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07B1 -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07B1
KR102306607B1 KR1020200116234A KR20200116234A KR102306607B1 KR 102306607 B1 KR102306607 B1 KR 102306607B1 KR 1020200116234 A KR1020200116234 A KR 1020200116234A KR 20200116234 A KR20200116234 A KR 20200116234A KR 102306607 B1 KR102306607 B1 KR 10230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pace
coupling unit
flexible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철
류대현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07B1/ko
Priority to EP21189530.5A priority patent/EP3967814A1/en
Priority to CA3126653A priority patent/CA3126653C/en
Priority to CN202110901214.6A priority patent/CN114164889A/zh
Priority to US17/396,113 priority patent/US20220074172A1/en
Priority to AU2021215097A priority patent/AU2021215097C1/en
Priority to BR102021015747-0A priority patent/BR102021015747A2/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07B1/ko
Priority to AU2023201458A priority patent/AU20232014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댐퍼 구조물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연성부 및 상기 연성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성부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연성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중공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연성부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DAMPER STRUCTURE AND COMBINED STRUCTURE COUPLED BY DAMPER STRUCTURE}
본 발명은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공공작업이나 광산에서 사용되는 굴착기 등의 굴착 장치는 흙과 돌을 파내고, 파낸 흙이나 돌을 다른 위치나 차량의 적재함 등으로 퍼 날라 쌓아 놓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굴착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아암(arm)에 결합되어 흙이나 돌을 퍼 나르는데 사용되는 버킷(bucket)을 구비한다.
버킷의 단부에는 흙이나 돌을 파내고 파쇄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tooth point)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투스 포인트는 버킷과 연결되어 있는 투스 어댑터(tooth adaptor)를 통하여 버킷과 연결되므로,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는 투스 어댑터에 연결된다.
이때,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는 핀(pin)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 유닛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 중 하나의 결합 공간에 댐퍼부가 위치하여, 결합 유닛의 결합 동작을 제어하여 결합 상태를 고정한다.
이러한 굴착 장치에 의해굴착지를 파고, 흙과 돌을 퍼내는 등과 같이 직접적인 굴착 동작이 이루어질 때, 결합 유닛의 위치하는 결합 공간 속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고, 또한 삽입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결합 공간은 결합 유닛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정도의 공간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한 결합 유닛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결합 유닛의 삽입 및 탈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11366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서로 다른 결합 대상물의 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서로 다른 결합 대상물의 결합 동작을 수행하는 부품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댐퍼 구조물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연성부 및 상기 연성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성부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연성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중공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연성부의 부피가 감소한다.
상기 중공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서로 구분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경성부는 상기 연성부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중공은 일측 방향과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성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에 따른 결합 구조물은 서로 연통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결합 대상물,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연성부와 상기 연성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성부를 포함하는 댐퍼 구조물 및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경성부의 일면과 대향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성부에 인가되는 외력이 증가하면, 상기 연성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중공의 부피가 감소한다.
상기 댐퍼 구조물은 상기 경성부와 결합하는 결합면, 상기 결합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지지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지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성부에 인가되는 외력이 증가하면, 상기 경성부가 상기 연성부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경성부와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성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중공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연성부의 부피가 감소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성부에 인가되는 외력이 감소하면, 상기 중공의 부피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을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댐퍼 구조물은 상기 중공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대상물은 굴착기의 투스 포인트일 수 있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대상물을 투스 어댑터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결합 공간 속에 위치하는 댐퍼 구조물은 인접한 면과 접하게 위치하여, 댐퍼 구조물과 인접한 면 사이의 공간 발생을 최소화한다.
이로 인해, 결합 공간 속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공간이 줄어들어, 결합 공간 속에 삽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댐퍼 구조물과 결합 유닛과 같은 부품의 손상이 감소하거나 방지된다.
또한, 이물질로 인한 결합 공간의 감소 현상이 크게 줄어들어, 결합 유닛은 이물질의 방해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 동작이 이루어져 결합 상태나 결합 해제 상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댐퍼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댐퍼 구조물을 IV-IV 선을 따라 잘라 획득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이 적용되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5에 도시한 결합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1 결합 구멍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이 위치한 제1 결합 구멍에 결합 유닛이 삽입될 때의 제1 결합 구멍에 대한 단면도로, (a)는 결합 유닛이 삽입된 직후의 도면이고, (b)는 결합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결합 유닛이 회전되는 과정의 도면이며, (c)는 결합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결합 유닛이 회전된 후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결합 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은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 장착되는 경우를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기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댐퍼 구조물(10)은 내부에 중공(中空)(H111)을 가지고 있는 연성부(11), 연성부(11)에 결합되는 밀봉부(12) 및 연성부(11)와 결합되고 일면(예,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성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성부(11)와 경성부(1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성부(13)에 외력, 즉 외부의 압력이 인가되면, 연성부(11)의 형상이 변형되어 중공(H111)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결합 대상물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결합 대상물의 중첩 부위에 삽입되는 결합 유닛은 외압에 따른 이러한 댐퍼 구조물(10)의 상태 변화에 의해 댐퍼 구조물(10)과의 접촉 위치가 변하여 두 결합 대상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연성부(11)에 위치하여 외압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중공(H111)은 연성부(11)와 밀봉부(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성부(11)는 고무 재질이나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경성부(13) 쪽으로부터 외압이 인가될 때, 연성부(11)는 압축에 의한 형태 변형에 의해 경성부(13)의 위치를 밀봉부(12)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성부(13)에 인가되는 외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었던 연성부(11)는 복원 동작이 이루어져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가고, 이러한 연성부(11)의 복원 동작에 의해 경성부(13)는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연성부(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직육면체와 같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중공(예, 3개의 중공)(H111)과 경성부(13)와의 결합을 위한 삽입홈(H1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부(11)는 연성부(11)에서 경성부(13)와 결합되는 일측인 후면(BS11), 이 후면(BS11)과 반대쪽에서 대면하고 있는 타측인 전면(FS11), 후면(BS11)과 전면(FS11)을 연결하는 두 개의 측면(SS11) 및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면(TS11)과 하부면(US11)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중공(H111)은 전면(FS11)에서 후면(BS11) 쪽(즉,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 개의 중공(H111)은 후면(BS11)이나 전면(FS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양 측면(SS1)의 방향(즉, 타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H111)은 연성부(11)를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이 아니므로, 각 중공(H111)의 일단, 즉, 밀봉부(12)와 대면하고 있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연성부(11)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중공(H111)은 모두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공(H111)의 위치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성부(11)의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어느 한 부분도 개방되지 않고 모든 부분이 연성부(11)로 막혀 있는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삽입홈(H112)은 연성부(11)의 후면(BS11)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삽입홈(H112)은 연성부(11)의 후면(BS11)의 가운데의 일부에만 위치하여, 연성부(11)의 후면(BS11) 양 측부에는 삽입홈(H112)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부(11)의 후면(BS11)은 위치에 따라 높이가 상이할 수 있고, 삽입홈(H112)이 위치한 부분보다 삽입홈(F112)을 중심으로 양 측에 위치한 측부가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H112)은 경성부(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삽입되는 경성부(13)의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 모양이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삽입홈(H112)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홈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삽입홈(H112의 깊이(D11)는 경성부(13)의 두께(T11)보다 작아, 경성부(13)의 일부는 삽입홈(H112)에 삽입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성부(13)의 일부는 연성부(11) 속으로 삽입되고 일부는 연성부(11)로부터 돌출되어 경성부(13)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홈(H112)의 깊이(D11)는 경성부(13)의 두께(T11)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고, 이런 경우, 경성부(13)는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없이 모두 삽입홈(H112) 내에 위치하여 일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경성부(13)의 일면에 외압이 인가되어 연성부(101)의 중공(H111)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밀봉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육면체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12)는 대면하고 있는 연성부(11)의 해당 면[예, 전면(FS11)]에 접하게 위치하여 연성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밀봉부(12)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성부(11)의 해당 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12)의 결합에 의해, 각 중공(H111)의 개방 부분은 밀봉부(12)로 막히게 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밀봉부(12)와 연성부(11)의 결합은 접착제를 이용하는 대신 돌기를 이용한 끼워맞춤 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밀봉부(12)의 구조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12)는 금속 재질이나 세라믹 재질과 같이 연성부(11)보다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성부(13)에 외압이 가해지면 연성부(101)는 상술한 것과 같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데 반해, 밀봉부(12)는 상대적으로 변형이 덜 이루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밀봉부(12)는 연성부(11)와 같이 외부 압력이 의해 형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런 경우, 연성부(11)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밀봉부(12)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연성부(11)의 해당 면[예, 전면(FS11)이 해당 결합 대상물의 해당 부분에 직접 접해 있을 수 있고, 댐퍼 구조물(10)을 지지하는 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경성부(13) 쪽으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연성부(11) 쪽으로도 압력이 가해져 연성부(1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는 초기 상태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인가로 인해, 각 중공(H111)과 접해 있는 연성부(11)의 부분, 즉 각 중공(H111)의 바닥면이 각 중공(H111)의 중공(H111) 속으로 밀려 들어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빈 공간인 중공(H111) 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 중공(H111)과 인접한 연성부(11)의 부분들의 형태 변형 및 위치 이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연성부(11)의 변화에 의해 경성부(13)는 연성부(11)와 밀봉부(12) 쪽으로 밀려들어가 위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연성부(11)의 형태 변형 및 위치 이동량은 경성부(13)에 가해지는 외압의 세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경성부(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육면체(예,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연성부(11)의 후면(BS11)에 위치한 삽입홈(H112) 속에 일부가 삽입되어 있고 나머지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경성부(13)는 금속 재료나 세라믹 재료와 같이 내수성과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성부(13)는 습기에 강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손상이나 파손에 안전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구조물(1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서로 다른 결합 대상물, 예를 들어,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에서 투스 포인트와 이 투스 포인트 속에 삽입된 투스 어댑터의 결합하는 결합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댐퍼 구조물(10)은 결합 유닛이 삽입되어 결합 동작 및 해제 동작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결합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공간은 투스 포인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공간 내에 위치하는 댐퍼 구조물(10)은 투스 포인트와 그 투스 포인트 속에 삽입된 투스 어댑터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삽입된 결합 유닛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접해 있는 결합 유닛의 회전 동작에 따라 댐퍼 구조물(10)의 경성부(13) 쪽으로 물리적인 힘, 즉 외압이 인가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8를 참고로 하여, 본 예의 댐퍼 구조물(10)이 장착되는 버킷용 투스(1)의 한 예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하면, 본 예의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즉, 결합체)(1)는 굴삭기의 버킷(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투스 어댑터(예, 제1 결합 대상물)(100), 투스 어댑터(100)와 결합되어 있는 투스 포인트(예, 제2 결합 대상물)(200), 그리고 결합 유닛(30)을 구비한다.
투스 어댑터(100)의 일측은 투스 포인트(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삭기의 버킷(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투스 어댑터(100)의 일측에 투스 포인트(200)와의 결합은 위한 돌출된 부분인 결합부(1001)를 구비할 수 있고, 타측에는 버킷과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삽입부(1002)가 존재할 수 있다.
결합부(1001)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예,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결합 유닛(3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결합 구멍(H100)을 구비할 수 있다.
투스 포인트(200)는 투스 어댑터(100)와 결합되어 굴삭지를 굴삭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투스 포인트(200)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투스 어댑터(100)의 결합부(1001)가 삽입되는 공간, 즉 삽입 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서로 반대편(예, 하부면과 상부면)에 위치하고 결합 유닛(30)이 삽입되는 두 개의 결합 구멍(예, 제1 결합 구멍 및 제2 결합 구멍)(H201, H2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결합 구멍(H201, H202)은, 삽입 공간 속에 투스 어댑터(100)의 결합부(1001)가 삽입될 때, 투스 어댑터(200)에 구비된 결합 구멍(H100)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결합 유닛(30)이 투스 어댑터(100)에 위치한 결합 구멍(H100)과 투스 포인트(200)에 위치한 결합 구멍(H201, H2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결합 구멍(H100, H201, H202) 중 적어도 일부는 결합 유닛(30)이 관통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결합 구멍(H201)과 제2 결합 구멍(H202) 중에서 투스 포인트(200)의 일면(예, 하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결합구멍(H201) 내에 댐퍼 구조물(10)이 위치하고, 댐퍼 구조물(10)과 인접하게 삽입되어 있는 결합 유닛(3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결합 구멍(H201)과 접해 있는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 즉 제1 결합 구멍(H201)을 형성하는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에는 댐퍼 구조물(10)이 위치하는 지지대(201)와 결합 유닛(30)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는 면인 가이드부(20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01)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결합 구멍(H201) 속의 투스 포인트(200)의 내부면[즉, 제1 결합 구멍(H201)이 접해 있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구조물(10)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대(201) 위에 위치하여, 제1 결합 구멍(H201) 속에 삽입된 댐퍼 구조물(10)은 외부로 빠지지 않고 지지대(201)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댐퍼 구조물(10)의 상부면는 제1 결합 구멍(H201)과 접해 있는 투스 포인트(200)의 어느 부분과도 접하지 않고 제1 결합 구멍(H201) 속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댐퍼 구조물(10)의 경성부(13)는 결합 유닛(30)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된 경성부(13)의 일면이 결합 유닛(30)과 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구멍(H201)의 형상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댐퍼 구조물(10)과 결합 유닛(30)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결합 구멍(H100, H201, H202)에 삽입되어, 투스 포인트(200)의 삽입 공간 속에 삽입된 투스 어댑터(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결합 유닛(3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 이러한 결합 유닛(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한 결합 유닛(30)은 핀(pi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유닛(30)은 투스 포인트(200)의 삽입 공간 속에 투스 어댑터(100)의 결합부(1001)가 삽입되면, 투스 포인트에 위치한 제1 결합 구멍(H201)과 제2 결합 구멍(H202) 및 투스 어댑터(100)에 위치한 두 개의 삽입 구멍(H100)에 삽입되어, 서로 중첩되어 있는 투스 어댑터(100)의 부분과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을 가로지르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같이 내구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유닛(30)은 결합부(31), 결합부(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32), 그리고 결합부(31)에서 결합 유닛(30)의 길이 방향인 일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33)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결합부(31)는 제1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되어 제1 결합 구멍(H20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311), 상부면(3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면(312), 상부면(311)과 하부면(312) 사이를 연결하고 일 방향(Z)과 평행한 측면(313)을 포함한다.
상부면(311)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빈 공간인 사각홈(S311)을 구비한다. 이때, 사각홈(S311)은 정해진 크기의 깊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사각홈(S311)은 결합 유닛(30)을 제1 결합 구멍(H201) 및 제2 결합 구멍(H202)에 삽입할 때, 사각 렌치(wrench)와 같은 장비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작업자는 사각홈(S311)에 해당 장비를 삽입할 후, 망치 등으로 해당 장비의 머리 부분을 때려 결합 유닛(30)을 제1 결합 구멍(H201) 및 제2 결합 구멍(H202)속으로 삽입시킨 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결합 구멍(H201) 및 제2 결합 구멍(H202) 속으로의 삽입 및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홈(S311)은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과 같이 각진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하지만, 홈(S31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장비의 형태에 따라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며 적어도 한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1)의 측면(313)은 일 방향(Z)인 상부면(311)에서부터 하부면(312) 쪽으로 절삭되어 평탄한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과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 사이에 위치한 곡면부(3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3132)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며, 하부면(312)에서부터 정해진 거리까지만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인접한 두 평탄면부(3131, 3132)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두 평탄면부(3131, 3132) 사이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31)의 측면(313)은 상부면(311)과 인접한 상부 쪽에 위치하며 모든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부분(즉, 원형부), 그리고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와 곡면부(3133)를 구비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부분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고, 제2 부분의 평면 형상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직선부와 한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에서 인접한 두 직선부 사이 역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가 위치하고 있는 제2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는 노출되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인 걸림턱(P311)이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33)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33)는 결합부(31)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측면(331)과 하부면(3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측면(331)의 지름은 결합부(31)의 상부면(311)의 지름보다 작지만, 하부면(332)의 지름보다 크다. 따라서, 측면(331)과 하부면(332) 사이에는 경사면(333)을 구비한다.
돌기(32)는 결합부(31)의 측면(313)의 곡면부(3133)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예의 돌기(32)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면(321), 상부면(32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면(322), 그리고 상부면(321)과 하부면(322)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3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면(321)는 평면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움푹 들어간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32)의 상부면(321)은 가이드부(202)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결합 유닛(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돌기(32)는 가이드부(202)의 면을 따라 해당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02)는 경사면일 수 있다.
돌기(32)의 하부면(322)의 높이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의 높이, 즉 걸림턱(P311)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지만, 하부면(322)과 측면(323)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323)은 하나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곡면으로 이루어진 측면(323)의 곡률은 결합부(31)의 상부면의 곡률보다 작다.
이로 인해, 도 6a 및 도 6c에 도시한 것처럼, 돌기(32)의 상부면(321)과 하부면(322)의 평면 형상은 활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기(32)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즉, 결합부(31)와 접해 있는 돌기(32)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측면(323)을 따라 이동하여 돌기(32)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돌기(32)의 두께는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돌기(32)의 측면(323), 즉 결합부(31)가 위치하는 제1 결합 구멍(H201)의 해당 공간인 제2 공간(S212)과 대면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댐퍼 구조물(10)과 접하여 댐퍼 구조물(10)로 압력을 가하는 돌기(32)의 측면(323)이 평탄면이 아니라 곡면이므로, 결합 유닛(30)과 접하는 댐퍼 구조물(10)의 해당 부분, 즉 경성부(13)로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결합 유닛(3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의 결합력이 돌기의 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질 때보다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돌기(32)는 제1 결합 구멍(H201) 및 제2 결합 구멍(H202) 속에 결합 유닛(30)이 삽입된 후, 결합 유닛(30)을 제1 결합 구멍(H201) 속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고정용 걸쇠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 구멍(H201)으로 삽입되는 결합 유닛(30)의 부분[즉, 결합부(31)]의 구조와 제2 결합 구멍(H202)에 삽입되는 결합 유닛(30)의 부분[즉, 삽입부(33)]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므로, 하나의 결합 유닛(30)이 삽입되는 제1 결합 구멍(H201)과 제2 결합 구멍(H202)은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구멍(H201)은 결합 유닛(30)이 일차적으로 삽입되어 삽입된 결합 유닛(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돌기(32)와 댐퍼 구조물(1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구멍(H201)은 제1 결합 구멍(H201) 내에 댐퍼 구조물(10) 및 결합 유닛(30)의 결합부(31)와 돌기(32)가 위치하여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동작이 행해지는 결합 공간일 수 있다.
제2 결합 구멍(H202)은 제1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된 결합 유닛(30)이 이차적으로 삽입되어 삽입 공간 속에서 서로 일부가 중첩되어 이는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결합 공간인 제1 결합 구멍(H201) 내에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댐퍼 구조물(10)이 위치하는 제1 공간(S11) 및 제1 공간(S11)과 연결되어 통해 있고 결합 유닛(30)이 위치하는 제2 공간(S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2)는 제2 공간(S12)과 접해 있어 제2 공간(S12)의 하부를 일부 막고 있는 하단부로서 기능하고, 지지대(201)는 제1 공간(S11)과 접해 있어 제1 공간(S11)의 하부를 막고 있는 하단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댐퍼 구조물(10)이 위치하는 제1 공간(S11)에서, 댐퍼 구조물(10) 중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성부(11)의 외부면(즉, 전면(FS11), 양 측면(SS11) 및 하부면(BS11)과 밀봉부(12)의 외부면이 제1 공간(S11)을 형성하는 투스 포인터(200)의 부분(즉, 내측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S11)과 제2 공간(S12)의 경계 부분에는 경성부(13)가 삽입되는 연성부(11)의 후면(BS11) 중 노출된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부(11)와 밀봉부(12)는 제1 결합 구멍(H201)과 접해 있는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과 접해 있고,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 유닛(3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성부(13)의 부분은 인접한 투스 포인트(200)의 해당 부분과 접해 있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이때, 경성부(13)가 삽입되는 외측면(BS11)과 상부면을(TS11)을 제외하면 연성부(11)의 모든 외부면[예, 양 측면(SS11), 전면(FS11) 및 후면(BS11) 일부]은 대면하고 있는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과 접해 있을 수 있고, 밀봉부(12)는 연성부(11)와 접해 있는 면[예, 밀봉부(12)의 후면]을 제외한 노출된 모든 외부면이 대면하고 있는 투스 포인트(20)의 부분과 접해 있을 수 있다.
연성부(11)와 밀봉부(12)가 서로 결합되어 제1 공간(S11)에 위치하는 댐퍼 구조물(10)에서, 경성부(13)가 결합되어 있는 면 즉, 연성부(11)의 후면(BS11)은 댐퍼 구조물(10)의 결합면이라 칭하고, 결합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 즉 밀봉부(12)의 전면은 댐퍼 구조물(10)의 지지면이라 칭하며, 이들 지지면과 결합면을 연결하는 면, 즉 동일 선 상에 위치하는 연성부(11)와 밀봉부(12)의 양 측면[연성부(11)의 양 측면(SS11) 및 밀봉부(12)의 양 측면]은 댐퍼 구조물(10)의 연결면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결합면, 지지면 및 연결면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면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댐퍼 구조물(10)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지칭하여, 댐퍼 구조물(10)의 하부면이 제1 결합 구멍(H201) 내에 존재하는 지지대(20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댐퍼 구조물(10)의 지지면과 연결면은 제1 공간(S11)을 형성하는 투스 포인트(200)의 부분(즉,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결국, 댐퍼 구조물(10)이 위치하는 제1 결합 구멍(H201)의 제1 공간(S11)을 형성하는 투스 포인트(200)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댐퍼 구조물(10)의 인접한 면과 모두 접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제1 공간(S11)이 형성된 투스 포인트(200)의 해당 면과 댐퍼 구조물(10) 사이에는 빈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댐퍼 구조물(10)과 투스 포인트(200) 사이의 빈 공간으로 흙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현상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간(S11)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연성부(11)와 밀봉부(13)의 외부면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제2 공간(S12)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결합 유닛(30)의 결합부(31)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제2 공간(S12) 내에서 결합부(31)가 회전한다. 따라서, 결합부(31)의 회전에 따라 제2 공간(S12)에서 결합부(31)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32)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간(S12)의 형상은 결합부(31)와 이 결합부(31)에 연결되어 있는 돌기(32)의 형상 및 돌기(32)의 회전 범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제1 결합 구멍(H201)의 반대편(예,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2 결합 구멍(H202)에는 결합 유닛(30)의 삽입부(3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구멍(H201)을 관통한 결합 유닛(30)의 측면(313)과 하단면(31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구멍(H202)에 삽입된 결합 유닛(30), 즉 삽입부(33)의 하부면(332)의 지름은 제2 결합 구멍(H202)의 지름보다 작아 제2, 결합 유닛(30)은 제2 결합 구멍(H202)을 관통하지 못하고, 이러한 결합 유닛(30)에 의해 제2 결합 구멍(H202)은 결합 유닛의 하부면(332)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결합 구멍(H202)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유닛(30)이 존재하지 않아 버킷용 투스(1)의 외관이 수려하며 돌출된 결합 유닛(30)으로 인한 인명 사고의 위험이 방지되고, 제2 결합 구멍(H202) 속으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결합 구멍(H201)과 제2 결합 구멍(H202)을 이용하여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20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제1 결합 구멍(H201) 내의 지지대(201) 위에 댐퍼 구조물(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투스 포인트(200)의 삽입 공간 속으로 투스 어댑터(100)의 결합부(13)를 삽입시킬 수 있다.
댐퍼 구조물(10)의 배치 동작과 투스 어댑터(100)의 삽입 동작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투스 어댑터(100)에 위치한 결합 구멍(H100)과 투스 포인트(200)에 위치한 결합 구멍(H201, H202)의 위치는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결합 유닛(30)이 일직선 상에 배열된 결합 구멍(H201, H100, H202) 속으로 삽입된 후 해당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결합 구멍(H201) 속에 위치한 결합 유닛(30)의 결합부(31)의 위치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
즉, 결합 유닛(30)은 도 8의 (a)에 도시한 상태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결합 구멍(H201, H100, H202) 속으로 삽입되므로, 제1 결합 구멍(H201)에서 댐퍼 구조물(10) 및 결합 유닛(30)의 초기 배치 상태는 도 8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제1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된 결합 유닛(30)이 체결 동작을 위해 해당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8의 (b)와 같이 결합 유닛(30)의 결합부(31)의 모서리 부분 즉, 인접한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가 만나는 부분에 의해 댐퍼 구조물(10)의 경성부(13)에 인가되는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즉 외압의 증가로 인해 경성부(13)는 초기 위치에서 연성부(11) 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러한 연성부(11)의 밀림 현상에 의해, 연성부(11)는 경성부(13)와 제1 공간(S11)을 형성되는 투스 포인트(200)의 내측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빈 공간인 중공(H111) 속으로 연성부(11)의 부분이 밀려 들어갈 수 있다[도 8의 (b)]. 이로 인해, 연성부(11)의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연성부(11)의 형상 변형으로 인해 경성부(13)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부(11) 내의 중공(H111)의 부피가 감소하고, 결국 연성부(11)의 부피 역시 감소하게 된다
결국, 결합 유닛(30)의 회전에 의해 경성부(13)에 인가되는 외력이 증가하면, 연성부(11)의 형상이 변형되어 중공(H111)의 부피가 감소하고, 연성부(11)의 부피도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연성부(11)의 변형 정도와 연성부(11)의 부피 감소 정도는 경성부(13) 쪽으로 인가되는 외압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구조물(10)의 변형 및 위치 이동에 의해 결합 유닛(30)은 약 90도 회전하게 되어, 결합 유닛(30)의 해당 평탄면부는 인접한 경성부(13)의 노출 면과 접하게 되어, 결합 유닛(30)은 체결 상태가 된다[도 8의 (c)].
이러한 결합 유닛(90)의 90도 회전 동작에 의해, 경성부(13)로 인가되는 외력이 감소하여 초기 상태로 될 수 있다.
경성부(13)로 인가되는 외력의 상태가 초기 상태로 감소되면, 연성부(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중공(H111) 속으로 밀려들어간 연성부(11)의 부분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므로, 연성부(11)에 위치하는 중공(H111)의 부피 또한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성부(13)로 인가되는 외압에 의해 형상이 찌그러져 변형되었던 연성부(11)의 형상 역시 복원되어 연성부(11)의 부피는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유닛(30)은 연성부(11)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 유닛(30)의 평탄면부에는 압력이 인가되어 결합 유닛(30)의 체결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결합 유닛(30)과 접하는 댐퍼 구조물(10)의 경성부(13)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마모나 변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크게 감소하다.
결합 구멍(H201) 속에 삽입된 결합 유닛(30)의 탈거 동작은 결합 시와는 반대의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결합 유닛(30)을 회전시키고[도 8의 (a) 참고], 이러한 회전 동작에 따라 경사면인 가이드부(202)를 따라 결합 유닛(30)은 하강하거나 상승하여 결합 유닛(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결합 유닛(20)의 부분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해당 결합 구멍(H201, H100, H202)에서 결합 유닛(30)을 용이하게 탈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제1 결합 대상물은 투스 어댑터(100)이고, 제2 결합 대상물은 투스 포인트(2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댐퍼 구조물 11: 연성부
12: 밀봉부 13: 경성부
121: 기판 122: 돌출부
30: 결합 유닛 100: 투스 어댑터, 결합 대상물
200: 투스 포인트, 결합 대상물
H111: 중공 H112: 삽입홈
H201: 제1 결합 구멍 H202: 제2 결합 구멍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로 연통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결합 대상물;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연성부와 상기 연성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성부를 포함하는 댐퍼 구조물; 및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경성부의 일면과 일부분이 접촉하는 결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댐퍼 구조물에서 외부에 대해 닫혀 있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2 공간의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일부분과 다른 상기 결합 유닛의 다른 부분이 상기 경성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결합 유닛이 상기 제2 공간에 삽입된 초기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 상태가 되면, 상기 결합 유닛과 상기 경성부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초기 상태보다 상기 연성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성부는 상기 초기 상태보다 상기 연성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경성부와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변형되는
    결합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구조물은,
    상기 경성부와 결합하는 결합면;
    상기 결합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지지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지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하는
    결합 구조물.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하는
    결합 구조물.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면과 접하는 결합 구조물.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이 상기 제1 회전 상태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제2 회전 상태가 되면, 상기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제1 회전 상태보다 상기 결합 유닛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성부는 상기 제1 회전 상태보다 상기 결합 유닛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회전 상태에서 압축되어 변형된 것이 적어도 일부 복원되는 결합 구조물.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중공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연성부의 부피가 감소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성부에 인가되는 외력이 감소하면, 상기 중공의 부피가 복원되는 결합 구조물.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을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 구조물은 상기 중공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결합 구조물.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대상 물은 굴착기의 투스 포인트이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대상물을 투스 어댑터와 결합시키는 결합 구조물.
KR1020200116234A 2020-09-10 2020-09-10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KR10230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34A KR102306607B1 (ko) 2020-09-10 2020-09-10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EP21189530.5A EP3967814A1 (en) 2020-09-10 2021-08-03 Coupling structure
CA3126653A CA3126653C (en) 2020-09-10 2021-08-04 Combined structure
CN202110901214.6A CN114164889A (zh) 2020-09-10 2021-08-06 结合结构物
US17/396,113 US20220074172A1 (en) 2020-09-10 2021-08-06 Combined structure
AU2021215097A AU2021215097C1 (en) 2020-09-10 2021-08-09 Combined structure
BR102021015747-0A BR102021015747A2 (pt) 2020-09-10 2021-08-10 Estrutura combinada acoplada por uma estrutura amortecedora
AU2023201458A AU2023201458A1 (en) 2020-09-10 2023-03-08 Combin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34A KR102306607B1 (ko) 2020-09-10 2020-09-10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607B1 true KR102306607B1 (ko) 2021-09-30

Family

ID=7720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234A KR102306607B1 (ko) 2020-09-10 2020-09-10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4172A1 (ko)
EP (1) EP3967814A1 (ko)
KR (1) KR102306607B1 (ko)
CN (1) CN114164889A (ko)
AU (2) AU2021215097C1 (ko)
BR (1) BR102021015747A2 (ko)
CA (1) CA31266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468B1 (ko) * 2019-07-17 2021-07-20 성보공업주식회사 댐퍼 구조물
USD978924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USD978925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adap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349A (en) * 1972-10-31 1975-07-15 Poclain Sa Detachable tooth for public works machine having a particular cotter
US5852888A (en) * 1996-11-08 1998-12-29 Caterpillar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a base of a bucket of an earth working machine
JPH11107329A (ja) * 1997-10-02 1999-04-20 Yasuo Suzuki ショベル機械のバケット本体に付設するアダプタ部材とツース部材との固定手段
KR20060011366A (ko) 2004-07-30 2006-02-03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JP2016089412A (ja) * 2014-10-31 2016-05-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ツース固定部材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911513B1 (ko) * 2017-12-29 2018-10-24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8454C3 (de) * 1972-08-04 1980-02-07 Karl 3262 Auetal Schwarzkopf Stiftverriegelung, insbesondere zur Verriegelung: auswechselbarer Zahnspitzen von Baggerzähnen
JPS61225430A (ja) * 1985-03-29 1986-10-07 Nippon Mektron Ltd ラバ−ピンロツク
US4823487A (en) * 1987-07-30 1989-04-25 Gh Hensley Industries, Inc. Resilient flex pin apparatus for excavating tooth point and adapter assemblies
ES2146186B1 (es) * 1998-12-02 2001-04-01 Metalogenia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elementos de anclaje y retencion destinados a maquinaria de obras publicas y similares.
CA2392643A1 (en) * 2002-07-01 2004-01-05 Pennsylvania Crusher Corporation Excavator teeth, apparatus and method
CN1910324B (zh) * 2003-12-05 2010-06-02 梅塔罗格尼亚股份公司 可用于移动诸如泥土和石块的材料的机器的磨损组件及其部件
JP4688948B2 (ja) * 2009-08-21 2011-05-25 株式会社ヒートパーツ ショベル機械用バケットのツース部材固定装置
CN103608527B (zh) * 2011-04-15 2016-07-06 麦塔洛吉尼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两个机械部件的可拆卸的紧固装置
JOP20200019A1 (ar) * 2011-07-14 2017-06-16 Esco Group Llc مجموعة بطانه
AU2013204854B2 (en) * 2013-04-12 2016-04-21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WO2015010159A1 (en) * 2013-07-23 2015-01-29 Bradken Uk Limited A lock for an excavation tooth assembly
FR3011013B1 (fr) * 2013-09-20 2015-10-30 Safe Metal Systeme mecaniqu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piece d'usure et son support, et godet d'engin de travaux public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349A (en) * 1972-10-31 1975-07-15 Poclain Sa Detachable tooth for public works machine having a particular cotter
US5852888A (en) * 1996-11-08 1998-12-29 Caterpillar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a base of a bucket of an earth working machine
JPH11107329A (ja) * 1997-10-02 1999-04-20 Yasuo Suzuki ショベル機械のバケット本体に付設するアダプタ部材とツース部材との固定手段
KR20060011366A (ko) 2004-07-30 2006-02-03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JP2016089412A (ja) * 2014-10-31 2016-05-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ツース固定部材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911513B1 (ko) * 2017-12-29 2018-10-24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26653A1 (en) 2022-03-10
AU2021215097A1 (en) 2022-03-24
CA3126653C (en) 2023-12-12
EP3967814A1 (en) 2022-03-16
CN114164889A (zh) 2022-03-11
AU2021215097B2 (en) 2022-12-08
AU2023201458A1 (en) 2023-04-13
BR102021015747A2 (pt) 2022-04-12
US20220074172A1 (en) 2022-03-10
AU2021215097C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607B1 (ko)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RU25104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изнашиваемого элемента к переходнику экскаватора и аналогичных машин и его компоненты
KR101911513B1 (ko)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US8117772B2 (en) Ground engaging tool system
KR100253438B1 (ko) 굴삭기 치형
RU2657588C2 (ru)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US20220412058A1 (en) Damper structure
US20100115804A1 (en) Detachable fastening system between a male piece and a female piece, pin and female piece
RU2657579C2 (ru) Защитный комплекс режущей кромки ковша
RU2664988C2 (ru)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EP4134494A1 (en) Wear assembly
KR20220009292A (ko) 결합 구조물
US20040111927A1 (en) Tip and adapter assembly
KR102496104B1 (ko) 투스 포인트 및 결합 구조물
KR200459039Y1 (ko) 귀삽 보호 및 마찰 방지용 투수를 갖는 굴삭기용 버켓
JPH09242457A (ja) 掘削歯
KR20050122491A (ko) 블록 옹벽 보강 구조물
CA2474166A1 (en) Excavating tooth and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