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346A -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346A
KR20150137346A KR1020140065043A KR20140065043A KR20150137346A KR 20150137346 A KR20150137346 A KR 20150137346A KR 1020140065043 A KR1020140065043 A KR 1020140065043A KR 20140065043 A KR20140065043 A KR 20140065043A KR 20150137346 A KR20150137346 A KR 2015013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guide
adapter
inser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696B1 (ko
Inventor
류대현
Original Assignee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스를 이루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두 구성 간의 결속력을 높이면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어댑터바디, 상기 어댑터바디의 전단부(前端部)에 돌출 형성되는 인서트, 그리고 상기 어댑터바디의 후단부(後端部)에 돌출 형성되어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투스어댑터; 굴삭용 포인트바디, 그리고 상기 포인트바디의 후단부에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후방 개구(開口)형 인서트홈을 포함하는 투스포인트; 및 상기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포인트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 커넥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팅유닛은 상기 투스포인트의 포인트바디 후단부 일측에서 인서트홈까지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 상기 끼움공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 중심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半環形) 외부단턱부, 상기 끼움공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외부단턱부와 대응되며 상기 외부단턱부와의 사이공간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 내부단턱부, 상기 사이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턱부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외부단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의 반환형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 내측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양 내벽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 금속(metal) 재질의 두 가이드벽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 헤드를 갖는 핀과, 상기 핀의 헤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반원형(半圓形)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 가이드벽 사이 공간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반환형 돌기부로 이루어진 스핀부재, 그리고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스핀부재의 핀 단부(端部)가 삽입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에 상기 스핀부재의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부재 회전 시, 상기 스핀부재의 플레이트가 상기 사이공간부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고 또 상기 스핀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 가이드벽 사이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A BUCKET TOOTH OF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투스어댑터와 이에 연결되는 굴삭용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암수 결합부위로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에 구비되어 핀의 180도 회전 동작에 의해 잠기고 다시 180도 회전 동작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구조의 스핀부재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기술이다.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6-0011366호(2006.02.03.공개, 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은 굴삭기용 버켓에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에 연이어 상기 버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어댑터에 결합되어 굴착지면을 굴삭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가 삽입되는 일측 개구된 인서트홈이 형성된 투스포인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에 있어서,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에 결합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상기 인서트부의 상하면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스포인트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기 투스어댑터의 끼움공과 일치하면서 상기 투스포인트의 상하면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스어댑터의 일측 끼움공 입구에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걸림요홈이 상기 삽입공과 단턱지면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일치된 투스어댑터의 끼움공과 투스포인트의 삽입공에 결합핀이 끼워질 경우 상기 투스어댑터의 걸림요홈에 내재된 스냅링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링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15524호(2006.08.17.등록, 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함)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2는 굴삭기의 버켓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굴삭기의 버켓선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장착부의 전방에 상기 버켓의 선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어댑터에 결합되어 굴착지면을 굴삭하는 것으로 후단부에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가 삽입되는 후방 개구된 인서트홈이 형성된 투스포인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에 있어서,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부의 직경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테이퍼공과, 상기 투스포인트의 양측면에 상기 테이퍼공의 형상과 연이어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양측면의 직경이 다르도록 형성된 삽입공 및 걸림공과, 상기 투스포인트의 삽입공으로 진입되어 투스어댑터의 테이퍼공과 투스포인트의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콘형상으로 외주연에는 상기 투스어댑터의 테이퍼공경사면에 밀착되는 테이퍼밀착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일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테이퍼핀과, 상기 투스포인트의 걸림공을 통해 테이퍼핀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투스포인트의 삽입공및 걸림공과 투스어댑터의 테이퍼공에 끼워진 테이퍼핀을 고정시키는 잠금볼트가 포함되어 구성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본 출원인에 출원된 기술로서, 본 발명은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며, 나아가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투스포인트를 지나 투스어댑터에 끼워지는 핀과, 이 핀에 구비되어 180도 회전 시 투스포인트 측에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회전 삽입되는 스핀부재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어댑터바디, 상기 어댑터바디의 전단부(前端部)에 돌출 형성되는 인서트, 그리고 상기 어댑터바디의 후단부(後端部)에 돌출 형성되어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투스어댑터;
굴삭용 포인트바디, 그리고 상기 포인트바디의 후단부에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후방 개구(開口)형 인서트홈을 포함하는 투스포인트; 및
상기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포인트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 커넥팅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팅유닛은
상기 투스포인트의 포인트바디 후단부 일측에서 인서트홈까지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
상기 끼움공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 중심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半環形) 외부단턱부,
상기 끼움공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외부단턱부와 대응되며 상기 외부단턱부와의 사이공간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 내부단턱부,
상기 사이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턱부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외부단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의 반환형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 내측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양 내벽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 금속(metal) 재질의 두 가이드벽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
헤드를 갖는 핀과, 상기 핀의 헤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반원형(半圓形)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 가이드벽 사이 공간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반환형 돌기부로 이루어진 스핀부재, 그리고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스핀부재의 핀 단부(端部)가 삽입되는 끼움홈
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에 상기 스핀부재의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부재 회전 시, 상기 스핀부재의 플레이트가 상기 사이공간부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고 또 상기 스핀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 가이드벽 사이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암수 결합부위로 삽입되는 핀과, 이 핀의 회전 동작에 의해 투스포인트 측의 가이드부재로 회전 삽입되는 스핀부재와, 회전 삽입된 스핀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홀딩수단을 마련함으로서,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의 상호 결속력을 높이면서 조립 및 분리가 쉬워 작업이 용이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일부 정단면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스가 굴삭기의 버킷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투스포인트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투스어댑터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크게 투스어댑터(10), 투스포인트(20) 및 커넥팅유닛(3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투스어댑터(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을 위해 상기 투스포인트(20)가 연결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버킷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의 어댑터바디(11),
상기 어댑터바디(11)의 전단부(前端部)에 돌출 형성되는 인서트(12), 그리고
상기 어댑터바디(11)의 후단부(後端部)에 돌출 형성되어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12)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즉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는 상기 어댑터바디(11)의 후단부 상하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상하 이격되는 두 분체로 이루어져, 이 두 분체 사이로 굴삭기의 버킷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투스포인트(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어댑터(10)에 연결되어 굴삭면을 굴삭하기 위한 것으로,
포인트바디(21), 그리고
상기 포인트바디(21)의 후단부에 상기 투스어댑터(10)의 인서트(12)가 삽입되는 후방 개구(開口)형 인서트홈(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바디(21)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즉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홈(22)은 상기 인서트(12)와 상응한 내부 공간 형상을 갖는다.
커넥팅유닛(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어댑터(10)와 상기 투스포인트(20)를 상호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스포인트(20)의 포인트바디(20) 후단부 일측에서 인서트홈(22)까지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31),
상기 끼움공(31)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31) 중심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半環形) 외부단턱부(32),
상기 끼움공(31)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31)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외부단턱부(32)와 대응되며 상기 외부단턱부(32)와의 사이공간부(S)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 내부단턱부(33),
상기 사이공간부(S)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34),
상기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스핀부재(35), 그리고
상기 투스어댑터(10)의 인서트(12)에 요입 형성되는 끼움홈(3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34)는
도 2 및 도 2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공간부(S)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턱부(32)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외부단턱부(3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의 반환형 가이드바디(341)와,
상기 가이드바디(341) 내측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홈(342)과,
상기 가이드홈(342) 양 내벽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 금속(metal) 재질의 두 가이드벽(343)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디(341) 및 상기 가이드홈(342)은 상기 가이드홈(342)에 위치한 상기 두 가이드벽(343)을 지지하게 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후술할 스토퍼(41)가 후술할 돌기부(343)에 의해 가압된 후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도와주게 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디(341)는 상기 외부단턱부(32)에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단턱부(32)에 별도의 안착홈을 형성한 후 이에 안착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가이드바디(341)를 상기 외부단턱부(32)에 고정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반환형'이라 함은 둥근 고리의 반쪽과 같은 모양을 의미한다.
상기 스핀부재(35)는
도 1 및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51)를 갖는 핀(352)과,
상기 핀(352)의 헤드(351)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반원형(半圓形) 플레이트(353)와,
상기 플레이트(353)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사이 공간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반환형 돌기부(343)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반원형'이라 함은 원둘레의 반과 지름으로 이루어진 반원의 모양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353)는 외부에서 상기 끼움공(31)으로 삽입될 시 상기 끼움공(31)을 형상에 맞게 맞추어 진입하게 되고 상기 핀(352)의 회전 동작에 의해 180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352)의 헤드(351)에는 육각 공구 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35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53)는 상기 핀(352) 회전 시, 상기 사이공간부(S)로 회전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부단턱부(33)와 상기 가이드부재(34)의 가이드바디(341) 사이의 공간거리만큼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36)은
상기 스핀부재(35)가 상기 가이드부재(34)에 180도 회전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부재(35)의 핀(352) 단부(端部)가 삽입되도록 상기 투스어댑터(10)의 인서트(12)에 요입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상기 가이드부재(34)에 회전 삽입된 상기 스핀부재(35)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홀딩수단(4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홀딩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중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벽(343) 중단부(中端部)에 외측의 가이드벽(343) 측으로 융기되는 만곡(彎曲)형 스토퍼(41), 그리고
상기 스핀부재(35)의 돌기부(354) 내주면 중단부에 상기 스토퍼(41)와 대응되게 함몰되는 만곡형 대응스토퍼(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스핀부재(35)가 상기 끼움공(31)을 지나 상기 핀(352)이 상기 끼움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를 상기 헤드(351)의 공구삽입홈(351a)에 끼운 후 180도 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스핀부재(35)의 플레이트(353)와 돌기부(354)가 회전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53)는 상기 사이공간부(S)로 회전 진입하게 되고, 상기 돌기부(354)는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사이로 회전 진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돌기부(354)가 상기 스토퍼(4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바디(341)에서 상기 스토퍼(41) 접한 영역 또한 가압되며, 상기 돌기부(354)가 상기 스토퍼(41) 지나면서 상기 대응스토퍼(42)가 상기 스토퍼(41)에 위치하게 되면 엘라스토머 재질의 가이드바디(341)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1)가 원위치하게 됨으로서, 상기 스토퍼(41)와 상기 대응스토퍼(42)의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투스어댑터
11 : 어댑터바디 12 : 인서트
13 : 장착부
20 : 투스포인트
21 : 포인트바디 22 : 인서트홈
30 : 커넥팅유닛
31 : 끼움공 32 : 외부단턱부
33 : 내부단턱부
34 : 가이드부재 341 : 가이드바디
342 : 가이드홈 343 : 가이드벽
35 : 스핀부재 351 : 헤드
351a : 공구삽입홈 352 : 핀
353 : 플레이트 354 : 돌기부
36 : 끼움홈
40 : 홀딩수단
41 : 스토퍼 42 : 대응스토퍼

Claims (2)

  1. 어댑터바디(11), 상기 어댑터바디(11)의 전단부(前端部)에 돌출 형성되는 인서트(12), 그리고 상기 어댑터바디(11)의 후단부(後端部)에 돌출 형성되어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13)를 포함하는 투스어댑터(10);
    굴삭용 포인트바디(21), 그리고 상기 포인트바디(21)의 후단부에 상기 투스어댑터(10)의 인서트(12)가 삽입되는 후방 개구(開口)형 인서트홈(22)을 포함하는 투스포인트(20); 및
    상기 투스어댑터(10)와 상기 투스포인트(20)를 상호 고정 결합하는 커넥팅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팅유닛(30)은
    상기 투스포인트(20)의 포인트바디(21) 후단부 일측에서 인서트홈(22)까지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31),
    상기 끼움공(31)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31) 중심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半環形) 외부단턱부(32),
    상기 끼움공(31)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공(31)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외부단턱부(32)와 대응되며 상기 외부단턱부(32)와의 사이공간부(S)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반환형 내부단턱부(33),
    상기 사이공간부(S)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턱부(32)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외부단턱부(3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의 반환형 가이드바디(341)와, 상기 가이드바디(341) 내측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홈(342)과, 상기 가이드홈(342) 양 내벽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 금속(metal) 재질의 두 가이드벽(343)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34),
    헤드(351)를 갖는 핀(352)과, 상기 핀(352)의 헤드(351)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반원형(半圓形) 플레이트(353)와, 상기 플레이트(353)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사이 공간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반환형 돌기부(354)로 이루어진 스핀부재(35), 그리고
    상기 투스어댑터(10)의 인서트(12)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스핀부재(35)의 핀(352) 단부(端部)가 삽입되는 끼움홈(36)
    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36)에 상기 스핀부재(35)의 핀(352)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부재(35) 회전 시, 상기 스핀부재(35)의 플레이트(353)가 상기 사이공간부(S)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고 또 상기 스핀부재(35)의 돌기부(354)가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사이로 회전 진입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두 가이드벽(343) 중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벽(343) 중단부(中端部)에 외측의 가이드벽(343) 측으로 융기되는 만곡(彎曲)형 스토퍼(41)와, 상기 스핀부재(35)의 돌기부(354) 내주면 중단부에 상기 스토퍼(41)와 대응되게 함몰되는 만곡형 대응스토퍼(42)로 이루어진 홀딩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20140065043A 2014-05-29 2014-05-29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58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43A KR101581696B1 (ko) 2014-05-29 2014-05-29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43A KR101581696B1 (ko) 2014-05-29 2014-05-29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346A true KR20150137346A (ko) 2015-12-09
KR101581696B1 KR101581696B1 (ko) 2015-12-31

Family

ID=548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043A KR101581696B1 (ko) 2014-05-29 2014-05-29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311A1 (ko) * 2017-12-29 2019-07-04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CN111691476A (zh) * 2020-07-23 2020-09-22 苏冀 一种挖斗及具有该挖斗的挖掘机
WO2022010729A1 (en) * 2020-07-06 2022-01-13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motor grader bits
WO2022010642A1 (en) * 2020-07-06 2022-01-13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ripper tip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9682B (zh) * 2016-05-23 2018-02-13 宁波禾顺新材料有限公司 用于挖掘设备的耐磨组件的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1089A1 (en) * 2003-07-17 2005-01-20 Alan Duke Excavation tooth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US20050229443A1 (en) * 2004-03-31 2005-10-20 Robert Bierwith Cam action locking assembly
US20100162594A1 (en) * 2008-12-19 2010-07-01 Bierwith Robert S Quick Release Screw Connector For Earth-Moving Equipment
WO2012075531A1 (en) * 2010-12-07 2012-06-14 Ronneby Road Pty Ltd Connec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1089A1 (en) * 2003-07-17 2005-01-20 Alan Duke Excavation tooth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US20050229443A1 (en) * 2004-03-31 2005-10-20 Robert Bierwith Cam action locking assembly
US20100162594A1 (en) * 2008-12-19 2010-07-01 Bierwith Robert S Quick Release Screw Connector For Earth-Moving Equipment
WO2012075531A1 (en) * 2010-12-07 2012-06-14 Ronneby Road Pty Ltd Connection assembl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311A1 (ko) * 2017-12-29 2019-07-04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착기의 버킷용 투스
US10954656B2 (en) 2017-12-29 2021-03-23 Sungbo Industrial Co., Ltd. Bucket tooth of excavator
WO2022010729A1 (en) * 2020-07-06 2022-01-13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motor grader bits
WO2022010642A1 (en) * 2020-07-06 2022-01-13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ripper tips
US11414842B2 (en) 2020-07-06 2022-08-16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motor grader bits
US11697923B2 (en) 2020-07-06 2023-07-11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ripper tips
US11781293B2 (en) 2020-07-06 2023-10-10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motor grader bits
CN111691476A (zh) * 2020-07-23 2020-09-22 苏冀 一种挖斗及具有该挖斗的挖掘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96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696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817064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806958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JP2013544994A (ja) 接続組立体
TWI537508B (zh) 快拆接頭
FR2975231B1 (fr) Ensemble de connexion etanche
CN108075309A (zh) 具有高锁定可靠性的用于电导体的线状连接组件
JP2019523380A5 (ko)
US9700709B2 (en) Coupling arrangement
TWM508406U (zh) 工具接頭
FR3100305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notamment pour la réalisation de circuit de circulation de fluide
KR20150137348A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JP2011140997A (ja) 離脱防止機能付きシール材および離脱防止管継手
EP3078782A1 (en) Fitting structure between nozzle cap and nozzle main body of bidet
JP2011158020A (ja) 異径ファスナー継手
JP2017203365A (ja) 地面に食い込む摩耗部材アセンブリにおけるコネクタ・システム
CN205314154U (zh) 一种改进型挖掘机斗齿
TW201233931A (en) Pipe joint
KR101795580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20150137335A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JP2015196999A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TW201605587A (zh) 具快脫功能的萬向接頭
CN205639896U (zh) 线缆密封装置
KR20150137334A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N108869916B (zh) 尼龙管快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