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68B1 - 댐퍼 구조물 - Google Patents

댐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68B1
KR102279468B1 KR1020190086672A KR20190086672A KR102279468B1 KR 102279468 B1 KR102279468 B1 KR 102279468B1 KR 1020190086672 A KR1020190086672 A KR 1020190086672A KR 20190086672 A KR20190086672 A KR 20190086672A KR 102279468 B1 KR102279468 B1 KR 10227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ixing part
coupling
connection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737A (ko
Inventor
송근철
Original Assignee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68B1/ko
Priority to US16/687,933 priority patent/US11697924B2/en
Priority to PCT/KR2020/008991 priority patent/WO2021010653A1/ko
Publication of KR2021000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68B1/ko
Priority to US17/823,406 priority patent/US202204120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08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Abstract

본 발명의 댐퍼 구조물은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을 위한 연결 유닛과 접해 있는 댐퍼 구조물로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부; 및 상기 댐퍼부의 적어도 한 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의 분리 및 체결 시 상기 연결 유닛과 접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댐퍼부 쪽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 구조물{DAMPER STRUCTURE}
본 발명은 댐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결합 구조물의 댐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공공작업이나 광산에서 사용되는 굴착기 등의 굴착 장치는 흙과 돌을 파내고, 파낸 흙이나 돌을 다른 위치나 차량의 적재함 등으로 퍼 날라 쌓아 놓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굴착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아암(arm)에 결합되어 흙이나 돌을 퍼 나르는데 사용되는 버킷(bucket)을 구비한다.
버킷의 단부에는 흙이나 돌을 파내고 파쇄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tooth point)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투스 포인트는 버킷과 연결되어 있는 투스 어댑터(tooth adaptor)를 통하여 버킷과 연결되므로,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투스 포인트는 투스 어댑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굴착 장치를 통한 굴착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굴착지를 파고, 흙과 돌을 퍼내는 등과 같이 직접적인 굴착 동작은 투스 포인트에 의해 행해지므로 투스 포인트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투스 포인트의 마모 정도가 설정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원활한 굴착 동작과 굴착기를 보호하기 위해 투스 포인트를 교체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11366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댐퍼 구조물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를 결합하는 연결 유닛의 구속력을 향상시켜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댐퍼 구조물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댐퍼 구조물은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을 위한 연결 유닛과 접해 있는 댐퍼 구조물로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부 및 상기 댐퍼부의 적어도 한 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 분리 및 체결 시 상기 연결 유닛과 접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댐퍼부 쪽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부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의 제1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댐퍼부의 일 측면부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제1 고정부 및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의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상기 댐퍼버 일 측면부의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타 측면부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상면부와 하면부에 각각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밀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의 외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의 외부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한 면의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의 홈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의 장축과 접해 있는 상기 댐퍼부의 내부면과 자신의 내부면이 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나를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하나의 고정부의 단축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과의 접촉에 의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고정부는 자신의 상기 내부면과 접해있는 상기 댐퍼부의 상기 면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인접한 댐퍼부의 외부면보다 자신의 외부면이 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댐퍼부의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각 면을 각각 감싸고 있는 제1 및 제2 고정 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부의 다른 면을 감싸고 있는 제3 고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 부분은 제1 및 제2 고정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 부분은 제1 및 제2 고정 부분과 별개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과의 접촉에 의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제3 고정 고정 부분은 자신의 내부면과 접해있는 상기 댐퍼부의 내부면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 부분은 인접한 제1 및 제2 고정 부분의 외부면이 자신의 외부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구조물은 투스 어댑터이고, 상기 제2 결합 구조물은 투스 포인트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탄성력을 갖는 댐퍼부의 적어도 일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 감싸져 있으므로, 연결 유닛의 삽입 및 탈거 동작 시마다 댐퍼부가 포인트 몸체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댐퍼부의 마모나 변형의 문제가 방지되어, 댐퍼 구조물의 수명이 증가한다.
고정부가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고정부의 재료가 절감되어 댐퍼 구조물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고정부가 제1 및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경우, 댐퍼 구조물의 제1 고정부에 위치하는 밀착 돌기에 의해 연결 유닛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연결 유닛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연결 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에 더하여, 연결 몸체에 접해있는 제2 고정부의 외부면에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결 유닛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 고정부 쪽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댐퍼 구조물의 내구성과 수명은 더욱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이 적용되는 버킷용 투스의 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버킷용 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4에 도시한 연결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한 제1 결합 구멍에 대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7b는 제1 결합 구멍에 연결 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이 위치한 결합 구멍에 연결 유닛이 삽입될 때 결합 구멍에 대한 단면도로, (a)는 연결 유닛이 삽입된 직후의 도면이고, (b)는 연결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연결 유닛이 회전되는 과정의 도면이며, (c)는 연결 유닛의 체결을 위해 해당 방향으로 연결 유닛이 회전된 후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에서 연결 유닛의 삽입 또는 해제 시의 고정부의 수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에서 연결 유닛의 삽입 또는 해제 시의 고정부의 수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이하, 이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의 댐퍼 구조물을 '댐퍼 구조물'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은 댐퍼부(51), 그리고 댐퍼부(51)의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양 측면부에 각각 위치하여 댐퍼부(51)의 측면부를 에워싸고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를 구비한다.
댐퍼부(51)는 고무나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521) 쪽으로 압력이 인가될 때, 댐퍼부(51)는 압축되어 제1 고정부(521)의 위치를 제2 고정부(52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댐퍼부(51)에 인가되는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었던 댐퍼부(51)는 복원 동작이 이루어져 제1 고정부(521)의 위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댐퍼부(51)는 육면체 형상, 예를 들어 정육면체 형상을 갖는 댐퍼 본체(511)와 댐퍼 본체(511)의 양 단부 즉, 상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위치하는 돌출부(512)를 구비한다.
제1 고정부(521)와 제2 고정부(522)는 대략 정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가운데 부분에 댐퍼부(51)의 댐퍼 본체(511)의 일 측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S521, S522)을 구비하고 있는 'ㄷ'자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삽입홈(S521, S522)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한 예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 삽입홈(S521, S522)의 장축 길이(L521, L522)와 단축 길이(W521, W522)의 크기는 이에 삽입되는 댐퍼 본체(511)의 해당 측면부의 장축 길이 및 단축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본 예에서, 제1 고정부(521)는 삽입홈(S521)이 위치한 부분인 내부면의 반대편인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 돌기(P521)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제1 고정부(521)의 삽입홈(S521) 속으로 댐퍼부(51)의 댐퍼 본체(511)의 일 측면부가 삽입되고, 제2 고정부(522)의 삽입홈(S522) 속으로 일 측면부에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댐퍼 본체(511)의 다른 측면부가 삽입되어, 댐퍼부(51)는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에 삽입 장착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에 대한 댐퍼부(51)의 삽입 동작은 돌출부(512)의 형성 위치까지 이루어지므로, 돌출부(512)의 형성 위치, 즉, 폭(W512)에 의해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에 대한 댐퍼부(51)의 삽입 정도가 정해진다. 따라서, 댐퍼부(51)의 양 단부에 위치한 돌출부(512)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삽입홈(S521, S522)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로의 돌출 없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한다.
댐퍼부(51)의 장착력을 높이기 위해, 댐퍼부(51)의 댐퍼 본체(511)의 장축 길이(L511)는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의 각 삽입홈(S521, S522)의 장축 길이(L521, L522)보다 작을 수 있고, 댐퍼 본체(511)의 단축 길이(W511)는 각 삽입홈(S521, S522)의 단축 길이(W521, W52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댐퍼부(51)을 압축시켜 해당 삽입홈(S521, S522)에 댐퍼부(51)의 해당 측면부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삽입 동작 후에는 댐퍼부(51)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의 각 삽입홈(S521, S522) 속에 댐퍼부(231)는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고무 등과 같이 밀착력에 의해 마모나 변형이 이루어지는 댐퍼부(51)의 양 측면부가 금속과 같이 내구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로 에워싸여져 보호되고 있으므로, 댐퍼부(51)의 손상이나 파손의 염려가 크게 감소하며 마모 현상 역시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댐퍼 구조물(500)의 수명이 증가한다.
또한, 제1 고정부(521)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밀착 돌기(P521)로 인해, 이 댐퍼 구조물(500)과 밀착되는 버킷용 투스의 연결 유닛, 즉 투스 어댑터와 투스 포인트를 결합하는 연결 유닛과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댐퍼 구조물(500)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 등에 따른 댐퍼 구조물(500)의 위치 변동 현상이 크게 감소하여 댐퍼 구조물(500)의 수명이 증가한다.
다음, 도 4 내지 도 7b를 참고로 하여,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이 장착되는 버킷용 투스(100)의 한 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면, 본 예의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즉, 결합 구조물)(100)는 굴삭기의 버킷(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투스 어댑터(예, 제1 결합 구조부)(10), 투스 어댑터(10)에 연결되어 있는 투스 포인트(예, 제1 결합 구조부)(20), 그리고 연결 유닛(30)을 구비한다.
투스 어댑터(10)는 어댑터 몸체(11), 어댑터 몸체(11)로부터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 그리고 어댑터 몸체(11)로부터 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13)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 4에서 투스 어댑터(10) 쪽을 후방이라 하고, 투스 포인트(20) 쪽을 전방이라 한다.
어댑터 몸체(11)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는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어댑터 몸체(11)의 해당 면인 후면의 서로 반대편에서 대응하고 있는 부분, 예를 들어 좌측부와 우측부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면, 제1 장착부(121)는 어댑터 몸체(11)의 후면 좌측부에서 돌출되어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장착부(122)는 어댑터 몸체(11)의 후면 우측부에서 돌출되어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는 각각 후방 쪽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13)는 투스 포인트(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어댑터 몸체(11)의 전면에서부터 전방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상을 갖고 있고, 역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때, 삽입부(13)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삽입부(13)에는 삽입부(13)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삽입부(13)를 관통하고 있는 제1 결합 구멍(H13)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 결합 구멍(H13)은 어댑터 몸체(1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삽입부(13)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으로 또는 그 반대로 삽입부(13)를 완전히 관통한다.
이로 인해, 어댑터 몸체(11)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및 제2 장착부(121, 122)와 삽입부(13)가 각각 해당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투스 포인트(20)는 투스 어댑터(10)과 결합되어 굴삭지를 굴삭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대편에서 서로 대응하는 있는 두 면(예, 상부면과 하부면)에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을 구비하는 포인트 몸체(201), 포인트 몸체(201)의 제2 결합 구멍(H201)에 위치하고 연결 유닛(3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가이드부(21) 및 댐퍼 구조물(500)이 위치하는 지지대(24)를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대(24)는 제2 결합 구멍(H201) 속의 포인트 몸체(201) 내부면[즉, 제2 결합 구멍(H201)이 접해 있는 면]에 위치한다.
다시 도 5로 돌아가면, 투스 포인트(20)의 포인트 몸체(201)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 이외에, 가운데 부분에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삽입되는 빈 공간인 삽입홈(S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은 삽입홈(S20)에 통해 있다.
삽입홈(S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삽입되는 공간이므로 그 형상과 형성 길이는 삽입부(13)의 외형과 삽입부(13)의 돌출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삽입홈(S20)은 삽입부(13)의 형상과 유사하게 투스 포인트(20)의 선단부(F1)에서 말단부(E1)로 갈수록 공간의 지름이 줄어든다.
또한,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가 투스 포인트(20)의 삽입홈(S20) 속으로 삽입될 때, 투스 어댑터(10)와 인접한 선단부 후면은 투스 어댑터(10)의 어댑터 몸체(11)의 해당 면인 전면과 접한다. 따라서, 투스 어댑터(10)과 인접한 선단부 후면의 단면 형상과 크기는 어댑터 몸체(110)의 전면 형상과 크기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은 연결 유닛(30)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제2 결합 구멍(H201) 내에 위치하는 지지대(24)에는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이 장착되어 연결 유닛(30)의 삽입 및 탈거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1 고정부(521)는 연결 유닛(30)과 인접하고 제2 고정부(522)는 포인트 몸체(201)과 인접하게 댐퍼 구조물(500)는 지지대(24)에 위치한다,
연결 유닛(30)은 삽입홈(S20)에 삽입부(13)가 삽입될 때,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과 제1 결합 구멍(H13)에 삽입되어 투스 어댑터(10)에 투스 포인트(20)를 결합하는 핀(pin)이다.
따라서,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은 삽입홈(S20)에 삽입부(13)가 삽입될 때 제1 결합 구멍(H13)과 중첩하는 투스 포인트(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해당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연결 유닛(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같이 내수성과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에 삽입되는 연결 유닛(30)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것처럼,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연결 유닛(30)은 결합부(31), 결합부(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32), 그리고 결합부(31)에서 삽입부(13)의 두께 방향(Z)인 일 방향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33)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결합부(31)는 제2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되어 제2 결합 구멍(H201)과 결합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결합 구멍(H13)에만 또는 제1 및 제2 결합 구멍(H31, H201) 모두에 삽입되어 제1 결합 구멍(H13)에만 또는 제1 및 제2 결합 구멍(H31, H201) 모두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면(3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면(312), 상부면(311)과 하부면(312) 사이를 연결하고 일 방향(Z)과 평행한 측면(313)을 포함한다.
상부면(311)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빈 공간인 사각홈(S311)을 구비한다. 이때, 사각홈(S311)은 정해진 크기의 깊이를 갖고 있다.
이러한 사각홈(S311)은 연결 유닛(30)을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에 삽입할 때, 사각 렌치(wrench)와 같은 장비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작업자는 사각홈(S311)에 해당 장비를 삽입할 후, 망치 등으로 해당 장비의 머리 부분을 때려 연결 유닛(30)을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 속으로 삽입시킨 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 속으로의 삽입 및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홈(S311)은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과 같이 각진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하지만, 홈(S31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장비의 형태에 따라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며 적어도 한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1)의 측면(313)은 일 방향(Z)인 상부면(311)에서부터 하부면(312) 쪽으로 절삭되어 평탄한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과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 사이에 위치한 곡면부(3133)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3132)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며, 하부면(312)에서부터 정해진 거리까지만 위치한다.
본 예에서, 인접한 두 평탄면부(3131, 3132)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두 평탄면부(3131, 3132) 사이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31)의 측면(313)은 상부면(311)과 인접한 상부 쪽에 위치하며 모든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부분(즉, 원형부), 그리고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와 곡면부(3133)를 구비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부분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고, 제2 부분의 평면 형상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직선부와 한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2 부분에서 인접한 두 직선부 사이 역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가 위치하고 있는 제2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는 노출되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인 걸림턱(P311)이 위치한다.
삽입부(33)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삽입부(33)는 결합부(31)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측면(331)과 하부면(332)를 구비한다.
이때, 측면(331)의 지름은 결합부(31)의 상부면(311)의 지름보다 작지만, 하부면(332)의 지름보다 크다. 따라서, 측면(331)과 하부면(332) 사이에는 경사면(333)을 구비한다.
돌기(32)는 결합부(31)의 측면(313)의 곡면부(3133)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예의 돌기(32)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면(321), 상부면(32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면(322), 그리고 상부면(321)과 하부면(322)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323)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면(321)는 평면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움푹 들어간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돌기(32)의 하부면(322)의 높이는 제1 부분의 하부면의 높이, 즉 걸림턱(P311)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만, 하부면(322)과 측면(323)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323)은 하나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곡면으로 이루어진 측면(323)의 곡률은 결합부(31)의 상부면의 곡률보다 작다.
이로 인해, 도 3a 및 도 3c에 도시한 것처럼, 돌기(32)의 상부면(321)과 하부면(322)의 평면 형상은 활꼴 형상을 갖고 있고, 돌기(32)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즉, 결합부(31)와 접해있는 돌기(32)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측면(323)을 따라 이동하여 돌기(32)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돌기(32)의 두께는 증가한다.
이처럼, 돌기(32)의 측면(323), 즉 결합부(31)가 위치하는 제2 결합 구멍(H201)의 해당 공간(S212)과 대면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인접한 댐퍼 구조물(500)과 접하여, 댐퍼 구조물(500)로 압력을 가하는 돌기(32)의 측면(323)이 평탄면이 아니라 곡면이므로, 연결 유닛(30)와 접하는 댐퍼 구조물(500)의 해당 부분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연결 유닛(3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투스 어댑터(10)와 투스 포인트(20)의 결합력이 돌기의 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질 때보다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돌기(32)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 속에 연결 유닛(30)이 삽입된 후, 연결 유닛(30)을 제2 결합 구멍(H201) 속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고정용 걸쇠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제2 결합 구멍(H201)으로 삽입되는 연결 유닛(30)의 부분[즉, 결합부(31)]의 구조와 제3 결합 구멍(H202)에 삽입되는 연결 유닛(30)의 부분[즉, 삽입부(33)]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므로, 하나의 연결 유닛(30)이 삽입되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은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결합 구멍(H201)은 연결 유닛(30)이 일차적으로 삽입되어 삽입된 연결 유닛(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돌기(32)와 댐퍼 구조물(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제3 결합 구멍(H202)은 제2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된 연결 유닛(30)이 이차적으로 삽입되어 삽입홀(S20)에 삽입된 투스 어댑퍼(10)를 투스 포인트(20)와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제2 결합 구멍(H201) 내에는, 도 7a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에 연결 유닛(30)의 결합부(31)가 위치하는 부분인 제1 공간(S211)과 제2 공간(S212), 그리고 댐퍼 구조물(500)이 위치하는 부분인 제3 공간(S22)이 위치한다. 이때, 가이드부(21)는 제1 및 제2 공간(S211, S212)과 연결되어 제1 및 제2 공간(S211, S212)의 하부를 일부 막는 하단부를 이루고, 지지대(24)는 제3 공간(S22)과 연결되어 제2 공간(S22)의 하부를 막는 하단부를 이룬다.
따라서, 제1 공간(S211)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결합부(31)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제1 공간(S211) 내에서 결합부(31)가 회전한다.
제2 공간(S212)은 결합부(31)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32)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결합부(31)의 회전에 따라 돌기(32)가 이동하는 공간이다.
이때, 가상의 동일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3 공간(S212)의 반경이 제1 공간(S211)의 반경보다 크고, 두 반경 차이는 돌기(32)의 돌출 길이에 따라 정해짐은 당연하다.
이로 인해, 제2 결합 구멍(H201)의 지름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반면, 제3 결합 구멍(H202)는 동일한 지름은 갖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제2 결합 구멍(H202)을 관통한 연결 유닛(30)의 측면(313)과 하단면(312)이 위치한다.
이때, 제3 결합 구멍(H202)의 외측 부분, 즉 외부에 접해 있는 부분의 일부는 포인트 몸체(201)에 의해 막혀 있어, 포인트 몸체(201) 외부에 노출되는 제3 결합 구멍(H202)의 직경(즉, 외부 직경)(D21)은 제3 결합 구멍(H202)의 내부의 직경(즉 내부 직경)(D22)보다 작고 또한 측면(313)의 직경보다도 역시 작다.
따라서, 제3 결합 구멍(H202)에 삽입된 연결 유닛(30), 즉 삽입부(33)의 하부면(332)은 제3 결합 구멍(H202)을 관통하지 않고 제3 결합 구멍(H202)의 일부를 덮고 있는 포인트 몸체(201)과 접하게 위치하여, 제3 결합 구멍(H202)은 결국 하부면(332)에 의해 막혀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3 결합 구멍(H202)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 유닛(30)이 존재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며 돌출된 연결 유닛(30)으로 인한 인명 사고의 위험이 방지되고, 제3 결합 구멍(H202) 속으로 모래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의 구조에 의해, 도 7b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대(24) 위에 댐퍼 구조물(500)이 위치하고, 가이드부(21)에 돌기(32)가 위치하도록 연결 유닛(30)이 제2 결합 구멍(H201) 및 제3 결합 구멍(H202) 속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 결합 구멍(H201)내에 위치한 지지대(24)에 댐퍼 구조물(500)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투스 포인트(20)의 삽입홈(S20) 속에 투스 어댑터(10)의 삽입부(13)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삽입부(13)에 위치한 제1 결합 구멍(H13)과 투스 포인트(20)의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여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일 방향(Z)으로 정렬된다.
그런 다음, 연결 유닛(30)을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에 차례로 삽입한 후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 구멍(H201) 속에 연결 유닛(30)의 결합부(31)의 위치를 삽입 고정한다[도 8의 (a) 내지 (c)]. 즉, 제2 결합 구멍(H201)에 삽입된 연결 유닛(30)이 체결 동작을 위해 초기 상태인 도 8의 (a) 상태에서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8의 (b)와 같이 연결 유닛(30)의 결합부(31)의 모서리 부분 즉, 인접한 제1 및 제2 평탄면부(3131, 3132)가 만나는 부분에 의해 댐퍼 구조물(500)의 제1 고정부(521)에 압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521)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댐퍼부(51)가 압축되어 제1 고정부(521)의 위치를 제2 고정부(522)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도 8의 (b)], 이러한 제1 고정부(521)의 위치 이동에 의해 연결 유닛(30)은 약 90도 회전하게 되어, 연결 유닛(30)의 해당 평탄면부는 제1 고정부(521)와 접하게 되어, 연결 유닛(30)은 체결 상태가 된다[도 8의 (c)]. 이때, 연결 유닛(30)은 댐퍼부(51)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 유닛(30)의 평탄면부에는 압력이 인가되어 연결 유닛(30)의 체결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제1 고정부(521)의 밀착 돌기(P521)에 의해 제1 고정부(521)와 접해 있는 연결 유닛(3)의 해당 평탄면부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는 더욱 증가하여, 연결 유닛(30)의 체결 상태는 더욱 안정화된다.
이러한 댐퍼 구조물(500)은 탄성력을 갖는 댐퍼부(51)의 양 측면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로 감싸져 있다. 이로 인해, 연결 유닛(30)의 삽입 및 탈거 동작 시마다 댐퍼부(51)가 포인트 몸체(201)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되어, 댐퍼부(51)의 마모나 변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크게 감소하다.
결합 구멍(H20) 속에 삽입된 연결 유닛(30)이 탈거 동작은 결합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 유닛(30)의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 동작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연결 유닛(30)은 하강하거나 상승하여 연결 유닛(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제2 및 제3 결합 구멍(H201, H202)에서 연결 유닛(30)을 용이하게 탈거하게 된다[도 8의 (a) 참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 구조물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댐퍼 구조물(500)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같은 기능을 실시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500a)을 설명한다.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댐퍼 구조물(500)과 유사하게 댐퍼부(51a)와 댐퍼부(51a)을 양 측면부를 에워싸고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a)을 구비한다.
이때, 댐퍼부(51a)는 도 1 내지 도 3의 댐퍼 구조물(500)과 달리, 정육면체 구조의 댐퍼 본체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돌출부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댐퍼부(51a)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고정이 댐퍼 구조물(500a)에 대르면, 제1 고정부(521)로 압력이 인가되면, 제1 고정부(521)의 장축의 내부면과 접하는 댐퍼부(51a)의 해당 면(C51a)이 압축되어 제1 고정부(521)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 연결 유닛(3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2 고정부(522a)의 외부면은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52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2 고정부(522a)에 압력이 인가될 때, 압력의 분산 효과가 이루어져 댐퍼부(51a)와 제1 및 제2 고정부(521, 522a)의 파손 및 손상 위험이 크게 감소하여 댐퍼 구조물(500a)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500b)을 설명한다.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b)은 댐퍼부(51b)와 댐퍼부(51b)의 일 측면부에 위치하는 고정부(533)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댐퍼부(51b)는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의 홈(H51b)을 구비하고 있는 'ㄷ'자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고정부(533)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댐퍼부(51b)의 홈(H51b) 속에 삽입되어 댐퍼부(51b)와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533)의 세 면은 댐퍼부(51b)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고, 상기 홈(H51b)의 반대편에서 상기 홈(H51b)과 대면하고 있는 면은 댐퍼부(51b)에 에워싸여져 있고 있지 댐퍼부(51b)의 해당 면에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홈(H51b) 속에 삽입되는 고정부(533)의 장축의 내부면은 홈(H51b)의 장축의 폭인 너비(W51b2)를 정하는 댐퍼부(51b)의 내부면(C51b)과 접하게 된다
이때, 댐퍼부(51b)의 두께(T51b)와 고정부(533)의 두께(T533)는 서로 동일하다.
하지만 댐퍼부(51b)의 홈(H51b)의 단축의 폭 즉, 홈(H51b)의 깊이(W51b1)는 고정부(533)의 단축 폭(W5331)보다 작을 수 있고, 댐퍼부(51b)의 홈(H51b)의 너비(W51b2)는 고정부(533)의 장축 폭(W5332)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댐퍼부(51b)의 홈(H51b) 속에 삽입된 고정부(533)는 외부적인 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이상 홈(H51b)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댐퍼부(51b)의 인접한 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b)은 사출 동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댐퍼부(51b)는 탄성을 갖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부(533)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유닛(30)의 체결이나 탈거를 위해 연결 유닛(30)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결 유닛(30)의 결합부(31)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댐퍼 구조물(500b)의 고정부(533)에 압력이 인가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고정부(533)는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자신의 장축 면과 접해있는 댐퍼부(51b)의 해당 내부 면(C51b)을 압축하여 댐퍼부(51b) 쪽으로 이동하여, 연결 유닛(30)의 체결 동작이나 탈거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부(533)는 자신의 외부면이 인접한 댐퍼부(51b)의 외부면보다 더 내측으로 즉, 댐퍼부(51b) 쪽으로 위치하여, 인접한 댐퍼부(51b의 외부면이 자신의 외부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구조물(500b)는 하나의 고정부(533)를 이용하므로 제조 비용과 제작 시간이 절감된다.
다음,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구조물(500c)을 설명한다.
본 예의 댐퍼 구조물(500c)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댐퍼부(51c)와 댐퍼부(51c)을 측면을 에워싸고 있는 고정부(534)를 구비한다.
고정부(534)는 댐퍼부(51c)의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각 면(예,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을 각각 감싸고 있는 제1 및 제2 고정 부분(예, 제1 및 제2 고정 부분)(5341, 5342) 그리고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 사이에 위치하고 댐퍼부(51c)의 다른 면(예, 배면)을 감싸고 있는 제3 고정 부분(예, 배면 고정 부분)(534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은 서로 좌우 반전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의 폭(W534)은 하부 즉, 댐퍼부(51c)의 전면에 인접한 부분에서 배면에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고, 하단은 댐퍼부(51c)의 전면과 동일한 가상의 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은 각각 댐퍼부(51c)의 배면 일부를 감싸고 있어, 역'ㄱ'자와 'ㄱ'자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가운데에 댐퍼부(51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의 사이의 배면에는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으로 덮여지지 않고 누출된 배면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노출된 배면 부분으로 배면 고정 부분(5343)이 삽입되어, 노출된 배면 부분은 배면 고정 부분(5343)으로 덮여지고, 배면 고정 부분(5343)의 내부면은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부(51c)의 내부면(C51c)과 접한다.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인접해 있는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과 이동 가능하게 접해있다. 따라서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과는 별개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다.
이때, 배면 고정 부분(5343)의 단축 폭(W5343)은 인접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의 해당 부분의 폭(W534a)보다 커,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유닛(30)의 체결 또는 탈거를 위해 연결 유닛(30)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결 유닛(30)의 결합부(31)의 모서리 부분과 배면 고정 부분(5343)이 접하게 되어 배면 고정 부분(5343)에 압력이 인가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과 별개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므로, 인가되는 입력에 의해 도 17에 도시한 것처럼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자신의 장축 면과 접해있는 댐퍼부(51c)의 해당 내부면(C51c)을 압축하여 댐퍼부(51c)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 유닛(30)의 삽입이나 탈거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배면 고정 부분(5343)은 자신의 외부면이 인접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의 외부면보다 더 내측으로 즉, 댐퍼부(51c) 쪽으로 위치하여 제1 및 제2 측면 고정 부분(5341, 5342)의 외부면이 자신의 외부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한 댐퍼 구조물(500b, 500c)는 하나의 고정부(533, 534)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댐퍼 구조물(500b, 500c)의 제조 비용이 더욱 더 절감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제1 결합 구조부는 투스 어댑터(10)이고, 제2 결합 구조부는 투스 포인트(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댐퍼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500a-500c: 댐퍼 구조물 51, 51a-51c: 댐퍼부
521: 제1 고정부 522, 522a: 제2 고정부
533, 534: 고정부 5341, 5342: 측면 고정 부분
5343: 배면 고정 부분 P521: 밀착 돌기
100: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10: 투스 어댑터
20: 투스 포인트 201: 포인트 몸체
30: 연결 유닛 H201: 제1 결합 구멍
H202: 제2 결합 구멍

Claims (19)

  1.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을 위한 연결 유닛과 접해 있는 댐퍼 구조물에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부;
    일 면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댐퍼부의 일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상기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 유닛과 밀착되는 밀착 돌기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댐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와 대면하고 있고, 일 면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댐퍼부의 타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결 유닛의 분리 및 체결 시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상기 밀착 돌기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댐퍼부 쪽으로 이동하는
    댐퍼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은 각각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댐퍼 구조물.
  3. 제1항에서,
    상기 댐퍼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상면부와 하면부에 각각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제1 고정부의 부분과 제2 고정부의 부분과 접하게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댐퍼 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서,
    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외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 구조물.
  6. 제1항에서,
    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외부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 구조물.
  7. 제1항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 구조물.
  8. 제1항에서,
    상기 댐퍼부는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 구조물.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결합 구조물은 투스 어댑터이고, 상기 제2 결합 구조물은 투스 포인트인 댐퍼 구조물.
  11. 삭제
  12. 제1 결합 구조부와 제2 결합 구조부의 결합을 위한 연결 유닛과 접해 있는 댐퍼 구조물에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부;
    일부는 상기 댐퍼부의 제1 측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측면 고정 부분;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과 분리되어 있고, 일부는 상기 제1 측면과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상기 댐퍼부의 제2 측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측면 고정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일면은 상기 댐퍼부의 배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타면은 연결 유닛과 접하게 위치하는 배면 고정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고정 부분은 상기 연결 유닛의 분리 및 체결 시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상기 댐퍼부의 배면을 압축하는
    댐퍼 구조물.
  13. 제12항에서,
    상기 배면 고정 부분은 제1 측면 고정 부분 및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댐퍼 구조물.
  14. 제12항에서,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과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은 좌우 반전 현상을 갖는 댐퍼 구조물.
  15. 제13항에서,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은 역'ㄱ'자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은 'ㄱ'자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의 일부와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의 일부는 상기 댐퍼부의 배면과 접해 있는 댐퍼 구조물.
  16. 삭제
  17. 삭제
  18. 제12항에서,
    상기 제1 측면 고정 부분, 상기 제2 측면 고정 부분 및 상기 배면 고정 부분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댐퍼 구조물.
  19. 제12항에서,
    상기 제1 결합 구조물은 투스 어댑터이고, 상기 제2 결합 구조물은 투스 포인트인 댐퍼 구조물.
KR1020190086672A 2019-07-17 2019-07-17 댐퍼 구조물 KR10227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72A KR102279468B1 (ko) 2019-07-17 2019-07-17 댐퍼 구조물
US16/687,933 US11697924B2 (en) 2019-07-17 2019-11-19 Damper structure
PCT/KR2020/008991 WO2021010653A1 (ko) 2019-07-17 2020-07-09 댐퍼 구조물
US17/823,406 US20220412058A1 (en) 2019-07-17 2022-08-30 Damp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72A KR102279468B1 (ko) 2019-07-17 2019-07-17 댐퍼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37A KR20210009737A (ko) 2021-01-27
KR102279468B1 true KR102279468B1 (ko) 2021-07-20

Family

ID=7421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672A KR102279468B1 (ko) 2019-07-17 2019-07-17 댐퍼 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697924B2 (ko)
KR (1) KR102279468B1 (ko)
WO (1) WO2021010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925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adapter
USD978924S1 (en) * 2021-12-14 2023-02-21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Excavator bucket tooth
CN114232722A (zh) * 2021-12-31 2022-03-25 常州市聚科金属结构件有限公司 一种方便更换铲片的挖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332A (en) * 1958-11-17 1961-06-06 Bonmartini Glovanni Resilient torque-transmitting hinge structure
US3685178A (en) * 1970-07-10 1972-08-22 Abex Corp Dipper teeth
BR6308410D0 (pt) * 1972-10-31 1974-09-05 Poclain Sa Dente substituivel para instrumento de obras publicas, admitindo uma chaveta particular
DE2713227C2 (de) * 1977-03-25 1983-08-04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Lösbare Befestigung eines rückwärts mit einer Hülse versehenen Baggerzahnes an einem in die Hülse eingreifenden Zahnhalter
US5152088A (en) * 1990-09-10 1992-10-06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point and method of replacement
US5852888A (en) * 1996-11-08 1998-12-29 Caterpillar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a base of a bucket of an earth working machine
JP4021527B2 (ja) * 1997-10-02 2007-12-12 保夫 鈴木 ショベル機械のバケット本体に付設するアダプタ部材とツース部材との固定手段
KR20060011366A (ko) 2004-07-30 2006-02-03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JP6065893B2 (ja) 2014-10-31 2017-01-2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ツース固定部材
KR101911513B1 (ko) * 2017-12-29 2018-10-24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KR102306607B1 (ko) * 2020-09-10 2021-09-30 성보공업주식회사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7924B2 (en) 2023-07-11
US20210017740A1 (en) 2021-01-21
US20220412058A1 (en) 2022-12-29
KR20210009737A (ko) 2021-01-27
WO2021010653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468B1 (ko) 댐퍼 구조물
KR101679890B1 (ko) 굴삭기 및 유사한 장비용 어댑터에 장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구성부품
US5469648A (en) Excavating tooth
CN109989447B (zh) 挖掘机的铲斗用斗齿
JP3399788B2 (ja) 掘削機の歯のための接ぎ手接合部
KR102306607B1 (ko) 댐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물
KR100253438B1 (ko) 굴삭기 치형
KR101752440B1 (ko) 굴착용 기계의 버킷의 마모 조립체를 위한 수컷 부분 및 암컷 부분
JPS5821047B2 (ja) ロツク装置
CN107075841A (zh) 用于工具的磨耗构件
US20190048562A1 (en) Lock for ground engaging tool
CN107075842A (zh) 用于磨耗构件的安装基座
RU2664988C2 (ru)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KR20220009292A (ko) 결합 구조물
KR102496104B1 (ko) 투스 포인트 및 결합 구조물
AU2009101186A4 (en) Excavator tool
KR20230159441A (ko)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RU2107779C1 (ru) Зуб ковша экскаватора
US20040111927A1 (en) Tip and adapter assembly
WO2020055363A2 (en) Long-life penetrating tooth - adapter system for excavators
AU639806B2 (en) Improved pin
NZ272789A (en) Excavating tooth point/adapter coupling lock pin having casing transverse partition and depressible protrusions for respectively tightening and locking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