 인접한 상부 쪽에 위치하며 모든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부분(즉, 원형부)과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와 곡면부(3134)를 구비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부분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고, 제2 부분의 평면 형상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 개의 직선부와 한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2 부분에서 인접한 두 직선부 사이 역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가 위치하고 있는 제2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는 노출되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인 걸림턱(P311)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3131-3133)와 곡면부(3134)로 인해, 측면(313)과 연결되어 있는 하부면(312)의 평면 형상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세 개의 직선부와 한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다.
돌기(32)는 측면(313)의 곡면부(3134)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기(32)의 상단면의 높이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의 높이, 즉 걸림턱(P311)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32)는 해당 결합 구멍(H20) 속에 연결 유닛(30)이 삽입된 후, 연결 유닛(30)을 결합 구멍(H20) 속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고정용 걸쇠로 기능한다.
하지만, 연결 유닛은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연결 유닛(30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연결 유닛(30)과 비교할 측면부(313)의 구조만 상이하고 다른 구조는 동일하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연결유닛(30)과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여결 유닛(30a)은 모두 유닛 몸체(31, 31a)와 돌기(32)를 구비하고 있고, 유닛 몸체(31, 31a)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311), 하부면(313) 및 측면부(313, 313a)를 구비한다.
하지만,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유닛 몸체(31)의 측면부(313)는 돌기(32)가 형성된 면에 위치한 곡면부(3134)와 나머지 세 개의 평탄면부(3131-3133)를 구비한다. 이때, 세 개의 평탄면부(3131-3133)는 각각 하부면(312)에서부터 원형부까지 위치한 절삭면이다. 이로 인해, 원형부에서부터 하부면(312)까지 모두 절삭되어 각 평탄면부(3131-3133)가 된다.
하지만,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유닛 몸체(31a)의 측면부(313a) 역시 곡면부(3134)와 세 개의 평탄면부(3131a, 3132, 3133a)를 갖고 있지만, 세 개의 평탄면부(3131a, 3132, 3133a)의 절삭 길이가 유닛 몸체(31)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도시한 것처럼, 돌기(3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평탄면부(3132)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부에서부터 하부면(312)까지 모두 절삭된 형상을 갖는 반면, 나머지 두 개의 평탄면부(3131a, 3133a)는 절삭 길이가 짧아 하부면(312)까지 절삭되지 않고 하부면(312)전까지 절삭된 절삭면이다.
따라서, 하부면(312)과 각 평탄면부(3131a, 3133a) 사이에는 평탄면이 아닌 곡면부가 존재한다.
이러한 유닛 몸체(31a)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외하면 본 예의 연결 유닛(30a)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연결 유닛(30)과 동일하게 동작하여 투스 어댑터(10)와 투스 포인터(20)를 서로 결합하고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투스 포인트(20)의 삽입홈(S20) 속에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삽입부(13)에 위치한 관통 구멍(H13)과 투스 포인트(20)의 결합 구멍(H20)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해당 연결 유닛(30)을 각 해당 결합 구멍(H20)에 삽입한 후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해당 결합 구멍(H20) 속에 삽입시킨다[도 10의 (a) 내지 (c)].
이때, 이미 기술한 것처럼, 경사면인 가이드부(2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연결 유닛(30)의 부분이 결합 구멍(H20) 속으로 삽입되며, 완충부(23)에 의해 연결 유닛(30)의 삽입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결합 구멍(H20) 속에서 연결 유닛(30)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결합된 연결 유닛(30)이 스스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한다[도 10의 (c) 참고].
이처럼, 두 개의 연결 유닛(30)을 서로 반대 방향에서 삽입하여 투스 어댑터(10)와 투스 포인트(20)를 서로 결합할 때,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두 연결 유닛(30)은 삽입홈(S20) 내에서 서로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두 연결 유닛(30) 사이에는 빈 공간이 위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 유닛을 이용하여 투스 어댑터(10)에 투스 포인트(20)를 결합할 때보다 좀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며, 연결 유닛의 제조 비용 역시 절감된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예, 하강 방향과 상승 방향)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연결 유닛(30)의 구조가 서로 동일하므로, 삽입 방향에 무관하게 하나의 구조를 갖는 연결 유닛(30)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삽입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연결 유닛에 비하여, 하나의 금형틀을 이용해 연결 유닛(30)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두 개의 금형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삽입 방향에 따른 연결 유닛(30)의 구분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결 유닛(30)의 연결 동작 시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또한, 해당 결합 구멍(H20) 속에 삽입된 연결 유닛(30)이 탈거 동작은 결합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 유닛(30)의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 동작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연결 유닛(30)은 하강하거나 상승하여 연결 유닛(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해당 결합 구멍(H20)에서 연결 유닛(30)을 용이하게 탈거하게 된다[도10의 (a) 참고].
이상, 본 발명의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0: 투스 어댑터
20: 투스 포인트 201: 포인트 몸체
21: 가이드부 22: 고정부
23: 완충부 24: 지지대
30, 30a: 연결 유닛 31, 31a: 유닛 몸체
32: 돌기 H20: 결합 구멍
S20: 삽입홈

Claims (13)

  1. 내부에 빈 삽입홈을 구비하고,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포인트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각각 삽입되며,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몸체는,
    각 결합 구멍 속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삽입된 연결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포인트 몸체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는 완충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완충부가 위치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를 갖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3.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대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5. 제1항에서,
    상기 완충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6.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완충부는 'ㄷ'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완충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7.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 하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와 인접한 두 평탄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곡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면
    을 포함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8. 제7항에서,
    상기 측면은 상부면과 상기 제2 및 제3 평탄면부 사이에 원형부를 더 포함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는 각각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하부면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0. 제8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일부는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상기 하부면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이고, 나머지 평탄면부은 상기 원형부에서부터 상기 하부면 전까지 절삭되어 있는 절삭면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1. 제7항에서,
    상기 결합 구멍에 상기 연결 유닛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하나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게 삽입되며,
    상기 결합 구멍에 삽입된 상기 연결 유닛의 회전이 상기 고정부 쪽으로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평탄면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2. 제7항에서,
    해당 결합 구멍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연결 유닛은 서로 상기 삽입홈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3. 제7항에서,
    각 연결 유닛의 상부면은 다각형의 홈을 포함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PCT/KR2018/015582 2017-12-29 2018-12-10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WO20191323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087332A CA3087332C (en) 2017-12-29 2018-12-10 Bucket tooth of exca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83885 2017-12-29
KR10-2017-0183885 2017-12-29
KR10-2018-0054736 2018-05-14
KR1020180054736A KR101911513B1 (ko) 2017-12-29 2018-05-14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311A1 true WO2019132311A1 (ko) 2019-07-04

Family

ID=6413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582 WO2019132311A1 (ko) 2017-12-29 2018-12-10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4656B2 (ko)
JP (1) JP6694495B2 (ko)
KR (1) KR101911513B1 (ko)
CN (1) CN109989447B (ko)
AU (1) AU2018264144B2 (ko)
CA (1) CA3087332C (ko)
WO (1) WO2019132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4793B2 (en) * 2016-12-15 2019-1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support rib
US11492784B2 (en) 2019-04-15 2022-11-08 Hensley Industries, Inc. Position-biased locking pin assembly for a ground engaging wear member
KR102279468B1 (ko) * 2019-07-17 2021-07-20 성보공업주식회사 댐퍼 구조물
CN111535388A (zh) * 2020-03-30 2020-08-14 江苏国润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耐磨结构
KR102496104B1 (ko) * 2020-07-15 2023-02-06 성보공업주식회사 투스 포인트 및 결합 구조물
KR102306607B1 (ko) * 2020-09-10 2021-09-30 성보공업주식회사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USD978925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adapter
USD978924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330A1 (en) * 2001-10-12 2003-04-17 Olds John R. Tooth retainer with rotary camlock
US20100162594A1 (en) * 2008-12-19 2010-07-01 Bierwith Robert S Quick Release Screw Connector For Earth-Moving Equipment
KR20110134457A (ko) * 2009-03-23 2011-12-14 블랙 캣 블레이즈 리미티드 안정화된 굴착기 치형부 부착부
US20140352181A1 (en) * 2013-05-31 2014-12-04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KR20150137346A (ko) * 2014-05-29 2015-12-09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37Y2 (ja) 1978-06-28 1984-04-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土工爪取付装置
JPS6250263U (ko) 1985-09-19 1987-03-28
US5937551A (en) 1997-11-07 1999-08-17 Columbia Steel Casting Co., Inc. Lock system for excavating tooth point and adapter
US5966849A (en) * 1997-11-07 1999-10-19 Columbia Steel Casting Co., Inc. Lock system for excavating tooth point and adapter and for rigging
US5987787A (en) 1998-02-11 1999-11-23 Wright Equipment Company (Proprietary) Limited Ground engaging tool components
AUPR576701A0 (en) * 2001-06-18 2001-07-12 Keech Castings Australia Pty Limited Locking assembly and method
US7171771B2 (en) 2003-04-30 2007-02-06 Esco Corporation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ES2335205T3 (es) * 2003-12-05 2010-03-23 Metalogenia,S.A. Conjunto de desgaste y sus componentes, aplicable a maquinas para mover materiales tales como tierra y piedras.
PT1741842E (pt) * 2004-03-30 2010-12-07 Metalogenia Sa Dispositivo removível para a fixação de duas peças mecânicas
KR20060011366A (ko) 2004-07-30 2006-02-03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CA2597277C (en) * 2007-08-14 2011-11-08 Neil Douglas Bentley Retainer pin and tooth for tooth and adaptor assembly
WO2013082678A1 (en) 2011-12-08 2013-06-13 Cqms Pty Ltd An excavator wear assembly
JP6105233B2 (ja) 2012-09-05 2017-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9309651B2 (en) * 2013-03-15 2016-04-12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CN104563194B (zh) * 2014-11-29 2017-01-18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改良结构的挖掘机斗齿
DK3040485T3 (en) 2014-12-30 2018-10-29 Usco S P A SOIL WORKING MACHINE DEVICE
SE538882C2 (sv) * 2015-06-26 2017-01-24 Combi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lås och metod för låsning av en slitdel tillen slitdelshålla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330A1 (en) * 2001-10-12 2003-04-17 Olds John R. Tooth retainer with rotary camlock
US20100162594A1 (en) * 2008-12-19 2010-07-01 Bierwith Robert S Quick Release Screw Connector For Earth-Moving Equipment
KR20110134457A (ko) * 2009-03-23 2011-12-14 블랙 캣 블레이즈 리미티드 안정화된 굴착기 치형부 부착부
US20140352181A1 (en) * 2013-05-31 2014-12-04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KR20150137346A (ko) * 2014-05-29 2015-12-09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513B1 (ko) 2018-10-24
CA3087332A1 (en) 2019-07-04
CN109989447A (zh) 2019-07-09
JP6694495B2 (ja) 2020-05-13
US10954656B2 (en) 2021-03-23
AU2018264144A1 (en) 2019-07-18
CA3087332C (en) 2022-12-06
AU2018264144B2 (en) 2020-07-02
JP2019120116A (ja) 2019-07-22
CN109989447B (zh) 2022-03-22
US20190203445A1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2311A1 (ko)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CA2493376C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excavation equipment components
WO2021054524A1 (ko) 버켓
US20030070330A1 (en) Tooth retainer with rotary camlock
WO2018038290A1 (ko) 수압을 이용하여 암반절개를 위한 패커
BR0306308B1 (pt) Conjunto de desgaste para um escavador e respectiva trava
WO2010104278A2 (ko) 중장비의 부수장치 교환용 록킹장치
WO2022114312A1 (ko)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CA2461953A1 (en) Removable adapter assembly having a retractable insert
WO2011149197A2 (ko)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
WO2021010653A1 (ko) 댐퍼 구조물
WO2014027819A1 (ko) 해머 비트 및 그를 이용한 지면 천공 방법
US6467204B1 (en) Adapter assembly having multiple retainer pins
WO2016006815A1 (ko) 천공작업 능률 개선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변속이 가능한 오거
WO2018034362A1 (ko) 퀵 커플러의 2중 안전장치
WO2014007477A1 (ko)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WO2014104432A1 (ko) 패드와 드릴 헤드를 가지는 드릴 공구
WO2015088144A1 (ko) 인덱서블 드릴용 절삭인서트
US20030041486A1 (en) Retainer pin having an internal secondary retainer pin
WO2019054785A1 (ko)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WO2014073784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supply having the connectors
WO2012074209A2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WO2015141944A1 (ko) 영상 데이터 무선 전송장치와 전원 및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배관이 형성된 지하매설물 확인용 카메라가 장착된 굴착스크류
WO2016048025A1 (ko) 굴삭 펌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장치
WO2020189981A1 (ko) 회수형 천공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56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87332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56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